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374B1 -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투버클로시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투버클로시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374B1
KR102036374B1 KR1020180173952A KR20180173952A KR102036374B1 KR 102036374 B1 KR102036374 B1 KR 102036374B1 KR 1020180173952 A KR1020180173952 A KR 1020180173952A KR 20180173952 A KR20180173952 A KR 20180173952A KR 102036374 B1 KR102036374 B1 KR 102036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ldtm7411
lactobacillus paracasei
inflammatory bowel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철성
여소영
최인석
김병국
김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근당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173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5Paracasei
    • A23Y2220/63
    • C12R1/2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투버클로시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수탁번호 KCTC 18734P)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장내 스트레스 환경에 대한 내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는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투버클로시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Novel Lactobacillus paracasei strain having antimicrobial effect on Mycobacterium paratuberculosis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투버클로시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수탁번호 KCTC 18734P), 이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성 장 질환은 특발성 질환으로 소화기관에 만성 및 재발성 염증과 장 점막 조직에 손상이 유발되는 질환이다(Journal of Functional Foods, 2018, Vol. 47, pp. 304-315).
통상적으로 크론병(Crohn's disease, CD)과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을 염증성 장 질환으로 명명하며, 그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소견, 면역과 환경적 요인 및 일부 미생물(병원균)에 의해 발병한다고 제시되고 있다(The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2003, 197(1), 111-119).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벽의 면역 기능 이상 또는 장내 환경적 항원의 침입으로 인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증가와 병원균 감염 등으로 인한 장내 세균총의 장내 불균형(dysbiosis)이 주요한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장내 세균의 다양성이 저하되고 특정 공생 세균인 프로테오박테리아(Proteobacteria) 중 장내세균과(Enteribacteriaceae)의 과잉 증식 및 부착, 및 침습성 대장균(AIEC)과 마이코박테리움(Mycobacterium)과 같은 특정 병원균의 감염에 의해 장내 불균형이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유전적으로는 NOD2/CARD15 유전자의 변이와 염증성 사이토카인 IL-23R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환경적으로는 위생가설과 흡연 및 서구화된 식이습관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성 장 질환이 야기되는 원인 중 특정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발표되었으며, 염증성 장 질환의 병태생리학적인 측면에서 1차 또는 2차 병원체가 염증주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4, Vol.20(5), pp. 1192-1210).
몇몇 주요 원인균들 중 마이코박테리아(Mycobacterium)는 1913년 염증성 장 질환의 일종인 크론병의 원인으로 가정되었다. 특히 마이코박테리움 에이비움 파라튜버클로시스(Mycobacterium avium subsp. paratuberculosis, MAP) 균종은 동물 유래 병원체로 반추동물에서 요네병(Johne's Disease; JD)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회장 조직의 페이어스 패치(Peyer's patch)에 특이적으로 침입하여 대식세포에 감염되어 염증과 조직손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4, Vol.20(5), pp. 1192-1210; BMC Microbiology, 2013, Vol.13:8).
현재까지 많은 크론병 환자들이 장관 내 MAP균을 보유하고 있으며, 크론병의 바이오마커 중 하나인 종양괴사인자(TNF-α)의 높은 생성량과 연관이 있다고 밝혀져 있다(Gut Pathog., 2010, Vol.2(1):21; Dig Liver Dis., 2007, Vol.39(5), pp. 445-451; Inflamm Bowel Dis., 2011, Vol.17, pp. E140-E124; PLoS One, 2009, Vol.4, e5641). 따라서 대장염 동물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러한 MAP균을 처리하는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인체 장관 내 병원균의 일종인 헬리코박터(Helicobacter)는 영장류 동물모델을 통해 대장염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염증성 장 질환의 일종인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결장조직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분포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4, Vol.20(5), pp. 1192-1210; PLoS One, 2011, Vol.6, e17184).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또한 염증성 장 질환과 연관된 주요 미생물로 주목 받고 있으며, 특히 캄필로박터 제주니(Campylobacter jejuni) 균종은 전세계적으로 위장염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2011 Oct 25; 8(12):669-85). 이러한 캄필로박터 균은 급성 위장염 발생 후 염증성 장 질환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은 병원균으로, 현재까지 보고에 따르면 크론병 환자와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조직에 존재하며, 캄필로박터가 장 상피조직에 부착 및 침입하여 장내 공생균의 전좌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장관 면역에 영향을 미쳐 장내 염증이 유발되고 염증성 장 질환이 발병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J Food Prot. 2006 Apr; 69(4):768-74; Gut Pathog. 2009 Feb 3; 1(1):2).
점착 침습성 대장균(Adherent and invasive Escherichia coli, AIEC)은 크론병 환자에게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병원성 미생물이다. AIEC가 대장염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선모와 편모를 이용하여 숙주의 종양표지자의 일종인 CEACAM6(carcinoembryonic antigen-related cell adhesion molecule 6) 수용체에 부착한다. CEACAM6는 크론병 환자의 회장 조직에서 높게 발현되며, 다량의 TNF-α 분비를 유도한다. 또한 AIEC는 세포 사멸없이 대식세포에 침입하여 자가 복제하여 면역세포를 자극하고, 크론병의 지표인자인 TNF-α와 육아종의 생성을 유도한다(Mol Microbiol., 2003, Vol.43, pp. 781-794; J Clin Invest., 2011, Vol.121, pp. 966-975).
