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367B1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duct attatched with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duct attatched with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367B1
KR102036367B1 KR1020180042710A KR20180042710A KR102036367B1 KR 102036367 B1 KR102036367 B1 KR 102036367B1 KR 1020180042710 A KR1020180042710 A KR 1020180042710A KR 20180042710 A KR20180042710 A KR 20180042710A KR 102036367 B1 KR102036367 B1 KR 10203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ttern
brush
ink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9362A (en
Inventor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정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호 filed Critical 정민호
Priority to KR1020180042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367B1/en
Publication of KR20190119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004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embossing tool(s), or the movement of the work, during the embossing operation
    • B44B5/0009Rotating embossing tools
    • B44B5/0014Rotating embossing tools and rotati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095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using computer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5/00Machines or apparatus for embossing decorations or marks, e.g. embossing coins
    • B44B5/02Di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using machine-driven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색감을 가지는 유색층, 내마모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유색층의 마모를 방지하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층 및 잉크층을 포함하는 필름 또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을 이송하는 이송벨트, 브러시롤축, 브러시롤축에 결합되며 브러시롤축을 축으로 회전하는 브러시롤 및 브러시롤에 설치되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브러시에 의한 마찰 박리에 의해 필름의 잉크층에 박리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박리 문양을 통해 유색층의 색감을 노출시키는 브러시롤러를 포함하는, 필름 또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m or a film-containing article containing a protective lay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n ink layer, which has a color layer having a color feeling, and has abrasion resistance to prevent abrasion of the colored layer. Peeling pattern by coupling to the conveying belt, brush roll shaft, brush roll shaft and a brush roll to rotate the brush roll shaft to the axis and a brush installed on the brush roll, by forming a peeling pattern on the ink layer of the film by frictional peeling by the brush Provided is a film or film-attached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including a brush roller to expose the color of the colored layer through.

Description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의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duct attatched with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duct attatched with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본 개시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with a film that forms a partial peeling pattern or a film that forms a partial peeling pattern.

본 발명은 건물 벽 또는 건축부재면 상에 설치되는 몰딩, 장식재 기타 건축부재 등의 표면 디자인용 필름 제조 장치 또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for surface design, such as moldings, decorative materials, or other building members installed on a building wall or a building member surface, or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rticle with a film.

종래 액자 프레임이나 가구, 건축 내장재 등의 몰딩 제작에 사용되는 전사지는 평면 전사지로서, 몰딩재에 대해 입체 효과 및 나무의 질감이 나도록 표현하려면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었다. 즉, 종래에는 몰딩재에 대해 입체 효과를 부여하려면 조각 금형을 별도로 제작 사용하여야 하는 등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구체적으로, 몰딩재 표면에 속지인 디자인 필름을 전사하고, 그 위에 별도 조각 금형을 제작하여 디자인 필름 위에 부착하고, 나무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겉지인 우드무늬 필름을 덧씌우는 방식의 공정이 있었다.Conventional transfer papers used in the production of moldings such as picture frames, furniture, architectural interior materials, etc., are planar transfer papers, and complex processes have been required to express three-dimensional effects and textures of wood for molding materials. That is,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give a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molding material, a complicated process such as having to separately manufacture and use a carving mold was required. Specifically, there was a process of transferring a design film inlaid on the molding material surface, making a separate engraving mold on it, attaching it to the design film, and overlaying a wood-patterned film to express the texture of wood.

위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특히 조각 금형, 우드무늬 필름을 각각 제작함에 있어서 각 필름 또는 금형의 디자인을 별도로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입체 형상의 조각 금형을 별도로 제작하는, 다른 필름 제작 공정과는 상이한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고, 또한 위 조각 금형의 형상에 변화를 주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조각 금형을 디자인 필름 위에 부착하는 과정에서도 정교함이 요구되어 작업을 어렵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조각 금형과는 별도로 우드무늬 필름도 다른 공정에서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우드무늬 필름만으로는 나무의 질감을 실감나게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when manufacturing the engraving mold and the wood pattern film, there was a need to separately design each film or the mold. That is, a separate facility is required different from other film production processes for separately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engraving di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shape of the above engraving die.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engraving mold on the design film, there is a problem that makes the work difficult because elaboration is required. On the other hand, apart from the engraving mold, there was also a hassle to produce a wood pattern film separately in another proces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 in expressing the texture of the wood with only a wood pattern film.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몰딩부재 또는 건축부재 등에 대해 다양한 디자인 및 입체 문양을 제공하고, 또 제조공정을 단축하면서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의 제시와 더불어 제조공정상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improvemen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ogether with various proposals for providing various designs and three-dimensional patterns for the conventional molding member or building member, etc., and shorte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ncreasing productivity.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disclosure and does not constitute a prior art.

이에, 본 발명은 Thus, the present invention

대상물에 부착될 수 있는 표면 장식용 필름 또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의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부분 박리 문양이 형성되어 부분 박리 문양 사이로 별도의 디자인 또는 색감이 노출되어 심미감을 가지는 디자인을 가진,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urface decorative film or a film-attached object that can be attached to an object, having a design in which a partial peeling pattern is formed so that a separate design or color is exposed between the partial peeling patterns, It is a main object to provide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producing a film or an article with a film, which form a partial peeling pattern.

또한, 본 발명은 부분 박리 문양은 브러시롤러의 브러시에 의한 스크래치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위 브러시롤러의 배치에 변화를 줌으로써 필름에 형성되는 부분 박리 문양에 변화를 줌으로써 디자인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ial peeling pattern is made of a scratch method by the brush of the brush roller, by changing the placement of the upper brush roller can change the design of the partial peeling pattern formed on the film, which can give a variety of changes to the design, It is a main object to provide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producing a film or an article with a film, which form a partial peeling pattern.

또한, 본 발명은 가압롤러에 의해 필름에 입체문양을 형성하고, 형성된 입체문양 상에 선택적으로 브러시롤러에 의해 박리문양을 형성함으로써 더욱 심미감을 가지며 다양한 질감을 표현 가능한,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on the film by the pressure roller, and by selectively forming a peeling pattern by the brush roller on the formed three-dimensional pattern to form a peeling pattern, which is more aesthetic and can express a variety of texture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rticle having a film attach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은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을 몰딩재 등의 대상물 상에 접착시킨 후 입체문양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제조 공정이 단순한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manufactures an article with a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in which a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wherein the film forming the partial peeling pattern is adhered to an object such as a molding material and then a three-dimensional pattern or a partial peeling pattern is formed. It is a main object to provide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은 필름을 먼저 대상물에 열전사한 후 입체문양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열전사에 의해 필름에 형성된 입체문양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m for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by thermally transferring the film to the object first to form a three-dimensional pattern or a partial peeling pattern,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or partial peeling pattern formed on the film by thermal transfer is not damaged. It is a main object to provide a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is attached article.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색감을 가지는 유색층, 내마모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유색층의 마모를 방지하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층 및 잉크층을 포함하는 필름 또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을 이송하는 이송벨트, 브러시롤축, 브러시롤축에 결합되며 브러시롤축을 축으로 회전하는 브러시롤 및 브러시롤에 설치되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브러시에 의한 마찰 박리에 의해 필름의 잉크층에 박리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박리 문양을 통해 유색층의 색감을 노출시키는, 브러시롤러를 포함하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을 제조하는 제조장치를 제공한다.On the conveying belt, brush roll shaft, brush roll shaft for conveying a film or a film-attached object including a protective lay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n ink layer having a color layer and abrasion resistance to prevent abrasion of the colored layer. It includes a brush roll coupled to the brush roll and the brush roll to rotate the axis of the brush roll axis, and to form a peeling pattern in the ink layer of the film by friction peeling by the brush to expose the color of the colored layer through the peeling patter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ilm or an article with a film, which forms a partial peeling pattern including a brush roller.

