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306B1 -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306B1
KR102037306B1 KR1020180056875A KR20180056875A KR102037306B1 KR 102037306 B1 KR102037306 B1 KR 102037306B1 KR 1020180056875 A KR1020180056875 A KR 1020180056875A KR 20180056875 A KR20180056875 A KR 20180056875A KR 102037306 B1 KR102037306 B1 KR 102037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slid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보
Priority to KR1020180056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실린더를 통해 턴테이블 본체로부터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빠져나오면서 턴테이블의 단부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차량 이동시 지하주차장이나 언더패스 통과시 높이 제약을 완화할 수 있고 고소작업시 탑승함의 최대높이를 연장시켜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EXPANSION STRUCTRE FOR TURNTABLE OF HIGH PLACE WORKING CARS}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량의 적재함에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절개되는 전면부와, 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양측 단부에서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며 "
Figure 112019062735018-pat00001
"자 및 "
Figure 112019062735018-pat00002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턴테이블 본체와; 일측 단부에 다단식 붐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턴테이블 본체 내부에 내삽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에 끼움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을 연결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를 통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다단식 붐에 결합된 탑승함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턴테이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몸체가 결합되고 로드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결합되며 로드가 몸체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를 턴테이블 본체로부터 인출시키거나 원위치로 복귀시켜 다단식 붐이 결합된 턴테이블의 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확장실린더;를 포함하며, 차량 이동시에는 지하주차장이나 언더패스 통과시 높이 제약을 완화할 수 있고 고소작업시에는 탑승함의 최대높이를 연장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 고층화를 이루면서 고소작업을 위한 특수 장비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서 붐의 선단에 탑승함이 장착되어 있고, 그 탑승함에 작업자를 태워서 붐을 기복 신축하여 탑승함을 적당한 공간위치로 이동하면서 각종 작업을 하도록 하는 고소작업차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소작업차는 붐대의 선단에 탑승함이 설치되고, 설치된 탑승함에 작업자를 탑승시켜서 가로수나 가로등 및 신호등을 보수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정비용, 또한 전신주의 보수작업용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차의 구성은 차체의 적재대에 설치되는 턴 테이블과, 상기 턴 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단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단식 붐과, 차량의 전복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작업대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아웃트리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고소작업차의 다단식 붐은 차량의 이동 중에는 반드시 인출부를 베이스의 내부로 삽입한 다음 이동하여야만 하며, 차량 이동시 다단식 붐은 차량의 전방 측이 높고 후방 측이 낮게 위치하게 된다.
만약 상기 다단식 붐의 인출부를 복수개로 구성하면 탑승함의 상승높이를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차량의 전방 측이 높아지게 되어 지하주차장에 진입하거나 언더패스를 통과할 때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차량의 전방 측 높이를 낮게 구성하면 다단식 붐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인출시 다단식 붐의 신장길이가 짧아져 탑승함의 상승 높이를 확보할 수 없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함께, 탑승함은 차량 적재대의 끝단으로부터 휠베이스(앞바퀴 차축과 뒷바퀴 차축 간의 거리)의 2/3까지만 후방으로 빠질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어서 탑승함의 상승 높이를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3377호(턴테이블의 확장 기능을 구비한 고소작업차)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턴테이블의 단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차량의 이동시 턴테이블의 높이를 낮추어 지하주차장이나 언더패스 통과시 높이 제약을 완화활 수 있고, 고소작업시에는 턴테이블의 최대높이를 확장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를 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량의 적재함에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절개되는 전면부와, 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양측 단부에서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며 "
Figure 112019062735018-pat00003
"자 및 "
Figure 112019062735018-pat00004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턴테이블 본체와; 일측 단부에 다단식 붐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턴테이블 본체 내부에 내삽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에 끼움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을 연결하는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를 통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다단식 붐에 결합된 탑승함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턴테이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몸체가 결합되고 로드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결합되며 로드가 몸체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를 턴테이블 본체로부터 인출시키거나 원위치로 복귀시켜 다단식 붐이 결합된 턴테이블의 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확장실린더;를 포함하며, 차량 이동시에는 지하주차장이나 언더패스 통과시 높이 제약을 완화할 수 있고 고소작업시에는 탑승함의 최대높이를 연장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서포트는, 