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905B1 -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 Google Patents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905B1
KR102036905B1 KR1020180046742A KR20180046742A KR102036905B1 KR 102036905 B1 KR102036905 B1 KR 102036905B1 KR 1020180046742 A KR1020180046742 A KR 1020180046742A KR 20180046742 A KR20180046742 A KR 20180046742A KR 102036905 B1 KR102036905 B1 KR 10203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bed
soil
plate
boundary block
bed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346A (ko
Inventor
임동영
Original Assignee
임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영 filed Critical 임동영
Publication of KR20190117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26Picket fences

Abstract

본 발명은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단의 경계를 따라 설치되는 화단경계블록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중공말뚝과; 상기 중공말뚝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화단 내의 토사에 의해 상승압력을 받는 차단판;으로 구성되어, 화단 내 토사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Description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Apparatus preventing soil outflow for flower garden boundary block}
본 발명은 토사유출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단의 경계선상을 따라 배치되는 화단경계블록에 설치되어 화단 내 토사가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화단은 꽃이나 수목 등을 심기 위해서 특별히 구획하여 마련된 장소에 조성되거나 또는 가로수와 같은 것을 도로변에 식재하기 위하여 조성하는 것으로서, 도시의 발달과 함께 공원ㅇ광장ㅇ도로변ㅇ학교ㅇ유원지 및 개인주택의 정원 등에 만들어진다.
화단을 다른 부분과 구분하기 위해서 화단의 테두리에는 울타리를 설치하거나 경계블록을 놓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울타리나 경계블록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심미감을 불러일으키도록 하는 화단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미관을 고려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단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토사를 지표면보다 높이 쌓아 올려 토둔(土屯)을 형성하고 이 토둔의 가장자리에 경계블록을 설치한 후 토둔에 꽃이나 수목을 식재함으로써 화단을 완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화단을 조성한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수목이 성장을 하면 토둔 내에 위치한 수목의 뿌리가 굵어져 수목 뿌리 자체의 부피가 커지게 되면서, 수목 뿌리에 밀려 그만큼 화단 내의 토둔 높이가 높아지고 이로 인하여 화단 내 흙이 경계블록을 타고 넘어가 화단 밖으로 유출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더불어, 화단 내에 식재된 수목이 성장하면 수목이 무거워지고 이러한 수목의 무게 증가에 의해 아래쪽으로 큰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수목 주위의 토사가 화단의 경계블록 쪽으로 밀려 나가게 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회양목이나 조경석을 화단 주위에 둘러서 배치하기도 하는데, 회양목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일반 수목과 마찬가지로 회양목이 성장하면서 굵어진 뿌리에 의해 화단 내의 토사가 경계블록 밖으로 밀려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회양목의 잎이 떨어져 낙엽이 되면서 주변이 어지러워지는 문제가 있고, 조경석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설치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많은 추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가로수와 같은 경우에는 스틸 재질의 가로수 보호커버를 가로수 주위에 배치하여 가로수 주위의 토사를 강하게 누름으로써 토사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가로수 보호커버의 가격이 워낙 고가라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틸 재질이어서 자연친화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KR 20-034010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꽃이나 수목이 식재된 화단 내의 토사가 화단 밖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여 토사에 의해 화단 주변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목 성장에 따라 화단 내의 토둔 높이가 높아질 때 이에 자동적으로 반응하여 함께 높아짐으로써 토사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는 화단의 경계를 따라 설치되는 화단경계블록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중공말뚝과; 상기 중공말뚝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봉과; 상기 삽입봉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화단 내의 토사에 의해 상승압력을 받는 차단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은 화단의 토양면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정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의 상부 끝단에는 보조판이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공말뚝은 양측면에 체결편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편은 볼트에 의해 상기 화단경계블록의 측면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차단판은 상기 화단경계블록이 평판 형태로 형성될 때 