또한, 위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필름의 잉크층에 브러시롤러의 브러시에 의한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박리 문양 형성과정을 포함하는 필름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lm to form a partial peeling pattern using the abov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s a film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peeling pattern forming process of forming a peeling pattern by the brush of the brush roller in the ink layer of the film. .

또한, 위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이 부착된 물건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필름의 잉크층에 브러시롤러의 브러시에 의한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박리 문양 형성과정을 포함하는 물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with a film using the abov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s an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peeling pattern forming process of forming a peeling pattern by the brush of the brush roller in the ink layer of the film.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의 잉크층에 박리문양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의 잉크층에 입체문양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의 잉크층에 입체문양 및 박리문양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의 잉크층에 입체문양 및 박리문양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및 필름이 부착된 물건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가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의 잉크층에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가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의 잉크층에 복수 회에 걸쳐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가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의 잉크층에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는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가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의 필름층에 입체문양 및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가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의 필름층에 입체문양 및 복수 회에 걸쳐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가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의 필름층에 입체문양 및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는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가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의 필름층에 입체문양 및 변화된 각도를 가지는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박리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박리문양 및 입체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을 나타낸 사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eeling pattern formed on the ink layer of the film forming the partial peel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in the ink layer of the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and a peeling pattern is formed in the ink layer of the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and a peeling pattern is formed in the ink layer of the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film and a film-attached article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ms a peeling pattern on an ink layer of a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ms a peeling pattern a plurality of times in an ink layer of a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ms a peeling pattern having different angles in the ink layer of the film forming the partial peeling patter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and a peeling pattern formed on the film layer of the film forming the partial peel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and a plurality of times of peeling patterns formed on the film layer of the film forming the partial peel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form a peeling pattern hav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and different angles in the film layer of the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FIG. 1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ming a peeling pattern having a three-dimensional pattern and a changed angle in a film layer of a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ssure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rush 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6 is a photograph showing a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7 is a photograph showing an article with a film to form a partial peeling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8 is a photograph showing an article with a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and a three-dimensional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said to include or include a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expressly stated to the contrary.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부분 박리문양(151) 형성이 가능한 필름(100)은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상물(200)에 접착될 수 있는 접착층(110), 접착층(110) 상에 형성되며, 색감을 가지는 유색층(130), 유색층(130) 상에 투명한 층으로 형성되어 유색층(130)의 색감을 노출할 수 있으며, 내마모성을 가짐으로써 외부 물질에 의해 유색층(1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층(140), 보호층(140) 상에 형성되며, 보호층(140)보다 작은 내마모성을 가지고 부분 박리되어 박리문양(151)을 형성할 수 있는 잉크층(150)을 포함한다. 한편, 유색층(130)과 접착층(110) 사이에 형성되는 투명한 프라이머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잉크층(150) 상에 이형층(160)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lm 100 capable of forming the partial peeling pattern 151,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110 and the adhesive layer 110, which may be adhered to the object 200, as shown in FIG. Colored layer 130 having a, is formed as a transparent layer on the colored layer 130 can expose the color of the colored layer 130, having a wear resistance that the colored layer 130 is damaged by an external material The protective layer 140 is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140 to prevent, and has an abrasion resistance smaller than the protective layer 140 and includes an ink layer 150 that can be partially peeled to form a peeling pattern 151. On the other hand, it may include a transparent primer layer 120 formed between the colored layer 130 and the adhesive layer 110. In addition, the release layer 160 may be formed on the ink layer 150.

잉크층(150)은 보호층(1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잉크층(150)은 아크릴계 수지 또는 비닐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며, 안료와, 용제로서는 케톤계 용제, 아세테이트계 용제, 방향족계 용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잉크층(150)은 선택적으로 박리됨으로써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잉크층(150)의 박리문양(151)을 통해 상기 유색층(130)의 색감이 노출될 수 있다. 즉, 잉크층(150)과 유색층(130) 사이에는 보호층(140)이 존재하므로, 보호층(140)이 브러시(322) 등 외부 물질의 마찰에 의해 유색층(130)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유색층(130)은 박리되지 않고 잉크층(150)만 선택적으로 박리될 수 있다. 한편, 잉크층(150)의 박리문양(151)은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32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잉크층(150)의 박리문양(151)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필름(100)을 브러시롤러(320)의 하면을 지나도록 이동시켜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322)의 스크래치에 의한 마찰 박리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을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 제조장치(300)의 이송벨트(330)상에 놓고 이동시키며, 이동되는 필름(100)의 잉크층(150)은 브러시롤러(320)의 하면을 지나게 되고, 이 때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롤(321)이 회전함으로써 브러시(322)의 스크래치에 의한 마찰 박리가 일어나 잉크층(150)에 박리문양(151)을 형성할 수 있다. The ink layer 150 may be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140. The ink layer 150 may be made of acrylic resin or vinyl resin as a main component, and may be made of a pigment and a solvent, such as a ketone solvent, an acetate solvent, an aromatic solvent, or the like. As the ink layer 150 is selectively peeled off, the color of the colored layer 130 may be exposed through the peeling pattern 151 of the ink layer 150 as shown in FIG. 2. That is, since the protective layer 140 exists between the ink layer 150 and the colored layer 130, the protective layer 140 may be peeled off by the friction of an external material such as the brush 322. Since the colored layer 130 is prevented, only the ink layer 150 may be selectively peeled off without being peeled off. Meanwhile, the peeling glyph 151 of the ink layer 150 may be formed by the brush 322 of the brush roller 320. Specifically, the peeling glyph 151 of the ink layer 150 moves the film 100 past the lower surface of the brush roller 320 as shown in FIG. 7 to scratch the brush 322 of the brush roller 320. It can be formed by frictional peeling by. At this time, the film 100 or the article attached to the film 100 is placed on the conveyance belt 330 of the film 100 or the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300 to which the film 100 is attached, and moved, the film The ink layer 150 of the 100 passe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brush roller 320. At this time, the brush roll 321 of the brush roller 320 rotates to cause friction peeling due to the scratch of the brush 322. A peeling glyph 151 may be formed on the layer 150.

한편, 브러시롤(321)의 브러시(322)에 의해 형성되는 잉크층(150)의 박리문양(151)은 복수 개의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322)에 의해 상기 잉크층(150)을 각각 박리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322)에 의한 잉크층(150)의 마찰 박리 작업은 한 번에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시간을 줄이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브러시롤러(320)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나란하게 배치된 브러시롤러(320)는 브러시롤러(320)의 회전축이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롤러(320)를 서로 다른 각도로 놓여지게 배치함으로써 잉크층(150)에 형성되는 박리문양(151)이 단조롭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eeling pattern 151 of the ink layer 150 formed by the brush 322 of the brush roll 321, respectively, the ink layer 150 by the brush 322 of the plurality of brush rollers 320. It can be formed by peeling. At this time, the friction peeling of the ink layer 150 by the brush 322 of the plurality of brush rollers 320 is performed at one time, thereby reducing the working time and increasing the working efficiency. Meanwhile, the plurality of brush rollers 32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as shown in FIG. The brush rollers 320 arranged side by side may have different rotation axes of the brush rollers 320 at different angles. By arranging the brush rollers 320 at different angles, the peeling patterns 151 formed on the ink layer 150 may not be monotonically formed.