한편, 유산균의 항균 효과 및 체내 면역 조절 작용을 통한 염증성 질환 완화 효과가 확인되면서, 유산균을 이용한 대장염 예방 또는 증상을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특히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병원성 세균의 장내 부착을 방지하고, 젖산, 박테리오신과 같은 자체 항균 물질을 생산하여 병원성 세균의 침입을 막는다. 이러한 병원성 미생물에 의해 장내 불균형(dysbiosis)이 일어난 장내 균총을 조절하여 숙주의 특정 기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장내 균총과 장 점막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장 점막 부착능과 점액질 분비량, 뮤신(mucin)과 같은 방어물질의 생성 및 장 점막의 밀착 연접 보전(tight junction integrity)을 증가시켜 장 점막의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Current Drug Metabolism, 2009, Vol. 10, pp. 68-78).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비피도박테리움 종(Bifidobacterium sp),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Saccharomyces boulardii), 에세케리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Nissle1917 및 복합유산균 제품인 VSL#3가 가장 보편적으로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4, Vol.20(5), pp. 1192-1210). 특히 프로바이오틱스의 염증성 장 질환에 대한 효과는 외과 수술을 마친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낭염의 치료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Curr Gastroenterol Rep., 2006, Vol.8, pp. 486-498).
그러나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 미생물의 잠재적 효과에도 아직까지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작용기작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 결과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염증성 장 질환의 원인 미생물로 추정되는 MAP 균의 경우 매우 느리게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균체 배양 자체가 어렵고, 유산균과 배지 조성이 달라 공동 배양(co-culture)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항균력을 갖는 유산균의 개발이 어려운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008018호
본 발명자들은 향후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의 식품 및 의약품으로 응용이 가능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의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등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탁번호 KCTC 18734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를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의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향후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의 식품 및 의약품으로 응용이 가능한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의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등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8734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 이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수탁번호 KCTC 18734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은 공시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FC7과 99%의 상동성을 가지고, 양 균주간 1%의 상이성이 인정되어 신규한 균주로 판명되었다.
상기 수득된 신규한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로 명명하고, 2018년 10월 31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 18734P를 부여 받았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는 분변 시료로부터 분리 및 동정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균주의 균체 성상은 다음과 같다:
[그람 양성 막대모양 간균의 형태로, 유백색의 콜로니를 형성하며, 카탈레이즈 음성이다. 통성 헤테로발효 균종이며, 혐기 조건하에서 리보오스, 갈락토오스, D-글루코오스, D-프럭토오스, D-만노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α-메틸-D-글루코사이드, N-아세틸 글루코사민, 아미그달린, 알부틴, 에스쿨린, 살리신, 말토오스,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트레할로오스, 이눌린, 멜레지토오스, D-투라노오스, D-타가토오스, 글루코네이트 등의 탄소원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는 염증성 장 질환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위장관 내에 만성적인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복통, 발열, 설사, 하혈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염증성 장 질환은 크론병(Crohn's disease, CD),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 또는 베체트장염(intestinal Behet's diseas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염증성 장 질환의 원인균은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투버큘로시스(Mycobacterium paratuberculosis),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캄필로박터 콜라이(Campylobacter coli) 또는 에세케리아 콜라이(Escherichia coli)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는 살아 있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장내의 스트레스 환경에 내성을 가지고 있으며, 용혈 활성이 없으며, 장내에서 식품의 단백질 성분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 생체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다. 또한, EFSA의 기준에 부합하는 항생제 감수성이 확인되어 안전성이 확보되었으며, 우수한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수탁번호 KCTC 18734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수탁번호 KCTC 18734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상기 균주, 이의 배양물, 상기 균주를 단리 및/또는 정제한 균체 외에 균체를 포함하는 배양물, 균체의 추출물, 배양물 상층액, 이들의 농축액, 농축물, 건조물, 또한 필요에 따라서 희석액, 희석물 등이며, 배양액, 배양물을 처리하여 얻어지는 모든 상태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균주의 배양법, 추출법, 분리법, 농축법, 건조법, 희석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균주를 배양하기 위한 배지로는 통상적으로 탈지유, 훼이, 카제인 등의 우유 단백질, 당류, 효모 엑기스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배양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각종 호기적 또는 혐기적인 방법을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균주를 배양한 후에는 필요에 따라서 배양물이나 그 상층액을 농축, 건조, 희석 등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원심분리법이나 막분리법을 사용하여 배양물의 상층액과 균체를 분리하여 균체를 농축한 상태로 회수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균체에 초음파 처리나 효소 처리 등을 행하여 균체 내의 성분을 추출하거나, 배양물이나 그 상층액, 균체나 그 추출물 등을 건조할 수도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기의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활택제, 결합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붕해제로는 한천, 전분, 알긴산 또는 이의 나트륨염, 무수인산일수소 칼슘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활택제로는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또는 이의 마그네슘염 또는 칼슘염,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결합제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딘,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락토즈,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셀룰로오스. 