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198B1 - Probe card insp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Probe card inspe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198B1
KR102037198B1 KR1020190071185A KR20190071185A KR102037198B1 KR 102037198 B1 KR102037198 B1 KR 102037198B1 KR 1020190071185 A KR1020190071185 A KR 1020190071185A KR 20190071185 A KR20190071185 A KR 20190071185A KR 102037198 B1 KR102037198 B1 KR 102037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and
probe card
seat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민섭
Original Assignee
심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민섭 filed Critical 심민섭
Priority to KR102019007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1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1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1Specific types of tests or tests for a specific type of fault, e.g. thermal mapping, shorts testing
    • G01R31/2812Checking for open circuits or shorts, e.g. solder bridges; Testing conductivity, resistivity or impe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1Specific types of tests or tests for a specific type of fault, e.g. thermal mapping, shorts testing
    • G01R31/2813Checking the presence, location, orientation or value, e.g. resistance, of components or condu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02Contactless testing
    • G01R31/308Contactless testing using non-ioni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card inspection device, which is implemented to perform an inspection such as an open short leakage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a seated probe card. The probe card inspection device comprises: a card fastening unit fastening a probe card to be tested; a card inspection unit checking whether a probe card is normally operated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probe card fastened to the card fastening unit; and a microscop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ard fastening unit in order to observe the probe car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card fastening unit.

Description

프로브 카드 검사 장치{PROBE CARD INSPECTION DEVICE}Probe Card Inspection Device {PROBE CARD INSPECTION DEVICE}

본 발명은 프로브 카드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착된 프로브 카드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오픈 쇼트 리키지 등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프로브 카드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card insp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be card inspection apparatus implemented to perform an inspection such as an open short package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a seated probe card.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는 웨이퍼(wafer) 상에 패턴을 형성시키는 패브리케이션(fabrication) 공정과 패턴이 형성된 웨이퍼를 각각의 칩으로 조립하는 어셈블리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Generally, a semiconductor device is manufactured through a fabrication process of forming a pattern on a wafer and an assembly process of assembling the wafer o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into each chip.

패브리케이션 공정과 어셈블리 공정 사이에는 웨이퍼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칩, 즉 반도체 소자(DUT)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EDS(Electrial Die Sorting)라는 공정이 있는데, 이 EDS 공정은 웨이퍼를 구성하고 있는 반도체 소자들 중에서도 불량 반도체 소자를 판별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이다.Between the fabrication process and the assembly process, there is a process called EDS (Electrial Die Sorting), which examines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each chip constituting the wafer, that is, the semiconductor device (DUT), which is the semiconductor constituting the wafer. This is performed to determine a defective semiconductor device among the devices.

웨이퍼를 구성하는 반도체 소자들의 전기적 검사는 이들 각 반도체 소자와 접촉되면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게 되는 다수의 탐침을 구비한 프로브 카드라는 검사장치를 주로 이용한다.The electrical inspection of the semiconductor elements constituting the wafer mainly uses an inspection apparatus called a probe card having a plurality of probes which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f these semiconductor elements to apply an electrical signal.

통상 프로브 카드는 메인회로기판, 공간 변형기(Space Transformer ; STF), 공간 변형기에 부착 고정된 탐침(probe)으로 이루어지고, 메인회로기판과 공간 변형기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In general, a probe card includes a main circuit board, a space transformer (STF), a probe attached to a space transducer, and includes a wire connecting the main circuit board and the space transducer.

종래에는 프로브 니들의 정렬상태(probe tip alignment)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렌즈로 소면적만을 검사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고, 정렬(alignment) 및 평면형도(planarity) 검사가 동시에 수행되지 않으며, 평면형도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척(chuck)을 통해서 접촉 검사를 진행하고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check the probe tip alignment, only a small area is inspected with one lens, and alignment and planarity inspection are not performe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test, the contact test was conducted through a chuck.

그러므로 검사 대상이 다면적일 때 많은 사이클(cycle)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접촉 검사 시 프로브 팁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re are disadvantages that many cycles are required when the inspection target is multiface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damages the probe tip during the contact inspection.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is technic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a publicly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0964744호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964744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5986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59867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안착된 프로브 카드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오픈 쇼트 리키지 등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프로브 카드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be card inspection apparatus implemented to perform an inspection such as an open short package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a seated probe card.

