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025B1 - 설비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비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025B1
KR102037025B1 KR1020190005927A KR20190005927A KR102037025B1 KR 102037025 B1 KR102037025 B1 KR 102037025B1 KR 1020190005927 A KR1020190005927 A KR 1020190005927A KR 20190005927 A KR20190005927 A KR 20190005927A KR 102037025 B1 KR102037025 B1 KR 102037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queue memory
storage
stored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진솔루션
이훈희
최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진솔루션, 이훈희, 최관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진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0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은 설비의 보안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설비의 보안을 위한 음성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설비에 대한 출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센서; 상기 움직임 센서에 의해 출입자가 감지되는 경우,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벤트 서버; 및 상기 카메라,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설비의 맵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알람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비 관제 시스템{FACILITIES CONTROLLING SYSTEM}
본 발명은 설비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할 필요가 있는 설비는 대부분 보안 시스템을 갖추어 운영하고 있다. 특히, 일정 규모 이상의 설비에서는 외곽 경계나 내부 보안 구역을 감시하고 통제하기 위해 설비 곳곳에 CCTV나 침입 감지 센서를 설치하고 관제실에서 시설의 보안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설비 관제 시스템은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영상 PC에서 확인 및 제어하고, 침입 감지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서 데이터는 센서 관리 PC에서 처리하는 등 설비 관제에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각각의 데이터마다 별도의 컴퓨터에서 제어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비 관제에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하나의 메인 컴퓨터에서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설비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은 설비의 보안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설비의 보안을 위한 음성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설비에 대한 출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센서; 상기 움직임 센서에 의해 출입자가 감지되는 경우,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벤트 서버; 및 상기 카메라,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설비의 맵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알람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서버는: 상기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는 경우, 해당 알람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알람 로그를 생성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맵 서버는: 상기 알람 로그를 기반으로 다수의 움직임 센서 중 상기 알람 이벤트의 발생 빈도에 따라 기 설정된 개수의 움직임 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움직임 센서를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맵 서버는: 상기 움직임 센서의 위치가 표시된 설비 맵에서 상기 선택된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구역을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맵 서버는: 상기 알람 메시지에 응답하여 입력장치를 통해 해당 알람 메시지가 잘못된 알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응답을 입력받고, 상기 이벤트 서버는: 상기 확인 응답을 기반으로 해당 알람 이벤트의 정상 또는 비정상 여부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오작동 로그를 생성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맵 서버는: 상기 오작동 로그를 기반으로 다수의 움직임 센서 중 비정상인 알람 이벤트의 발생 빈도에 따라 기 설정된 개수의 움직임 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움직임 센서를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맵 서버는: 상기 움직임 센서의 위치가 표시된 설비 맵에서 상기 선택된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구역을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각각에 매칭되어 해당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집, 처리 및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부에 의해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 매칭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조립하는 수집 조립부; 상기 조립된 영상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조립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를 통해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하거나,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영상 처리부는: 상기 수집 조립부, 상기 처리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스토리지 사이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큐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큐 메모리는: 상기 수집 조립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처리부로 출력하는 제 1 큐 메모리; 상기 처리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로 출력하는 제 2 큐 메모리; 상기 저장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스토리지로 출력하는 제 3 큐 메모리;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전송부로 출력하는 제 4 큐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기 설정된 제 1 주기마다 상기 제 1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되, 상기 제 1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큐 메모리가 비워질 때까지 기 설정된 제 2 주기마다 상기 제 1 큐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처리하여 상기 제 2 또는 제 3 큐 메모리로 출력하고, 상기 제 1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기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기 설정된 제 1 주기마다 상기 제 2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되, 상기 제 2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2 큐 메모리가 비워질 때까지 기 설정된 제 2 주기마다 상기 제 2 큐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스토리지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기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는: 기 설정된 제 1 주기마다 상기 제 3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되, 상기 제 3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3 큐 메모리가 비워질 때까지 기 설정된 제 2 주기마다 상기 제 3 큐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제 3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기할 수 있다.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는: 다수의 영상 처리부에 포함된 상기 제 4 큐 메모리와 상기 전송부 사이에 구비되어 다수의 제 4 큐 메모리 각각을 상기 전송부에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기 설정된 제 3 주기마다 상기 전송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 4 큐 메모리를 변경하여 상기 다수의 제 4 큐 메모리 전부에 대하여 각각 상기 전송부에 연결한 뒤, 기 설정된 시간만큼 대기할 수 있다.