글리신 등을 희석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등 혼합물,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감미제 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거나 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유산균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성분은 예컨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로는 모노사카라이드(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균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대추 추출액 또는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천연소재의 가공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상기 유산균 자체를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요거트, 발효유,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 본 발명의 유산균을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투버클로시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수탁번호 KCTC 18734P)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장내 스트레스 환경에 대한 내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항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는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산균의 용혈 비활성(γ-hemolysis)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산균의 생체 아민 생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산균의 병원성균(H. pylori ATCC, C. coli ATCC 33559T, E. coli K88)에 대한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병원성균인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튜버클로시스(M. paratuberculosis ATCC 19698)의 표준화 곡선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산균의 병원성균(M. paratuberculosis ATCC 19698)에 대한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산균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LDTM7411의 분리 및 동정
1-1. L. paracasei LDTM7411의 동정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활용 가능한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영유아의 분변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0.85%(w/v) NaCl 용액에 현탁하고 십진희석 후 0.2% 소듐 아자이드(sodium azide)를 첨가한 MRS(de Man Rogosa, and Sharpe, BD difco, USA) 고체 배지에 도말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5% CO2, 10% H2, 85% N2의 대기 조성으로 혐기 배양한 다음 순수 분리하였다. 최종 분리된 균주는 16S rRNA gene 영역을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1-2. L. paracasei LDTM7411의 당 대사 특성 확인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에 대하여 API CHL50 키트(BioMιrieux, Marcy l'Etoile, France)를 이용하여 당 대사 특성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는 리보오스, 갈락토오스, D-글루코오스, D-프럭토오스, D-만노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α-메틸-D-글루코사이드, N-아세틸 글루코사민, 아미그달린, 알부틴, 에스쿨린, 살리신, 말토오스,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트레할로오스, 이눌린, 멜레지토오스, D-투라노오스, D-타가토오스 및 글루코네이트의 당을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질 반응 기질 반응
Blank - 에스쿨린 +
글리세롤 - 살리신 +
에리트리톨 - 셀로비오스 -
D-아라비노오스 - 말토오스 +
L-아라비노오스 - 락토오스 +
리보오스 + 멜리비오스 -
D-자일로스 - 사카로오스 +
L-자일로스 - 트레할로오스 +
안도니톨 - 이눌린 +
β-메틸-자일로사이드 - 멜레지토오스 +
갈락토오스 + D-라피노오스 -
D-글루코오스 + 아미돈 -
D-프럭토오스 + 글리코겐 -
D-만노오스 + 자일리톨 -
L-소르보오스 - β-겐티오비오스 -
람노오스 - D-투라노오스 +
덜시톨 - D-릭소오스 -
이노시톨 - D-타가토오스 +
만니톨 + D-푸코오스 -
소르비톨 + L-푸코오스 -
α-메틸-D-만노사이드 - D-아라비톨 -
α-메틸-D-글루코사이드 w L-아라비톨 -
N-아세틸 글루코사민 + 글루코네이트 w
아미그달린 w 2-케토-글루코네이트 -
알부틴 + 5-케토-글루코네이트 -
1-3. L. paracasei LDTM7411의 효소 활성 확인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에 대하여 API ZYM 키트(BioMιrieux)를 이용하여 효소 활성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한 균주를 원심분리(15,000rpm, 8min, 4℃)하여 균체를 회수하고 1ХPBS로 2회 세척한 뒤, 0.85% NaCl 용액을 이용하여 흡광도(600nm) 약 1.0으로 희석하였다. API ZYM 스트립 각 큐플에 균액을 접종한 후, 37℃에서 호기 배양하였다. 4시간 뒤 각 큐플에 ZYM A, B 시약을 차례대로 한 방울씩 떨어뜨리고, 5분 후에 나타나는 색의 강도에 따라 0∼5로 점수를 기록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기질 반응 기질 반응
Blank 0 나프톨-AS-BI-포스포하이드롤레이스 1
알칼리포스파타제 1 α-갈락토시다아제 0
에스테레이스 (C4) 1 β-갈락토시다아제 1
에스테레이스 리파아제 (C8) 0 β-글루쿠로니다아제 0
류신 아릴아미다제 5 α-글루코시다아제 3
발린 아릴아미다제 4 β-글루코시다아제 0
크리스틴 아릴아미다제 1 N-아세틸-β-글루코사미니다아제 0
트립신 0 α-만노시다아제 0
α-키모트립신 0 α-푸코시다아제 0
산성포스파타아제 1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LDTM7411의 안전성 평가
2-1. L. paracasei LDTM7411의 용혈 활성 여부 확인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용혈 활성(γ-hemolysis)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β-hemolysis 활성을 갖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25923(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USA)을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5%(v/v)의 양 탈섬유소 혈액(Defibrinated Sheep Blood)이 첨가된 혈액 고체 배지(MB-B1005-P50, ㈜기산바이오)를 사용하였고, 각 균을 도말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혐기 배양 후 클리어 존(clear zone)의 생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양성 대조군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ATCC25923 균주는 클리어 존을 생성하였으나, 본 발명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는 클리어 존을 생성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는 용혈 활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2-2. L. paracasei LDTM7411의 생체 아민 생성 여부 확인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생체 아민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ATCC29212(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를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로모크레졸 퍼플(bromocresol purple)을 포함하는 탈탄산효소 배지(pH 5.3)(Sigma-aldrich, USA)에 생체 아민의 전구체인 히스티딘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histidine monohydrochloride), 티로신 유리 염기(tyrosine free base), 오르니틴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ornithine monohydrochloride) 및 라이신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lysine monohydrochloride)(각, Sigma-aldrich, USA)를 첨가하여 고체 배지를 제조하고, 상기 선별 균주들을 각각 도말하여 37℃에서 4일 동안 혐기 배양 후 배지가 알칼리 성분에 의해 보라색으로 변색되는지 확인하였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양성 대조군인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 ATCC29212 균주는 알칼리 성분에 의해 보라색으로 변색되었으나, 본 발명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는 변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는 생체 아민을 생성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3. L. paracasei LDTM7411의 항생제 내성 여부 확인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항생제 내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항생제 내성 실험은 특정 항생제의 농도가 1/2씩 희석된 15개의 농도로 구성된 M.I.C. Evaluator Strips(Oxoid, Cambridge, UK)을 사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유럽 식품안전청(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 2012), 동물 영약학 과학 위원회(Scientific Committee on Animal Nutrition; SCAN, 2002), 임상 검사 표준을 위한 국가 위원회(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 2010) 및 microbiological breakpoints(mg/l)(Danielsen and Wind, 2003) 기준을 함께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7종의 항생제를 하기 표 3과 같은 농도로 사용하였고,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최소 저해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확인을 위한 배지로 LAB susceptibility medium(LSM, Appl. Environ. Microbiol., 2005, Vol.71(12). pp. 8982-8986) 배지를 사용하였다. 항생제 내성 유무는 LSM 배지에 유산균을 도말한 후 항생제 스트립(Strip)을 올려 37℃, 호기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확인하였다.