또한, 복수 개의 브러시롤러(320)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놓여지게 배치됨으로써 필름(100)의 잉크층(150)에는 중첩 또는 교차되는 형태의 박리문양(15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복수의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322)는 잉크층(150)에 각각 서로 다른 각도로 스크래치에 의한 박리문양(151)을 형성함으로써, 잉크층(150)에는 엇갈림 형태의 박리문양(15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일 예시적으로 제1 브러시롤러(320) 및 제 2 브러시롤러(320)가 제조장치(300)에 배치된 경우, 제1 브러시롤러(320)는 제1 각도로 잉크층(150)에 브러시(322)에 의한 박리문양(151)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브러시롤러(320)는 제2 각도로 잉크층(150)에 브러시(322)에 의한 박리문양(151)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필름(100)의 잉크층(150)에는 제1 각도 및 제2 각도에 의한 브러시(322)의 스크래치에 의한 박리문양(151)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브러시롤러(320) 및 제2 브러시롤러(320)에 의한 박리문양(151)은 서로 교차되는 것일 수도 있고,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잉크층(150)에 브러시롤러(320)에 의해 형성되는 박리문양(151)은, 잉크층(150)이 형성되고 잉크층(150)이 견고하게 굳어지기 전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마찰 박리 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rush rollers 320 are sequentially placed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ilm 100 or the object to which the film 100 is attached, as shown in FIG. 8, thereby forming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The peeling glyph 151 may be formed in an overlapping or intersecting form. At this time, the brush 322 of the plurality of brush rollers 320 is formed on the ink layer 150 by the peeling pattern 151 by scratching at different angles, so that the ink layer 150 has a staggered peeling pattern. 151 may be formed. That is, as an example, when the first brush roller 320 and the second brush roller 320 are disposed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300, the first brush roller 320 is attached to the ink layer 150 at a first angle. The peeling glyph 151 may be formed by the brush 322. The second brush roller 320 may form a peeling pattern 151 by the brush 322 on the ink layer 150 at a second angle. In this case, the peeling glyph 151 may be formed o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by scratching the brush 322 at the first and second angles. At this time, the peeling glyph 151 by the first brush roller 320 and the second brush roller 320 may cross each other, or may be formed not to cross each other. Meanwhile, the peeling pattern 151 formed by the brush roller 320 on the ink layer 150 may be formed before the ink layer 150 is formed and the ink layer 150 is firmly hardened. This is to more smoothly perform the friction peeling operation.

잉크층(150)은 브러시롤러(320)에 의해 잉크층(150)을 부분 박리시키는 과정에서 도 13과 같이 브러시롤러(320)의 배치 각도를 지속적으로 변화시켜줌으로써 박리문양(151)의 형상에 변화가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롤축(323)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경우,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322)에 의해 잉크층(150)에 새겨지는 박리문양(151)의 방향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박리문양(151)의 패턴에 변화를 줄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partially peeling the ink layer 150 by the brush roller 320, the ink layer 150 continuously changes the placement angle of the brush roller 320 to the shape of the peeling pattern 151. There may be a change. That is, when the angle of the brush roll shaft 323 of the brush roller 320 is changed, the direction of the peeling pattern 151 engraved on the ink layer 150 by the brush 322 of the brush roller 320 may also be changed. As such, the pattern of the peeling pattern 151 may be changed.

잉크층(150)은 가압롤(311)면에 입체 형상의 문양(314)이 형성된 가압롤러(310)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롤(311)면에 형성된 입체 형상의 문양(314)에 대응하는 입체문양(1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잉크층(150)에 형성되는 입체문양(152)은 잉크층(150)의 다른 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부분이 생길 수 있다. 잉크층(150)의 입체문양(152) 중 상대적으로 돌출된 부분에 도4 또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322)에 의해 박리문양(15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ink layer 150 is three-dimensionally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314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essure roll 311 by being pressed by the pressure roller 310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31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essure roll 311. Glyph 152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formed on the ink layer 150 may have a portion protruding relatively to the other surface of the ink layer 150. A peeling pattern 151 may be formed on the relatively protruding portion of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of the ink layer 150 by the brush 322 of the brush roller 320 as shown in FIG. 4 or 5.

잉크층(150)은 유색층(130)의 색감과 대비 또는 조화되는 색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잉크층(150)은 유색층(130)이 투명층 또는 반투명층인 경우, 유색층(130) 및 접착층(110)의 색감과 대비 또는 조화되는 색감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잉크층(150)은 나무의 외피의 색감 또는 질감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는 나무의 내피에 대응하는 색감을 가질 수 있는 유색층(130), 접착층(110)의 색감과 조화를 이루어 박리문양(151)이 형성된 필름(100)이 전체적으로 목재와 같이 보여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잉크층(150)은 불투명층일 수 있으나, 색감을 가지는 투명층 또는 반투명층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The ink layer 150 may have a color that contrasts or harmonizes with the color of the colored layer 130. In addition, when the colored layer 130 is a transparent layer or a translucent layer, the ink layer 150 may have a color that contrasts or harmonizes with the colors of the colored layer 130 and the adhesive layer 110. As an example, the ink layer 15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color or texture of the outer skin of the tree. This may be made so that the film 100 having the peeling pattern 151 formed in harmony with the color of the colored layer 130 and the adhesive layer 110, which may have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inner skin of the tree, is generally seen as wood. . Meanwhile, although the ink layer 150 may be an opaque layer, the ink layer 15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layer or a translucent layer having color.

보호층(140)은 유색층(1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140)은 유색층(130)과 잉크층(150) 간의 경계 역할을 할 수 있다. 보호층(140)은 유색층(130)이 가지는 자체 접착력에 의해 유색층(130) 상에 안착될 수도 있고, 보호층(140)과 유색층(130) 사이에는 별도의 투명한 접착보조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보호층(140)은 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보호층(140)은 엠이케이, 폴리우레탄수지, 에칠알콜, 비닐수지, 톨루엔, 아크릴수지, 첨가제로서 왁스를 혼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보호층(140)은 경도와 강도가 높은 소재로 제조됨으로써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322)에 의해 유색층(130)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러시롤러(320)에 의한 박리 작업 시, 보호층(140)은 박리되지 않거나, 박리되더라도 잉크층(150)에 비해 월등한 내마모도를 가짐으로써 잉크층(15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박리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140 may be formed on the colored layer 130. The protective layer 140 may serve as a boundary between the colored layer 130 and the ink layer 150. The protective layer 140 may be seated on the colored layer 130 by the self adhesive force of the colored layer 130, and a separate transparent adhesive auxiliary layer is formed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140 and the colored layer 130. May be The protective layer 14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140 may be made by mixing wax as MK, polyurethane resin, ethyl alcohol, vinyl resin, toluene, acrylic resin, and additives. The protective layer 14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hardness and strength to prevent the colored layer 130 from being peeled off by the brush 322 of the brush roller 320. In the peeling operation by the brush roller 320, the protective layer 140 may not be peeled off or may be peeled off relatively less than the ink layer 150 by having a superior wear resistance compared to the ink layer 150 even when peeled off. .

유색층(130)은 접착층(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접착층(110) 상에 프라이머층(120)이 형성된 경우, 유색층(130)은 프라이머층(1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유색층(130)은 잉크층(150)과 대비 또는 조화되는 색감을 가질 수 있다.The colored layer 130 may be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1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imer layer 120 is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110, the colored layer 130 may be formed on the primer layer 120. The colored layer 130 may have a color contrast with or in harmony with the ink layer 150.

유색층(130)은 금속색 광택을 가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층일 수 있다. 이 경우, 잉크층(150)의 박리문양(151)을 통해 상기 유색층(130) 및 상기 접착층(110)의 색감이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유색층(130)과 접착층(110) 사이에는 유색층(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한 프라이머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lored layer 130 may be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layer having a metallic luster. In this case, the color of the colored layer 130 and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exposed through the peeling pattern 151 of the ink layer 150. At this time, a transparent primer layer 120 may be formed between the colored layer 130 and the adhesive layer 110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colored layer 130.

