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069B1 -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069B1
KR102037069B1 KR1020120117534A KR20120117534A KR102037069B1 KR 102037069 B1 KR102037069 B1 KR 102037069B1 KR 1020120117534 A KR1020120117534 A KR 1020120117534A KR 20120117534 A KR20120117534 A KR 20120117534A KR 102037069 B1 KR102037069 B1 KR 102037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ion
voltage
display panel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002A (ko
Inventor
임상민
김현웅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06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1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37Characterising or performance testing, e.g. of frequency respon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emitting devices, e.g. LED, optocoup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4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test interfaces, e.g. adapters, test boxes, switches, PIN driv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커넥터에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출력단을 구비하여, 상기 출력단으로 전압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커넥터의 접속 불량을 검출하는 비교부; 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 장치와 표시 패널의 접속 불량을 사전 검출함으로써, 검사 공정의 불량율을 낮출 수 있는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INSPECTING DISPLAY PANE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 장치와 표시 패널의 접속 불량을 사전 검출함으로써, 검사 공정의 불량율을 낮출 수 있는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패널은 기판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복수의 화소를 배치하여 표시영역으로 하고, 각 화소에 주사선과 데이터선을 연결하여 화소에 데이터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화소의 구동방식에 따라 패시브(Passive) 매트릭스형 발광 표시 패널과 액티브(Active) 매트릭스형 발광 표시 패널로 구분된다. 이 중 해상도, 콘트라스트, 동작속도의 관점에서 단위 화소 마다 선택하여 점등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이 주류가 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은 각종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는 빠른 응답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낮은 소비전력으로 구동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표시 패널의 품질 향상을 위한 요소 중 하나로 감마 설정을 들 수 있다. 감마 설정은 표시 휘도와 계조 데이터의 상관 관계로서, 표시 휘도와 계조 데이터의 상관 관계는 감마 곡선(Gamma Curve)에 따라 정의된다. 표시패널이 안정된 표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확한 감마 설정이 필요하다. 감마 설정에 오차가 발생하면, 실제 표시 휘도와 계조 데이터에 따르는 표시 휘도간의 편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준 감마 전압을 실시간으로 프로그래밍하는 다 시점 프로그래밍(multi time programming, 이하 MTP라고 함)을 수행한다. 기준 감마 전압이란, 표시 휘도를 결정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회로에 입력되는 전압이다. 계조 데이터에 따라 구동 회로는 기준 감마 전압을 이용해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발광 소자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발광한다. 따라서 기준 감마 전압이 변동하면, 표시 패널의 표시 휘도가 변동된다.
그러나, MTP 수행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검사 장치와 표시 패널의 접속 불량이 존재하는 경우, 전원의 전압 강하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MTP 불량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 장치와 표시 패널의 접속 불량을 사전 검출함으로써, 검사 공정의 불량율을 낮출 수 있는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는, 표시 패널의 커넥터에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출력단을 구비하여, 상기 출력단으로 전압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커넥터의 접속 불량을 검출하는 비교부, 상기 출력단과 상기 비교부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비교부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비교부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압으로서 상기 DC-DC 컨버터의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상기 전압이 이용되되, 상기 DC-DC 컨버터의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상기 전압은 상기 저항에 의해 스케일링된다.
또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커넥터의 접속을 불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커넥터의 접속을 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의 접속이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에 점등되는 제1 LED 및 상기 커넥터의 접속이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에 점등되는 제2 LED를 더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포고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 전압은,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표시 패널의 검사 방법은, 표시 패널의 커넥터에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접속시키는 단계, DC-DC 컨버터를 통해 상기 제1 연결부로 전압을 공급하는 단계, 및 비교부를 통해 상기 제2 연결부의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커넥터의 접속 불량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저항을 통해 상기 DC-DC 컨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준 전압으로서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압이 이용되되,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압은 상기 저항에 의해 스케일링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접속 불량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커넥터의 접속을 불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커넥터의 접속을 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접속이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비교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 LED를 점등하고, 상기 커넥터의 접속이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LED를 점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포고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 장치와 표시 패널의 접속 불량을 사전 검출함으로써, 검사 공정의 불량율을 낮출 수 있는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의 검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1)는 제1 연결부(31), 제2 연결부(32), DC-DC 컨버터(40) 및 비교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1)는 표시 패널(10)의 검사를 위하여 제1 연결부(31)와 제2 연결부(32)를 통해 표시 패널(10)에 존재하는 커넥터(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표시 패널(10)에 장착된 커넥터(20)는 통상의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20)에는 제1 연결부(31) 및 제2 연결부(32)와 각각 접촉되는 제1 패드(21) 및 제2 패드(22)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20) 내의 제1 패드(21)와 제2 패드(22)는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20)와 접속되는 제1 연결부(31)와 제2 연결부(32)는 포고핀(POGO Pi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와 제2 연결부(32)는 커넥터(20)에 접속됨으로써, 검사 장치(1)를 표시 패널(10)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연결부(31)와 제2 연결부(32)는 커넥터(20)를 통하여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31) 및 제2 연결부(32)가 커넥터(20) 내부의 제1 패드(21) 및 제2 패드(22)에 각각 접촉되는 경우,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패드(21) 및 제2 패드(22)를 통해 제1 연결부(31)와 제2 연결부(32)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DC-DC 컨버터(40)는 외부 전압(Vin)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10)의 구동을 위한 전압(ELVDD)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압(ELVDD)을 표시 패널(1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C-DC 컨버터(40)의 출력단(41)은 제1 연결부(3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DC-DC 컨버터(40)로부터 출력된 전압(ELVDD)은 제1 연결부(31)를 통해 커넥터(20)의 제1 패드(21)로 전달될 수 있으며, 결국 표시 패널(10) 내 구동 회로로 공급될 수 있다.