항생제 농도 μg/ml 항생제 분류
Penicillin (PEN) 32 - 0.002 Penicillin
Ampicillin (AMP) 256 - 0.015 Penicillin
Gentamicin (GEN) 256 - 0.015 Aminoglycoside
Tetracycline (TET) 256 - 0.015 Tetracycline
Erythromycin (ERY) 256 - 0.015 Macrolides
Clindamycin (CLI) 256 - 0.015 Lincosamides
Vancomycin (VAN) 256 - 0.015 Glycopeptides
하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는 7종의 항생제에 대해 EFSA의 항생제 내성 기준 이하의 내성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내성 기준 (mg/L) MIC of LDTM7411
(mg/L)
항생제 EFSA SCAN NCCLS Danielsen
and Wind
AMP 4 2 or n.r. > 8 4 1
VAN n.r. 4 or n.r. ≥ 16 4 > 256
GEN 32 1 ≥ 16 128 8
ERY 1 4 ≥ 8 1~4 0.06
CLI 1 ≥ 2 0.5~32 0.06
TET 4 16 4~64 1
PEN > 8 4 0.5
n.r.: not required
*L. casei / paracasei breakpoints
한편, 반코마이신(Vancomycin)에 대한 파라카제이 균종의 내성은 항생제 내성 유전자에 의한 것이 아니라 균종 고유의 특성이므로, EFSA에서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의 반코마이신 내성 자료를 따로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는 항생제 내성에 대한 우려가 없는 안전한 균주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LDTM7411의 장내 적합성 평가
3-1. L. paracasei LDTM7411의 내산성 및 내담즙성 여부 확인
프로바이오틱 균주로써의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장내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내산성 및 내담즙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먼저, 내산성은 일반적인 사람의 위장관 내 pH(2.0-4.0, Biopharm Drug Dispos., 1995, Vol.16(5), pp. 351-380)를 기준으로 하여, pH 3.0 조건에서 유산균주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산을 이용하여 pH 3.0으로 조절한 0.05% L-cysteine hydrochloride MRS 액체 배지(BD difco, USA)에 상기 균주를 1% 접종한 후 초기 균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PBS에 십진 희석한 후 0.05% L-cysteine hydrochloride MRS 고체 배지에서 drop plate(DP) 법으로 생균을 계수하였고, 같은 접종물을 2시간 동안 37℃에서 혐기 배양한 후 초기 유산균주의 생균수(CFU/ml 0h) 대비 2시간 배양 후의 생균수(CFU/ml 2h)를 기반으로 생존율(%, Survival rate)을 산출하였다.
내산성(생존율, %)=
Figure 112018132427114-pat00001
다음으로, 내담즙성은 0.3% Oxgall이 첨가된 0.05% L-cysteine hydrochloride MRS 배지(BD difco)에 신규한 균주를 1% 접종하여 37℃에서 혐기 배양하고 12시간 후 분광 광도계로 60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 후, 일반 MRS 배지 생장 대비 Oxgall 첨가 배지의 생장율(%)을 계산하였다. 이때, Oxgall이 첨가되지 않은 MRS 배지에 동일한 조건을 적용하여 대조군(control)으로 사용하였다.
내담즙성(생장율, %)=
Figure 112018132427114-pat00002
하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는 89.8%의 내산성과 70.3%의 내담즙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train 내산성 (%) 내담즙성 (%)
L. paracasei LDTM7411 89.8% 70.3%
3-2. L. paracasei LDTM7411의 소화액 내성 여부 확인
상기 실시예 3-1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장내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람의 장내 환경을 구현한 인공 소화액에 대한 내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L. rhamnosus GG, LGG)를 사용하였으며,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공 소화액 물질과 소화 효소를 포함한 4가지 합성액(synthetic juice)을 이용하였다(Appl. Microbiol Biotechnol, 2016, Vol. 100(23), pp. 10043-10054).
