KR102037581B1 - 결합 조립체,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및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결합 조립체,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및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581B1
KR102037581B1 KR1020170173962A KR20170173962A KR102037581B1 KR 102037581 B1 KR102037581 B1 KR 102037581B1 KR 1020170173962 A KR1020170173962 A KR 1020170173962A KR 20170173962 A KR20170173962 A KR 20170173962A KR 102037581 B1 KR102037581 B1 KR 102037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fixture
coupling
hook
coupl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857A (ko
Inventor
허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to KR1020170173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5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구(100)와, 상기 고정구(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체(200)를 포함하는 결합 조립체(10)로서, 상기 결합체(200)는, 중앙부에 수용공간(215)이 형성된 바디(210); 상기 바디(2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210)의 수용공간(215)에 수용되며, 상기 바디(210)에 대해 상대이동이 가능한 이동편(220); 상기 바디(210)의 하부와 상기 이동편(220)에 양 단부(230a, 230b)가 각각 고정된 탄성부재(230); 및 상기 바디(210)에 형성된 후크부(211);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100)는, 상기 후크부(211)와 끼워맞춤 결합되는 후크결합부(150); 및 상기 후크결합부(15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211)가 상기 고정구(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 후크배출홈(152);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편(220)과 상기 고정구(100)는 회전방향으로 상대이동이 제한되도록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조립체(1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결합 조립체,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및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A coupling assembly, lighting equipment including the coupling assembly, and home appliances including the coupling assembly}
본 발명은 결합 조립체,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등기구, 및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구정구에 결합체를 원-스텝(One-step)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결합 조립체,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등기구, 및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이다.
천정에 부착되는 방식의 조명기구, 즉 등기구의 경우 기존 제품들은 등기구 고정과 AC 전원 연결이 서로 분리되어 있거나, 등기구를 고정하고 AC 전원 연결 커넥터를 별도로 결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4453호는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수직방향 원터치 결합구조의 등기구가 개시되어 있는데, 결합은 간편하게 할 수 있으나 등기구의 교체를 위한 해체 또는 분리시에는 결합을 해제가 수고스러운 면이 있었다.
따라서, 전기적 상식이 부족한 일반 수요자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등기구를 설치 또는 교체할 수 있는 결합 방법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24453호 (2011.02.23.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 수요자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고정구와 결합체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적 상식이 부족한 일반 수요자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고정구와 결합체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및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환경에 따른 하중에 대해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결합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및 가전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체를 포함하는 결합 조립체로서, 상기 결합체는, 중앙부에 수용공간(215)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바디에 대해 상대이동이 가능한 이동편; 상기 이동편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편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바디에 형성된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후크부와 끼워맞춤 결합되는 후크결합부; 및 상기 후크결합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고정구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 후크배출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편과 상기 고정구는 회전방향으로 상대이동이 제한되도록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고정구를 향하여 결합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이동편을 통해 상기 결합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이동편을 상기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며 상기 고정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의 압축력이 상기 이동편에 작용하는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와 상기 후크결합부의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상기 결합체가 상기 고정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편에 상기 결합방향의 탄성력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방향과 수직한 회전방향의 탄성력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가 상기 고정구에 대해 상기 회전방향으로 일정각 이상 회전되면 상기 후크배출홈을 통해 상기 고정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가 상기 고정구에 대해 상기 일정각 미만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 회전력이 제거되면 상기 결합체는 상기 탄성부재의 회전 복원력에 의해 제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용수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제1단부는 상기 이동편의 하면에 형성된 제1수용홈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제2단부는 상기 결합체의 하부 상면에 형성된 제2수용홈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의 하부는 상기 바디에 고정 결합되는 플레이트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상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결합체가 결합될 때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유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가 분리되기 위해 회전될 때 상기 돌출부의 분리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편이 