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534B1 - 수지 이송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수지 이송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534B1
KR102036534B1 KR1020180014712A KR20180014712A KR102036534B1 KR 102036534 B1 KR102036534 B1 KR 102036534B1 KR 1020180014712 A KR1020180014712 A KR 1020180014712A KR 20180014712 A KR20180014712 A KR 20180014712A KR 102036534 B1 KR102036534 B1 KR 102036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ower mold
coolant
liquid storage
upp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973A (ko
Inventor
이호연
김선갑
홍윤
Original Assignee
재이물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이물산(주) filed Critical 재이물산(주)
Priority to KR102018001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5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sealing mea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33/0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29C2035/1616Cooling using liquids
    • B29C2035/1625Cooling using liquids other than water
    • B29C2035/165Cooling using liquids other than water liquified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는 하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상방에 배치되고, 하부금형과의 사이에 제품이 성형되는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금형과 결합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고,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진공홈부가 형성되고, 진공홈부에는 실링부가 배치되고,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액체저장부가 형성되고, 액체저장부는 액체저장부의 액체를 냉각시키는 냉각제공급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지 이송 성형장치{RESIN TRANSFER 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지 이송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의 냉각 시에 부피가 늘어나는 원리를 이용하여 금형과 제품 간의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는 수지 이송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틸 기반의 차체 재료는 경량화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가볍고 질기며 가공성이 우수한 섬유강화 플라스틱 수지(FRP)를 이용하여 차체 및 자동차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3-0105013호(2013. 09. 25. 공개, 발명의 명칭: 상하 금형을 이용한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수지 이송 성형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의 냉각 시에 부피가 늘어나는 원리를 이용하여 금형과 제품 간의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는 수지 이송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는: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금형과의 사이에 제품이 성형되는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금형과 결합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진공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홈부에는 실링부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액체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저장부는 상기 액체저장부의 액체를 냉각시키는 냉각제공급부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체저장부는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액체가 저장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상의 수용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저장부는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부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체저장부는 상기 제품에 대향되도록 상기 실링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액체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체저장부는 상기 실링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액체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체공급부에는 상기 액체저장부로 공급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하는 액체공급조절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제공급부는 상기 액체저장부에 저장된 액체가 고체화되도록 액체를 냉각하는 냉각제를 상기 액체저장부로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제공급부에는 상기 액체저장부로 공급되는 냉각제의 양을 조절하는 냉각제공급조절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제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제는 액체질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는 액체의 냉각 시에 부피가 늘어나는 원리를 이용하여 금형과 제품 간의 분리 또는 상하부금형 간의 분리를 쉽게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품이 금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금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의 하부금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의 상부금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의 하부금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는 하부금형(10), 상부금형(20), 액체공급부(30, 31), 냉각제공급부(40, 41)를 포함한다.
상부금형(20)은 하부금형(10)의 상방에 배치되고, 하부금형(10)과의 사이에 제품(P)이 성형되는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금형(10)과 결합된다.
수지 이송 성형장치(1)는 수지 이송 성형(RESIN TRANSFER MOLDING) 공법을 이용하여 제품(P)을 성형한다. 따라서 제품(P)의 외부 형상을 지닌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 사이의 성형공간 내에 제품 형상의 예비 성형체를 위치시킨 후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을 닫고 내부를 감압해서 수지 주입기(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액상의 수지를 주입한다. 이후 예비 성형체에 액체 수지가 주입된 상태로 경화되면서 원하는 형상의 섬유강화 플라스틱 제품이 제조된다.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진공홈부(11)가 형성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하부금형(10)에만 진공홈부(11)가 형성될 수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상부금형(20)에만 진공홈부(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 모두에 진공홈부(11, 2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에서 진공홈부(11)는 상하부금형(10, 20) 내부의 감압이 가능하도록 진공유로(도시 생략)를 통해 진공흡입장치(도시 생략)와 연결된다. 진공흡입장치의 작동에 의해 진공홈부(11) 내부의 공기가 진공유로를 통해 흡입되면,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이 서로 밀착된다.