한편, 유색층(130)은 색감을 가지는 불투명층일 수 있다. 유색층(130)은 잉크층(150)일 수 있으나,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에는 접착층(110)은 외부에서 인식을 할 수가 없으므로, 잉크층(150)의 박리문양(151)을 통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층은 유색층(130) 뿐이다. 즉, 이 경우에는 잉크층(150)과 유색층(130)의 색감만이 외부로 표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lored layer 130 may be an opaque layer having a color. The colored layer 130 may be the ink layer 1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since the adhesive layer 110 cannot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only the colored layer 130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peeling glyph 151 of the ink layer 150. That is, in this case, only the color of the ink layer 150 and the colored layer 130 may be expressed to the outside.

접착층(110)은 필름(100)이 대상물(200)에 접착될 수 있도록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접착층(110)은 아크릴계수지, 비닐계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용제로서 케톤계용제, 아세테이트계용제 또는 방향족계(AROMATIC)용제, 메틸에틸케톤용제, 톨루엔용제를 포함하여 제조되어질 수 있다. 접착층(110)은 열전사 방식으로 대상물(200)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접착층(110)은 열전사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 예를 들면 직접 부착 방식으로 대상물(200)에 부착되게 제조될 수도 있다. The adhesive layer 110 may provide an adhesive force so that the film 100 may be adhered to the object 200. 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adhesive layer 110 is prepared by including an acrylic resin, a vinyl resin, a polyester resin, and a ketone solvent, an acetate solvent, an aromatic solvent, an methyl solvent, a methyl ethyl ketone solvent, and a toluene solvent. Can be done.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attached to the object 200 by thermal transfer. Meanwhile,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manufactured to be attached to the object 200 by a method other than a thermal transfer method, for example, a direct attachment method.

접착층(110)은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함으로써 색감을 가질 수 있다. 유색층(130)이 투명층 또는 반투명층일 때에는 외부에서 접착층(110)의 색감을 직, 간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 잉크층(150)의 형상 및 색감, 잉크층(150)에 형성된 박리문양(151)을 통해 드러나는 유색층(130)의 색감, 잉크층(150)에 형성된 박리문양(151)을 통해 드러나는 접착층(110)의 색감이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유색층(130)이 불투명층인 경우에는 접착층(110)이 색감을 가지는 것이 의미가 없을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110 may have a color by including a dye or a pigment. When the colored layer 130 is a transparent layer or a translucent layer, the color of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directly and indirect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Specifically, in this case, the shape and color of the ink layer 150, the color of the colored layer 130 exposed through the peeling pattern 151 formed on the ink layer 150, the peeling pattern 151 formed on the ink layer 150 The color of the adhesive layer 110 exposed through it may be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lored layer 130 is an opaque layer, it may be meaningless that the adhesive layer 110 has color.

접착층(110) 및 유색층(130) 사이에는 투명한 프라이머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120)은 유색층(130)에 정전기적 인력 또는 접착력을 제공함으로써 유색층(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120)은 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유색층(130)이 불투명층인 경우 프라이머층(120)이 불투명 소재여도 무방하다. 일 예시적으로, 프라이머층(120)은 아크릴수지, 비닐수지 및 케톤계 용제, 아세테이트계 용제, 톨루엔 용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용제 또는 어느 둘 이상의 혼합인 용제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SS-type 또는 RS-type의 니트로셀룰로스 수지 또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및 알코올계 용제, 아세테이트계 용제 각각의 단독 또는 혼합인 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A transparent primer layer 120 may be formed between the adhesive layer 110 and the colored layer 130. The primer layer 120 may prevent separation of the colored layer 130 by providing an electrostatic attraction or adhesive force to the colored layer 130. The primer layer 12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but if the colored layer 130 is an opaque layer, the primer layer 120 may be an opaque material. In one exemplary embodiment, the primer layer 120 is made of an acrylic resin, a vinyl resin and a ketone solvent, an acetate solvent, a toluene solvent,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r SS- Nitrocellulose resin or polyvinyl butyral resin of the type or RS-type and alcohol solvent, acetate solvent may be composed of a solvent alone or a mixture of each.

잉크층(150) 상에는 이형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형층(160)은 잉크층(150)을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름(100)이 롤 형태로 보관될 때 잉크층(150)이 접착층(110)에 닿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형층(160)은 잉크층(150)에 외부 이물이 닿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형층(160)은 일 예시적으로 아크릭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케톤계 용제, 아세테이트계 용제 또는 방향족계 용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잉크층(150)에 문양 형성 작업을 하기 전에 이형층(160)은 필름(1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The release layer 160 may be formed on the ink layer 150. The release layer 160 may protect the ink layer 150. Specifically, when the film 100 is stored in a roll form, the ink layer 150 may be prevented from coming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110 and being damaged. In addition, the release layer 160 may also serve to prevent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rom contacting the ink layer 150. For example, the release layer 160 may be made of a ketone-based solvent, an acetate-based solvent, an aromatic solvent, or the like based on an acryl-based resin as a main component. The release layer 160 may be removed from the film 100 before the pattern form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ink layer 1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부분 박리문양(151) 형성이 가능한 필름(100)은 대상물(2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The film 100 capable of forming the partial peeling pattern 151,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tached on the object 200.

필름(100)은 대상물(200)의 일면 또는 복수의 면 상에 부착되어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200)은 몰딩, 외장재 등 건축부재일 경우가 많을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film 100 may be attached onto one or a plurality of surfaces of the object 200 to form an aesthetic sense. Here, the object 200 will often be a building member such as molding, exterior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필름(100)의 박리문양(151) 또는 입체문양(152)은 필름(100)이 대상물(200)에 부착되기 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조장치(300)의 이송벨트(330)상에 필름(100)만 놓여진 상태에서 필름(100)에 브러시롤러(320) 등에 의해 박리문양(151)을 형성하거나, 가압롤러(310)에 의해 입체문양(15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필름(100)이 이송벨트(3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필름(100)의 박리문양(151) 또는 입체문양(152)은 필름(100)이 대상물(200)에 부착된 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조장치(300)의 이송벨트(330)상에 필름(100)이 대상물(200)에 부착된 상태인 물건을 놓고,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을 이송벨트(330)상에서 이동시키며 필름(100) 상에 박리문양(151) 또는 입체문양(152)을 형성할 수 있다. The peeling glyph 151 or the three-dimensional glyph 152 of the film 100 may be formed before the film 100 is attached to the object 200.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only the film 100 is placed on the conveyance belt 330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300, the peeling glyph 151 is formed on the film 100 by the brush roller 320 or the like, or on the pressure roller 310.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can be formed. In this case, the film 10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fixing means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onveyance belt 330. Meanwhile, the peeling glyph 151 or the three-dimensional glyph 152 of the film 100 may be formed after the film 100 is attached to the object 200. That is, the object is placed on the film 100 is attached to the object 200 on the conveyance belt 330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300, while moving the object with the film 100 attached on the conveyance belt 330 The peeling pattern 151 or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may be formed on the film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제조장치(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을 제조할 수 있다. 위 필름(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부분 박리문양(151) 형성이 가능한 필름(100)의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예시적으로 위 필름(100)은 색감을 가지는 유색층(130), 내마모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유색층(130)의 마모를 방지하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층(140) 및 잉크층(150)을 포함하는 필름(1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 제조장치(300)는,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을 이송하는 이송벨트(330),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박리문양(151)을 형성할 수 있는 브러시롤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입체문양(152)을 형성할 수 있는 가압롤러(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잉크층(150)에 형성되는 문양을 변화시키거나 기타 작업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nufacture an article to which the film 100 or the film 100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100 may have a feature of the film 100 capable of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151,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example, the film 100 may have a colored layer 130 having a color. The film 100 may include a protective layer 14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n ink layer 150 to prevent abrasion of the colored layer 130 by having abrasion resistance. Film 100 or the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300 attached to the film 100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belt 330, the film (100) for transferring the film 100 or the article 100 is attached A brush roller 320 capable of forming a peeling pattern 151 on the ink layer 150 of 100 may be included.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pressure roller 310 that can form a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i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change the pattern formed in the ink layer 150 or other working environment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adjusting the.