Inorganic solution Organic solution Digestive constituents Incubation factors
saliva juice(Mouth) KCl 89.6 g l-1
NaCl 175.3 g l-1
KSCN 20 g l-1
NaH2PO488.8gl-1
Na2SO457gl-1
NaOH 40 g l-1
urea 25 g l-1 α-amylase
Uric acid
Mucin
Initial pH: 6.5± 0.2
Incubation 5 min
gastric juice(Stomach) KCl 89.6 g l-1
NaCl 175.3 g l-1
NaH2PO488.8gl-1
NH4Cl30.6gl-1
CaCl2·2H2O22.2gl-1
HCl 37% g g-1
urea 25 g l-1
glucose 65 g l-1
glucuronic acid 2 g l-1
glucoseamine- hydrochloride 33 g l-1
Bovine serum albumin
Pepsin
Mucin
Total pH: 3.5± 0.2
Incubation 1.5 h
duodenal&bile juice(Intestine) KCl 89.6 g l-1
NaCl 175.3 g l-1
NaHCO384.7gl-1
KH2PO48gl-1
MgCl25gl-1
HCl 37% g g-1
KCl 89.6 g l-1
NaCl 175.3 g l-1
NaHCO384.7gl-1
HCl 37% g g-1
CaCl2·2H2O 44.4gl-1
urea 50 g l-1 Bovine serum albumin
Pancreatin
Lipase
Bile bovine
Total pH: 6.9± 0.2
Incubation 2 h
보다 구체적으로, MRS 액체배지에 밤새도록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배양물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하고 1ХPBS로 세척하였다. 균체를 saliva juice로 현탁한 후 5분 동안 상온에서 배양하고, gastric juice를 첨가하여 37℃에서 혐기 배양하였다. 90분 후 duodenal&bile juice 및 NaHCO3를 첨가하고 37℃에서 2시간 동안 혐기 배양하였다. 각 0, 1.5, 3.5시간에 샘플을 100μl씩 회수하여 10배 단계 희석한 후 MRS 고체 배지에서 생균수를 측정하고, 0시간 대비 3.5시간의 균수 생존율을 산출하였다.
소화액 내성(생존율, %)=
Figure 112018132427114-pat00003
하기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는 68%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상업용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55.9%) 보다 12% 이상 우수한 소화액 내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균주 소화액 내성(3.5시간 생존율, %)
L. rhamnosus GG 55.9
L. paracasei LDTM7411 68
3-3. L. paracasei LDTM7411의 장 부착능
상기 실시예 3-1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장내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코카시안 성인 대장에서 분리한 대장 선암종-유래 HT-29 세포주(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 Korea)에서 장 부착능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대장 질환에 효과적인 상업용 균주로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L. rhamnosus GG, LGG)(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를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HT-29 세포를 12-웰 플레이트에 접종(seeding)하여 단층(monolayer)이 될 때까지 약 4-7일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HT-29 세포는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1640(RPMI 1640) 배지(Gibco, Carlsbad, CA, USA)를 기본으로 하고, 10% 열 비활성화(heat-inactivated) FBS와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Fungizone®(암포테리신 B, amphotericin B)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배양액은 원심분리(15,000rpm, 10min, 4℃) 후 균체를 회수하여 1ХPBS로 세척하고,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세포 배지에 흡광도(600nm)가 1.0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각 세포가 융합성(confluent)하게 자란 각 웰에 상기 유산균 시료를 1ml씩 접종하고, 90분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각 웰은 1ХPBS로 2회 세척하고 1ml의 0.005% Trypsin-EDTA(Gibco, USA)를 처리하여 세포를 떼어내었다. 십진 희석 후 drop plate(DP) 법으로 MRS 고체 배지(BD difco)에서 생균수를 계수하였다.
장 부착능(%)=
Figure 112018132427114-pat00004
하기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은 3.77±0.26%의 장 부착능을 나타내어 상업용 균주인 LGG(93.82± 0.13%) 및 L. acidophilus NCFM(0.87± 0.18%)과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우수한 장 부착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균주 장 부착능(%)
L. rhamnosus GG 3.82±0.13
L. acidophilus NCFM 0.87±0.18
L. paracasei LDTM7411 3.77±0.26
실시예 4: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actobacillus paracasei ) LDTM7411의 기능성 평가
4-1. L. paracasei LDTM7411의 병원성균 억제능의 정성적 평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병원성균 억제능을 정성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Agar-well diffusion assay(Int. J. Infect. Dis., 2004, Vol.(8), pp.39-45)를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 중탕한 TSA 또는 LB soft agar(bacto agar 0.8%)에 흡광도(600nm) 0.2로 희석한 병원성균(E. coli K88(E. c), E. faecalis ATCC 29212(E. f), L. innocua ATCC 33090T(L. i), S. aureus ATCC 25923(S. a) 및 P. aeruginosa PAO1(P. a))을 접종하여 미리 제조해놓은 TSA(Tryptic Soy Agar, BD difco, USA) 또는 LB agar(Luria-Bertani agar, BD difco, USA)에 부어 건조하였다. 건조된 고체 배지에 일정한 위치에 구멍을 뚫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배양액(overnight)을 100μl 접종하여 37℃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고, 클리어 존(clear zone)의 크기를 ImageJ software(NIH,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하기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가 병원성 균주 5종 모두에 대하여 항균활성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Strain Diameter of the zone of inhibitionα