평판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화단경계블록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때 동일한 곡률을 곡면 형태로 제작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는 화단의 경계를 따라 설치되는 화단경계블록의 측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상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화단 내의 토사에 의해 상승압력을 받는 차단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판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화단경계블록에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는 앵커볼트가 설치되어, 상기 체결판이 상기 앵커볼트에 관통된 상태로 상하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은 화단의 토양면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정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판의 상부 끝단에는 보조판이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판과 차단판은 상기 화단경계블록이 평판 형태로 형성될 때 평판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화단경계블록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때 동일한 곡률을 곡면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는 화단 내 토둔의 높이가 높아져서 차단판이 화단 내 토사로부터 상승압력을 받으면 차단판이 위쪽으로 상승함으로써 화단 내 토사가 화단경계블록을 타고 넘어가서 화단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렇게 토사의 유출이 방지됨으로써 화단 주변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차단판을 화단쪽으로 경사지게 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함으로써 화단의 토사 높이가 높아질 때 그 토사에 의한 상승압력을 차단판이 직접 받게 하여, 상승압력에 의해 차단판이 스스로 위쪽으로 상승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토사가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작업자가 직접 차단판의 높이를 올려줄 필요가 없어서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차단판의 상단에 보조판이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차단판을 타고 넘어가는 토사도 보조판으로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화단경계블록의 형상에 대응되게 차단판과 체결판이 평판 형태나 곡면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화단경계블록의 측면에 차단판과 체결판이 견고하게 밀착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화단경계블록에 설치하면 화단 내의 토사유실을 막을 수 있으므로, 기존의 화단 경계블록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에 보조판이 구비된 모습을 보인 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궁 보조판이 구비된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에 보조판이 구비된 모습을 보인 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2)는 화단경계블록(1) 내의 토둔(土屯)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하여 화단(F) 내의 토사를 막는 것으로서, 다수의 중공말뚝(10)과, 상기 중공말뚝(10)에 설치되는 다수의 삽입봉(20)과, 상기 삽입봉(20)의 상단에 형성되어 화단경계블록(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차단판(30)로 구성된다.
상기 화단경계블록(1)은 화단(F)의 경계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단(F)과 그 주변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화단(F)이 차도에 접하는 곳에 조성될 경우에는 화단(F)과 차도를 구획하고, 화단(F)이 인도에 접하는 곳에 조성될 경우에는 화단(F)과 인도를 구획하며, 화단(F)이 건물의 옥상과 같은 곳에 형성될 경우에는 화단(F)과 그 주변지역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화단경계블록(1)은 대체로 자연석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한쪽 측면이 꽃이나 식물이 식재되는 토양과 접촉된다. 물론 합성수지나 목재 등으로 화단경계블록(1)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화단(F)은 위와 같이 보차도의 경계나 건물의 옥상과 같은 곳에 조성되는 것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고, 자연적으로 형성된 산과 언덕의 경사면이나 자연적 지형의 특정 지점에 화단경계블록(1)을 설치하여 구획된 곳도 화단(F)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상기 중공말뚝(10)은 화단경계블록(1)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된다. 부연하면, 중공말뚝(10)은 화단경계블록(1)의 측면 중에서 화단(F)의 토사와 접촉되는 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개방되어 안쪽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화단(F)의 토양에 용이하게 박힐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중공말뚝(10)은 양측면에 체결편(11)이 돌출 구비되는데, 이 체결편(11)은 화단경계블록(1)에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화단경계블록(1)의 측면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이와 같이 중공말뚝(10)은 볼트에 의해 화단경계블록(1)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액상의 실리콘이나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에 의해서 화단경계블록(1)의 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중공말뚝(10)은 각진봉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원형봉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봉(20)은 중공말뚝(10)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서, 중공말뚝(10)이 각진 형태로 제작되면 동일하게 각진 형태로 제작하고 중공말뚝(10)이 원형봉 형태로 제작되면 동일하게 원형봉 형태로 제작한다.