상기 유입홈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가 분리될 때 상기 돌출부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 배출홈이 상기 지지편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편의 상면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의 하면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의 하면에는 잠금스위치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의 하면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스위치를 잠금상태로 위치시키면 상기 결합체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기 고정구에 대한 회전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의 중앙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원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의 중앙부에는 상기 원통부가 관통되어 수용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및 상기 이동편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편의 외주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의 일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내주면 중 상부 일부분에는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로서, 상기 고정구에는 전원과 연결된 제1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의 상기 바디에 형성된 상기 후크부에는 제2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에는 상기 제2단자와 전기 접속된 램프가 고정되고, 상기 결합체가 상기 고정구에 결합될 때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는 서로 접속되는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으로서, 상기 고정구에는 전원과 연결된 제1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의 상기 바디에 형성된 상기 후크부에는 제2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가 상기 고정구에 결합될 때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는 서로 접속되는 가전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및 가전제품은 일반 수요자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고정구와 결합체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및 가전제품은 외부 환경에 따른 하중에 대해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조립체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조립체가 고정구와 결합체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조리체의 고정구에 AC 전원선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결합 조립체의 자세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의 결합 조립체 중 결합체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체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결합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2는 도 8의 결합체의 이동편이 상대회전 가능한 것을 보여주는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도 8의 결합체의 이동편이 상대회전 가능한 것을 보여주는 도,
도 14 내지 도 18은 도 1의 결합체가 회전되어 고정부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조립체가 고정구와 결합체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조립체(1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조립체(10)는 고정구(100)와, 상기 고정구(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체(20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100) 내부에 AC 전원선(190)이 내설되어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C 전원선(190)에 전기 접속된 제1단자(15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체(200)의 후크부(211)의 일부분에 제2단자(2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체(200)를 고정구(100)에 수직 결합하면 상기 결합체(200)에 형성된 제2단자(212)가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제1단자(151)에 바로 전기 접속되는 구조여서, 별도로 AC 전원에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를 결착하는 등의 추가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상기 고정구(100)와 상기 결합체(2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3과 같이, 결합체(200)는 탄성부재(230)의 축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직선이동하여 고정구(100)와 결합될 수 있고, 결합체(200)가 고정구(100)와 결합을 위해 가까워지는 방향을 “결합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결합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분리방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200)는, 중앙부에 수용공간(215)(도 7 참조)이 형성된 바디(210)와, 상기 바디(2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210)의 수용공간(215)에 수용되며 상기 바디(210)에 대해 상대이동이 가능한 이동편(220)과, 상기 이동편(220)과 플레이트부(240)에 양 단부(230a, 230b)가 각각 고정된 탄성부재(230)와, 상기 바디(210)에 형성된 후크부(2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100)는, 상기 후크부(211)와 끼워맞춤 결합되는 후크결합부(150)와, 상기 후크결합부(15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211)가 상기 고정구(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 후크배출홈(1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편(220)과 상기 고정구(100)는 회전방향으로 상대이동이 제한되도록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편(220)의 상면에는 삽입돌기(2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100)의 하면에는 상기 삽입돌기(221)가 삽입되는 삽입홀(140)이 형성되어, 결합체(200)가 고정구(100)에 결합될 때 상기 삽입돌기(221)가 상기 삽입홀(140)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편(220)은 상기 고정구(100)에 대해 상대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결합체(200)는 상기 고정구(100)에 수직 결합된다. 즉, 상기 결합체(200)는 상기 고정구(100)를 향하여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이동편(220)을 통해 직선이동 방향, 즉 결합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이동편(220)을 상기 직선이동의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고정구(10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230)는 예를들어 용수철일 수 있으며, 이러한 용수철은 축방향의 인장력 또는 압축력에 의한 축방향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또한 원주방향의 비틀림에 의한 비틀림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230)의 제1단부(230a)는 상기 이동편(220)의 하면에 형성된 제1수용홈(222a)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230)의 제2단부(230b)는 상기 결합체(200)의 하부의 플레이트부(240)의 상면에 형성된 제2수용홈(243b)에 고정된다. 