비교부(50)는 제2 연결부(32)의 전압(Vcon)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커넥터(20)의 접속 불량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즉, DC-DC 컨버터(40)로부터 출력된 전압(ELVDD)은 제1 연결부(31)와 제1 패드(21) 사이의 접촉 저항(contact resistance)에 의해 전압 강하(voltage drop) 되고, 상기 전압 강하된 전압은 제1 패드(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패드(22)를 통해 제2 연결부(32)의 전압(Vcon)으로서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압 강하 정도가 이상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는 커넥터(20)와 연결부(31, 32) 간의 접속이 불량하여 과도한 접촉 저항이 발생한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부(50)는 제2 연결부(32)의 전압(Vcon)과 기준 전압(Vref) 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커넥터(20)의 접속을 불량으로 판단하고, 제2 연결부(32)의 전압(Vcon)과 기준 전압(Vref) 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커넥터(20)의 접속을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비교부(50)에 입력되는 기준 전압(Vref)은 DC-DC 컨버터(40)의 출력단(41)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비교부(50)는 상기 기준 전압(Vref)으로서 DC-DC 컨버터(40)의 출력 전압(ELVDD)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1)는 양불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LED(61)와 제2 LED(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LED(61)는 비교부(50)에 의해 커넥터(20)의 접속이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에 점등될 수 있으며, 제2 LED(62)는 비교부(50)에 의해 커넥터(20)의 접속이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에 점등될 수 있다.
사용자의 빠른 인식을 위하여, 제1 LED(61)와 제2 LED(62)의 발광 색상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LED(61)와 제2 LED(62)의 제어는 비교부(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검사자는 불량을 나타내는 제1 LED(61)가 점등된 경우, 커넥터(20)의 접속 불량을 인식하여 추후 검사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커넥터(20)의 결합을 해제한 뒤, 다시 커넥터(20)와 연결부(31, 32)의 재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검사자는 정상을 나타낸 제2 LED(62)가 점등된 경우에는 커넥터(20)가 정상적으로 연결부(31, 32)와 결합된 것으로 판단하고, 후속 검사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1)는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DC-DC 컨버터(40)의 출력단(41)과 비교부(50)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스위치(SW2)는 제2 연결부(32)와 비교부(50)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 및 제2 스위치(SW2)는 연결부(31, 32)가 커넥터(20)에 결합된 다음에 턴-온되어, 기준 전압(Vref)으로 작용하는 출력단(41)의 전압과 제2 연결부(32)의 전압(Vcon)을 비교부(50)로 전달할 수 있다.
비교부(50)에 의해 커넥터(20)의 접속이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는 턴-오프될 수 있다.
이 때, 제1 스위치(SW1)와 비교부(50) 사이에는 전압 스케일링 등을 위한 저항(R)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의 검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의 검사 방법은 커넥터 접속 단계(S100), 전압 공급 단계(S200) 및 불량 검출 단계(S30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접속 단계(S100)에서는 검사 대상인 표시 패널(10)과 검사 장치(1)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의 커넥터(20)와 검사 장치(1)의 연결부(31, 32)를 접속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사 장치(1)의 제1 연결부(31)와 제2 연결부(32)를 커넥터(20)에 접속될 수 있다.
전압 공급 단계(S200)에서는 표시 패널(10)의 구동을 위한 전압(ELVDD)을 제1 연결부(31)를 통해 표시 패널(10)로 공급한다.
즉, DC-DC 컨버터(40)에서 출력된 전압(ELVDD)은 제1 연결부(31) 및 커넥터(20)를 통해 표시 패널(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제1 연결부(31)와 제2 연결부(32)는 커넥터(20)를 통하여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31) 및 제2 연결부(32)가 커넥터(20) 내부의 제1 패드(21) 및 제2 패드(22)에 각각 접촉되는 경우,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패드(21) 및 제2 패드(22)를 통해 제1 연결부(31)와 제2 연결부(32)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불량 검출 단계(S300)에서는 제2 연결부(32)의 전압(Vcon)과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커넥터(20)의 접속 불량 여부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불량 검출 단계(S300)에서는 제2 연결부(32)의 전압(Vcon)과 기준 전압(Vref) 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커넥터(20)의 접속을 불량으로 판단하고, 제2 연결부(32)의 전압(Vcon)과 기준 전압(Vref) 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커넥터(20)의 접속을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비교부(50)에 입력되는 기준 전압(Vref)은 DC-DC 컨버터(40)의 출력단(41)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불량 검출 단계(S300)에서는 상기 기준 전압(Vref)으로서 DC-DC 컨버터(40)의 출력 전압(ELVDD)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불량 검출 단계(S300)의 진행 후, LED 점등 단계(S400)를 진행할 수 있다.