또한, 장치에 커버를 부착시 충분한 두께 및 고르기를 가지고 도포될 수 있으며, 악취 및 세균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lso to provide an adhesive composition that can be applied with a sufficient thickness and evenness when attaching the cover to the device, and can reduce the odor and bacteria gener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카드 검사 장치는, 피검사체인 프로브 카드를 체결하는 카드 체결부; 상기 카드 체결부에 체결된 프로브 카드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프로브 카드(Probe Card)의 정상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카드 검사부; 및 상기 카드 체결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 체결부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기 프로브 카드를 관찰하기 위한 현미경을 포함한다.Probe card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d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probe card to be tested; A card inspecting unit which checks whether a probe card is normally operated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probe card fastened to the card fastening unit;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rd fastening portion, and includes a microscope for observing the probe car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rd fastening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드 체결부는, 프로브 카드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프로브 카드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에 프로브 카드가 안착되면 상기 안착부의 상측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d fastening portion, the mounting portion for forming a mounting groov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be card to seat the probe card; A cover part connected to the seating part so as to be rotatable and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seating part when the probe card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And a support part installed below the seating part to support the seating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홈은, 프로브 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핀이 홈의 바닥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ting groov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be card so that a connection pin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may be form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프로브 카드의 상부를 상측으로부터 관찰할 수 있도록 프로브 카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프로브 카드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프로브 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핀이 상기 개구부 주변의 하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ortion, to form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be card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probe card to observe the upper portion of the probe card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from the upper side, and the probe card and Connection p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may be formed along a lower surface of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플레이트; "ㄱ"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부의 전단 모서리가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바아;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부가 프로브 카드를 덮으면 상기 덮개부가 검사 중 열리지 않도록 체결하는 체결 레버; 및 상기 덮개부의 전단 각 모서리와 대향하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프로브 카드를 덮고 있는 상기 덮개부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ting portion, the mounting plate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 guide bar formed in a shape of “a” and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seating plate and configured to seat the front end edge of the cover part; A fastening lever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seating plate and fastening the cover part so as not to be opened during inspection when the cover part covers the probe card; And an elastic support part installed at both front ends of the seating plate opposite to each corner of the front end of the cover part and supporting the cover part covering the probe card by using an elastic for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전단 양측에 상기 탄성 지지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ting plate, each of the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elastic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 다른 제1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상기 덮개부를 지지하는 제1 스탠드; 및 다른 제2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2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support portion, the body portion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c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first sta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rotatable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cover is install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other first stan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seated on the upper side A first stand supporting the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econd sta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connected to be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rotatable alo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install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other second stan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o support the body portion It may include a second stan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제1 스탠드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설치홈; 상기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상기 상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하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2 스탠드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설치홈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2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 설치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탠드 및 상기 제2 스탠드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제2 스탠드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설치홈의 입구 및 상기 하부 설치홈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충격흡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the body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 upper installation is forme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first stan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tand can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and inclin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toward the upper side from the lower side home; Lower installation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lower part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second stan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tand can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and inclin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 The first side facing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tand,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tand installed in the upper mounting groove or the second stand installed in the lower mounting groove; An elastic support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stand and the lower mounting groove to support the first stand and the second stand using an elastic force; And it may include a shock absorbing pad is installed along the inlet of the upper installation groove and the inlet of the lower installation groove to absorb the impact of the impact with the first stand or the second stan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탠드는, 상기 상부 설치홈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상기 탄성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바아;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지지바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덮개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덮개부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t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installation groove so that the lower portion is rotatable, the lower inclined surface is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 A pedestal which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is flat and the gap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and a low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to be rotatable; And a washing plate-shaped unevennes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as to improve adhesion to the cover part seated on the upper side along the upper surface, and the cover part seated on the upper side as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pedestal is raised or lowered. It may include a sliding pad which is slid to m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대는,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edestal, the slid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패드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동기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liding pad is connected to the sliding groove may be provided with a sliding synchronization on the lower side to allow the sliding movem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드 체결부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d fasten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support install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upport to support the support by using an elastic for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support, the upper plate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supporting the seating portion; A cas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and formed to form an inner space; And an upper plate support part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case and having an upper portion exposed to an upper side of the case to support the upper plate using an elastic for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공급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pper plate support por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and supplying the filling liquid to the inner space as the upper plate is lowered; And installed at each lower side of each corner of the upper plate, and move upwards and downwards to support the edges of the upper plate by using an elastic force, and the upper plate is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illing liquid supplie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as the upper plate descends. It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to which movement is brak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회동 체결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 볼; 상기 제1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바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로 공급되는 충전액 탱크; 및 상기 충전액 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 first rotational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forming a spherical inner space; A first connection ball formed in a 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ivot fastening part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ivot fastening part; A first support ba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connection ball to support the first connection ball;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the filling liquid is received in the sealed inner spac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the first support bar when the upper plate is lowered A filling liquid tank in which a filling liquid is compressed and suppli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as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falls from an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And a connecting pipe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lling liquid tank to the second support part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lling liquid flow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회동 체결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 볼; 상기 제2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바아; 상기 제2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승하강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 second pivotal fastening portion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forming a spherical inner space; A second connection ball formed in a 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pivotal fastening part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pivotal fastening part; A second support ba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connection ball to support the second connection ball; An elastic support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bar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 bar using an elastic force; And a second support ba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form a through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upper plate descends, the fill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connecting pipe and expands. Accordingly, the size of the through-hole may be reduced to include a lifting control unit for fastening so that the second support bar does not m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하강 조절부는,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vating control unit, the outer wall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so that the filling liquid can be expanded in the inward direc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located as it is supplied to the inner space, facing the second support bar The inner sid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expand or contract.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안착된 프로브 카드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오픈 쇼트 리키지 등의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프로브 카드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seated probe card to perform an inspection such as an open short package it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be card.

또한, 장치에 커버 부착시 친위생적이면서도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ver is attached to the device can provide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hygienic and excellent 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카드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카드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안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은 도 4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5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1의 카드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7는 도 12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robe card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ard fastening portion of FIG.
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seating portion of FIG.
5 is a view showing the elastic support of FIG.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body portion of FIG.
8 through 10 are views illustrating the first stand of FIG. 5.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d fastening unit of FIG. 1.
12 is a view showing the elastic support of FIG.
13 to 17 are views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elastic support of FIG.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rang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카드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robe card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카드 검사 장치(10)는, 카드 체결부(100), 카드 검사부(200) 및 현미경(3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probe card inspec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d fastening unit 100, a card inspection unit 200, and a microscope 300.

카드 체결부(100)는, 피검사체인 프로브 카드(1)를 체결한다.The card fastening part 100 fastens the probe card 1 which is a to-be-tested object.

카드 검사부(200)는, 카드 체결부(100)에 체결된 프로브 카드(1)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프로브 카드(Probe Card)의 정상 작동 여부를 검사한다.The card inspection unit 200 applie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probe card 1 fastened to the card fastening unit 100 to check whether the probe card is normally operated.

현미경(300)은, 카드 체결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카드 체결부(100)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1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프로브 카드(1)를 관찰하도록 한다.The microscope 3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ard fastening part 100 to observe the probe card 1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21 formed above the card fastening part 1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프로브 카드 검사 장치(10)는, 카드 체결부(100)에 안착된 프로브 카드(1)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오픈 쇼트 리키지 등의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프로브 카드(1)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obe card inspection apparatus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pplies an electric signal to the probe card 1 seated on the card fastening unit 100 to perform an inspection such as an open short package, thereby performing a probe card 1. ) Can improve the quality.

일 실시예에서, 카드 체결부(100)는, 장치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마모를 방지하고, 빛의 난반사를 줄여 현미경(300)을 이용한 프로브 카드(1)의 검사에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외측에 커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d fastening portion 100, to prevent wear caused by the use of the device, to reduce the diffuse reflection of light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inspection of the probe card (1) using the microscope (300) A cover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may be attached to the outside and used.