상기 삭제부는: 상기 각각의 영상 처리부에 의해 단일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 순서대로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입출력 데이터, 센서 데이터 등 설비 관제에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하나의 메인 컴퓨터인 맵 서버에서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을 위해 설비에 카메라, 스피커 및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처리부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토리지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영상 처리부와 전송부 간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저장하고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기', '~블록',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기', '~블록',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1)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1)은 카메라(11), 스피커(12) 및 움직임 센서(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는 설비의 보안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기기이다. 상기 스피커(12)는 설비의 보안을 위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기기이다. 상기 움직임 센서(13)는 설비에 대한 출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출입 감지 센서이다. 예를 들어, 상기 움직임 센서(13)는 펜스와 같은 시설의 외곽 경계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지함으로써 침입자를 확인할 수 있는 압전 진동 감지 센서(예: peridec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 상기 스피커(12) 및 상기 움직임 센서(13)는 관제 대상에 해당하는 설비의 외곽 경계뿐만 아니라 내부 보안 구역에도 설치되어 설비의 보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관제 대상 설비에는 상기 카메라(11), 상기 스피커(12) 및 상기 움직임 센서(13)가 하나 이상 설치되고 중계기(20)를 통해 후술하는 맵 서버(50)와 연결되어 설비의 보안 유지를 위해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을 위해 설비에 카메라(11), 스피커(12) 및 움직임 센서(13)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11), 상기 스피커(12) 및 상기 움직임 센서(13)는 설비의 울타리와 같은 외곽 경계에서 다수의 구역에 설치되어 보안과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11)는 설비의 외곽 경계에서 해당 카메라가 설치된 구역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12)는 설비의 외곽 경계에서 해당 스피커가 설치된 구역에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움직임 센서(13)는 설비의 외곽 경계에서 해당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구역에 침입자가 들어와 진동이나 압력이 감지되면 그에 관한 감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비는 보안을 위해 상기 카메라(11), 상기 스피커(12) 및 상기 움직임 센서(13)가 모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이 보안 기기들 중 일부만 설치되어 보안 유지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1)은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30), 이벤트 서버(40) 및 맵 서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30)는 설비의 보안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60)로 분배한다. 상기 이벤트 서버(40)는 상기 움직임 센서(13)에 의해 출입자가 감지되는 경우, 알람 이벤트를 발생한다. 상기 맵 서버(50)는 상기 카메라(11), 상기 스피커(12) 및 상기 움직임 센서(13)가 설치된 설비의 맵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서버(40)로부터 알람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서버(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벤트 서버(40)는 다수의 움직임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 센서에 의해 출입자가 감지되는 경우(S610에서 예),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고(S620), 해당 알람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알람 로그를 생성하여 스토리지(41)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맵 서버(50)는 상기 알람 로그를 기반으로 다수의 움직임 센서 중 상기 알람 이벤트의 발생 빈도에 따라 기 설정된 개수의 움직임 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움직임 센서를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맵 서버(50)는 설비에 설치된 다수의 움직임 센서 중에서 알람 이벤트의 발생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기 설정된 개수의 움직임 센서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움직임 센서를 나타내는 정보, 예컨대 해당 움직임 센서의 이름 또는 식별자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맵 서버(50)는 상기 움직임 센서의 위치가 표시된 설비 맵에서 상기 선택된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구역을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맵 서버(50)는 설비 맵에서 알람 이벤트의 발생 빈도가 높은 기 설정된 개수의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구역을 기 설정된 색깔로 표시하거나 점멸시켜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서버(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맵 서버(50)는 상기 이벤트 서버(40)로부터 알람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고(S710), 상기 알람 메시지에 응답하여 입력장치를 통해 해당 알람 메시지가 잘못된 알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응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S720). 