이송벨트(330)는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을 이송할 수 있다. 이송벨트(330)는 이송벨트(330) 상에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브러시롤러(320) 및 가압롤러(310)의 하면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이송벨트(330)는 별도의 엔진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을 이송할 수 있다. 이송벨트(330) 상에는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이 고정될 수 있다. 위 고정은 별도의 테이프 등 일회적 접착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송벨트(330) 상에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을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 부재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송벨트(330)는 브러시(322) 작업 또는 가압롤러(310)에 의한 가압 작업 시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큰 부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The transfer belt 330 may transfer the film 100 or the object to which the film 100 is attached. The conveying belt 330 allows the film 100 or the object to which the film 100 is attached to the conveying belt 330 to pas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brush roller 320 and the pressure roller 310 while not being separated. It may include a known configuration. As an example, the conveyance belt 330 may receive a driving force by a separate engine to convey the film 100 or an object to which the film 100 is attached. The film 100 or the object to which the film 100 is attached may be fixed on the conveyance belt 330. The fixing may be made of a one-time adhesive member such as a separate tape, or there may be a separate fixing member that can fix the film 100 or the object to which the film 100 is attached on the transfer belt 330. The conveying belt 330 may be made of a member having a large friction forc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film 100 or the object to which the film 100 is attached when the brush 322 or the press roller 310 is pressed. have.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브러시롤러(320)는 브러시롤축(323), 브러시롤축(323)에 결합되며 브러시롤축(323)을 축으로 회전하는 브러시롤(321), 브러시롤(321)에 설치되는 브러시(322)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5, the brush roller 320 is coupled to the brush roll shaft 323 and the brush roll shaft 323 and installed on the brush roll 321 and the brush roll 321 rotating the brush roll shaft 323 about the shaft. It may include a brush 322.

브러시롤러(320)는 브러시(322)에 의한 마찰 박리에 의해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박리문양(151)을 형성함으로써, 위 박리문양(151)을 통해 필름(100)의 유색층(130)의 색감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부분 박리문양(151) 형성이 가능한 필름(100)의 유색층(130)과 잉크층(150) 사이에 형성된 보호층(140)이 투명층으로 형성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보호층(140)의 존재로 인해 브러시(322)에 의해 유색층(130)이 전혀 손상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손상되면서 외부로 색감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써 심미감을 형성하는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색층(130)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경우, 외부로 노출되는 색감은 잉크층(150), 잉크층(150)의 박리문양(151)을 통해 노출되는 유색층(130), 유색층(130)을 통과하여 색감이 노출되는 접착층(110)의 세 가지 색감일 수 있다.The brush roller 320 forms a peeling pattern 151 o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by frictional peeling by the brush 322, thereby making the color of the film 100 through the peeling pattern 151 above. The color of the layer 130 may be exposed.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protective layer 140 formed between the colored layer 130 and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capable of forming the partial peeling pattern 151,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transparent layer. In addition, due to the presence of the protective layer 140, the colored layer 130 is not damaged at all or minimally damaged by the brush 322, thereby allowing the transfer of color to the outside, thereby forming the aesthetics of the film 100. Alternatively, an article to which the film 100 is attached may be manufactured.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lored layer 130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the color exposed to the outside is the colored layer 130 exposed through the peeling pattern 151 of the ink layer 150 and the ink layer 150. The color may be three colors of the adhesive layer 110 through which the color is exposed through the colored layer 130.

한편, 브러시롤러(320)는 1개만 배치되거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브러시롤러(320)가 배치되는 경우,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322)는 상기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각각의 박리문양(151)을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only one brush roller 320 may be disposed or a plurality of brush rollers 320 may be disposed. When the plurality of brush rollers 320 are disposed, the brush 322 of the brush roller 320 may form respective peeling patterns 151 o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브러시롤러(320)가 복수로 배치될 경우, 일 예시적으로 복수의 브러시롤러(320)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나란하게 배치된 각각의 브러시롤러(320)는 필름(100)의 다른 영역에 각각 다른 박리문양(151)을 새길 수 있다. 나란하게 배치된 각각의 브러시롤러(320)는 대향되는 각도로 배치되어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대향되는 각도의 박리문양(15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나란하게 배치된 각각의 브러시롤러(320)는 대향되지 않고 다른 각도로 배치되어 필름(100)의 각각의 영역에 각각의 박리문양(151)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en a plurality of brush rollers 320 are dispose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brush rollers 32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At this time, each of the brush rollers 320 arranged side by side may engrave different peeling patterns 151 on different regions of the film 100. Each of the brush rollers 320 disposed side by side may be disposed at opposite angles to form a peeling pattern 151 at an angle opposite to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On the other hand, each brush roller 320 disposed side by side is not opposed to each other can be disposed at different angles to form a respective peeling glyph 151 in each area of the film 100, of course.

복수개의 브러시롤러(320)는 필름(10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각각의 박리문양(151)을 새길 수도 있다. 이 경우, 일 예시적으로 필름(100)의 잉크층(150)에는 중첩된 형태의 박리문양(151)도 새길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필름(100)의 잉크층(150)에서 같은 영역에 대한 브러싱 작업이 시간차를 두고 진행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The plurality of brush rollers 32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ilm 100 to engrav each peeling pattern 151 o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In this case, as an example, the peeling glyph 151 of the superimposed form may also be engraved o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This is possible by brushing the same area i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with a time difference.

한편, 브러시롤러(320)의 필름(100)에 대한 박리문양(151) 형성 작업은 브러시롤(321)의 회전 속도, 브러시(322)의 두께, 배치되는 브러시롤러(320)의 수, 배치되는 브러시롤러(320)의 배치 각도 등에 변화를 줌으로써 박리문양(151)의 형태에 변화를 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eeling pattern 151 forming operation for the film 100 of the brush roller 320 i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rush roll 321, the thickness of the brush 322, the number of the brush roller 320 is disposed, The shape of the peeling pattern 151 may be changed by changing the placement angle of the brush roller 320.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롤(321) 및 브러시(322)는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롤(321)의 교체는 브러시롤 결합부재(324)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이 때 브러시롤축(323)은 브러시롤(321)을 관통하지 않고 브러시롤(321)의 양단에 끼워진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브러시롤(321)의 두께, 무게 등을 달리 함으로써 잉크층(150)에 형성되는 박리문양(151)의 형태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또한, 브러시(322)의 재질, 브러시(322)의 길이, 형성 밀도 등을 달리함으로써 잉크층(150)에 형성되는 박리문양(151)의 두께, 깊이 등을 조절하여 박리문양(151)의 형태에 변화를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러시(322)가 마찰력이 큰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마찰력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보다 잉크층(150)의 마찰 박리의 정도가 더 클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더 거친 무늬를 표현할 수 있을 수 있다. 또한, 브러시(322)의 길이를 달리함으로써 다른 느낌을 주는 박리문양(151)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더욱 조밀하게 형성된 브러시(32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잉크층(150)에 더욱 촘촘한 형태의 박리문양(151)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롤(321) 및 브러시(322)를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장치(300) 자체의 교체가 없어도 간이하게 필름(100)에 형성되는 박리문양(151)에 변화를 줄 수 있다. The brush roll 321 and the brush 322 of the brush roller 320 may be formed to be replaceable. Replacement of the brush roll 321 may be by the brush roll coupling member 324, wherein the brush roll shaft 323 may be a component fitted to both ends of the brush roll 321 without penetrating the brush roll 321. have.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peeling pattern 151 formed on the ink layer 150 may be changed by changing the thickness, weight, and the like of the brush roll 321.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eeling pattern 151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depth, etc. of the peeling pattern 151 formed on the ink layer 150 by varying the material of the brush 322, the length of the brush 322, the forming density, and the like. Can change. Specifically, when the brush 32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arge friction force, the degree of friction peeling of the ink layer 150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material having a small friction force, and a relatively rough pattern may be expressed. have. In addition, the peeling glyph 151 may be formed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brush 322, and when the brush 322 is more densely formed, the peeling of the denser form may be formed in the ink layer 150. The pattern 151 may be formed. As such, the brush roll 321 and the brush 322 of the brush roller 320 are configured to be replaced so that a change in the peeling pattern 151 formed on the film 100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replac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300 itself. Can give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압롤러(310)는 가압롤(311), 가압롤러(310)축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롤(311)은 가압롤러(310)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가압롤(311)은 이송벨트(330)에 의한 필름(100)의 진행 속도에 맞게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4, the pressure roller 310 may include a pressure roll 311 and a pressure roller 310 shaft. The pressure roll 311 may be rotatable based on the pressure roller 310 axis. The pressure roll 311 may be made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speed of the film 100 by the conveying belt 330.