진공홈부(11)는 제1진공홈부(11a)와, 제2진공홈부(11b)를 포함한다.
진공홈부(11)에는 실링부(12)가 배치된다. 실링부(12)는 제1실링부(12a)와 제2실링부(12b)를 포함한다. 제2실링부(12b)는 제1실링부(12a)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진공홈부(11)는 제1실링부(12a)를 기준으로 제1실링부(12a)의 내측은 제1진공홈부(11a)로, 제1실링부(12a)의 외측은 제2진공홈부(11b)로 구획된다.
진공홈부(11)에 제1실링부(12a)와 제2실링부(12b)에 의해 진공홈부(11) 상의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으므로, 진공 흡착 시에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 간의 밀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액체저장부(13, 14)가 형성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하부금형(10)에만 액체저장부(13, 14)가 형성될 수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상부금형(20)에만 액체저장부(23, 24)가 형성될 수 있으며,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 모두에 액체저장부(13, 14, 23, 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에서 액체저장부(13, 14)는 액체(L)가 저장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상의 수용홈부(13a, 14a)를 구비한다. 액체공급부(30, 31)는 액체저장부(13, 14)와 연결되어 수용홈부(13a, 14a)에 액체(L)를 공급한다.
액체저장부(13, 14)는 제품(P)에 대향되도록 실링부(12), 구체적으로 제1실링부(12a)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액체저장부(14)를 포함한다. 내부액체저장부(14)는 액체(L)가 수용되는 내부수용홈부(14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액체저장부(14)의 배치나 외곽 형상은 후술할 액체(L)의 고체화에 따른 부피 증가 시 제품(P)을 밀어낼 수 있도록 제품(P)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액체저장부(13, 14)는 상부금형(20)에 대향되도록 실링부(12), 구체적으로 제2실링부(12b)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액체저장부(13)를 포함한다. 외부액체저장부(13)는 액체(L)가 수용되는 외부수용홈부(13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액체저장부(13)의 배치나 외곽 형상은 후술할 액체(L)의 고체화에 따른 부피 증가 시 상부금형(20)을 밀어낼 수 있도록 상부금형(20)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액체공급부(30, 31)는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액체공급부(30, 31)는 액체저장부(13, 14)가 형성되는 하부금형(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로부터 액체(L)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액체공급부(30, 31)에는 액체저장부(13, 14)로 공급되는 액체(L)의 양을 조절하는 액체공급조절부(35, 36)가 설치된다. 액체공급조절부(35, 36)의 작동 제어에 따라 수용홈부(13a, 14a)로 공급되는 액체(L)의 양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액체(L)의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액체공급부(30, 31)를 통해 공급되어 액체저장부(13, 14)에 저장되는 액체(L)는 물일 수 있다. 또는 냉각제(N)에 의해 냉각되면서 부피가 증가하는 물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저장부(13, 14)는 냉각제공급부(40, 41)와 연결된다. 냉각제공급부(40, 41)는 액체저장부(13, 14), 즉 수용홈부(13a, 14a)에 냉각제(N)를 공급하여 수용홈부(13a, 14a)에 저장된 액체(L)를 냉각시킨다.
냉각제(N)가 공급됨에 따라 액체(L)는 냉각되면서 점차적으로 고체화된다. 일 예로 액체(L)가 물인 경우 냉각제(N)와 맞닿게 되는 물은 얼음으로 고체화되면서 부피가 커지게 된다.
냉각제(N)가 내부액체저장부(14)에 공급되면, 수용홈부(14a)에 저장된 액체(L)는 냉각제(N)에 의해 냉각되면서 고체화된다. 이하에서는 액체(L)가 고체화된 상태를 '고체화물질'이라 정의한다.
액체(L)가 수용홈부(14a)에 가득 채워진 경우 액체(L)가 냉각되면서 고체화물질이 되면 부피는 증가하게 되고, 증가된 부피만큼 수용홈부(14a)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외측으로 돌출된 고체화물질은 수용홈부(14a)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는 제품(P)을 밀어내게 된다.