도 11에 상기 탄성부재(230)가 상기 이동편(220)과 상기 플레이트부(240) 사이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이동편(220)이 상기 바디(210) 내에서 축방향의 이동시 상기 탄성부재(230)에 의해 축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편(220)은 회전방향의 이동시에도 상기 탄성부재(23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 결합체(200)가 상기 고정구(100)에 결합할 때 상기 이동편(220)은 결합 반대방향으로 밀리는데, 이 이동편(220)은 탄성부재(23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의 압축력이 상기 이동편(220)에 작용하는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211)와 상기 후크결합부(150)의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상기 결합체(200)가 상기 고정구(100)에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체(200)의 후크부(211)와 고정구(100)의 후크결합부(150)의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상기 결합체(200)가 상기 고정구(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편(220)은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압축력이 계속 작용한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결합체(200)가 상기 고정구(10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결합체(200)가 상기 고정구(100)에 대해 상기 회전방향으로 일정각, 예를들면 30도 이상 회전되면 상기 결합체(200)는 상기 후크배출홈(152)을 통해 상기 고정구(100)로부터 분리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체(200)가 상기 고정구(100)에 대해 상기 일정각 미만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100)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 회전력이 제거되면 상기 결합체(200)는 상기 탄성부재(230)의 회전 복원력에 의해 제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결합체(200)를 고정구(10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지진이나 진동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한 의도치 않은 외부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일정량의 회전 변형이 생긴 이후에는 바로 제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물론, 결합체(200)를 고정구(100)에 체결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외부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도 축방향 변형은 탄성부재(230)의 축방향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200)를 상기 고정구(100)에 대해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편(220)은 상기 고정구(100)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편(220)을 제외한 상기 결합체(200)가 상기 고정구(100)에 대해 회전된다. 이렇게 상기 결합체(200)가 회전되면 상기 이동편(220)에 비틀림 변형에 대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결합체(200)의 후크부(211)는 상기 고정구(100)의 후크결합부(150)에 체결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슬라이딩 회전이 되는데, 후크결합부(150)가 끝나는 지점, 즉 일정각에 도달하는 시점에는 상기 후크부(211)가 후크배출홈(152)에 도달하여 이 후크부(211)가 체결 상태를 벗어나게 된다. 후크부(211)가 후크결합부(15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여전히 이동편(220)는 압축된 상태이기 때문에 체결이 분리되는 쪽을 향하는 축방향의 탄성력이 작용한다. 그러한 상태에서 결합체(200)의 회전에 의해 후크부(211)도 따라서 회전하다가 후크배출홈(152)에 다다르면 더 이상 후크결합부(150)에 의한 체결이 되지 않으므로, 분리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 축방향 탄성력에 의해 바로 분리된다.
도 15는 결합체(200)를 고정구(100)에 체결하기 직전의 상태 A를 나타낸다. 이 상태 A에서 결합체(200)가 고정구(100)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수직 결합되는 순간이 도 16의 상태 B(도 14의 상태 B와 같음)다. 도 17은 결합체(200)를 고정구(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결합체(200)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 C(도 14의 상태 C와 같음)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8은 결합체(200)가 일정각만큼 회전하여 후크부(211)가 후크배출홈(152)을 만나 바로 분리되는 상태 D(도 14의 상태 D와 같음)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고정구(100)에 결합된 결합체(200)가 고정구(100)에 대해 회전을 하면 상태 B -> 상태 C -> 상태 D 순서로 후크부(211)가 후크결합부(150)에 체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다 상태 D에 도달하는 순간 후크부(211)는 더 이상 결합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이동편(220)을 통해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후크부(211)는 후크배출홈(152)을 통해 결합체(200)와 함께 고정구(100)로부터 이탈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체(200)의 바디(210)의 상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구(100)에는 상기 결합체(200)가 결합될 때 상기 돌출부(213)를 수용하는 유입홈(114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200)가 분리되기 위해 회전될 때 상기 돌출부(213)의 분리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편(113)이 상기 유입홈(114a)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200)가 분리될 때 상기 돌출부(213)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 배출홈(114b)이 상기 지지편(113)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구(100)에 유입홈(114a), 지지편(113), 배출홈(114b)가 형성되어 있으면, 결합체(200)가 고정구(100)에 대해 회전을 할 때 상태 C에서 돌출부(213)가 상기 지지편(113)에 의해 축방향, 즉 분리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 경우, 후크부(211)는 상태 D가 되기 전까지는 후크결합부(150)에 의해 체결된 상태로 축방향, 즉 분리 방향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지지편(113)에 의한 추가 지지에 의해서 분리되기 전까지는 결합체(200)가 고정구(100)에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고정구(100)에 추가로 유입홈(114a), 지지편(113), 배출홈(114b)가 형성된 경우에도, 도 14를 참조하면, 고정구(100)에 결합된 결합체(200)가 고정구(100)에 대해 회전을 하면 상태 B -> 상태 C -> 상태 D 순서로 후크부(211)가 후크결합부(150)에 체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회전을 하게 되고 동시에 결합체(200)의 돌출부(213)도 지지편(113)에 의해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다 상태 D에 도달하는 순간 후크부(211)는 더 이상 결합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또한 돌출부(213)도 더 이상 지지편(113)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배출홈(114b)에 도달하게 되어, 이동편(220)을 통해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후크부(211) 및 돌출부(213)는 후크배출홈(152)을 통해 결합체(200)와 함께 고정구(100)로부터 이탈된다.