상기 다단식 붐을 기립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회동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한 제1힌지결합부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다단식 붐의 수평조절을 위한 수평조절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한 제2힌지결합부가 저면에 형성되며, 강도를 확보하고 변형이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상향 대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소정 두께의 제1보강패널과, 상기 제1보강패널의 단부에 결합되는 보강파이프와, 상기 보강파이프의 외주면에 일측 모서리가 결합되고 타측은 제1보강패널과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도록 하향 대각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수평조절실린더가 다단식 붐 측으로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2보강패널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측 외주면으로부터 상향 대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소정 두께의 제3보강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인출되거나 원위치로 복귀할 때 다단식 붐의 하중으로 인해 턴테이블 본체의 상부에서 변형이나 휘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턴테이블 본체의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
Figure 112018048945373-pat00005
"자 형태의 보강브라켓과; 내부가 비어있고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원통형체로서 상기 보강브라켓과 턴테이블 본체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되어 단부가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소정길이의 유격조절볼트와; 상기 가이드 바의 입구에 구비되어 유격조절볼트의 나선이동을 안내하는 너트와; 일면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이드 바 내부에 구비되고 타면이 상기 유격조절볼트의 단부에 밀착되어 유격조절볼트를 통해 메인프레임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면서 턴테이블 본체와 턴테이블 슬라이더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여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턴테이블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유격조절패드와; 상기 유격조절볼트와 유격조절패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격조절패드가 유격조절볼트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모방지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턴테이블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 흔들림을 방지하고 마모와 소음을 줄여줄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 외주면 및 후면 외주면으로부터 "┳"자 또는 "┻"자 형상의 끼움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의 전면 내주면 및 후면 내주면에는 상기 끼움부를 수용하여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턴테이블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 흔들리거나 뒤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끼움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끼움부는 턴테이블 슬라이더 인출시 끼움부와 끼움홈 사이의 유격으로 인한 턴테이블 슬라이더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흔들림 방지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의 내주면에는 메인프레임의 외주면에 맞닿는 면적을 확보하여 턴테이블 슬라이더 인출시 흔들림, 마찰로 인한 마모와 소음을 줄여줄 수 있도록 지지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확장실린더를 통해 턴테이블 본체로부터 빠져나오면서 턴테이블의 단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차량 이동시 탑승함이 차량 적재대의 끝단으로부터 휠베이스의 2/3 내에 위치함으로써 관련 규제에 저촉되지 않으며, 지하주차장이나 언더패스 통과시 제약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동성이 우수하며, 고소작업시에는 탑승함의 최대높이를 연장시켜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턴테이블 본체의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
Figure 112018048945373-pat00006
"자 형태의 보강브라켓이 결합되어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인출되거나 원위치로 복귀할 때 다단식 붐의 하중으로 인해 턴테이블 본체의 상부에서 변형이나 휘어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직사각형상의 고정브라켓과, 소정두께를 갖는 제1보강패널과 제2보강패널 및 제3보강패널과, 제1보강패널과 제2보강패널을 연결하는 보강파이프를 통해 다단식 붐과 탑승함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소정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고정브라켓과 보강파이프를 통해 양측 메인프레임을 고정함으로써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격조절볼트를 통해 턴테이블 슬라이더의 외주면에 유격조절패드를 밀착시켜 턴테이블 본체와 턴테이블 슬라이더 사이에 유격이 없도록 하여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탑승함에 탑승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끼움부와 끼움홈을 통해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턴테이블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 흔들리거나 뒤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흔들림 방지패드와 지지패드를 통해 턴테이블 슬라이더 인출시 흔들림과, 마찰로 인한 마모와 소음을 줄여 안정감 있는 고소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 본체의 예시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 슬라이더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실린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강브라켓의 예시도.
도 10은 종래의 고소작업차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가 적용된 고소작업차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적재함에 경사지도록 설치된 턴테이블의 단부에 다단으로 인출되는 다단식 붐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다단식 붐에는 탑승함이 구비되어, 고소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소작업차를 통해 고소작업을 할 때 턴테이블의 단부의 높이를 향상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턴테이블 본체(100)와, 턴테이블 슬라이더(200)와, 확장실린더(3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 턴테이블(T)이라 함은 턴테이블 본체(100)와 턴테이블 슬라이더(200)가 결합된 상태를 말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가 적용된 고소작업차의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턴테이블 본체의 예시도이다.