이때, 커버는, 이하 후술하는 커버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uses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cover attachment mentioned l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카드 체결부(100)에 커버를 부착시키기 위한 커버 부착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열가소성 수지 40~80 중량부, 점착부여수지 5~40 중량부, 송진 1~5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충전재 1~1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1중량부를 포함한다.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attaching the cover for attaching the cover to the card fastening portion 100, 40 to 80 parts by weight of thermoplastic resin, 5 to 40 parts by weight of adhesive resin, rosin 1 ~ 5 parts by weight, 1 to 10 parts by weight of plasticizer, 1 to 10 parts by weight of filler, and 0.1 to 1 part by weight of antioxidant.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과 응집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비닐기 또는 수산화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resin serves as a main component of the composition to control adhesion and cohesion. If the type includes a vinyl group or a hydroxyl group,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olyvinylacetate, polyvinyl alcohol,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and ethylene-methacrylic acid copolymer, and polyurethane. It may be composed of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40~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용융 흐름 지수는 낮아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원단에 바로 적용되기에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Th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s preferably 40 to 8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40 parts by weight, the melt viscosity is high and the melt flow index is low, the workability is very poor, if the content is more than 80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exert sufficient adhesive force to be applied directly to the fabric.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저분자량 수지로, 용융 점도를 낮추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접착 초기 젖음성과 접착제의 피착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고화시간 등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The tackifier resin is a low molecular weight resin, lowers the melt viscosity to improve workability, improves the initial wettability of adhesion and adhesion of the adhesive on the surface of the adherend, and enables control of the solidification time.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석유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여수지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ackifying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kind, but is preferably a petroleum resin. More specifically, the tackifier resin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iphatic hydrocarbon resins, alicyclic hydrocarbon resins, aromatic hydrocarbon resins, aromatic hydrocarbon-modified aliphatic hydrocarbon resins, and hydrogenated hydrocarbon resins.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인 제품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등이 있다. 또한, 지환족 탄화수소 수지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DCPD)을 단량체로 포함하는 탄화수소 수지 등이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등이 있다. 또한, 방향족에 의해 개질된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는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Hikorez T-1080, Hikorez T-1100 등이 있다. 또한,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는 하이드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하이드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 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The aliphatic hydrocarbon resins are commercial products such as Hikorez A-1100, Hikorez A-1100S, Hikorez C-1100, Hikorez R-1100, Hikorez R-1100S, and the like. In addition, alicyclic hydrocarbon resins include hydrocarbon resins containing dicyclopentadiene (DCPD) as monomers, and aromatic hydrocarbon resins are commercially available from Kolon Oil Co., Ltd. of Hikotack P-110S, Hikotack P-120, Hikotack P-120HS, Hikotack P-120S, Hikotack P-140, Hikotack P-140M, Hikotack P-150, Hikotack P-160, Hikotack P-90, Hikotack P-90S, Hirenol PL-1000, Hirenol PL-400. In addition, aromatic hydrocarbon-modified aliphatic hydrocarbon resins include Hikorez T-1080, Hikorez T-1100, etc. of Kolon Oils. Hydrogenated hydrocarbon resins can also be subdivided into hydrogenated aliphatic hydrocarbon resins, hydrogenated aromatic hydrocarbon resins, and the like, and commercially available from Kolon Oil Co., Ltd. Sukorez SU-120, Sukorez SU-130 and Sukorez SU-90.

상기 점착부여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의 탄소 수가 4~10인 탄화수소 수지이며, 구체적으로 C5 지방족 수지, C9 방향족 수지, C5/C9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tackifier resin is preferably a hydrocarbon resin having 4 to 10 carbon atoms in the monomer, and specifically, a C5 aliphatic resin, a C9 aromatic resin, a C5 / C9 aliphatic / aromatic copolymer resin, or the like may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점착부여수지는 보다 바람직하게 단량체로 디사이클로펜타디엔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겐화 탄화수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업적으로 코오롱유화사(한국)의 Sukorez D-300, Sukorez D-390,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Sukorez SU-90 등이 있다.In addition, the tackifying res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carbon hydrocarbon resin containing dicyclopentadiene as a monomer, commercially available from Sukorez D-300, Sukorez D-390, Kolon Emulsifier (Korea), Sukorez SU-100, Sukorez SU-110, Sukorez SU-120, SukorezSU-130 and Sukorez SU-90.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작업자가 카드 체결부(100)에 도포시 작업자의 피부에 튈 경우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다양한 석유수지에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를 함께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by mixing the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resin with various petroleum resin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inimize the irritation when the operator rubs on the skin of the operator when applied to the card fastening portion 100. Do.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폴리머의 단량체를 용융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로는 폴리락트산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resin may be prepared by melt-mixing a monomer of a polymer into a biodegradable polymer, and polylactic acid is preferably used as the biodegradable polymer.

상기 폴리락트산은 유산의 축중합 도는 락티드의 개환중합에 의해 합성되는 폴리에스터로서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간 정도의 물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감자와 옥수수로부터 얻어지는 천연 식물성 당 성분을 원료로 하므로 생분해도가 높지만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고, 탄성이 낮으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The polylactic acid is a polyester synthesized by polycondensation of lactate or ring-opening polymerization of lactide, and has a medium physical property between polyamid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is mainly made of natural vegetable sugar components obtained from potatoes and corn. Biodegradability is high, but generally has high hardness, low elasticity, and poor durability.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동일한 폴리머 단량체를 용융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분해성 폴리머는 단량체와 결합되면서 쇄절단이 부분적으로 발생되어 전체적으로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진다. 상기 수평균분자량이 떨어지면서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성을 나타내며 가공성이 높아지게 된다.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melt-mixed with the same polymer monomer,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partially bonded with the monomer to cause chain breakage, thereby lowering the overall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As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falls, the physical properties that can be used as an adhesive are exhibited, and the workability is increased.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락트산 단량체는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가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수평균분자량이 높고 딱딱하여 점착제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상기 단량체가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표면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역시 점착제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lactic acid, the lactic acid monomer may be mixed 20 to 30 parts by weight. When the monomer is mixed in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is high and hard to be used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when the monomer exceeds 40 parts by weight migration may occur on the surface and may also be difficult to use as an adhesive.

상기 석유수지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은 1~2:1(w/w)인 것이 바람직하며, 석유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생분해성 저자극 효과가 나오기 힘들고, 저자극 수지의 혼합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점착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ixing ratio of the petroleum resin and the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resin is 1 to 2: 1 (w / w).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petroleum resin is too high, the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effect is less likely to occur. If the mixing ratio is too high, economic efficiency may be lowered and the overall adhesive effect may be lowered.

또한, 상기 점착부여수지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5~4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점착부여 수지 첨가에 따른 용융 점도 저하 효과가 미비하고 그에 따른 용융 흐름 지수의 증가가 크지 않아 작업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염려가 있고,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부여수지의 초과에 따른 용융흐름지수 증가율이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열가소성 폴리머의 함량이 줄어들어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tackifying resin is preferably 5 to 4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lowering the melt viscosity due to the addition of the tackifying resin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increase in the melt flow index is not so large that the workability may not be satisfactorily reached, and the content is more than 30 parts by weight. If the melt flow index increase rate due to the excess of the tackifier resin is not large,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is relatively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상기 송진은 접착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접착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천연방부제 역할을 한다. 상기 송진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시에 점착력이 증대되어 제품으로의 가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rosin acts to improve the overall adhes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acts as a natural preservative. The content of the rosin is preferably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obtain an effect of improving the adhesive strength, and if the content exceeds 5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dhesion is increased during processing, making it difficult to process the product.

상기 가소제는 고분자에 유연성 및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소제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솔비톨,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세린디아세테이트, 및 펜타에리쓰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asticizer is used to impart flexibility and adhesion to the polymer, and the type of plastic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sorbitol, ethylene glycol, glycerin, glycerin diacetate, and pentaerythritol It may consist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가소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의 과다 사용에 의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The amount of the plasticizer is preferably 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the plasticizer is insignificant.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 economical efficiency may be reduced by excessive use of the plasticizer,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overall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may be lowered.