고체화물질의 가압력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되면, 제품(P)은 하부금형(1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액체(L)가 고체화물질로 변하면서 부피가 커지게 되고, 이렇게 커진 부피에 비례하여 하부금형(10)으로부터 제품(P)을 이격시키는 힘이 증가하게 되므로, 제품(P)을 하부금형(10)으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고, 제품(P)의 분리 시에 제품(P)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냉각제(N)가 외부액체저장부(13)에 공급되면, 수용홈부(13a)에 저장된 액체(L)는 냉각제(N)에 의해 냉각되면서 고체화된다.
액체(L)가 수용홈부(13a)에 가득 채워진 경우 액체(L)가 냉각되면서 고체화물질이 되면 부피는 증가하게 되고, 증가된 부피만큼 수용홈부(13a)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외측으로 돌출된 고체화물질은 수용홈부(13a)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는 상부금형(20)을 밀어내게 된다 .
고체화물질의 가압력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되면, 상부금형(20)은 하부금형(1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액체(L)가 고체화물질로 변하면서 커진 부피에 비례하여 하부금형(10)으로부터 상부금형(20)을 밀어내는 힘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부금형(20)을 하부금형(10)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냉각제공급부(40, 41)는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냉각제공급부(40, 41)는 액체저장부(13, 14)가 형성되는 하부금형(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로부터 냉각제(N)를 제공받을 수 있다.
냉각제공급부(40, 41)에는 수용홈부(13a, 14a)로 공급되는 냉각제(N)의 양을 조절하는 냉각제공급조절부(45, 46)가 설치된다. 냉각제공급조절부(45, 46)의 작동 제어에 따라 수용홈부(13a, 14a)로 공급되는 냉각제(N)의 양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냉각제(N)의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냉각제공급부(40, 41)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제(N)는 액체질소일 수 있다. 액체질소 이외에 수용홈부(13a, 14a)에 저장된 액체(L)를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는 다른 물질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의 상부금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는 하부금형(10), 상부금형(20), 액체공급부(30, 31), 냉각제공급부(40, 41)를 포함한다. 이하 제2실시예의 수지 이송 성형장치의 구성 중 제1실시예의 수지 이송 성형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부금형(20)은 하부금형(10)의 상방에 배치되고, 하부금형(10)과의 사이에 제품(P)이 성형되는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금형(10)과 결합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는 진공홈부(21)가 상부금형(20)에 형성된다. 진공홈부(21)는 상하부금형(10, 20) 내부의 감압이 가능하도록 진공유로(도시 생략)를 통해 진공흡입장치(도시 생략)와 연결된다. 진공흡입장치의 작동에 의해 진공홈부(21) 내부의 공기가 진공유로를 통해 흡입되면,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이 서로 밀착된다.
진공홈부(21)는 제1진공홈부(21a)와, 제2진공홈부(21b)를 포함한다.
진공홈부(21)에는 실링부(22)가 배치된다. 실링부(22)는 제1실링부(22a)와 제2실링부(22b)를 포함한다. 제2실링부(22b)는 제1실링부(22a)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진공홈부(21)는 제1실링부(22a)를 기준으로 제1실링부(22a)의 내측은 제1진공홈부(21a)로, 제1실링부(22a)의 외측은 제2진공홈부(21b)로 구획된다.
진공홈부(21)에 제1실링부(22a)와 제2실링부(22b)에 의해 진공홈부(21) 상의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으므로, 진공 흡착 시에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 간의 밀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지 이송 성형장치에서 액체저장부(23, 24)는 상부금형(20)에 형성된다. 액체저장부(23, 24)는 액체(L)가 저장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상의 수용홈부(23a, 24a)를 구비한다. 액체공급부(30, 31)는 액체저장부(23, 24)와 연결되어 수용홈부(23a, 24a)에 액체(L)를 공급한다.