한편, 가압롤(311)의 외면에는 입체 형상의 문양(31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롤러(310)는 가압롤(311)의 외면에 형성되는 입체 형상의 문양에 의해, 필름(10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입체문양(152)을 새길 수 있다.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새겨지는 입체문양(152)의 형상은 가압롤(311)에 형성된 문양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가압롤(311)에 형성된 문양이 양각 문양인 경우, 잉크층(150)에 새겨지는 입체문양(152)은 음각 문양일 수 있다. 반대로, 가압롤(311)에 형성된 문양이 음각 문양인 경우, 잉크층(150)에 새겨지는 입체문양(152)은 양각 문양일 수 있다. 잉크층(150)에 새겨지는 입체문양(152)은 가압롤러(310)의 가압롤(311)에 새겨진 입체 형상의 문양이 형성된 다양한 깊이, 높이,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roll 311 may be a three-dimensional pattern 314 is formed. The pressure roller 310 may engrave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o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by pressing the film 100 by a three-dimensional patter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e roll 311. have.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engraved o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may correspond to the pattern formed on the pressure roll 311. For example, when the pattern formed on the pressing roll 311 is an embossed pattern,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engraved on the ink layer 150 may be an intaglio pattern. On the contrary, when the pattern formed on the pressure roll 311 is an intaglio pattern,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engraved in the ink layer 150 may be an embossed pattern.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engraved on the ink layer 15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various depths, heights, and shapes in which three-dimensional patterns engraved on the pressure rolls 311 of the pressure roller 310 may have various shapes. have.

가압롤러(310)는 부가적인 구성으로서, 필름(100)의 잉크층(150)에는 가압롤러(310)에 의한 입체문양(152)을 형성하지 않고 브러시롤러(320)에 의한 박리문양(151)만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가압롤러(310)에 의한 입체문양(152)을 형성하는 경우,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은 이송벨트(330)상에서 가압롤러(310)에 의해 잉크층(150)에 입체문양(152)이 새겨진 후 브러시롤러(320)에 의해 잉크층(150)에 박리문양(15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롤러(310)에 의해 입체문양(152)을 형성한 후 브러시롤러(320)에 의해 박리문양(151)을 형성하는 것은, 박리문양(151) 형성 후 가압롤러(310)로 잉크층(150)을 가압하게 되면 박리문양(151)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나, 작업 순서가 위와 같은 경우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Pressure roller 310 is an additional configuration, the peeling pattern 151 by the brush roller 320 without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by the pressure roller 310 i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It can also form on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by the pressure roller 310 is formed i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the film 100 or the article 100 is attached on the conveying belt 330 After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is engraved on the ink layer 150 by the pressure roller 310, the peeling pattern 151 may be formed on the ink layer 150 by the brush roller 320. After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is formed by the pressure roller 310 and the peeling pattern 151 is formed by the brush roller 320, the ink layer 150 is formed by the pressure roller 310 after the separation pattern 151 is formed. Pressing) may cause damage to the peeling glyph 151, but the work order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ase.

한편, 가압롤러(310)의 가압롤(311)은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다른 입체문양(152)을 새길 수 있도록 교체 가능할 수 있다. 즉, 가압롤러(310)에서 외면에 입체 형상의 문양이 형성된 가압롤(311)은 외면에 다른 입체 형상의 문양이 형성된 가압롤(311)로 교체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가압롤러(310)의 가압롤(311)은 가압롤 결합부재(313)에 의해 교체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롤축(312)은 가압롤(311)을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가압롤(311)의 양 끝단에 끼워지는 구성일 수 있다. 가압롤러(310)의 가압롤(311)을 교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다양한 입체문양(152)을 새길 수 있으며, 제조장치(300) 자체의 교체가 필요 없이 가압롤러(310)의 가압롤(311)만 교체함으로써 다른 입체문양(152)이 새겨지는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을 제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 roller 311 of the pressure roller 310 may be replaceable to engrave another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o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That is, the pressure roller 311 formed with a three-dimensional patter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ure roller 310 may be configured to be replaced with a pressure roll 311 with a three-dimensional patter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t this time, the pressure roll 311 of the pressure roller 310 may be replaceable by the pressure roll coupling member 313. Specifically, the pressure roll shaft 312 may be configured to be fitted to both ends of the pressure roll 311 rather than penetrating the pressure roll 311. By allowing the pressure roller 311 of the pressure roller 310 to be replaced, various three-dimensional patterns 152 may be engraved o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without requiring replacemen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300 itself. By replacing only the pressure roller 311 of the pressure roller 310,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article having the film 100 or the film 100 to which the other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is engraved.

제어부는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작업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adjust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ilm 100 or the object to which the film 100 is attached.

제어부는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롤(321) 회전 속도, 브러시롤축(323)의 배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필름(100)에 형성되는 박리문양(151)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브러시롤(321)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박리문양(151)의 길이가 짧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롤축(323)의 배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형성되는 박리문양(151)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shape of the peeling pattern 151 formed on the film 100 by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brush roll 321 of the brush roller 320 and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brush roll shaft 323. For example,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rush roll 321 is increased, the length of the peeling glyph 151 may be relatively short. The configuration capable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peeling pattern 151 formed o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brush roll shaft 323 is as described above.

제어부는 브러시롤러(320)에 의해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대한 마찰 박리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브러시롤러(320)의 배치 각도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브러시롤러(320)의 배치 각도가 제어부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화함으로써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형성 각도의 변화를 가지는 박리문양(151)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제어부는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롤축(323)이 기준 각도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주기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롤축(323)이 필름(100)의 진행 방향과 수직하게 놓여진 각도를 브러시롤축(323)의 기준 각도라고 하면, 브러시롤축(323)은 제어부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주기를 가지는 진동 운동을 함으로써 필름(100)의 잉크층(150) 상에 각도의 변화 패턴을 가지는 박리문양(151)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inuously change the placement angle of the brush roller 320 while the friction peeling operation of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is performed by the brush roller 320. Since the placement angle of the brush roller 320 is continuously changed by the controller, the peeling glyph 151 having the change in the forming angle may be formed i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allow the brush roll shaft 323 of the brush roller 320 to perform a periodic moveme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bout the reference angle. That is, when the brush roll shaft 323 of the brush roller 320 is perpendicular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ilm 100 as the reference angle of the brush roll shaft 323, the brush roll shaft 323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controller. By performing a vibrating motion having a period in the peeling pattern 151 having a change pattern of the angle o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can be formed.