상기 턴테이블 본체(100)는 고소작업차의 적재함(2)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200)가 내삽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기둥 형태의 구조물로서, 전면부(101)와, 후면부(102) 및 상기 전면부(101)와 후면부(102)의 양측 단부에서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며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거나 원위치로 복귀할 때 흔들리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
Figure 112018048945373-pat00007
"자 및 "
Figure 112018048945373-pat00008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110)를 포함한다.
상기 턴테이블 본체(100)는 고소작업차의 적재함(2)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 위에 안착되어 결합되며, 미도시된 동력장치에 의해 차량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전면부(101)는 상기 다단식 붐을 기립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회동실린더(6)의 단부를 수용하여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전면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절개된 절개부(12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200)는 일측 단부에 다단식 붐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턴테이블 본체 내부에 내삽되어 후술할 회동실린더를 통해 턴테이블 본체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
Figure 112018048945373-pat00009
"자 및 "
Figure 112018048945373-pat00010
"자 형상의 가이드(110) 내부에 끼움될 수 있도록 소정길이를 갖는 직사각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210)과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을 연결하는 서포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220)는 도 7과 같이 고정브라켓(221)과, 제1보강패널(222)과, 보강파이프(223)와, 제2보강패널(224)과, 제3보강패널(225)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221)은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210)과 맞닿는 면적을 확보하여 결합강도를 보강하고 변형이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 또는 직사각의 파이프로서, 상면에는 상기 다단식 붐(4)을 기립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회동실린더(6)를 고정하기 위한 제1힌지결합부(2211)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다단식 붐(4)의 수평조절을 위한 수평조절실린더(미도시)를 고정하기 위한 제2힌지결합부(2212)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실린더(6)와 수평조절실린더(미도시)는 고소작업차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실린더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1보강패널(222)은 상기 고정브라켓(221)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상향 대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소정 두께의 판상체로서, 양측면이 메인프레임(210)과 결합되어 결속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패널(224)은 상기 수평조절실린더가 다단식 붐 측으로 관통되는 장공(2241)이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판형으로서, 상기 제1보강패널(222)과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도록 하향 대각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보강파이프(223)는 제1보강패널(222)과 제2보강패널(224) 사이에 배치되어 제1보강패널과 제2보강패널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원통형의 파이프로서, 상기 메인프레임(210)과 맞닿는 면적을 증대시켜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정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보강패널(225)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측 외주면으로부터 상향 대각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21)과, 제1보강패널(222)과, 보강파이프(223)와, 제2보강패널(224)과, 제3보강패널(225)로 구성되는 서포트(220)는 메인프레임(210)과 결합되는 면적을 확보하여 결합강도를 향상시켜주며, 이를 통해 회동 실린더(300) 구동시 메인프레임(210)에 작용하는 힘에 의한 변형이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면부호 230은 다단식 붐과 힌지결합을 위한 회동축을 도시한 것이고, 도 6 내지 7에서 도면부호 226은 고정브라켓의 휘어짐을 방지하면서 메인프레임(210)과의 결합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221)의 저면으로부터 제3보강패널(225)과 나란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제4보강패널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확장실린더(3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의 상면에 몸체(310)가 결합되고 로드(320)가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로드가 몸체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200)를 턴테이블 본체(100)로부터 인출시키거나 원위치로 복귀시켜주는 실린더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고소작업차는 도 10과 같이 턴테이블(T′)의 단부에 구비되는 다단식 붐(4)을 회동실린더(6)를 통해 기립시킨 후 다단식 붐을 전개하여 탑승함(5)을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켜 고소작업을 실시하였으며, 고소작업시 탑승함의 상승높이를 확보하기 위해 다단식 붐의 인출부를 복수개로 구성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폭이 협소한 도로 상에서 고소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적재함에 턴테이블과 다단식 붐과 탑승함이 구비되는 트럭이 보급되고 있다. 만약, 상기의 트럭에 인출부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다단식 붐을 적용할 경우, 다단식 붐의 운전석 측 단부가 높아지게 되어 지하주차장에 진입하거나 언더패스를 통과할 때 단부가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고소작업차는 주향시 차량의 후단으로 나오는 탑승함이 차량의 후단으로부터 차축간의 거리의 2/3까지만 후방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기에 상기와 같이 인출부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다단식 붐을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트럭을 활용한 고소작업차는 탑승함의 상승높이가 극히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를 상기의 트럭에 적용하면,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인출되는 길이만큼 턴테이블 본체의 높이가 향상되면서 탑승함의 최고상승높이를 증가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탑승함이 기준치 이상으로 빠져나오지 않으면서 지하주차장이나 언더패스 통과시에도 높이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턴테이블 본체의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보강브라켓(400)을 포함한다.