이러한 삽입봉(20)은 중공말뚝(1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하여, 차단판(30)이 화단(F) 내의 토사로부터 상승압력을 받아서 상승할 때 중공말뚝(10) 위쪽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판(30)은 삽입봉(2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화단경계블록(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화단(F) 내의 토사에 의해 상승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화단(F) 내 토둔이 높아졌을 때 차단판(30)의 측면은 화단(F) 내 토양과 접촉된다. 부연하면, 차단판(30)은 하나의 넓은 패널 형태로서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삽입봉(20)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하측부분(10a)이 화단(F) 내의 토양 속에 수직방향으로 매몰되어 있다.
이러한 차단판(30)의 상측부분은 화단경계블록(1)의 상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화단(F)의 토둔 높이보다도 높은 곳에 위치되기 때문에 화단(F)의 토사가 화단경계블록(1)의 상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화단(F)의 토사가 화단경계블록(1)의 상면을 타고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주변이 토사에 의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차단판(30)은 화단경계블록(1)의 상측으로 돌출될 때 화단(F)의 토양면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토양면 상측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일정곡률로 라운드진 곡면 형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화단경계블록(1)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차단판(30)은 상하방향으로 50 ~ 150mm 정도 이동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단(F) 내 토둔의 높이가 150mm까지 높아지더라도 차단판(30)은 화단(F) 내부의 토사가 화단경계블록(1)을 타고 넘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더불어, 화단(F) 내부의 토둔 높이가 지나치게 높아져 강제로 토둔의 높이를 낮추는 경우에는, 차단판(30)에 작용하던 상승압력이 사라지게 되므로 차단판(30)과 삽입봉(20)의 자중에 의하여 삽입봉(20)이 중공말뚝(10) 내부로 저절로 슬라이딩 삽입된다. 따라서 차단판(30)의 설치 높이도 저절로 낮아진다.
물론, 차단판(30)에 작용되는 상승압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차단판(30)과 삽입봉(20)이 저절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사람이 직접 수동으로 차단판(30)과 삽입봉(20)을 위로 상승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차단판(30)과 삽입봉(20)을 아래로 하강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판(30)의 상부 끝단에는 보조판(31)이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판(31)은 차단판(30)을 타고 넘어가는 토사를 막는 역할을 한다. 즉 보조판(31)은 차단판(30)으로 막지 못하는 토사의 유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더불어, 차단판(30)은 화단경계블록(1)의 측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화단경계블록(1)과 차단판(30) 사이에 빈틈이 없이 밀착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화단경계블록(1)의 형상에 대응되게 차단판(30)의 형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단경계블록(1)이 평판 형태로 형성되면 차단판(30)도 평판 형태로 제작하고, 화단경계블록(1)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제작되면 차단판(30)도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다.
이상,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에 대해 설명하였고, 아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궁 보조판이 구비된 모습을 보인 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2)는 화단경계블록(1) 내의 토둔(土屯)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하여 화단(F) 내의 토사를 막는 것으로서, 체결판(40)과, 상기 체결판(40)의 상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차단판(30)로 구성된다.
상기 화단경계블록(1)은 화단(F)의 경계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화단(F)과 그 주변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화단(F)이 차도에 접하는 곳에 조성될 경우에는 화단(F)과 차도를 구획하고, 화단(F)이 인도에 접하는 곳에 조성될 경우에는 화단(F)과 인도를 구획하며, 화단(F)이 건물의 옥상과 같은 곳에 형성될 경우에는 화단(F)과 그 주변지역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화단경계블록(1)은 대체로 자연석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한쪽 측면이 꽃이나 식물이 식재되는 토양과 접촉된다. 물론 합성수지나 목재 등으로 화단경계블록(1)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화단(F)은 위와 같이 보차도의 경계나 건물의 옥상과 같은 곳에 조성되는 것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고, 자연적으로 형성된 산과 언덕의 경사면이나 자연적 지형의 특정 지점에 화단경계블록(1)을 설치하여 구획된 곳도 화단(F)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상기 체결판(40)은 화단경계블록(1)의 측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부연하면, 체결판(40)은 화단경계블록(1)의 측면 중에서 화단(F)의 토사와 접촉되는 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화단경계블록(1)의 측면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은 폭을 갖는 넓은 패널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체결판(40)에는 화단경계블록(1)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앵커볼트(42)가 관통되는 상하방향으로 긴 체결홀(41)이 형성되고, 체결홀(41)을 통과한 앵커볼트(42)를 너트(43)로 체결함으로써 체결판(40)이 화단경계블록(1)의 측면에 설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체결판(40)은 상기 앵커볼트(42)에 관통된 상태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차단판(30)은 체결판(4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화단경계블록(1) 상측으로 돌출되어 화단(F) 내의 토사에 의해 상승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화단(F) 내 토둔이 높아졌을 때 차단판(30)의 측면은 화단(F) 내 토양과 접촉된다.