이 경우, 상기 이벤트 서버(40)는 상기 확인 응답을 기반으로 해당 알람 이벤트의 정상 또는 비정상 여부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오작동 로그를 생성하여 스토리지(41)에 저장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맵 서버(50)는 상기 이벤트 서버(40)의 알람 이벤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알람 메시지에 대하여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해당 알람 메시지가 잘못된 알람인지 또는 제대로 된 알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응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 서버(40)는 상기 확인 응답을 기반으로 해당 알람 이벤트가 정상인지 또는 비정상인지 여부를 기록한 오작동 로그를 생성하여 스토리지(41)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맵 서버(50)는 상기 오작동 로그를 기반으로 다수의 움직임 센서 중 비정상적인 알람 이벤트의 발생 빈도에 따라 기 설정된 개수의 움직임 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움직임 센서를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맵 서버(50)는 설비에 설치된 다수의 움직임 센서 중에서 비정상적인 알람 이벤트의 발생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기 설정된 개수의 움직임 센서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움직임 센서를 나타내는 정보, 예컨대 해당 움직임 센서의 이름 또는 식별자를 출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맵 서버(50)는 상기 움직임 센서의 위치가 표시된 설비 맵에서 상기 선택된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구역을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맵 서버(50)는 설비 맵에서 비정상적인 알람 이벤트의 발생 빈도가 높은 기 설정된 개수의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구역을 기 설정된 색깔로 표시하거나 점멸시켜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30)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3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부(310), 전송부(320) 및 삭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 각각에 매칭되어 해당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집, 처리 및 저장한다. 상기 전송부(3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부(310)에 의해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60)에 전송한다. 상기 삭제부(3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부(310)에 의해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부(310)는 설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1)에 매칭되며, 예컨대 하나의 카메라(11)에 하나의 영상 처리부(310)가 매칭되어 해당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그에 매칭된 영상 처리부(310)가 수집하고, 처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310)는 상기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30)에 포함된 프로세서(예컨대, CPU, GPU 등)에서 스레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3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영상 처리부(310)는 수집 조립부(311), 저장부(312) 및 처리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 조립부(311)는 상기 영상 처리부(310)에 매칭된 카메라(1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조립한다. 상기 저장부(312)는 상기 조립된 영상 데이터를 스토리지(31)에 저장한다. 상기 처리부(313)는 상기 조립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312)를 통해 상기 스토리지(31)에 저장하거나,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부(320)로 전달하도록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상기 수집 조립부(311)는 카메라(11)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패킷을 결합하여 기 설정된 사이즈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킷이 결합되어 생성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처리부(313)를 거쳐 스토리지(31)에 저장되거나 전송부(320)로 전달된다.
나아가, 상기 각각의 영상 처리부(310)는 상기 수집 조립부(311)와 상기 처리부(313)와 상기 저장부(312)와 상기 스토리지(31) 사이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큐(queue)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큐 메모리는 상기 수집 조립부(311)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처리부(313)로 출력하는 제 1 큐 메모리(Q1), 상기 처리부(313)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312)로 출력하는 제 2 큐 메모리(Q2), 상기 저장부(312)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스토리지(31)로 출력하는 제 3 큐 메모리(Q3), 및 상기 처리부(313)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전송부(320)로 출력하는 제 4 큐 메모리(Q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영상 처리부(310)는 영상 처리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사이에 큐 메모리를 개재시켜 구성요소들 간에 영상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큐 메모리는 선입선출 방식으로 구동되어 앞선 구성요소에서 가장 먼저 입력된 영상 데이터가 다음 구성요소로 가장 먼저 출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처리부(313)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처리부(313)는 기 설정된 제 1 주기마다 상기 제 1 큐 메모리(Q1)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되(S310), 상기 제 1 큐 메모리(Q1)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S320에서 예), 상기 제 1 큐 메모리(Q1)가 비워질 때까지 기 설정된 제 2 주기마다 상기 제 1 큐 메모리(Q1)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처리하여(S330) 상기 제 2 또는 제 3 큐 메모리(Q2, Q3)로 출력하고, 상기 제 1 큐 메모리(Q1)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S320에서 아니오)에는 제 1 주기만큼 대기할 수 있다(S350).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주기는 10 ms이고 상기 제 2 주기는 1 ms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312)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312)는 기 설정된 제 1 주기마다 상기 제 2 큐 메모리(Q2)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되(S410), 상기 제 2 큐 메모리(Q2)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S420에서 예), 상기 제 2 큐 메모리(Q2)가 비워질 때까지 기 설정된 제 2 주기마다 상기 제 2 큐 메모리(Q2)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스토리지(31)로 출력하고(S430), 상기 제 2 큐 메모리(Q2)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S420에서 아니오)에는 제 1 주기만큼 대기할 수 있다(S440).