E. c E. f L. i S. a P. a
L. paracasei LDTM7411 + ++ ++ + +
α+++, > 1.8 cm; ++, > 1.5∼1.7 cm; +, < 1.5 cm; -, no clear zone
4-2. L. paracasei LDTM7411의 병원성균 억제능의 정량적 평가
상기 실시예 4-1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병원성균 억제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염증성 대장염 유발 원인균으로 알려진 4종의 병원성균(하기 표 10 참조)을 지시균으로 하여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지시균 질병명
Helicobacter pylori ATCC 43504T (H. p)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부정성 대장염
Campylobacter coli ATCC 33559T (C. c)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부정성 대장염
Mycobacterium avium subsp. paratuberculosis
ATCC 19698 (MAP)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Escherichia coli K88 (E. c)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4-2-1. 지시균의 배양>
먼저, M. paratuberculosis ATCC 19698의 경우 배양배지는 Middlebrook 7H9 Broth Base(Sigma-Aldrich)를 정량 녹인 후 글리세롤(Glycerol)을 첨가하고, 121℃에서 10분 동안 멸균한 후 약 45℃로 배지를 식힌 후 Middlebrook ADC growth supplement를 첨가하고 샘플 튜브(sample tube)에 분주하여 암 조건에서 2시간 동안 굳힌 후 사용하였다. 배지에 지시균을 도말하고 37℃에서 호기 조건으로 약 4-6주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H. pylori ATCC 43504T의 경우 배양배지는 하기 표 11의 조성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배지에 지시균을 도말하여 혐기성균 배양조(anaerobic jar)에 넣은 후 BD GasPak? EZ Anaerobe Gas Generating Pouch System을 이용하여 미호기성 대기 조성을 만들어 37℃,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Components Concentrations (per 1 litre)
Pancreatic Digest of Casein 10.0 g
Meat Peptic Digest 5.0 g
Yeast Extract 5.0 g
Heart Pancreatic Digest 3.0 g
Corn Starch 1.0 g
Sodium Chloride 5.0 g
Agar 13.5 g
Sheep blood 70 ml
다음으로, C. coli ATCC 33559T의 경우 배양배지는 하기 표 12의 조성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배지에 지시균을 도말하여 혐기성균 배양조(anaerobic jar)에 넣은 후 BD GasPak? EZ Anaerobe Gas Generating Pouch System을 이용하여 미호기성 대기 조성을 만들어 37℃,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Components Concentrations (per 1 litre)
Pancreatic Digest of Casein 10.0 g
Meat Peptic Digest 5.0 g
Yeast Extract 5.0 g
Heart Pancreatic Digest 3.0 g
Corn Starch 1.0 g
Sodium Chloride 5.0 g
Agar 13.5 g
Sheep blood 70 ml
마지막으로, E. coli K88의 경우 일반적인 LB 배지에 접종하고 37℃에서 밤새도록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모든 지시균은 실험을 위하여 최소 2회 계대배양 후 사용하였다.
<4-2-2. H. pylori ATCC 43504T, C. coli ATCC 33559T 및 E. coli K88 억제능>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ATCC 43504T, 캄필로박터 콜라이 ATCC 33559T 및 에세리키아 콜라이 K88에 대한 항균력을 정성적으로 확인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상등액을 채취하여 여과한 후 상기 3종의 지시균 희석액에 1:1의 비율로 섞은 후, BacTiter-Glo assay kit(Promega, Madison, WI)내의 ATP 시약을 첨가하여 5분간 배양 후 발광측정기(Luminometer)를 이용하여 발광도(Luminescence, RLU)를 측정하였다.
이때, 블랭크(blank) 물질로 PBS를 사용하였고, MRS 배지를 첨가한 그룹들을 음성 대조군(NC)으로 설정하였다. ATP 활성 감소의 기준은 음성 대조군으로 멸균된 MRS 배지만을 처리한 그룹보다 낮은 ATP를 보이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판별하였다. 항균 활성은 하기 수식으로 계산하여 확인하였다.
항균 활성(감소율, %)=[1-(RLUsample/RLUNC)]Х100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ATCC 43504T(H. p), 캄필로박터 콜라이 ATCC 33559T(C. c) 및 에세리키아 콜라이 K88(E. c)에 대해 음성 대조군(NC) 대비 각각 47.0% 76.4%, 43.1%의 억제능(감소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2-3. M. paratuberculosis ATCC 19698(MAP) 억제능>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투버클로시스 ATCC 19698에 대한 항균력을 정성적으로 확인하였다. MAP의 두꺼운 세포벽으로 인해 다른 지시균들과 달리 용해 작업을 추가로 적용하였으며(Complex Detection Methods. Iwa Publishing, London, UK, 2009; J. Environ. Sci. Health B, 2012, Vol.47. pp. 736-741), MAP의 배가 시간(doubling time)이 일반적으로 약 1시간인 것을 고려하여 6시간 동안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상등액과 공동 배양(co-incubation)을 수행하여 0-6시간 동안의 균수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먼저, MAP의 항균력을 확인하기에 앞서, 흡광도(600nm)의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균수 표준 곡선을 확립하였으며(도 4a 참조), MAP 형광 염색 후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하여 99.9% 생균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MAP를 흡광도(600nm) 약 0.5가 되도록 1ХPBS에 희석하여 준비하고, 필터링하여 준비해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상등액과 동량으로 섞어 6시간 동안 공동 배양(co-culture)하였다. 0, 3, 6시간째에 시료를 취하여 원심분리(15,000rpm, 8min, 4℃)하여 펠렛(pellet)을 회수하고, ATP extraction buffer로 현탁하였다. 균액을 Zirconia/Silica bead(BioSpec Products)가 들어있는 튜브에 넣은 후, Beadbeater(MiniBeadBeater-16, BioSpec Products)에서 약 2분간 용해하였다. 원심분리(15,000rpm, 5min, 4℃)하여 상등액을 얻고 ATP 시약과 동량으로 섞어 5분 동안 상온에서 배양한 후 발광측정기를 이용하여 발광도(RLU)를 측정하였다.