상기 충전재는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전재의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점토, 벤토나이트,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filler is used to control the reinforcement and flow of the composition. The type of fill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calcium carbonate, clay, bentonite, calcium stearate or the like can be used.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카드 체결부(100) 또는 커버의 부착면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적용 환경상 악취 및 세균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의 보강 및 흐름성을 조절하면서도 악취 및 세균발생을 저하시기키 위하여, 충전재로서 석분(stone powder)과 펄프 분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입자의 치밀함으로 인하여 첨가제를 다량 사용하지 않아도 높은 강도를 구현할 수 있고, 주변 환경에 따른 부피 변형률이 낮아 온도 변화가 큰 경우에도 접착제의 갈라짐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ard fastening portion 100 or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cover, the odor and bacteria are likely to occur in the application environment.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odor and bacteria generation while controlling the reinforcement and flow of the adhesive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mixture of stone powder and pulp powder as a filler. Stone powder can achieve high strength without using additives due to the compactness of the particles, and the cracking of the adhesive hardly occurs even when the temperature change is large due to low volumetric strain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등 다양한 암석의 분말 형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항균성, 항곰팡이성, 자외선 방출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황토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one powder may be used in the form of powder of various rocks such as loess, marble, ganban stone, granite, jadeite,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loess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antibacterial, anti-fungal, UV emission.

상기 펄프 분말은 액체 성분들을 빨아들이면서 석분들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며 성분들간 혼화성을 높이고 응집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석분과 펄프 분말은 7:3~8:2(w/w)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lp powder serves to agglomerate the stone powders while sucking the liquid components, to improve the miscibility and improve the cohesion between the components. At this time, the stone powder and the pulp powder is preferably mixed in a ratio of about 7: 3 to 8: 2 (w / w).

상기 충전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재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The content of the filler is preferably 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adding the filler is insignificant, and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overall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may be lowered.

상기 산화방지제는 산화 및 분해로 인한 점도의 변화, 황변현상, 접착력 저하 및 내구성 저하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페놀류, 방향족 아민류, 구연산, 또는 아스코르브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antioxidant is intended to improve the change in viscosity, yellowing, deterioration of adhesion and degradation of durability due to oxidation and decomposition, and the typ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specifically, phenols, aromatic amines, citric acid, or ascorbic acid may be used. Can be.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대비 0.1~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하고,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킬 염려가 있다.The content of the antioxidant is preferably 0.1 to 1 parts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the antioxidant is insignificant, and if the content exceeds 1 part by weight, not only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adhesive is lowered but also the overall physical properties may be lowered.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카드 체결부(100) 또는 커버의 부착면에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 실리카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실리카의 함량은 0.1~5 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나노 실리카의 사이즈(primary particles)는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nano-silica which can be improved evenly to the adhesion surface of the card fastening portion 100 or the attachment surface of the cover.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nano silica is preferably 0.1 to 5 parts by weight, and the size of the nano silica (primary particles) is preferably 100 nm or less.

상기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나노실리카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접착제의 표면에 블루밍(blooming)이 발생하는 불량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If the content of the nano-silica is less than 0.1 parts by weight,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nano-silica is insignificant, and if the content exceeds 5 parts by weight, not only the adhesive force is lowered but also a bad phenomenon that blooming (blooming)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over time May occur.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ffects through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 중량부, Sukorez D-300 25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60 parts by weight of 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 25 parts by weight of Sukorez D-300, 3 parts by weight of rosin, 5 parts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4 parts by weight of ocherite, 2 parts by weight of pulp powder and 1 part by weight of ascorbic acid. Melt kneading at ° C to prepare an adhesive composition and then molded into pellets. At this time, the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resin was prepared by melt-mixing 2.5 parts by weight of lactic acid monomer to 100 parts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at 160 ° C. for 5 minutes.

[실시예 2]Example 2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60중량부, Sukorez D-300 15중량부,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 10중량부, 송진 3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황토석 4중량부, 펄프분말 2중량부 및 아스코르브산 1중량부를 혼합하여 170~180℃에서 용융혼련시켜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펠렛 타입으로 성형하였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 저자극 수지는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락트산 단량체 2.5중량부를 160℃로 5분동안 용융혼합하여 제조하였다.60 parts by weight of 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 15 parts by weight of Sukorez D-300, 10 parts by weight of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resin, 3 parts by weight of rosin, 5 parts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4 parts by weight of loess, 2 parts by weight of pulp powder and ascorb 1 part by weight of acid was mixed and melt kneaded at 170 to 180 ° C. to prepare an adhesive composition, and then molded into pellets. At this time, the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resin was prepared by melt-mixing 2.5 parts by weight of lactic acid monomer to 100 parts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at 160 ° C. for 5 minutes.

[실시예 3]Example 3

나노실리카 1중량부를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Except for adding 1 part by weight of nanosilica, i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was made as Example 3.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종래의 TPU 핫멜트 필름에서 이면지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It was used after removing the backing paper from the conventional TPU hot melt film.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메쉬접착강도 (1) Mesh adhesive strength

열용융 접착제의 메쉬접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카드 체결부(100)와 커버 사이에 정량된 접착제 펠렛을 170℃에서 용융 도포한 후, 130℃에서 30초 동안 60㎏f/㎠의 압력으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고 메쉬접착강도(㎏f/㎠)를 측정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mesh adhesive strength of the hot melt adhesive, the adhesive pellet quantified between the card fastening portion 100 and the cover was melt-coated at 170 ° C., and then pressed at a pressure of 60 kgf / cm 2 for 30 seconds at 130 ° C. Proceed to measure the mesh adhesive strength (kgf / ㎠).

(2) 융융흐름지수(2) Melt Flow Index

용융흐름지수 측정기의 가열 실린더에 펠렛 타입의 접착제를 가득 채우고 160℃에서 약 5분간 녹였다. 3㎏의 추를 얹고 10분간 실린더를 통해 통과되는 접착제의 중량(g)을 측정하였다.The heating cylinder of the melt flow rate meter was filled with a pellet type adhesive and melted at 160 ° C. for about 5 minutes. The weight (g) of the adhesive passed through the cylinder for 10 minutes was measured by putting a weight of 3 kg.

Figure 112019061270617-pat00001
Figure 112019061270617-pat0000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이 기존 제품보다 향상된 접착력과 흐름지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분해 저자극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렵과 흐름지수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노 실리카를 혼합하는 경우 흐름지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he table,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adhesion and flow index than the existing product, even when using a biodegradable hypoallergenic resin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on and flow index does not fall significantly. Also, when the nano-silica is mixed, the flow index can be seen to increase significantly.

도 2는 도 1의 카드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ard fastening portion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카드 체결부(100)는, 안착부(110), 덮개부(120) 및 지지부(130)를 포함한다.2, the card fastening part 100 includes a seating part 110, a cover part 120, and a support part 130.

안착부(110)는, 프로브 카드(1)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프로브 카드(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111)(도 3 참조)을 형성한다.The mounting portion 110 forms a mounting groove 111 (see FIG. 3)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be card 1 so as to mount the probe card 1.

일 실시예에서, 안착홈(111)은, 프로브 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홈의 바닥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ting groove 111 may be form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s connected to the probe card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be card.