이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토리지(31)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리지(31)는 기 설정된 제 1 주기마다 상기 제 3 큐 메모리(Q3)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되(S510), 상기 제 3 큐 메모리(Q3)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S520에서 예), 상기 제 3 큐 메모리(Q3)가 비워질 때까지 기 설정된 제 2 주기마다 상기 제 3 큐 메모리(Q3)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고(S530), 상기 제 3 큐 메모리(Q3)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S520에서 아니오)에는 제 1 주기만큼 대기할 수 있다(S540).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영상 처리부(310)에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상기 수집 조립부(311), 상기 저장부(312), 상기 처리부(313) 그리고 상기 전송부(320) 사이에 상기 제 1 내지 제 4 큐 메모리(Q1, Q2, Q3, Q4)를 개재시켜 구성요소들 간에 큐 메모리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전달함으로써, 각각의 구성요소마다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여 구성요소들 간에 상호 의존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들의 전체 작동 시간 중 유휴 시간이 증가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30)에 구비된 CPU와 같은 프로세서의 사용률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상기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30)의 열 발생량이 감소하고 하드웨어의 가용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영상 처리부(310)와 전송부(320) 간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30)는 다수의 영상 처리부(310)와 전송부(320) 사이에 스위치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340)는 다수의 영상 처리부(310)에 포함된 상기 제 4 큐 메모리(Q4)와 상기 전송부(320) 사이에 구비되어 다수의 제 4 큐 메모리(Q4) 각각을 상기 전송부(320)에 순차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부(340)는 기 설정된 제 3 주기마다 상기 전송부(320)에 연결되는 상기 제 4 큐 메모리(Q4)를 변경한다. 그러고 나서, 상기 스위치부(340)는 상기 다수의 제 4 큐 메모리(Q4) 전부에 대하여 각각 상기 전송부(320)에 연결한 뒤, 기 설정된 시간만큼 대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송부(320)는 상기 스위치부(340)를 통해 다수의 영상 처리부(310)로부터 다수의 카메라(1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관리자 단말(6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카메라(1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스토리지(31)에 저장하고 삭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삭제부(330)는 상기 영상 처리부(310)에 의해 상기 스토리지(31)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한다.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30)는 하나의 스토리지(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영상 처리부(310)를 통해 다수의 카메라(1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단일의 스토리지(31)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단일의 스토리지(31)는 가장 먼저 제 1 영상 처리부를 통해 제 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그 다음으로 제 2 영상 처리부를 통해 제 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2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그 다음으로 제 3 영상 처리부를 통해 제 3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3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카메라 각각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해당 카메라에 매칭된 영상 처리부를 통해 전달받아 입력된 시간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스토리지(31)는 가장 최근에 제 1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한 상태이며 아직 빈 공간(E)이 남아 있다. 상기 스토리지(31)는 상기 가장 최근에 전달받은 제 1 영상 데이터 다음으로 다른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는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를 남은 빈 공간(E)에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삭제부(330)는 상기 스토리지(31)의 저장 공간이 가득찬 경우 상기 스토리지(31)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 순서대로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리지(31)의 저장 공간이 영상 데이터로 가득차 빈 공간(E)이 남아 있지 않게 되면, 상기 삭제부(330)는 스토리지(31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저장 순서가 빠른 빗금친 영상 데이터(D)를 삭제하여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30)는 다수의 카메라(1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카메라마다 별도로 마련된 스토리지 또는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카메라(1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 전체를 하나의 스토리지(31)에 입력 시간 순서대로 저장하고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일부를 저장 순서대로 삭제할 수 있다.