LED 점등 단계(S400)에서는 커넥터(20)의 접속이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1 LED(61)를 점등시키고, 커넥터(20)의 접속이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2 LED(62)를 점등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는 제1 LED(61)와 제2 LED(62)를 통해 커넥터(20) 접속의 양불 여부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10: 표시 패널
20: 커넥터
31: 제1 연결부
32: 제2 연결부
40: DC-DC 컨버터
41; 출력단
50: 비교기
61: 제1 LED
62: 제2 LED

Claims (13)

  1. 표시 패널의 커넥터에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출력단을 구비하여, 상기 출력단으로 전압을 출력하는 DC-DC 컨버터;
    상기 제2 연결부의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커넥터의 접속 불량을 검출하는 비교부;
    상기 출력단과 상기 비교부 사이에 접속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비교부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비교부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 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압으로서 상기 DC-DC 컨버터의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상기 전압이 이용되되, 상기 DC-DC 컨버터의 상기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상기 전압은 상기 저항에 의해 스케일링되는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커넥터의 접속을 불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커넥터의 접속을 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의 접속이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에 점등되는 제1 LED; 및
    상기 커넥터의 접속이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에 점등되는 제2 LED; 를 더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포고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6. 삭제
  7. 삭제
  8. 표시 패널의 커넥터에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접속시키는 단계;
    DC-DC 컨버터를 통해 상기 제1 연결부로 전압을 공급하는 단계; 및
    비교부를 통해 상기 제2 연결부의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커넥터의 접속 불량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저항을 통해 상기 DC-DC 컨버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준 전압으로서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압이 이용되되,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압은 상기 저항에 의해 스케일링되는 표시 패널의 검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접속 불량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커넥터의 접속을 불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간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커넥터의 접속을 정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검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접속이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비교부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 LED를 점등하고, 상기 커넥터의 접속이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LED를 점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검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포고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검사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검사 방법.
  13. 삭제
KR1020120117534A 2012-10-22 2012-10-22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2037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534A KR102037069B1 (ko) 2012-10-22 2012-10-22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534A KR102037069B1 (ko) 2012-10-22 2012-10-22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02A KR20140051002A (ko) 2014-04-30
KR102037069B1 true KR102037069B1 (ko) 2019-10-30

Family

ID=5065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534A KR102037069B1 (ko) 2012-10-22 2012-10-22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8965B2 (en) 2021-02-10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Inspection apparatus for display module including a seat part having recess par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5085A1 (en) * 2010-10-28 2012-05-03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system for inspecting bonding resistance and inspec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268B1 (ko) * 2002-06-15 2008-10-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점등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5085A1 (en) * 2010-10-28 2012-05-03 Au Optronics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system for inspecting bonding resistance and inspect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98965B2 (en) 2021-02-10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Inspection apparatus for display module including a seat part having recess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02A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803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검사방법
CN106920496B (zh) 显示面板的检测方法和检测装置
KR101641901B1 (ko) 표시장치의 감마설정시스템 및 그 설정방법
KR10248203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리페어 방법
US10373538B2 (en) Judging method of array test reliability, testing method and device of organic light emitting backplane
US8492739B2 (en) Probe inspection apparatus for testing flat panel display
US8643574B2 (en) Imaging device
US20180150162A1 (en) Display Panel
CN107393481B (zh) 有机发光二极管oled的寿命老化方法和系统
KR20180025385A (ko) 데이터 드라이버,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369296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549004B1 (ko) 점등 검사 장치, 점등 검사 방법 및 점등 검사 시스템
TWI574581B (zh) 發光二極體顯示裝置的點像補償方法及其系統
WO2023092694A1 (zh) 显示面板的补偿方法及补偿装置
KR20180025798A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JP4358018B2 (ja) Amoledの駆動回路を検査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2450337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검사 방법
KR102037069B1 (ko)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2103840B1 (ko) 프로브 자동접촉검사가 가능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의 검사장치시스템 및 방법
CN106257574B (zh) 确定驱动电压的装置
KR100662994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모기판과 그 검사방법
KR100840875B1 (ko) 평판 표시패널 검사 시스템
JP2011090889A (ja) 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そ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US11622447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1169992A (ja) 発光装置、電子機器、発光パネルの検査装置、発光装置の電圧降下キャンセル方法及び発光パネル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