덮개부(120)는, 안착부(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안착홈(111)에 프로브 카드(1)가 안착되면 안착부(110)의 상측을 덮는다.The cover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seating part 110 so as to be rotatable, and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part 110 when the probe card 1 is seated in the seating recess 111.

일 실시예에서, 덮개부(120)는, 안착홈(111)에 안착된 프로브 카드(1)의 상부를 상측으로부터 관찰할 수 있도록 프로브 카드(1)와 대향하는 위치에 프로브 카드(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개구부(121)를 형성하고, 프로브 카드(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이 개구부(121) 주변의 하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ortion 120 of the probe card 1 in a position facing the probe card 1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probe card 1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1 can be observed from above. A connecting pin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forming an opening 12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be card 1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opening 121. It can be formed along the side.

지지부(130)는, 안착부(1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안착부(110)를 지지한다.The support part 130 is installed below the seating part 110 and supports the seating part 110.

도 3은 도 2의 안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seating portion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안착부(110)는, 안착 플레이트(112), 가이드 바아(113), 및 체결 레버(11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eating unit 110 includes a seating plate 112, a guide bar 113, and a fastening lever 114.

안착 플레이트(112)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프로브 카드(1)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111)이 상부에 형성된다.The mounting plate 112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a mounting groove 111 for mounting the probe card 1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가이드 바아(113)는, "ㄱ"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 플레이트(112)의 전단 양측에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20)의 전단 모서리가 안착되도록 유도한다.Guide bar 113 is formed in a "b" shape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plate 112, as shown in Figure 2 guides the front edge of the cover portion 120 is seated.

체결 레버(114)는, 안착 플레이트(112)의 전단에 설치되며, 덮개부(120)가 프로브 카드(1)를 덮으면 덮개부(120)가 검사 중 열리지 않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아 같이 체결한다.The fastening lever 114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plate 112, and when the cover part 120 covers the probe card 1, the fastening lever 114 is fastened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cover part 120 does not open during inspection.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착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ating unit 11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support 500 as shown in FIG. 4.

탄성 지지부(500)는, 덮개부(120)의 전단 각 모서리와 대향하는 안착 플레이트(112)의 전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프로브 카드(1)를 덮고 있는 덮개부(120)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The elastic support part 500 is installed at both front ends of the seating plate 112 opposite to each corner of the front end of the cover part 120, and uses the elastic force to cover the cover part 120 covering the probe card 1. I support it.

일 실시예에서, 안착 플레이트(112)는, 전단 양측에 탄성 지지부(50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112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ting plate 112 may be formed with insertion grooves 1121 for inserting the elastic support 500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이때, 탄성 지지부(500)는, 삽입홈(1121)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덮개부(120)를 지탱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elastic support 500 is not inserted completely into the insertion groove 1121, as shown in Figure 4, the upper portion is preferably exposed to the outside to support the cover portion 120.

도 5은 도 4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elastic support of FIG.

도 5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부(500)는, 몸체부(510),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elastic support part 500 includes a body part 510, a first stand 520, and a second stand 530.

몸체부(5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스탠드(520a, 520b, 520c, 530a, 530b, 530c)가 연결 설치된다.Body portion 5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plurality of stands (520a, 520b, 520c, 530a, 530b, 530c) is connected to be installed.

제1 스탠드(520)는,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5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상기 덮개부(120)를 지지한다.The first stand 520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first stand 5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a plurality of the first stand 520 is rotatably connecte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510, and the first stand 520 is different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t is install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520 and supports the cover portion 120 seated on the upper side.

제2 스탠드(530)는,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510)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5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몸체부(510)를 지지한다.The second stand 530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econd stand 530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a plurality of the second stand 530 is rotatably connected alo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510, and the second stand 530 is different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530 is install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close to and supports the body 510.

도 5의 제2 스탠드(530)는, 막대형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탠드(5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Although the second stand 530 of FIG. 5 is illustrated in a rod shape, the second stand 530 of FIG. 5 is not limited to the shape thereof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tand 520 as shown in FIG. 7.

도 6 및 도 7은 도 5의 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body portion of FIG.

도 6을 참조하면, 몸체부(510)는, 바디(511), 상부 설치홈(512), 하부 설치홈(513), 탄성 지지체(514) 및 충격흡수 패드(51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body portion 510 includes a body 511, an upper installation groove 512, a lower installation groove 513, an elastic support 514, and an impact absorbing pad 515.

바디(5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 설치홈(512) 및 하부 설치홈(513)에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The body 51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7, and includes a first stand 520 and a second stand 530 in the upper and lower installation grooves 512 and the lower installation grooves 513. )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상부 설치홈(512)은, 제1 스탠드(52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스탠드(52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The upper installation groove 512 is forme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511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first stands 52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tand 520 is rotatable, and upwards from the lower side. It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er direction of the body 511 toward.

하부 설치홈(513)은,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제2 스탠드(5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바디(511)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바디(511)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The lower installation groove 513 is formed alo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511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second stands 530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tand can be rotatable, and the bod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511 is inclined in the outward direction.

탄성 지지체(514)는, 상부 설치홈(512)에 설치된 제1 스탠드(520) 또는 하부 설치홈(513)에 설치된 제2 스탠드(530)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제1 스탠드(520)의 일측면과 상부 설치홈(512)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제2 스탠드(530)의 일측면과 하부 설치홈(513)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스탠드(520) 및 제2 스탠드(530)를 지지한다.The elastic support 514 is a first stand 520 facing the lower side so that the first stand 520 installed in the upper installation groove 512 or the second stand 530 installed in the lower installation groove 513 can stand upright. Between the one side surface and the upper installation groove 512 and between the one side surface and the lower installation groove 513 of the second stand 530 facing the upper side, respectively, the first stand 520 and the first using an elastic force 2 supports the stand (530).

충격흡수 패드(515)는, 제1 스탠드(520) 또는 제2 스탠드(530)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설치홈(512)의 입구 및 하부 설치홈(513)의 입구를 따라 설치된다.The shock absorbing pad 515 is provided along the inlet of the upper installation groove 512 and the inlet of the lower installation groove 513 so as to absorb the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with the first stand 520 or the second stand 530. Is installed.

여기서, 하부 설치홈(513)의 내부 형성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설치홈(512)의 형성구조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since the internal forming structure of the lower installation groove 513 is the same as the formation structure of the upper installation groove 512 as described abo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도 8은 도 5의 제1 스탠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8 is a view illustrating the first stand of FIG. 5.

도 8을 참조하면, 제1 스탠드(520)는, 지지바아(521), 받침대(522) 및 슬라이딩 패드(52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stand 520 includes a support bar 521, a pedestal 522, and a sliding pad 523.

지지바아(521)는, 상부 설치홈(512)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탄성 지지체(514)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에 받침대(52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기 위한 연결홈(5211)을 형성한다.The support bar 521 is connected to the upper installation groove 512 so that the lower portion is rotatable, the lower inclined surface is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 514,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edestal 52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To form a connection groove (5211) to be.