만약 다수의 카메라(11)마다 스토리지 또는 저장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여 카메라별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스토리지의 저장 공간이 동일하여도 각각의 카메라마다 같은 기간 동안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의 크기와 양이 상이하여 카메라별 스토리지마다 서로 다른 촬영 기간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카메라(11)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 전체를 하나의 스토리지(31)에 입력 시간 순서대로 저장하고 삭제할 때에는 스토리지(31)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일부를 저장 기간이 오래된 순서대로 삭제함으로써 다수의 카메라(11) 전체에 대해 동일한 촬영 기간만큼 영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비 관제 시스템(1)의 구동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설비 관제 시스템(1)의 구동 방법은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1: 설비 관제 시스템
11: 카메라
12: 스피커
13: 움직임 센서
20: 중계기
30: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
31: 스토리지
40: 이벤트 서버
41: 스토리지
50: 맵 서버
51: 스토리지
60: 관리자 단말
100: 설비 맵
200, 210, 220: 영상
310: 영상 처리부
311: 수집 조립부
312: 저장부
313: 처리부
320: 전송부
330: 삭제부
340: 스위치부
Q1: 제 1 큐 메모리
Q2: 제 2 큐 메모리
Q3: 제 3 큐 메모리
Q4: 제 4 큐 메모리

Claims (18)

  1. 설비의 보안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설비의 보안을 위한 음성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설비에 대한 출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센서;
    상기 움직임 센서에 의해 출입자가 감지되는 경우,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벤트 서버;
    상기 카메라,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설비의 맵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알람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맵 서버; 및
    설비의 보안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분배하는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각각에 매칭되어 해당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집, 처리 및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 매칭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조립하는 수집 조립부;
    상기 조립된 영상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조립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를 통해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하거나,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전송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수집 조립부, 상기 처리부, 상기 저장부 및 상기 스토리지 사이에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큐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큐 메모리는:
    상기 수집 조립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처리부로 출력하는 제 1 큐 메모리;
    상기 처리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로 출력하는 제 2 큐 메모리;
    상기 저장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스토리지로 출력하는 제 3 큐 메모리;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전송부로 출력하는 제 4 큐 메모리를 포함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서버는:
    상기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는 경우, 해당 알람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알람 로그를 생성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맵 서버는:
    상기 알람 로그를 기반으로 다수의 움직임 센서 중 상기 알람 이벤트의 발생 빈도에 따라 기 설정된 개수의 움직임 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움직임 센서를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맵 서버는:
    상기 움직임 센서의 위치가 표시된 설비 맵에서 상기 선택된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구역을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맵 서버는:
    상기 알람 메시지에 응답하여 입력장치를 통해 해당 알람 메시지가 잘못된 알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응답을 입력받고,
    상기 이벤트 서버는:
    상기 확인 응답을 기반으로 해당 알람 이벤트의 정상 또는 비정상 여부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오작동 로그를 생성하여 스토리지에 저장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맵 서버는:
    상기 오작동 로그를 기반으로 다수의 움직임 센서 중 비정상인 알람 이벤트의 발생 빈도에 따라 기 설정된 개수의 움직임 센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움직임 센서를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맵 서버는:
    상기 움직임 센서의 위치가 표시된 설비 맵에서 상기 선택된 움직임 센서가 설치된 구역을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부에 의해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삭제부를 포함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기 설정된 제 1 주기마다 상기 제 1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되,
    상기 제 1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큐 메모리가 비워질 때까지 기 설정된 제 2 주기마다 상기 제 1 큐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처리하여 상기 제 2 또는 제 3 큐 메모리로 출력하고,