상기 턴테이블 본체(100)는 전면부(101)에 소정 폭만큼 개방된 절개부(120)가 형성되기 때문에 다단식 붐(4)과 탑승함(5)의 하중으로 인해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턴테이블 슬라이더(200)가 최대높이까지 상승하면 상부에 힘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면서 변형이나 휘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턴테이블 본체의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
Figure 112018048945373-pat00011
"자 형태의 보강브라켓(400)을 결합하여 힘이 집중되는 부위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변형이나 휘어짐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확보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턴테이블 본체(100)와 턴테이블 슬라이더(200)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여 턴테이블 슬라이더(200)가 턴테이블 본체(100)로부터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되도록 가이드 바(410)와, 유격조절볼트(420)와, 너트(430)와, 유격조절패드(440)와, 마모방지패드(45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바(410)는 상기 보강브라켓(400)과 턴테이블 본체(10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단부가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200)의 메인프레임(210)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소정길이의 원통체로서, 내부가 비어있고 메인프레임(210)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일측 단부는 개방되며 타측 단부는 막혀있되 중앙에 볼트공(411)이 형성된다.
상기 유격조절볼트(420)는 나사부가 상기 볼트공(411)에 삽입되는 소정길이의 볼트이며, 상기 너트(430)는 상기 가이드 바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유격조절볼트의 나선이동을 안내 및 단속한다.
상기 유격조절패드(440)는 상기 가이드 바(410) 내부에 구비되며 일면이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타면이 상기 유격조절볼트의 단부에 밀착되는 패드로서,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유격조절패드(440)는 유격조절볼트(420)를 통해 메인프레임(210)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면서 턴테이블 본체(100)와 턴테이블 슬라이더(200)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여 턴테이블 슬라이더(200)가 턴테이블 본체(100)로부터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격조절볼트(420)의 단부와 유격조절패드(440) 사이에 금속 재질의 마모방지패드(450)가 구비되어 상기 유격조절패드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 슬라이더(200)는 위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프레임(210)의 전면 외주면 및 후면 외주면으로부터 "┳"자 또는 "┻"자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끼움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10)의 전면 내주면 및 후면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끼움부와 대응되는 "┳"자 또는 "┻"자 형상의 끼움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211)와 끼움홈(111)이 상호 결합되면 끼움부(211)의 "━"자 형상의 수평변이 끼움홈 내부에서 결속되고 "┃"자 형상의 수평변의 양측면이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턴테이블 슬라이더 인출시 턴테이블 슬라이더의 흔들림, 뒤틀림,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소작업시 탑승함에 탑승한 작업자의 추락 등의 안전사고를 줄여줄 수 있고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끼움홈(111)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상기 가이드의 전면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하향 이격된 위치에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ㄷ"자 프레임을 소정 간격을 두고 결합하여 가이드의 전면 및 후면 내주면에 "┳"자 또는 "┻"자 형상의 끼움홈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끼움홈(111)은 턴테이블 슬라이더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해 끼움부(211)보다 근소하게 넓게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끼움홈(111)과 끼움부(211)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소정의 유격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유격으로 인해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턴테이블 본체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고소작업이 이루어질 때 다단식 붐과 탑승함의 하중이 끼움부에 작용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부(211)의 외주면을 따라 합성수지 재질의 흔들림 방지패드(4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흔들림 방지패드(460)는 도 5와 같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끼움부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끼움부의 폭이나 길이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200) 인출시 가이드(110)와 메인프레임(200)의 마찰로 인해 턴테이블 슬라이더(200)가 흔들릴 수 있고, 또는 인출속도가 불규칙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탑승함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외주면에 직접적으로 맞닿는 지지패드(4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드(470)는 도 4 및 도 7과 같이 턴테이블 슬라이더(200)의 초기 인출시부터 완전히 인출될 때까지 메인프레임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면서 메인프레임(2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110)의 전면 및 후면 내주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프레임에 맞닿는 면적을 확보하면서 메인프레임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장방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후면에 보조 지지패드(4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지지패드(480)는 턴테이블 본체(100)로부터 인출될 때 가이드(110)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후면 하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와의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가 적용된 고소작업차(1)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소작업차(1)는 턴테이블 슬라이더(200)가 턴테이블 본체(100)로부터 인출되면서 탑승함(5)의 최대높이를 향상시켜 고소작업시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 이동시에도 도 11에 도시된 형태, 즉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200)가 턴테이블 본체(100)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이동하여 탑승함(5)이 차량 적재대의 끝단으로부터 휠베이스의 2/3 내에 위치함으로써 관련 규제에 저촉되지 않으며, 지하주차장이나 언더패스 통과시 제약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동성이 현저히 우수한 장점이 있다.