이러한 차단판(30)은 화단경계블록(1)의 상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될 뿐만 아니라 화단(F)의 토둔 높이보다도 높은 곳에 위치되기 때문에 화단(F)의 토사가 화단경계블록(1)의 상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화단(F)의 토사가 화단경계블록(1)의 상면을 타고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고 주변이 토사에 의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차단판(30)은 화단경계블록(1)의 상측으로 돌출될 때 화단(F)의 토양면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토양면 상측을 향해 경사진 상태에서 일정곡률로 라운드진 곡면 형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차단판(30)을 경사지게 형성시키거나 일정곡률로 라운드진 곡면 형태로 형성시키면, 화단(F)의 토사 높이가 높아질 때 차단판(30)이 토사로부터 상승압력을 받게 되고, 차단판(30)과 체결판(40)이 스스로 위쪽으로 상승 가능하다. 앞서 기재한 것처럼 체결홀(41)이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이기 때문에 체결판(40)이 상승할 때 앵커볼트(42)에 방해를 받지 않는다.
그리고, 화단경계블록(1)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차단판(30)은 상하방향으로 50 ~ 150mm 정도 이동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단(F) 내 토둔의 높이가 150mm까지 높아지더라도 차단판(30)은 화단(F) 내부의 토사가 화단경계블록(1)을 타고 넘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더불어, 화단(F) 내부의 토둔 높이가 지나치게 높아져 강제로 토둔의 높이를 낮추는 경우에는, 차단판(30)에 작용하던 상승압력이 사라지게 되므로 차단판(30)과 체결판(40)의 설치 높이도 함께 낮출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차단판(30)의 상부 끝단에는 보조판(31)이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판(31)은 차단판(30)을 타고 넘어가는 토사를 막는 역할을 한다. 즉 보조판(31)은 차단판(30)으로 막지 못하는 토사의 유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더불어, 체결판(40)은 화단경계블록(1)의 측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화단경계블록(1)과 체결판(40) 사이에 빈틈이 없이 밀착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화단경계블록(1)의 형상에 대응되게 체결판(40)과 차단판(30)의 형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단경계블록(1)이 평판 형태로 형성되면 체결판(40)과 차단판(30)도 평판 형태로 제작하고, 화단경계블록(1)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제작되면 체결판(40)과 차단판(30)도 동일한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다.