액체저장부(23, 24)는 제품(P)에 대향되도록 실링부(22), 구체적으로 제1실링부(22a)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액체저장부(24)를 포함한다. 내부액체저장부(24)는 액체(L)가 수용되는 내부수용홈부(24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액체저장부(24)의 배치나 외곽 형상은 후술할 액체(L)의 고체화에 따른 부피 증가 시 제품(P)을 밀어낼 수 있도록 제품(P)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액체저장부(23, 24)는 상부금형(20)에 대향되도록 실링부(22), 구체적으로 제2실링부(22b)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액체저장부(23)를 포함한다. 외부액체저장부(23)는 액체(L)가 수용되는 외부수용홈부(23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액체저장부(23)의 배치나 외곽 형상은 후술할 액체(L)의 고체화에 따른 부피 증가 시 하부금형(10)을 밀어낼 수 있도록 상부금형(20)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액체공급부(30, 31)는 액체저장부(23, 24)가 형성되는 상부금형(2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로부터 액체(L)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액체공급부(30, 31)에는 액체저장부(23, 24)로 공급되는 액체(L)의 양을 조절하는 액체공급조절부(35, 36)가 설치된다. 액체공급조절부(35, 36)의 작동 제어에 따라 수용홈부(23a, 24a)로 공급되는 액체(L)의 양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액체(L)의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액체공급부(30, 31)를 통해 공급되어 액체저장부(23, 24)에 저장되는 액체(L)는 물일 수 있다. 또는 냉각제(N)에 의해 냉각되면서 부피가 증가하는 물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저장부(23, 24)는 냉각제공급부(40, 41)와 연결된다. 냉각제공급부(40, 41)는 액체저장부(23, 24), 즉 수용홈부(23a, 24a)에 냉각제(N)를 공급하여 수용홈부(23a, 24a)에 저장된 액체(L)를 냉각시킨다.
냉각제(N)가 공급됨에 따라 액체(L)는 냉각되면서 점차적으로 고체화된다. 일 예로 액체(L)가 물인 경우 냉각제(N)와 맞닿게 되는 물은 얼음으로 고체화되면서 부피가 커지게 된다.
냉각제(N)가 내부액체저장부(24에 공급되면, 수용홈부(2a)에 저장된 액체(L)는 냉각제(N)에 의해 냉각되면서 고체화된다.
액체(L)가 수용홈부(2a)에 가득 채워진 경우 액체(L)가 냉각되면서 고체화물질이 되면 부피는 증가하게 되고, 증가된 부피만큼 수용홈부(24a)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외측으로 돌출된 고체화물질은 수용홈부(24a)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는 제품(P)을 밀어내게 된다.
고체화물질의 가압력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되면, 제품(P)은 상부금형(2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액체(L)가 고체화물질로 변하면서 부피가 커지게 되고, 이렇게 커진 부피에 비례하여 상부금형(20)으로부터 제품(P)을 이격시키는 힘이 증가하게 되므로, 제품(P)을 상부금형(20)으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고, 제품(P)의 분리 시에 제품(P)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냉각제(N)가 외부액체저장부(23)에 공급되면, 수용홈부(23a)에 저장된 액체(L)는 냉각제(N)에 의해 냉각되면서 고체화된다.
액체(L)가 수용홈부(23a)에 가득 채워진 경우 액체(L)가 냉각되면서 고체화물질이 되면 부피는 증가하게 되고, 증가된 부피만큼 수용홈부(23a)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외측으로 돌출된 고체화물질은 수용홈부(23a)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는 하부금형(10)을 밀어내게 된다 .
고체화물질의 가압력이 점차적으로 커지게 되면, 하부금형(10)은 상부금형(2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보다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액체(L)가 고체화물질로 변하면서 커진 부피에 비례하여 상부금형(20)으로부터 하부금형(10)을 밀어내는 힘이 증가하게 되므로, 하부금형(10)을 상부금형(20)으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냉각제공급부(40, 41)는 액체저장부(23, 24)가 형성되는 상부금형(2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로부터 냉각제(N)를 제공받을 수 있다.