받침대(522)는,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지지바아(521)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홈(5211)에 볼트(B) 및 너트(N)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Pedestal 522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the upper surface is flat and the gap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bolt (B) and nut (N) in the connection groove (521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521) It is connected so as to be rotatable using a fastening means.

슬라이딩 패드(523)는, 상측에 안착되는 덮개부(12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덮개부(120)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받침대(522)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된다.Sliding pad 523 is a washing plate-shaped unevennes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so as to improve the adhesion with the cover portion 120 seated on the upper side is formed along the upper surface, the cover portion 120 seated on the upper side As the elevating or descending, the sliding movemen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522.

일 실시예에서, 받침대(52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5221)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edestal 522 may be formed with a sliding groove 52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

그리고, 슬라이딩 패드(523)는, 슬라이딩홈(5221)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동기(5231)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pad 523 is connected to the sliding groove 5121 and may be provided with a sliding synchronous (5231) on the lower side to allow the sliding movemen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부(120)가 하강함에 따라 덮개부(120)를 지지하고 있는 슬라이딩 패드(523)는 해당 위치를 유지하는 반면, 상대적인 움직임을 위해 받침대(522)가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면서 지지바아(521)에 연결 설치된 하부가 회동하면서 구동된다.As illustrated in FIG. 9, the first stand 5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cludes a sliding pad 523 supporting the lid 120 as the lid 120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descends.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the lower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bar 521 is driven while the pedestal 522 is slidably moved outward for relative movemen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스탠드(520)는, 제2 스탠드(530)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한 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제2 스탠드(530)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first stand 5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pplicable to the second stand 530 in the same manner,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stand 530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overlapping descriptions.

도 11은 도 1의 카드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d fastening unit of FIG. 1.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체결부(100a)는, 안착부(110), 덮개부(120), 지지부(130) 및 탄성 지지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부(110), 덮개부(120) 및 지지부(13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card fastening part 1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seating part 110, a cover part 120, a support part 130, and an elastic support 400. Here, the seating portion 110, the lid portion 120 and the support portion 130 are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Fig. 2,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탄성 지지대(400)는, 안착부(110)와 지지부(130) 사이에 다수 개가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부(110)를 지지한다.The elastic support 400 is provid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110 and the support portion 130 to support the seating portion 110 by using an elastic force.

도 12는 도 11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elastic support of FIG.

도 12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400)는, 상판(410), 케이스(420) 및 상판 지지부(4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elastic support 400 includes a top plate 410, a case 420, and a top plate support 430.

상판(41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부(110)를 지지하며, 상판 지지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upper plate 41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o support the seating part 110 and is supported by the upper plate support part 430.

케이스(420)는, 지지부(130)의 상측면에 설치되고, 상판(410)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 지지부(430)가 설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The case 42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130,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410, and forms an inner space for installing the upper plate support 430.

상판 지지부(430)는,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케이스(42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한다.The upper plate supporter 43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420,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420 to support the upper plate 410 using elastic forc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400)는, 안착부(110)와 지지부(130)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부(112)를 지지함으로써, 검사 중 프로브 카드(1)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쇄시켜 검사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elastic support 4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seating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30, and supports the seating part 112 by using an elastic force, thereby to the probe card 1 during the inspection. The accuracy of inspection can be improved by attenuating transmitted vibrations or impacts.

도 13 내지 도 17는 도 12의 탄성 지지대의 각 구성들의 연결과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13 to 17 are views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elastic support of FIG.

도 13을 참조하면,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upper plate support part 430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431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rts 432a, 432b, 432c, and 432d.

제1 지지부(431)는, 상판(410)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한다.The first support part 431 supports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410, and supplies the filling liquid to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rts 432a, 432b, 432c, and 432d as the upper plate 410 descends. .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는, 상판(410)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판(410)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된다.The second supporting parts 432a, 432b, 432c, and 432d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lower sides of the corners of the upper plate 410, and move upward and downward to support the corners of the upper plate 410 using elastic force, and the upper plate 410 As the) is lowered,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braked by the filling liquid supplie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431.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판(410)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upper plate support portion 43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fficiently supports the upper plate 410 using elastic force by us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43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ortions 432a, 432b, 432c, and 432d. can do.

그리고, 제1 지지부(431)는, 제1 회동 체결부(4311), 제1 연결 볼(4312), 제1 지지 바아(4313), 충전액 탱크(4314) 및 연결관(4315)을 포함한다.The first support part 431 includes a first pivotal fastening part 4311, a first connecting ball 4312, a first support bar 4313, a filling liquid tank 4314, and a connection pipe 4315. .

제1 회동 체결부(431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1 연결 볼(4312)이 연결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4, the first pivot fastening part 4311 is install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410, and forms a spherical inner space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on balls 4312.

제1 연결 볼(4312)은,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1 회동 체결부(431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지지 바아(4313)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first connecting ball 4312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pivot fastening portion 4311,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pivot fastening portion 4311, and the first Supported by a support bar 4313.

제1 지지 바아(4313)는, 제1 연결 볼(43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 연결 볼(4312)을 지지하며, 상판(410)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여 충전액 탱크(4314)에 담긴 충전액을 하측 방향으로 압착시킨다.The first support bar 4313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all 4312 to the inner space of the filling tank 4314 in a downward direction to support the first connecting ball 4312, and the upper plate 410. As it descends, it descends together and compresses the filling liquid contained in the filling liquid tank 4314 in the downward direction.

충전액 탱크(4314)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제1 지지 바아(4313)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연결관(4315)을 통과하여 제2 지지부(432)로 공급된다.Filling tank 4314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420, the filling liquid is received in the sealed inner spac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4313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When the upper plate 410 is lowered, as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4313 desc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the filling liquid is compressed to be suppli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432 through the connecting pipe 4315.

이때, 제1 지지 바아(4313)는,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에 담긴 충전액을 주사기의 구동 방식과 같이 압착시킬 수 있도록 충전액 탱크(4314)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고무 재질의 패킹(P)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bar 4313 is a rubbe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filling liquid tank 4314 so that the filling liquid contai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lling liquid tank 4314 can be compres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riving method of the syringe. Packing material P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연결관(4315)은, 충전액 탱크(4314)의 하부로부터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까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 통로를 형성한다.The connecting pipe 4315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lling liquid tank 4314 to the respective second supporting portions 432a, 432b, 432c, and 432d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lling liquid flows.

이하 제2 지지부(432)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econd support part 432 will be described.

제2 지지부(432)는, 제2 회동 체결부(4321), 제2 연결 볼(4322), 제2 지지 바아(4323), 탄성 지지부(4324) 및 승하강 조절부(4325)를 포함한다.The second support part 432 includes a second pivotal fastening part 4321, a second connecting ball 4322, a second support bar 4323, an elastic support part 4324, and a lift adjusting part 4325.

제2 회동 체결부(432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0)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제2 연결 볼(4322)이 연결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4, the second pivot fastening part 4321 is installed at a corner of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410, and forms a spherical inner space to connect the second connection balls 4322.