이때, 블랭크(blank) 물질로 PBS를 사용하였고, MRS 배지를 음성 대조군(NC)으로 설정하였다. ATP 활성 감소의 기준은 음성 대조군으로 멸균된 MRS 배지만을 처리한 그룹보다 낮은 ATP를 보이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판별하였다. 항균활성은 하기 수식으로 계산하여 감소율을 확인하였다.
항균 활성(감소율, %)=[1-(RLUsample/RLUNC)]Х100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가 공동 배양 시간 별로 높은 MAP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최종적으로 6시간 배양 시 MAP 균 감소율은 64.5%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는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4-3. L. paracasei LDTM7411의 항염증 효과 평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NO 생성 정량 분석(Nitric oxide production quantitative assay)을 수행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L. rhamnosus GG, LGG)를 사용하였다.
한편, NO 정량은 그리스 반응(Griess reaction) 시약(Promega, USA)을 이용하여 NO2-의 양을 총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고,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는 희석하여 열처리한 후 매 실험 당일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RAW264.7 세포(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처리하기까지 4℃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RAW264.7 세포에 염증 유도인자로 잘 알려진 LPS(Lipopolysaccharides from E. coli O111:B4, Sigma-Aldrich)가 첨가된 세포 배지를 넣고, 미리 준비한 열처리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를 접종하였다. 양성 대조군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대신 1X PBS를 접종하고, 음성 대조군에는 LPS를 처리하지 않은 배지를 넣어주었다. 37℃, 5% CO2 조건으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등액을 채취하여 설명서에 따라 그리스 시약을 사용하여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NO 생성량은 아질산염(Nitrite)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최종 결과 값은 양성 대조군 대비 NO의 생성 억제 정도의 차이를 배수변화도(Fold change)로 나타내었다.
하기 표 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는 상업용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보다 높은 NO 생성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Fold change*
1차 실험 2차 실험 3차 실험
양성 대조군(PC) 1.00 1.00 1.00
음성 대조군(NC) 0.00 0.00 0.00
L. rhamnosus GG 0.84 0.72 0.73
L. paracasei LDTM7411 0.60 0.40 0.50
*Values are expresses as the fold-change and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P<0.05)
4-4. L. paracasei LDTM7411의 항산화 효과 평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L. rhamnosus GG, LGG)를 사용하였다.
DPPH 시약(Sigma-aldrich)을 517nm 파장에서의 흡광도가 1.0이 되도록 메탄올에 희석하였다. 18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배양액을 흡광도(600nm) 2.0으로 1ХPBS에 희석하여 원심분리(15,000rpm, 8min, 4℃)하고 균체를 회수하여 1ХPBS로 세척하였다. DW에 1/10로 희석하여 멸균한 Nutrient broth(BD difco, USA)를 회수한 펠렛(pellet)에 1ml씩 현탁하였다. 37℃에서 90분 동안 배양한 후 Zirconia/Silica bead(BioSpec Products)가 들어있는 튜브에 넣고, Beadbeater(MiniBeadBeater-16, BioSpec Products)에서 약 4분간 세포를 파쇄하였다. 이후 셀 스트레이너(cell strainer)로 비드(bead)를 거르고 파쇄된 균의 배양액만 추출하여 동량의 DPPH 용액과 혼합한 후 암 조건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은 포어(pore) 지름 사이즈 0.2μm의 나일론 필터로 필터링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유산균주의 항산화 활성(scavenging activity, %)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Figure 112018132427114-pat00005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은 약 96.92%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상업용 균주인 LGG(96.75%)와 비교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LDTM7411 균주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734P 20181031
<110> CKD Bio Corp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120> Novel Lactobacillus paracasei strain having antimicrobial effect on Mycobacterium paratuberculosis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mprising the same <130> PN180448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109 <212> RNA <213> 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16S rRNA <400> 1 attcttccac caattggacg ccaagttctg atggagcann ccgcgtgagt gaagaaggct 60 ttcgggtcgt aaactctgtg ttggagaaga atggtcggca gagtaactgt gtcggcgtga 120 cggtatccaa ccagaaagca cggctaacta cgtgccagca gccgcggtaa tacgtaggtg 180 gcaagcgtta tccggattta ttgggcgtaa agcgagcgca ggcggttttt taagtctgat 240 gtgaaagccc tcggcttaac cgaggaagcg catcggaaac tgggaaactt gagtgcagaa 300 gaggacagtg gaactccatg tgtagcggtg aaatgcgtag atatatggaa gaacaccagt 360 ggcgaaggcg gctgtctggt ctgtaactga cgctgaggct cgaaagcatg ggtagcgaac 420 aggattagat accctggtag tccatgccgt aaacgatgaa tgctaggtgt tggagggttt 480 ccgcccttca gtgccgcagc taacgcatta agcattccgc ctggggagta cgaccgcaag 540 gttgaaactc aaaggaattg acgggggccc gcacaagcgg tggagcatgt ggtttaattc 600 gaagcaacgc gaagaacctt accaggtctt gacatctttt gatcacctga gagatcaggt 660 ttccccttcg ggggcaaaat gacaggtggt gcatggttgt cgtcagctcg tgtcgtgaga 720 tgttgggtta agtcccgcaa cgagcgcaac ccttatgact agttgccagc atttagttgg 780 gcactctagt aagactgccg gtgacaaacc ggaggaaggt ggggatgacg tcaaatcatc 840 atgcccctta tgacctgggc tacacacgtg ctacaatgga tggtacaacg agttgcgaga 900 ccgcgaggtc aagctaatct cttaaagcca ttctcagttc ggactgtagg ctgcaactcg 960 cctacacgaa gtcggaatcg ctagtaatcg cggatcagca cgccgcggtg aatacgttcc 1020 cgggccttgt acacaccgcc cgtcacacca tgagagtttg taacacccga agccggtggc 1080 gtaacccttt tagggagcga gccgtctaa 1109

Claims (10)

  1.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투버큘로시스(Mycobacterium paratuberculosis)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수탁번호 KCTC 18734P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균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 질환은 크론병(Crohn's disease, CD),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 및 베체트장염(intestinal Behet's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9. 제 1 항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LDTM7411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 질환은 크론병(Crohn's disease, CD),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 및 베체트장염(intestinal Behet's diseas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조성물.