냉각제공급부(40, 41)에는 수용홈부(23a, 24a)로 공급되는 냉각제(N)의 양을 조절하는 냉각제공급조절부(45, 46)가 설치된다. 냉각제공급조절부(45, 46)의 작동 제어에 따라 수용홈부(23a, 24a)로 공급되는 냉각제(N)의 양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냉각제(N)의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냉각제공급부(40, 41)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제(N)는 액체질소일 수 있다. 액체질소 이외에 수용홈부(23a, 24a)에 저장된 액체(L)를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는 다른 물질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금형과의 사이에 제품이 성형되는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금형과 결합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진공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홈부에는 실링부가 배치되고,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액체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액체저장부는 상기 액체저장부의 액체를 냉각시키는 냉각제공급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이송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부는 상기 하부금형과 상기 상부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액체가 저장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상의 수용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저장부는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공급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이송 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부는 상기 제품에 대향되도록 상기 실링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액체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이송 성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저장부는 상기 실링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액체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이송 성형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부에는 상기 액체저장부로 공급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하는 액체공급조절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이송 성형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공급부는 상기 액체저장부에 저장된 액체가 고체화되도록 액체를 냉각하는 냉각제를 상기 액체저장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이송 성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공급부에는 상기 액체저장부로 공급되는 냉각제의 양을 조절하는 냉각제공급조절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이송 성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제는 액체질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이송 성형장치.
KR1020180014712A 2018-02-06 2018-02-06 수지 이송 성형장치 KR102036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712A KR102036534B1 (ko) 2018-02-06 2018-02-06 수지 이송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712A KR102036534B1 (ko) 2018-02-06 2018-02-06 수지 이송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973A KR20190094973A (ko) 2019-08-14
KR102036534B1 true KR102036534B1 (ko) 2019-10-29

Family

ID=6762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712A KR102036534B1 (ko) 2018-02-06 2018-02-06 수지 이송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5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8385A (en) 1994-11-09 1996-05-2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pparatus for resin transfer molding
JP2006205375A (ja) 2005-01-25 2006-08-10 Sumitomo Chemical Co Ltd 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993086B1 (ko) 2006-05-17 2010-11-08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전자 부품의 수지 밀봉 성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5013A (ko) * 2012-03-16 2013-09-25 (주)선진오토텍 상하 금형을 이용한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수지 이송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8385A (en) 1994-11-09 1996-05-2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pparatus for resin transfer molding
JP2006205375A (ja) 2005-01-25 2006-08-10 Sumitomo Chemical Co Ltd 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993086B1 (ko) 2006-05-17 2010-11-08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전자 부품의 수지 밀봉 성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973A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0225B2 (en) Injection molding method
EP0317176B1 (en)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apparatus therefor and moldings produced thereby
US9457503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molded article of fiber-reinforced plastic
CN102325636B (zh) 注射发泡成形方法及其装置
US6287504B1 (en) Plastic mold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by injection molding
WO2007085910A3 (en) A method for coating an ophthalmic lens within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EP1844915A2 (en) Hot runner system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CA2555723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jection molding
EP0495614B1 (en) Method of injection molding a thermoplastic resin and a mold for injection molding
EP3702155B1 (en)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e product and composite product
US20100330227A1 (en) Mold including a locking device
JP2008513248A (ja) プラスチック製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2036534B1 (ko) 수지 이송 성형장치
JPH10278077A (ja) 射出成形品及びその成形方法
US20020153631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of molded parts having at least one cavity
JP2016112813A (ja) 中空成形品射出成形方法および中空成形品、並びに中空成形品射出成形システム
KR101051215B1 (ko) 구조화 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프로세스 및 몰드
WO2012172669A1 (ja) 射出成形用型装置および射出成形機
JP4233004B2 (ja) インモールドコート方法
JP4233005B2 (ja) インモールドコート方法
US202000789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hollow injection-moulded part
US6709625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of molded parts having at least one cavity
JP5424384B2 (ja) 鋳造方法
KR20180113936A (ko) 버어 제거가 가능한 성형 장치
JP4558222B2 (ja) 射出成形品の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