1 : 고소작업차 2 : 적재함
3 : 베이스 플레이트 4: 다단식 붐
5 : 탑승함 6 : 회동실린더
100 : 턴테이블 본체
101 : 전면부 102 : 후면부
103 : 측면부
110 : 가이드 111 : 끼움홈
120 : 절개부
200 : 턴테이블 슬라이더
210 : 메인프레임 211 : 끼움부
220 : 서포트
221 : 고정브라켓 2211 : 제1힌지결합부
2212 : 제2힌지결합부
222 : 제1보강패널 223 : 보강파이프
224 : 제2보강패널 2241 : 장공
225 : 제3보강패널 226 : 제4보강패널
230 : 회동축
300 : 확장실린더 310 : 몸체
320 : 로드
400 : 보강브라켓
410 : 가이드 바 411 : 볼트공
420 : 유격조절볼트
430 : 너트 440 : 유격조절패드
450 : 마모방지패드 460 : 흔들림 방지패드
470 : 지지패드 480 : 보조 지지패드
T, T′ : 턴테이블

Claims (5)

  1. 고소작업차량의 적재함에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폭으로 절개되는 전면부(101)와, 후면부(102) 및 상기 전면부(101)와 후면부(102)의 양측 단부에서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며 "
    Figure 112019062735018-pat00012
    "자 및 "
    Figure 112019062735018-pat00013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턴테이블 본체(100)와;
    일측 단부에 다단식 붐이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턴테이블 본체 내부에 내삽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에 끼움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메인프레임(210)과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을 연결하는 서포트(22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를 통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다단식 붐에 결합된 탑승함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턴테이블 슬라이더(2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몸체가 결합되고 로드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결합되며 로드가 몸체로부터 빠져나오거나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를 턴테이블 본체로부터 인출시키거나 원위치로 복귀시켜 다단식 붐이 결합된 턴테이블의 단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확장실린더(300);를 포함하며,
    차량 이동시에는 지하주차장이나 언더패스 통과시 높이 제약을 완화할 수 있고 고소작업시에는 탑승함의 최대높이를 연장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서포트는,
    상기 다단식 붐을 기립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회동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한 제1힌지결합부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다단식 붐의 수평조절을 위한 수평조절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한 제2힌지결합부가 저면에 형성되며, 강도를 확보하고 변형이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상향 대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소정 두께의 제1보강패널과,
    상기 제1보강패널의 단부에 결합되는 보강파이프와,
    상기 보강파이프의 외주면에 일측 모서리가 결합되고 타측은 제1보강패널과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리도록 하향 대각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수평조절실린더가 다단식 붐 측으로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2보강패널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측 외주면으로부터 상향 대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소정 두께의 제3보강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인출되거나 원위치로 복귀할 때 다단식 붐의 하중으로 인해 턴테이블 본체의 상부에서 변형이나 휘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턴테이블 본체의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
    Figure 112018048945373-pat00014
    "자 형태의 보강브라켓과;
    내부가 비어있고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원통형체로서 상기 보강브라켓과 턴테이블 본체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되어 단부가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소정길이의 유격조절볼트와;
    상기 가이드 바의 입구에 구비되어 유격조절볼트의 나선이동을 안내하는 너트와;
    일면이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이드 바 내부에 구비되고 타면이 상기 유격조절볼트의 단부에 밀착되어 유격조절볼트를 통해 메인프레임의 외주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면서 턴테이블 본체와 턴테이블 슬라이더 사이의 유격을 조절하여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턴테이블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유격조절패드와;