KR1020180173952A 2018-12-31 2018-12-31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투버클로시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6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952A KR102036374B1 (ko) 2018-12-31 2018-12-31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투버클로시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952A KR102036374B1 (ko) 2018-12-31 2018-12-31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투버클로시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374B1 true KR102036374B1 (ko) 2019-10-24

Family

ID=6842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952A KR102036374B1 (ko) 2018-12-31 2018-12-31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투버클로시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9652A (zh) * 2023-06-07 2023-09-19 浙江大学 一株高效降解亚硝酸盐和高产酸的副干酪乳酪杆菌fmes-1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018A (ko) 2016-07-15 2018-01-24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3459B1 (ko) * 2016-11-16 2018-01-31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대한 항균활성과 응집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p7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8018A (ko) 2016-07-15 2018-01-24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3459B1 (ko) * 2016-11-16 2018-01-31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대한 항균활성과 응집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p7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sian Pacific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Vol.11, pp.453-459 (Epub.2018.08.01.)* *
IRJALS, Vol.1, pp.80-89 (2012.09.)* *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4, pp.261-263(200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9652A (zh) * 2023-06-07 2023-09-19 浙江大学 一株高效降解亚硝酸盐和高产酸的副干酪乳酪杆菌fmes-1及其应用
CN116769652B (zh) * 2023-06-07 2024-05-14 浙江大学 一株高效降解亚硝酸盐和高产酸的副干酪乳酪杆菌fmes-1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461B1 (ko) 장관 면역조절 기능과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Lee et al.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Lee et al. Iso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ith probiotic potentials from kimchi,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vegetable
Munoz-Quezada et al.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three novel probiotic strains (Lactobacillus paracasei CNCM I-4034, Bifidobacterium breve CNCM I-4035 and Lactobacillus rhamnosus CNCM I-4036) from the faeces of exclusively breast-fed infants
US7179460B2 (en) Bacterial composition and its use
Rada et al. A new selective medium for the isolation of glucose non-fermenting bifidobacteria from hen caeca
CN102458426B (zh) 产生细菌素的戊糖乳杆菌及其在食品和药物组合物中的应用
EP2616558B1 (en) Bacillus subtilis isolate from corn
US7244425B2 (en) Acid- and bile salt-resistant Lactobacillus isolates having the ability to lower and assimilate cholesterol
US8889120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novel bacterium belonging to the genus Bifidobacterium
Thakkar et al.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safety assessment of lactic acid bacterial isolates from fermented food products
EP1743042B1 (en)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exhibiting probiotic properti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KR20180044245A (ko) 변비 개선 효능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ITRM20110475A1 (it) Ceppi di batteri lattici e/o bifido batteri, opzionalmente addizionati di n-acetilcisteina e/o lisozima microincapsulato gastroprotetto, aventi attivita&#39; di inibizione/riduzione della crescita di differenti biotipi di e.coli, incluso e.coli o157:h7 e
Sadrani et al. Screening of potential probiotic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fermented foods, fruits and of human origin
Vasudha et al. Probiotic potential of β‑galactosidas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fermented milk and their molecular characterization
Pancheniak et al.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obiotic Lactobacillus for swine
KR101005747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및 그의 용도
Hacıoglu et al.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brevis KT38-3 isolated from an Artisanal Tulum cheese
KR100707102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및 유해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김치 유산균,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036374B1 (ko) 마이코박테리움 파라투버클로시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123291B1 (en) Use of Lactobacillus amylovorus f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s by stimulating IgA production
EP2742125B1 (en) New strain of l. bulgaricus capable of inhibiting the adhesion of h. pylori strains to epithelial cells
KR100503570B1 (ko) 면역증강, 항암 및 항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페디오코커스펜토사세우스 erom101
Asahara et al. Antibacterial effect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Bifidobacterium breve, Bifidobacterium bifidum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against indigenous Escherichia coli infection in m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