한편, 상기 결합체(200)의 하면에는 잠금스위치(24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100)의 하면에는 스토퍼(1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잠금스위치(241)를 잠금상태로 위치시키면 상기 결합체(200)는 상기 스토퍼(170)에 의해 상기 고정구(100)에 대한 회전운동이 제한되어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240)의 중앙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원통부(24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00)의 중앙부에는 상기 원통부(242)가 관통되어 수용되는 관통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원통부(242)가 고정구(100)의 관통홀(110)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체(200)가 고정구(100)에 체결되면 보다 구조적으로 안정한 체결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210) 및 상기 이동편(2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편(220)의 외주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223)가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223)의 일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224)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210)의 내주면 중 상부 일부분에는 상기 오목부(224)에 수용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오목부(224)와 상기 볼록부(21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동편(220)이 압축력을 받지 않고 제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이동편(220)의 오목부(224)가 바디(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부(213)에 의해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결합체(200)가 고정구(100)에 체결되는 상태와 같이 이동편(220)이 압축력을 받아 체결 반대 방향으로 상대 이동된 경우에는 상기 볼록부(213)의 영향을 받지 않아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결합체(200)와 고정구(100)로 이루어진 결합 조립체(10)를 설명하였는데, 조명기구가 이러한 결합 조립체(1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구(100)에는 전원과 연결된 제1단자(15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200)의 상기 바디(210)에 형성된 상기 후크부(211)에는 제2단자(2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200)에는 상기 제2단자(212)와 전기 접속된 램프가 고정되고, 상기 결합체(200)가 상기 고정구(10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단자(151)와 상기 제2단자(152)는 서로 접속되게 구성된다. 도 19는 LED 램프가 부착되도록 구성된 큰 플레이트가 결합체(300)에 일체로 구성된 조명기구(20)를 나타낸다.
또한, 위와 같은 결합 조립체(10)는 가전제품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고정구(100)에는 전원과 연결된 제1단자(15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200)의 상기 바디(210)에 형성된 상기 후크부(211)에는 제2단자(2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200)가 상기 고정구(10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단자(151)와 상기 제2단자(212)는 서로 접속된다.