    상기 유격조절볼트와 유격조절패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격조절패드가 유격조절볼트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금속 재질의 마모방지패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턴테이블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 흔들림을 방지하고 마모와 소음을 줄여줄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 외주면 및 후면 외주면으로부터 "┳"자 또는 "┻"자 형상의 끼움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의 전면 내주면 및 후면 내주면에는 상기 끼움부를 수용하여 턴테이블 슬라이더가 턴테이블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 흔들리거나 뒤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끼움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턴테이블 슬라이더 인출시 끼움부와 끼움홈 사이의 유격으로 인한 턴테이블 슬라이더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흔들림 방지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의 내주면에는 메인프레임의 외주면에 맞닿는 면적을 확보하여 턴테이블 슬라이더 인출시 흔들림, 마찰로 인한 마모와 소음을 줄여줄 수 있도록 지지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
KR1020180056875A 2018-05-18 2018-05-18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 KR102037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875A KR102037306B1 (ko) 2018-05-18 2018-05-18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875A KR102037306B1 (ko) 2018-05-18 2018-05-18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306B1 true KR102037306B1 (ko) 2019-10-29

Family

ID=68423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875A KR102037306B1 (ko) 2018-05-18 2018-05-18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3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210A (ko) * 2013-10-04 2015-04-16 주식회사 호룡 고가 사다리차
KR101610022B1 (ko) * 2014-10-14 2016-04-08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파괴 방수형 소방차
KR101675770B1 (ko) * 2016-03-29 2016-11-15 주식회사 호룡 소음과 진동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대
KR20160143377A (ko) 2015-06-05 2016-12-14 백영우 턴테이블의 확장 기능을 구비한 고소작업차
KR20170114182A (ko) * 2016-04-05 2017-10-13 권과람 특장차용 붐 전고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839355B1 (ko) * 2016-11-29 2018-04-26 (주)뉴텍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210A (ko) * 2013-10-04 2015-04-16 주식회사 호룡 고가 사다리차
KR101610022B1 (ko) * 2014-10-14 2016-04-08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파괴 방수형 소방차
KR20160143377A (ko) 2015-06-05 2016-12-14 백영우 턴테이블의 확장 기능을 구비한 고소작업차
KR101675770B1 (ko) * 2016-03-29 2016-11-15 주식회사 호룡 소음과 진동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대
KR20170114182A (ko) * 2016-04-05 2017-10-13 권과람 특장차용 붐 전고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839355B1 (ko) * 2016-11-29 2018-04-26 (주)뉴텍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0659B2 (en) Telescoping jib comprising a rod guying system for a mobile crane and guying method therefor
EP3362398B1 (de) Schienenprofil für kran-hängebahnen und schwenkkräne mit integrierbarer energiekette
EP0017620B1 (de) Klappbare Ladebordwand für Fahrzeuge mit Rückstrahler oder Warnblinker
DE112016001320T5 (de) Auslegeranbringungs-/Trennungsvorrichtung eines Kranes und Auslegeranbringungs-/Trennungsverfahren für einen Kran
KR102037306B1 (ko) 고소작업차의 작업높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의 확장구조
KR101035476B1 (ko) 적재함 또는 적재면을 구비한 차량
US20050036866A1 (en) Roll off hoist with front retractable loading frame
EP1792801B1 (de) Schienenfahrzeug mit einem Schiebetritt und Schiebetrittkassette
DE2147098A1 (de) Waage
US20070025831A1 (en) Rail car loading apparatus
CN101734583B (zh) 高空作业工程车辆及其作业平台
DE10054572A1 (de) Ladesystem für den Laderaum eines Fahrzeugs
EP0805067B1 (en) Loading lift for the container of a truck
DE102019001683B4 (de) Fahrzeug und Verfahren zu dessen Beladen mit einem Kraftfahrzeug
DE102011001518A1 (de) Regalbediengerät
EP0264759A1 (de) An ein Fahrzeug anbaubare Abstützvorrichtung für Ladekräne o.dgl.
EP1090789B1 (en) Guide for movable coverings and movable covering comprising said guide
DE19512009C1 (de) Park- und Rangierpalette für Kraftfahrzeuge, insbesondere für Krafträder
DE19840151B4 (de) Abstützstruktur für Radfahrzeuge
CN106311804A (zh) 一种收卷机的卸料推板结构
CN205419538U (zh) 一种用于起重小车的承重梁
EP3141422B1 (en) A sliding bogie trailer
KR101948478B1 (ko) 차량적재용 슬라이딩 데크
EP2039850A2 (de) Bauwerk zum Abstellen von Fahrzeugen
CN108179707A (zh) 智能限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