한편, 제어부는 이송벨트(330)의 이송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작업 속도 및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형성되는 박리문양(151)의 형상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working speed and the shape of the peeling pattern 151 formed o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by adjusting the conveying speed of the conveying belt 3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100)의 제조방법은 도 6에 나타난 바와같이 접착층(110) 형성과정, 프라이머층(120) 상에 유색층(130)을 형성하는 유색층(130) 형성과정, 유색층(130) 상에 보호층(140)을 형성하는 보호층(140) 형성과정, 보호층(140) 상에 잉크층(150)을 형성하는 잉크층(150) 형성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에도 접착층(110) 형성과정 및 유색층(130) 형성과정 사이에는 접착층(110) 상에 프라이머층(120)을 형성하는 프라이머층(120) 형성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잉크층(150) 상에 이형층(160)을 형성하는 이형층(160) 형성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l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adhesive layer 110 is formed, the colored layer 130 is formed to form the colored layer 130 on the primer layer 120. The process may include forming a protective layer 140 to form a protective layer 140 on the colored layer 130 and forming an ink layer 150 to form an ink layer 150 on the protective layer 140. Can be.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process of forming the adhesive layer 110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colored layer 130 may include a process of forming the primer layer 120 to form the primer layer 120 on the adhesive layer 110, the ink layer ( It may include the process of forming the release layer 160 to form the release layer 160 on the 150.

한편, 접착층(110) 형성과정 전에 별도의 기재필름(100)층 형성과정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층(110)은 이미 형성된 기재필름(100)층 형성과정을 통해 형성된 기재필름(100)층 상에 접착층(110) 형성 재료가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재필름(100)층은 일 예시적으로 유ㆍ무광의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100) 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100)에 무광제로 코팅한 무광필름(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re may be a process of forming a separate base film 100 before the process of forming the adhesive layer 110. In this case, the adhesive layer 110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adhesive layer 110 forming material on the base film 100 layer formed through the already formed base film 100 layer forming process. Here, the base film 100 layer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polyester film 100 having excellent heat stability of matte or matt or a matte film 100 coated with a matte on the polyester film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의 제조 방법은 앞서 설명한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 제조장치(300)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의 제조 방법은 앞서 설명한 필름(100)의 제조 방법에 부가하여 필름(100) 부착 과정, 박리문양(151) 형성 과정, 입체문양(152) 형성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100 o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rticle with the film 100 may use the film 100 or the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300 with the film 100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ilm 100 or the article to which the film 100 is attached, in addition to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ilm 100 described above, attaching the film 100 and forming a peeling pattern 151. Process,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may include a process of forming.

필름(100) 부착 과정은 필름(100)의 접착층(110)을 매개로 필름(100)을 대상물(200)에 부착하는 과정이다. 필름(100)의 부착은 일 예시적으로 열전사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전사 방식에 의해 필름(100)을 대상물(200)에 부착한 후 박리문양(151) 형성 과정 또는 입체문양(152) 형성 과정을 거치는 경우, 박리문양(151) 또는 입체문양(152)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즉, 필름(100)의 잉크층(150) 및 다른 층들은 일 예시적으로 열에 취약한 재질일 수 있으므로, 열전사 방식에 의해 필름(100)을 부착한 후 필름(100) 온도를 충분히 하강시킨 상태에서 박리문양(151) 형성 과정 또는 입체문양(152) 형성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손상되지 않은 상태의 박리문양(151) 또는 입체문양(152)이 필름(100)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Attaching the film 100 is a process of attaching the film 100 to the object 200 through the adhesive layer 110 of the film 100. Attachment of the film 100 may be, for example, a thermal transfer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film 100 is attached to the object 200 by the thermal transfer method, and then the peeling pattern 151 is formed or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is formed, the peeling pattern 151 or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is damaged. Can be prevented. That is, since the ink layer 150 and the other layers of the film 100 may be, for example, a material vulnerable to heat, the temperature of the film 100 is sufficiently lowered after the film 100 is attached by a thermal transfer method. In the peeling pattern 151 forming process or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by proceed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intact peeling pattern 151 or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may be formed in the film 100.

입체문양(152) 형성 과정에서는 가압롤러(310)에 의해 필름(100)을 가압하여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입체문양(152)을 새길 수 있다. 입체문양(152) 형성 과정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박리문양(151) 형성 과정에 부가하여 고려될 수 있는 과정이다. 입체문양(152) 형성 과정을 거치는 경우, 박리문양(151) 형성 과정에서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322)는 필름(100)의 잉크층(150)에서 상대적으로 돌출된 면을 중점적으로 마찰 박리시킴으로써 문양의 형상에 입체감 및 심미감을 줄 수 있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may be engraved on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by pressing the film 100 by the pressure roller 310. The process of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is not essential, and may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the process of forming the peeling pattern 151. In the case of forming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152, the brush 322 of the brush roller 320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eeling pattern 151 is mainly rubbing the surface protruding from the ink layer 150 of the film 100 By peeling, the shape of a pattern can give a three-dimensional feeling and an aesthetic feeling.

박리문양(151) 형성 과정 전에, 앞서 설명한 필름(100)의 제조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은 제조장치(300)의 이송벨트(330) 상에 놓여질 수 있다. 한편, 필름(100)에 이형층(160)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박리문양(151) 형성 과정 전에 이형층(160)을 제거한 후 박리문양(151) 형성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은 이송벨트(330) 상에 배치된 후, 이송벨트(330)가 움직임에 따라서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필름(100) 또는 필름(100)이 부착된 물건은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해 이송벨트(330)에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송벨트(330)에 의해 이동하는 필름(100)은 브러시롤러(320)의 아랫 부분을 통과하게 되고, 이 때 브러시롤러(320)의 브러시(322)로 인한 마찰 박리에 의해 필름(100)의 잉크층(150)에 박리문양(151)이 형성되게 된다. Before the process of forming the peeling pattern 151, the film 100 or the article 100 is made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ilm 100 described above may be placed on the conveyance belt 330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300. have. Meanwhile, when the release layer 160 is formed on the film 100, the release layer 160 may be removed before the release pattern 151 is formed, and then the release pattern 151 may be formed. After the film 100 or the object to which the film 100 is attached is disposed on the conveyance belt 330, the conveyance belt 330 may move as the movement moves. At this time, the film 100 or the article to which the film 100 is attache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veyance belt 330 by a separate fixing means. The film 100 moving by the conveying belt 330 passes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brush roller 320, and at this time, the film 100 is moved by friction peeling due to the brush 322 of the brush roller 320. The peeling pattern 151 is formed on the ink layer 150.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100 : 필름 200 : 대상물
110 : 접착층 300 : 제조장치
120 : 프라이머층 310 : 가압롤러
130 : 유색층 320 : 브러시롤러
140 : 보호층 330 : 이송벨트
150 : 잉크층
160 : 이형층
100: film 200: object
110: adhesive layer 300: manufacturing apparatus
120: primer layer 310: pressure roller
130: colored layer 320: brush roller
140: protective layer 330: transport belt
150: ink layer
160: release layer

Claims (13)