상기 결합 조립체(10)는 조명기구, 가전제품 이외에도 간단하고 안정적인 결합이 필요한 경우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결합 조립체 100: 고정구
110: 관통홀 113: 지지편
114a: 유입홈 114b: 배출홈
140: 삽입홀 150: 후크결합부
151: 제1단자 152: 후크배출홈
170: 스토퍼 190: AC전원선
200, 300: 결합체 210: 바디
211: 후크부 212: 제2단자
213: 돌출부 214: 볼록부
215: 수용공간 220: 이동편
221: 삽입돌기 222a: 제1수용홈
223: 절곡부 224: 오목부
230: 탄성부재 230a: 제1단부
230b: 제2단부 240: 플레이트부
241: 잠금스위치 242: 원통부
243b: 제2수용홈
20: 조명기구

Claims (16)

  1. 고정구(100)와, 상기 고정구(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체(200)를 포함하는 결합 조립체(10)로서,
    상기 결합체(200)는,
    중앙부에 수용공간(215)이 형성된 바디(210);
    상기 바디(2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210)의 수용공간(215)에 수용되며, 상기 바디(210)에 대해 상대이동이 가능한 이동편(220);
    상기 이동편(220)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편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30); 및
    상기 바디(210)에 형성된 후크부(211)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100)는,
    상기 후크부(211)와 끼워맞춤 결합되는 후크결합부(150); 및
    상기 후크결합부(15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211)가 상기 고정구(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 후크배출홈(152)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편(220)과 상기 고정구(100)는 회전방향으로 상대이동이 제한되도록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조립체(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200)는 상기 고정구(100)를 향하여 결합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이동편(220)을 통해 상기 결합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이동편(220)을 상기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며 상기 고정구(100)에 결합되는, 결합 조립체(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의 압축력이 상기 이동편(220)에 작용하는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211)와 상기 후크결합부(150)의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상기 결합체(200)가 상기 고정구(100)에 결합되는, 결합 조립체(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이동편(220)에 상기 결합방향의 탄성력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방향과 수직한 회전방향의 탄성력도 가하도록 구성된, 결합 조립체(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200)가 상기 고정구(100)에 대해 상기 회전방향으로 일정각 이상 회전되면 상기 후크배출홈(152)을 통해 상기 고정구(100)로부터 분리되는, 결합 조립체(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200)가 상기 고정구(100)에 대해 상기 일정각 미만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100)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 회전력이 제거되면 상기 결합체(200)는 상기 탄성부재(230)의 회전 복원력에 의해 제위치로 복귀되는, 결합 조립체(1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30)는 용수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조립체(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30)의 제1단부(230a)는 상기 이동편(220)의 하면에 형성된 제1수용홈(222a)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230)의 제2단부(230b)는 상기 결합체(200)의 하부 상면에 형성된 제2수용홈(243b)에 고정되는, 결합 조립체(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200)의 하부는 상기 바디(210)에 고정 결합되는 플레이트부(240)인, 결합 조립체(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10)의 상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100)에는 상기 결합체(200)가 결합될 때 상기 돌출부(213)를 수용하는 유입홈(114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200)가 분리되기 위해 회전될 때 상기 돌출부(213)의 분리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편(113)이 상기 유입홈(114a)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200)가 분리될 때 상기 돌출부(213)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 배출홈(114b)이 상기 지지편(113)에 인접하여 형성된, 결합 조립체(10).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편(220)의 상면에는 삽입돌기(2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100)의 하면에는 상기 삽입돌기(221)가 삽입되는 삽입홀(140)이 형성된, 결합 조립체(10).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200)의 하면에는 잠금스위치(24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100)의 하면에는 스토퍼(170)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스위치(241)를 잠금상태로 위치시키면 상기 결합체(200)는 상기 스토퍼(170)에 의해 상기 고정구(100)에 대한 회전운동이 제한되는, 결합 조립체(10).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240)의 중앙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원통부(24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100)의 중앙부에는 상기 원통부(242)가 관통되어 수용되는 관통홀(110)이 형성된, 결합 조립체(10).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10) 및 상기 이동편(2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편(220)의 외주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223)가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223)의 일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224)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210)의 내주면 중 상부 일부분에는 상기 오목부(224)에 수용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13)가 형성되는, 결합 조립체(10).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결합 조립체(10)를 포함하는 조명기구로서,
    상기 고정구(100)에는 전원과 연결된 제1단자(15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200)의 상기 바디(210)에 형성된 상기 후크부(211)에는 제2단자(2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200)에는 상기 제2단자(212)와 전기 접속된 램프가 고정되고,
    상기 결합체(200)가 상기 고정구(10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단자(151)와 상기 제2단자(212)는 서로 접속되는, 조명기구.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결합 조립체(10)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으로서,
    상기 고정구(100)에는 전원과 연결된 제1단자(15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200)의 상기 바디(210)에 형성된 상기 후크부(211)에는 제2단자(2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체(200)가 상기 고정구(10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단자(151)와 상기 제2단자(212)는 서로 접속되는, 가전제품.