    상기 제 1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기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기 설정된 제 1 주기마다 상기 제 2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되,
    상기 제 2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2 큐 메모리가 비워질 때까지 기 설정된 제 2 주기마다 상기 제 2 큐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스토리지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기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는:
    기 설정된 제 1 주기마다 상기 제 3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되,
    상기 제 3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3 큐 메모리가 비워질 때까지 기 설정된 제 2 주기마다 상기 제 3 큐 메모리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제 3 큐 메모리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기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15. 청구항 12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기는 상기 제 1 주기보다 짧게 설정되는 설비 관제 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분배 서버는:
    다수의 영상 처리부에 포함된 상기 제 4 큐 메모리와 상기 전송부 사이에 구비되어 다수의 제 4 큐 메모리 각각을 상기 전송부에 순차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기 설정된 제 3 주기마다 상기 전송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 4 큐 메모리를 변경하여 상기 다수의 제 4 큐 메모리 전부에 대하여 각각 상기 전송부에 연결한 뒤, 기 설정된 시간만큼 대기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18.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삭제부는:
    상기 각각의 영상 처리부에 의해 단일의 스토리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 순서대로 삭제하는 설비 관제 시스템.
KR1020190005927A 2019-01-16 2019-01-16 설비 관제 시스템 KR102037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927A KR102037025B1 (ko) 2019-01-16 2019-01-16 설비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927A KR102037025B1 (ko) 2019-01-16 2019-01-16 설비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025B1 true KR102037025B1 (ko) 2019-11-27

Family

ID=6872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927A KR102037025B1 (ko) 2019-01-16 2019-01-16 설비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0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4679A (ja) * 2000-03-28 2001-12-14 Digital Security System & Technology:Kk 離隔的な監視・防犯システム
JP2007128283A (ja) * 2005-11-04 2007-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防犯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880211B1 (ko) * 2007-04-23 2009-01-28 뉴론에스 주식회사 통합관제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4679A (ja) * 2000-03-28 2001-12-14 Digital Security System & Technology:Kk 離隔的な監視・防犯システム
JP2007128283A (ja) * 2005-11-04 2007-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防犯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880211B1 (ko) * 2007-04-23 2009-01-28 뉴론에스 주식회사 통합관제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6690B2 (en) Event management system
EP1073964B1 (en) Efficient pre-alarm buffer management
US20050146606A1 (en) Remote video queuing and display system
JP5217106B2 (ja) 映像監視システム、監視映像の異常検出方法及び監視映像の異常検出プログラム
JP2003216229A (ja) 遠隔制御管理システム
JP6415061B2 (ja)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68074B1 (ko) 센서 연동 데이터 다중 관리장치
KR101747213B1 (ko) 시나리오 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JP5202419B2 (ja) 警備システムおよび警備方法
KR102299704B1 (ko) 재난환경 메타데이터 연계를 통한 스마트 딥러닝 영상감시 시스템
KR102037025B1 (ko) 설비 관제 시스템
JP2001045474A (ja) ディジタル画像記録システム
JP4709566B2 (ja) 遠隔監視装置及び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60087986A (ko) 영상 출력 시스템 및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49574B1 (ko) 북마크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5215996A (ja) 監視映像管理装置、および監視映像管理方法
KR101981027B1 (ko) 설비 관제 시스템
JP2002230654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200089580A (ko) 설비 관제 시스템
JP5639575B2 (ja) 映像監視システム
KR101733321B1 (ko) 다중 카메라 환경에서 이벤트 인식을 위한 컴포넌트 기반 통합 실시간 감시 시스템
KR20060123818A (ko) 자동 팝업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23632A (ko) 이벤트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분배 방법
JP4983628B2 (ja) 監視装置、監視方法、及び監視プログラム
JPH09198577A (ja) マルチメディア防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