색감을 가지는 유색층, 내마모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유색층의 마모를 방지하는,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층 및 잉크층을 포함하는 필름 또는 상기 필름이 부착된 물건을 이송하는 이송벨트;
브러시롤축, 상기 브러시롤축에 결합되며 상기 브러시롤축을 축으로 회전하는 브러시롤 및 상기 브러시롤에 설치되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에 의한 마찰 박리에 의해 상기 필름의 잉크층에 박리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박리 문양을 통해 상기 유색층의 색감을 노출시키는 브러시롤러
를 포함하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제조 장치.
A conveying belt for conveying a film or a film having a film including a protective laye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n ink layer, which has a color layer having a color sense and abrasion resistance to prevent abrasion of the colored layer;
And a brush roll coupled to the brush roll shaft, the brush roll coupled to the brush roll shaft, and a brush installed on the brush roll, and forming a peeling pattern on the ink layer of the film by frictional peeling by the brush. Brush roller to expose the color of the colored layer through the peeling pattern
The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which the film which forms the partial peeling pattern containing the film or the film which forms the partial peeling pattern is attached.
제1 항에서,
상기 브러시롤러는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브러시롤러의 브러시는 상기 필름의 잉크층에 각각의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제조 장치.
In claim 1,
The brush roller is disposed in a plurality, the brush of the plurality of brush rollers to form a respective peeling pattern in the ink layer of the film, the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or a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This attached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제2 항에서,
상기 복수의 브러시롤러는 나란하게, 대향되는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필름의 잉크층에 대향되는 각도의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제조 장치.
In claim 2,
The plurality of brush rollers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opposite angles to form a peeling pattern of an angle opposite to the ink layer of the film, the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or a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This attached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제2 항에서,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롤러는 상기 필름의 진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필름의 잉크층에 각각의 박리 문양을 새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제조 장치.
In claim 2,
The plurality of brush rollers ar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film to engrav each peeling pattern on the ink layer of the film, the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or the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is Attached article manufacturing device.
제1 항에서,
회전 가능한 가압롤 및 가압롤러축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롤 외면에 입체 형상의 문양이 형성되며, 상기 필름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필름의 잉크층에 입체문양을 새기는 가압롤러
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 또는 상기 필름이 부착된 물건은 상기 이송벨트상에서 상기 가압롤러에 의해 상기 잉크층에 입체문양이 새겨진 후 상기 브러시롤러에 의해 상기 잉크층에 박리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제조 장치.
In claim 1,
A pressure roller including a rotatable pressure roll and a pressure roller shaft, wherein a three-dimensional patter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pressure roll, and a pressure roller that inscribes a three-dimensional pattern in the ink layer of the film by pressing the film.
It includes, wherein the film or the article attached to the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e-dimensional pattern is engraved on the ink layer by the pressure roller on the conveying belt and then the peeling pattern is formed on the ink layer by the brush roller. The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a film which forms the partial peeling pattern or the film which forms a partial peeling pattern.
제1 항에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러시롤러의 브러시롤 회전 속도 및 브러시롤축의 배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필름에 형성되는 박리 문양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제조 장치.
In claim 1,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may change the shape of the peeling pattern formed on the film by adjusting the brush roll rotation speed of the brush roller and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brush roll shaft, wherein the film or partial peeling pattern forming the partial peeling pattern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a film forming a.
제5 항에서,
상기 가압롤러의 가압롤은 상기 필름의 잉크층에 다른 입체문양을 새길 수 있도록 교체 가능하며, 상기 브러시롤러의 브러시롤 및 브러시는 교체 가능함으로써 상기 잉크층에 형성되는 박리 문양의 두께, 깊이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또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제조 장치.
In claim 5,
The pressure roll of the pressure roller is replaceable to engrave different three-dimensional patterns on the ink layer of the film, and the brush roll and brush of the brush roller are replaceable so that the thickness, depth, etc. of the peeling pattern formed on the ink layer can be changed. The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a film which forms the partial peeling pattern or the film which forms a partial peeling pattern with which it can adjust.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필름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필름의 잉크층에 상기 브러시롤러의 브러시에 의한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박리 문양 형성과정을 포함하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제조 방법.
As a film manufacturing method which manufactures a film using the apparatus of any one of Claims 1-7,
And a peeling pattern forming process of forming a peeling pattern by the brush of the brush roller in the ink layer of the film.
제8 항의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에 의해 상기 필름을 가압하여 상기 필름의 잉크층에 입체문양을 새기는 입체문양 형성과정을 포함하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 제조 방법.
In the film production method of claim 8,
Pressing the film by the pressure roller to include a three-dimensional pattern forming process to inscribe a three-dimensional pattern in the ink layer of the film, a film manufacturing method for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이 부착된 물건을 제조하는 물건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필름의 잉크층에 상기 브러시롤러의 브러시에 의한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박리 문양 형성과정을 포함하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제조 방법.
An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for producing an article with a film by using the apparatus of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a peeling pattern forming process of forming a peeling pattern by the brush of the brush roller on the ink layer of the film.
제10 항의 물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박리 문양 형성과정 전에 대상물 상에 상기 필름을 열전사 방식으로 접착하는 필름 부착과정을 포함하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제조 방법.
In the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of claim 10,
And a film attaching process of adhering the film on the object by thermal transfer before the peeling pattern forming process.
제10 항의 물건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에 의해 상기 필름을 가압하여 상기 필름의 잉크층에 입체문양을 새기는 입체문양 형성과정을 포함하는,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제조 방법.
In the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of claim 10,
And a three-dimensional pattern forming process of pressing the film with the pressure roller to engrave a three-dimensional pattern on the ink layer of the film.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은 상기 필름이 몰딩재 상에 열전사 방식으로 접착된 것인, 부분 박리 문양을 형성하는 필름이 부착된 물건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article with a film forming the partial peeling pattern is a product attached to the film forming a partial peeling pattern, the film is bonded by a thermal transfer method on the molding material.
KR1020180042710A 2018-04-12 2018-04-12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duct attatched with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KR102036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710A KR102036367B1 (en) 2018-04-12 2018-04-12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duct attatched with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710A KR102036367B1 (en) 2018-04-12 2018-04-12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duct attatched with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362A KR20190119362A (en) 2019-10-22
KR102036367B1 true KR102036367B1 (en) 2019-10-24

Family

ID=6842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710A KR102036367B1 (en) 2018-04-12 2018-04-12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duct attatched with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3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0080B2 (en) 2021-01-07 2023-09-19 Samsung Display Co., Ltd. Peeling device and peeling metho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91B1 (en) * 2019-12-02 2020-05-15 김용호 Surface coating method for solid patterned with growth using a powder pai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9587A (en) 2004-05-19 2005-12-02 Denso Corp Decorative laminate and indication plate of indicator for vehicle
KR101225927B1 (en) 2009-12-23 2013-01-24 (주)엘지하우시스 Laminated sheet for automobile internal 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aminated she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827A (en) * 2008-03-28 2009-10-0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Decorative film for molding
KR20180069404A (en) * 2016-12-15 2018-06-25 인탑스 주식회사 Manufacturing method for molded product with real-wo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9587A (en) 2004-05-19 2005-12-02 Denso Corp Decorative laminate and indication plate of indicator for vehicle
KR101225927B1 (en) 2009-12-23 2013-01-24 (주)엘지하우시스 Laminated sheet for automobile internal 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aminated she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0080B2 (en) 2021-01-07 2023-09-19 Samsung Display Co., Ltd. Peeling device and peeling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362A (en)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4477B1 (en) Process for color variability in printing to simulate color variation of natural product
JP4951895B2 (en) Decorative molded produc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RU2008122911A (en) FLOORING, FLOOR PANELS AND METHOD FOR PRODUCING FLOOR PANELS
KR20030040695A (en) PVC Flooring Matched Print and Embossed Pattern
KR1020363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roduct attatched with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JP4691371B2 (en) Transfer sheet
US8563122B1 (en) Thermoplastic architectural composite laminate material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JP3150439B2 (en) Cosmetic material
KR102036365B1 (en) A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and a product attatched with film forming a partially peeled pattern.
KR20220160606A (en) Decorative surface covering element, surface covering element cove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decorative surface covering element
KR200400382Y1 (en) Transparency or collar Transparency synthetic resin ashes hairline mirror
JP2574558Y2 (en) Cosmetic material
KR20150069676A (en) The flooring having the effect of hologram scattered reflection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9109350A (en) Excellent design decorative sheet and manufacture thereof
JP3128105U (en) Accessories
KR102217433B1 (en)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0548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glitter sheet
JPH0478535A (en) Preparation of decorative sheet
JP4762573B2 (en) Three-dimensional effect figure forming method and figure three-dimensional display
JP400401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ong joint material for architecture in which many speckled patterns are formed on the design surface
JPH02234983A (en) Floorclothing material
CN216128076U (en) Nano micro-grain combined decorative board
JPH06286065A (en) Decorative sheet with high designing properties
KR10117323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ooring containing embossing sheet
JPH0383641A (en) Decorative sheet and prepar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