1: 화단경계블록 2: 토사유출 방지구
10: 중공말뚝 11: 체결편
20: 삽입봉 30: 차단판
31: 보조판 40: 체결판
41: 체결홀 42: 앵커볼트
43: 너트 F: 화단

Claims (12)

  1. 화단(F)의 경계를 따라 설치되는 화단경계블록(1)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중공말뚝(10)과;
    상기 중공말뚝(10)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봉(20)과;
    상기 삽입봉(2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화단(F) 내의 토사에 의해 상승압력을 받는 차단판(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차단판(30)은 화단(F)의 토양면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30)은 일정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30)의 상부 끝단에는 보조판(31)이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말뚝(10)은 양측면에 체결편(11)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편(11)은 볼트에 의해 상기 화단경계블록(1)의 측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30)은 상기 화단경계블록(1)이 평판 형태로 형성될 때 평판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화단경계블록(1)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때 동일한 곡률을 곡면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7. 화단(F)의 경계를 따라 설치되는 화단경계블록(1)의 측면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판(40)과;
    상기 체결판(40)의 상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화단(F) 내의 토사에 의해 상승압력을 받는 차단판(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판(40)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체결홀(41)이 형성되고, 상기 화단경계블록(1)에는 상기 체결홀(41)을 관통하는 앵커볼트(42)가 설치되어, 상기 체결판(40)이 상기 앵커볼트(42)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하 이동하되,
    상기 차단판(30)은 화단(F)의 토양면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30)은 일정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11.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30)의 상부 끝단에는 보조판(31)이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40)과 차단판(30)은 상기 화단경계블록(1)이 평판 형태로 형성될 때 평판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화단경계블록(1)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때 동일한 곡률을 곡면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KR1020180046742A 2018-04-06 2018-04-23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KR102036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0632 2018-04-06
KR1020180040632 2018-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346A KR20190117346A (ko) 2019-10-16
KR102036905B1 true KR102036905B1 (ko) 2019-10-25

Family

ID=6842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742A KR102036905B1 (ko) 2018-04-06 2018-04-23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9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18Y1 (ko) * 2013-09-16 2014-06-10 (주)아시아젠트라 도로변에 설치되는 직물시트 펜스
KR101423904B1 (ko) * 2014-05-14 2014-07-28 권정훈 제설제 차단막 지지장치
JP2017063780A (ja) * 2015-10-01 2017-04-06 角銅 秀光 蔦返し部材、及び防草蔦返し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04Y1 (ko) 2003-08-31 2004-01-31 변경진 화단 경계용 인조석 블럭
KR101314795B1 (ko) * 2010-09-02 2013-10-08 박호춘 자갈 및 토사의 도로 유실 방지용 화단
KR20120096658A (ko) * 2011-02-23 2012-08-31 박호춘 화단 유실 방지 부재
KR101508592B1 (ko) * 2013-01-22 2015-04-14 주식회사 라온이앤지 급수환경이 개선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식생 옹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018Y1 (ko) * 2013-09-16 2014-06-10 (주)아시아젠트라 도로변에 설치되는 직물시트 펜스
KR101423904B1 (ko) * 2014-05-14 2014-07-28 권정훈 제설제 차단막 지지장치
JP2017063780A (ja) * 2015-10-01 2017-04-06 角銅 秀光 蔦返し部材、及び防草蔦返し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346A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672B1 (ko) 식생수목 보호대
US20090038214A1 (en) Golf course bunker boundary protection system
US10064348B1 (en) Landscape border system
AU2016102334A4 (en) Downpipe Assembly
KR100648884B1 (ko) 암절개지사면 토사 및 조경식재 유실방지구조
US4589798A (en) Drainage system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2036905B1 (ko) 화단경계블록용 토사유출 방지구
JP7075031B2 (ja) 法面の施工方法とそれに用いるシート体
US5584602A (en) Method for landscape and hardscape edging
KR20130123266A (ko) 화분 난간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KR100756375B1 (ko) 와이어네트를 이용한 사면 보호 방법 및 그 장치
KR100542888B1 (ko) 건축물 단지의 비탈면 구조
KR20030062084A (ko) 법면보호블록
KR101277662B1 (ko) 인도의 변형이 방지되는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공법
CN211297871U (zh) 一种有机覆盖物防护装置
KR20060122367A (ko) 수목 생장용기 및 수목 식재방법
KR20130131053A (ko) 수목 보호용 덮개
US10893649B2 (en) Bracing and blocking apparatus for a variety of uses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KR101132766B1 (ko) 뿌리 성장 유도 수목보호대
KR102036903B1 (ko) 지지력이 좋은 토사유출 방지구
KR100747155B1 (ko) 보행자 통로확보를 위한 공동주택용 옹벽 전면배수덮개
KR101427336B1 (ko) 우수유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