제2 연결 볼(4322)은,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제2 회동 체결부(4321)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second connecting ball 4322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pivotal fastening part 4321, and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pivotal fastening part 4321. Supported by support bars 4323.

제2 지지 바아(4323)는, 제2 연결 볼(432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2 연결 볼(4322)을 지지하며, 탄성 지지부(4324)에 의하여 지지된다.The second support bar 4323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ball 4322 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420 in a downward direction to support the second connection ball 4322, and to the elastic support part 4324. Is supported.

탄성 지지부(4324)는, 제2 지지 바아(4323)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지지 바아(4323)를 케이스(42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한다.The elastic support part 4324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support bar 4323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 bar 4323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420 by using an elastic force.

승하강 조절부(4325)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4325h)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4325h)에 제2 지지 바아(4323)가 삽입되며, 상판(410)이 하강할 경우 연결관(4315)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관통홀(4325h)의 크기가 줄어들어 제2 지지 바아(4323)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한다.The elevating adjustment part 432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tube that forms the through hole 4325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support bar 432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325h, and the upper plate 410 is lowered. In this case, as the fill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connecting pipe 4315 and expanded,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4325h is reduced so that the second support bar 4323 is not moved.

일 실시예에서, 승하강 조절부(4325)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관통홀(4325h)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4325o)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 지지 바아(4323)와 대향하는 내측(4325i)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vating control unit 4325 has an outer wall 4325o to expand in the inward direc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 4325h is located as the fill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inner space as shown in FIG. 17. It may be formed of a hard material, and the inner side 4325i facing the second support bar 432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expand or contrac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판 지지부(430)는, 제1 지지부(431) 및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을 이용하여 상판(410)을 지지하되, 탄성력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를 이용하여 상판(410)의 각 모서리를 기본적으로 지지하고, 상판(410)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하게 되어 제1 지지부(431)를 하강시키면, 제1 지지부(431)에 담긴 충전액이 압착되어 함께 하강되고 있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로 공급되며, 충전액의 공급에 따른 팽창으로 인해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판(410)의 하강이 점진적으로 큰 저항을 받게 된다.The upper plate support part 43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upports the upper plate 410 by using the first support part 43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arts 432a, 432b, 432c, and 432d, and forms an elastic force. By using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s 432a, 432b, 432c, and 432d, each corner of the top plate 410 is basically supported, and the top plate 410 is an elastic force of each of the second supports 432a, 432b, 432c, and 432d. When the first support 431 is lowered by lowering the pressure, the fill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first support 431 is compressed and supplied to each of the second support parts 432a, 432b, 432c, and 432d, which are being lowered together. Due to expansion due to the supply of the filling liquid, the lowering of each of the second supporting parts 432a, 432b, 432c, and 432d is prevented, and the lowering of the upper plate 410 is gradually increased.

즉, 상판(410)이 처음에는 각 제2 지지부(432a, 432b, 432c, 432d)의 탄성력만을 이용하여 지지되나, 제1 지지부(431)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제1 지지부(431)으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따른 밀착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값까지 추가됨으로써 상판(410)의 하강 구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upper plate 410 is initially supported using only the elastic force of each of the second support parts 432a, 432b, 432c, and 432d, but is supplie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431 as the first support part 431 descends together. The downward driving of the upper plate 410 is reduced by adding up to a resistance value generated by the adhesion force due to the filling liquid.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may easily change 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 can understan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by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 프로브 카드 검사 장치
100: 카드 체결부
200: 카드 검사부
300: 현미경
400: 탄성 지지대
500: 탄성 지지부
10: probe card inspection device
100: card fastening part
200: card inspection unit
300: microscope
400: elastic support
500: elastic support

Claims (2)