KR1020170173962A 2017-12-18 2017-12-18 결합 조립체,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및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KR102037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962A KR102037581B1 (ko) 2017-12-18 2017-12-18 결합 조립체,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및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962A KR102037581B1 (ko) 2017-12-18 2017-12-18 결합 조립체,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및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57A KR20190072857A (ko) 2019-06-26
KR102037581B1 true KR102037581B1 (ko) 2019-10-29

Family

ID=6710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962A KR102037581B1 (ko) 2017-12-18 2017-12-18 결합 조립체,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및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699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알토 조명기구 고정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3743B2 (ja) 1995-09-26 2003-04-07 株式会社三ツ星電器製作所 天井直付け照明器具取付装置における上アダプタ
JP3701793B2 (ja) 1998-06-17 2005-10-05 小泉産業株式会社 照明器具取付構造
KR200465278Y1 (ko) 2011-11-30 2013-02-08 대림산업 주식회사 콘센트 결합형 천정 고정식의 등기구장치
CN203836882U (zh) 2014-04-21 2014-09-17 厦门市信达光电科技有限公司 顶灯的安装装置
JP2015076390A (ja) 2013-10-11 2015-04-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用アダプタ、及び照明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453B1 (ko) 2008-09-19 2011-03-23 황 난 희 원터치로 결합되는 엘이디 조명등
KR200458543Y1 (ko) * 2010-03-31 2012-02-27 제이피라이팅 주식회사 조명등용 고정클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3743B2 (ja) 1995-09-26 2003-04-07 株式会社三ツ星電器製作所 天井直付け照明器具取付装置における上アダプタ
JP3701793B2 (ja) 1998-06-17 2005-10-05 小泉産業株式会社 照明器具取付構造
KR200465278Y1 (ko) 2011-11-30 2013-02-08 대림산업 주식회사 콘센트 결합형 천정 고정식의 등기구장치
JP2015076390A (ja) 2013-10-11 2015-04-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器具用アダプタ、及び照明器具
CN203836882U (zh) 2014-04-21 2014-09-17 厦门市信达光电科技有限公司 顶灯的安装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699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알토 조명기구 고정 시스템
KR102403112B1 (ko) * 2020-08-19 2022-05-30 주식회사 알토 조명기구 고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57A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8214C2 (ru)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набженный им кухонный прибор
US9688251B2 (en) Wiper connector and bolt-stabilizing sleeve adaptor
US9472883B2 (en) Plug connector with contact detent means
RU2013108858A (ru) Элемент конструкции,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концевой элемент, а также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такой системе-конструкторе
US10511123B2 (en) Industrial connector and connecting structure
TW201200384A (en) Foot pad clamp
US9841149B2 (en) LED lamp
KR102037581B1 (ko) 결합 조립체,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및 결합 조립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US20200400298A1 (en) Connectable lamp device and connectable lamp device assembly
KR20170012948A (ko) 조립식 프레임 구조체
KR101465727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CN111937252B (zh) 具有锁定装置的电插塞连接器部件和电插塞连接系统
CN209943265U (zh) 筒灯及其弹簧夹
TW201528623A (zh) 拼裝插頭
JP4165549B2 (ja) 引掛シーリングおよび照明装置
RU2013116401A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перераспределения нагрузки в узле опорных элементов
US20210047829A1 (en) Clip for Support Relative to Studs
US10612728B2 (en) LED light bulb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6176736B1 (en) Connection between a ceiling fan and a lamp
US10935032B2 (en) Mounting system between a ring member and a rotor
KR200484572Y1 (ko)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콘센트용 접지단자
TW202021221A (zh) 安裝構件
RU2005108868A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отдельных модулей телеметр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JP4518934B2 (ja) 電気部品用固定具
CN217072258U (zh) 快速安装套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