피검사체인 프로브 카드를 체결하는 카드 체결부;
상기 카드 체결부에 체결된 프로브 카드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프로브 카드(Probe Card)의 정상 작동 여부를 검사하는 카드 검사부; 및
상기 카드 체결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 체결부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기 프로브 카드를 관찰하기 위한 현미경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 체결부는, 프로브 카드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프로브 카드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에 프로브 카드가 안착되면 상기 안착부의 상측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홈은, 프로브 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핀이 홈의 바닥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프로브 카드의 상부를 상측으로부터 관찰할 수 있도록 프로브 카드와 대향하는 위치에 프로브 카드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프로브 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핀이 상기 개구부 주변의 하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플레이트; "ㄱ"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부의 전단 모서리가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바아;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덮개부가 프로브 카드를 덮으면 상기 덮개부가 검사 중 열리지 않도록 체결하는 체결 레버; 및 상기 덮개부의 전단 각 모서리와 대향하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전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프로브 카드를 덮고 있는 상기 덮개부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전단 양측에 상기 탄성 지지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 다른 제1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1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된 상기 덮개부를 지지하는 제1 스탠드; 및 다른 제2 스탠드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따라 다수 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다른 제2 스탠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제2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제1 스탠드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며, 하측으로부러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설치홈; 상기 제2스탠드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스탠드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바디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하부 설치홈; 상기 상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하부 설치홈에 설치된 상기 제2 스탠드가 직립될 수 있도록 하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1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상부 설치홈 사이 및 상측을 바라보는 상기 제2 스탠드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 설치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스탠드 및 상기 제2 스탠드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1 스탠드 또는 상기 제2 스탠드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설치홈의 입구 및 상기 하부 설치홈의 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충격흡수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탠드는, 상기 상부 설치홈에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 경사면이 상기 탄성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바아; 상부면이 평평하고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지지바아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덮개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빨래판 형태의 요철이 상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덮개부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부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패드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측에 슬라이딩동기를 구비하며,
상기 카드 체결부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상판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에 담기 충전액을 공급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상판의 각 모서리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판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액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제동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중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회동 체결부;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 볼; 상기 제1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1 지지 바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내부 공간에 충전액이 수용되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하강함에 따라 충전액이 압착되어 상기 제2 지지부로 공급되는 충전액 탱크; 및 상기 충전액 탱크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충전액이 흐르는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구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회동 체결부;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동 체결부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 볼; 상기 제2 연결 볼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 볼을 지지하는 제2 지지 바아; 상기 제2 지지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및 상하 방향으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삽입되며, 상기 상판이 하강할 경우 상기 연결관을 통해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어 팽창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줄어들어 상기 제2 지지 바아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승하강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조절부는, 충전액이 내부 공간으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관통홀이 위치하는 내측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외측벽이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바아와 대향하는 내측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프로브 카드 검사 장치.
A card fastening part for fastening a probe card to be tested;
A card inspecting unit which checks whether a probe card is normally operated by applying an electrical signal to the probe card fastened to the card fastening unit;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rd fastening portion, and includes a microscope for observing the probe car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rd fastening portion,
The card fastening unit may include: a seating unit forming a mounting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be card to seat the probe card; A cover part connected to the seating part so as to be rotatable and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seating part when the probe card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And a support part installed below the seating part to support the seating part.
The seating groov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be card and a connection pin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is form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The cover part may form an opening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be card at a position facing the probe car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probe card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may be observed from abov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be car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be card. A connecting pin for transmitting a signal is formed along the lower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The seating portion, the mounting plate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 guide bar formed in a shape of “a” and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seating plate and configured to seat the front end edge of the cover part; A fastening lever installed at a front end of the seating plate and fastening the cover part so as not to be opened during inspection when the cover part covers the probe card; And an elastic support part installed at both front ends of the seating plate opposite to each corner of the front end of the cover part and supporting the cover part covering the probe card using an elastic force.
The seating plate is formed in each of the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elastic support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The elastic support portion,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c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first sta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rotatable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cover is install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other first stan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seated on the upper side A first stand supporting the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econd sta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rotatably connected alo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install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other second stan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o support the body portion A second stand,
The body portion, the body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 upper installation is forme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first stand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tand is rotatable, and is incline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body toward the upper side from the lower side home; Lower installation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lower part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second stan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tand is rotatable, and inclin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 The first side facing the upp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tand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tand installed in the upper mounting groove or the second stand installed in the lower mounting groove An elastic support installed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stand and the lower mounting groove to support the first stand and the second stand using an elastic force; And an impact absorbing pad installed along the inlet of the upper installation groove and the inlet of the lower installation groove to absorb the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with the first stand or the second stand.
The first st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installation groove so that the lower portion is rotatable, the lower inclined surface is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 bar; A pedestal which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is flat and the gap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and a low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to be rotatable; And a washing plate-shaped unevennes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improve adhesion to the cover part seated on the upper side along the upper surface, and as the cover part seated on the upper side moves up or down, the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A sliding pad which is slid and moved in the
The pedestal, the slid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upper surface,
The sliding pad is connected to the slid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sliding synchronization on the lower side to allow the sliding movement,
The card fastening par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support installed between the seat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to support the support part by using an elastic force,
The elastic support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for supporting the seating portion; A cas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and formed to form an inner space; And an upper plate support part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case and having an upper portion exposed to an upper side of the case to support the upper plate using an elastic force.
The upper plate support unit may support a center of the upper plate, the first support unit for supplying a filling liquid into the inner space as the upper plate is lowered; And installed at each lower side of each corner of the upper plate, and move upwards and downwards to support the edges of the upper plate by using an elastic force, and the upper plate is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filling liquid supplie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as the upper plate descends. A second support to which movement is braked,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 first rotational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forming a spherical inner space; A first connection ball formed in a 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ivot fastening part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pivot fastening part; A first support ba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connection ball to support the first connection ball;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the filling liquid is received in the sealed inner spac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the first support bar when the upper plate is lowered A filling liquid tank in which a filling liquid is compressed and suppli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as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falls from an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And a connecting pipe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lling liquid tank to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lling liquid flows.
The second support part may include: a second pivot fastening part installed at a corner of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forming a spherical inner space; A second connection ball formed in a 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pivotal fastening part and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pivotal fastening part; A second support ba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connection ball to support the second connection ball; An elastic support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bar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 bar using an elastic force; And a second support ba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form a through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upper plate descends, the fill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connecting pipe and expand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is reduced to include a lifting control unit for fastening so that the second support bar does not move,
The elevating control unit, the outer wall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so that the filling liquid is expanded to the inner direc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located as the filling liquid is supplied, the inner side facing the second support bar is expanded or contracted It is formed of a possible material, probe card inspection apparatus.
삭제delete
KR1020190071185A 2019-06-16 2019-06-16 Probe card inspection device KR1020371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185A KR102037198B1 (en) 2019-06-16 2019-06-16 Probe card insp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185A KR102037198B1 (en) 2019-06-16 2019-06-16 Probe card inspec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198B1 true KR102037198B1 (en) 2019-10-28

Family

ID=6842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185A KR102037198B1 (en) 2019-06-16 2019-06-16 Probe card inspe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19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14483A (en) * 2023-11-09 2023-12-12 河南溪亭电力设备有限公司 Mutual inductor detection fix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744B1 (en) 2008-01-04 2010-06-21 주식회사 에스디에이 Inspection apparatus of a probe card and Method thereof
KR20140135056A (en) * 2013-05-15 2014-11-25 주식회사 에스디에이 Probe card inspect apparatus
KR20160107035A (en) * 2015-03-03 2016-09-13 리노공업주식회사 A test device
KR20170016444A (en) * 2014-06-06 2017-02-13 루돌프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Method of measuring and assessing a probe card with an inspection device
KR20180059867A (en) 2015-10-21 2018-06-05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robe card and contact insp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744B1 (en) 2008-01-04 2010-06-21 주식회사 에스디에이 Inspection apparatus of a probe card and Method thereof
KR20140135056A (en) * 2013-05-15 2014-11-25 주식회사 에스디에이 Probe card inspect apparatus
KR20170016444A (en) * 2014-06-06 2017-02-13 루돌프 테크놀로지스 인코퍼레이티드 Method of measuring and assessing a probe card with an inspection device
KR20160107035A (en) * 2015-03-03 2016-09-13 리노공업주식회사 A test device
KR20180059867A (en) 2015-10-21 2018-06-05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robe card and contact inspec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14483A (en) * 2023-11-09 2023-12-12 河南溪亭电力设备有限公司 Mutual inductor detection fixing device
CN117214483B (en) * 2023-11-09 2024-01-26 河南溪亭电力设备有限公司 Mutual inductor detection fix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259B1 (en) Printed circuit board deburring machine
KR102055445B1 (en) Fixing jig
KR102037198B1 (en) Probe card inspection device
KR102016894B1 (en) Calibration system of sensor
KR102041801B1 (en) Core forming device for core manufacturing equipment
AU2005254944A1 (en) Polyurethane carpet backings made using fatty acid amide polyols
KR102032996B1 (en) An apparatus of cut working
KR102033890B1 (en) An apparatus of measuring weight for waste oil collection vehicle
KR102039937B1 (en) Lift for vehicle repair
KR102034465B1 (en) An apparatus of molding
KR102034421B1 (en) Continuous processing system
KR102045376B1 (en) Test module for gas detector
KR102061611B1 (en) Transferring system
KR102041806B1 (en) Conveying device for core manufacturing equipment
KR102022562B1 (en) Multifunctional workbench
CN110488177A (en) A kind of semiconductor probe testboard probe
KR102020871B1 (en) Motorcycle strorage warehouse system
KR102035580B1 (en) Plastic materials mixxing apparatus
KR102036070B1 (en) Press apparatus
KR102009862B1 (en) Warehouse system for storing automobile parts
KR102027306B1 (en) Jig for pruduction of STB
KR102037355B1 (en) Uncoiler
KR102029418B1 (en) Composite deck-road system
KR102010578B1 (en) Warehouse system for storing material
KR102036066B1 (en) Multifunctional workb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