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148B1 -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및 금형을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및 금형을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148B1
KR102036148B1 KR1020190078073A KR20190078073A KR102036148B1 KR 102036148 B1 KR102036148 B1 KR 102036148B1 KR 1020190078073 A KR1020190078073 A KR 1020190078073A KR 20190078073 A KR20190078073 A KR 20190078073A KR 102036148 B1 KR102036148 B1 KR 102036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waveform
corrugated steel
mold
helical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억
Original Assignee
대한강관 주식회사
신한스틸파이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강관 주식회사, 신한스틸파이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강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8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8Reinforcing the connection otherwise than by deforming, e.g.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21D39/046Connecting tubes to tube-like fit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에서, 파형강관 단부의 파형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의 밴드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선택된 관경에 따른 파형의 피치와 파형의 깊이를 가진 금형을 선택하는 단계(S100)와, 선택된 관경에 따른 일정 폭 및 길이의 도금강판을 준비하는 단계(S200)와, 상기 선택된 금형과 프레스와 이용하여, 상기 도금강판에 선택된 파형의 피치와 파형의 깊이를 가지도록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S300)와, 상기 프레스 작업에 의해 파형이 완성된 도금강판을 밴딩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관경으로 밴딩하는 단계(S400)와, 상기 밴딩 작업에 의하여 링형으로 형성된 도금강판의 양단에 결합용 브래킷을 용접하는 단계(S500)와, 상기 결합용 브래킷이 용접된 링형 밴드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강관연결용 브래킷을 용접하는 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금형을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및 금형을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 {Helical flange for corrugated steel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lical flange for corrugated steel pipe using mold}
본 발명은 파형강관의 연결에 사용되는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와 파형강관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금형을 이용하여 헬리컬 플랜지 내면으로 형성되는 소재에 파형 골을 형성하고,
파형강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과 동일한 파형이 형성된 소재를 롤링과 용접공정을 거쳐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를 제작하는 제조방법 및 이러한 공정으로 제작되는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에 관한 것이다.
우수, 하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지하에 매설되는 배수구조물은 주로 콘크리트재의 흄관, 콘크리트관, PC BOX 등을 주로 사용하게 되나, 이를 제조하기 위한 원, 부자재의 자원부족, 생산성 및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 파손 및 손상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강판을 나선형 파형강관으로 제조하여 대체하고 있다. 이때, 파형강관은 경우 그 길이의 제한으로 인하여 또는 방향의 변경 등을 위하여 계속적인 관의 연결을 필요로 한다.
파형강관의 경우 강관의 외경에 파형이 형성되어 있어, 파형강관의 연결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형강관을 전단하여 연결용 플랜지를 제작하여 파형강관의 단부에 체결하고, 강관의 외경에 체결된 플랜지를 이용하여 플랜지에 형성된 강관연결용 브라킷을 나사결합시킴으로 서로 결합하는 이음장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된 파형강관 연결용 플랜지는 파형강관을 전단하여 플랜지를 제작함으로써, 파형강관의 파형과 연결용 플랜지에 형성된 파형이 일치하지 못하여 밀착성이 높지 않아서 결합시에 체결력에 의해 플랜지는 회전력이 발생되어 회전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0886363호의 이중파형강관의 연결장치에서는 양쪽이 맞대어진 이중파형강관(10)(10")의 둘레를 감싸며 각각 고정된 굽힘형 결속구(30)(30")에 양단이 결합되어, T형 접속구(20)를 향해 양쪽 이중파형강관(10)(10")을 밀착시켜 고정시키고 있는 바와 같이 파형관의 체인형상으로 이루어진 굽힘형 결속구(30)(30")로 결속하고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10-1681908호에서는 파형강관의 플랜지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파형강관의 단부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링 형상의 밴드부(100), 상기 밴드부(100)의 원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삽입되어 상기 파형강관(A)의 파형홈(A1)에 고정되는 고정나사부(200)로 플랜지를 고정하고 있으며, 통상의 파형강관 체결용 플랜지에 마찰재를 삽입하거나, 접착제를 도포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마찰재나, 접합제의 접합력이 체결력에 의한 회전력에 견디지 못하여 체결 플랜지가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체결력의 약화로 연결부의 누수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형강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에 밀착할 수 있도록 헬리컬 플랜지의 내주면에 상기 파형강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금형을 이용하여 파형 골을 형성하고,
상기 파형강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과 동일하게 형성된 판재를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또한 이러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를 이용하여 파형강관을 연결하므로 결합부의 수밀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19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636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39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형강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이 밀착할 수 있는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 및 하수의 배수관으로 사용되는 파형 강관의 연결부에 결합되는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를 제작하기 위하여, 파형강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에 밀착할 수 있도록 헬리컬 플랜지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판재 면에 동일한 파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금형을 이용하고,
상기 금형을 이용하여 파형 골이 형성된 판재를 이용하는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과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파형강관의 헬리컬 플랜지 내, 외주면에 피복되는 피복층을 내식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막이 도포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에 있어서, 파형강관 단부의 파형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의 밴드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선택된 관경에 따른 파형의 피치와 파형의 깊이를 가진 금형을 선택하는 단계(S100)와, 선택된 관경에 따른 일정 폭 및 길이의 도금강판을 준비하는 단계(S200)와, 상기 선택된 금형과 프레스와 이용하여, 상기 도금강판에 선택된 파형의 피치와 파형의 깊이를 가지도록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S300)와, 상기 프레스 작업에 의해 파형이 완성된 도금강판을 밴딩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관경으로 밴딩하는 단계(S400)와, 상기 밴딩 작업에 의하여 링 형으로 형성된 도금강판의 양단에 결합용 브래킷을 용접하는 단계(S500)와, 상기 결합용 브래킷이 용접된 링 형 밴드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강관연결용 브래킷을 용접하는 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파형강관 결합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형을 선택하는 단계(S100)에서 상기 금형은 금형의 파형 피치와 깊이를 선택되는 파형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피치(P)와 깊이가 동일하게 제작된 금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금강판을 준비하는 단계(S200)에서 도금강판의 길이는 선택된 관경 원주에서 1Piece는 -40mm 내지 -45mm로 제작하는 것과, 2 Piece는 -35mm 내지 -42 mm로 제작하는 것과 3Piece는 -5mm 내지 -15mm로 제작하는 것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밴딩하는 단계(S400)에서의 밴딩기는 선택된 기준 파형의 형상을 가진 3개의 축으로 형성된 밴딩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금강판은 양면에 PE(Poly Ethylene) 또는 PVC(Poly Viny Chloride)시트가 선 피복된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강관연결용 브래킷을 용접하는 단계(S600)를 거쳐 완성된 파형강관 결합용 헬리컬 플랜지는 PVC, PE등의 조성물을 도포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또는 조성물을 스프레이 하는 단계 또는 조성물에 침전하는 단계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S700)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앞에서 제시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의 외부에 형성된 파형이 밀착할 수 있도록 정확한 파형을 형성할 수 있는 금형을 이용하여 파형 골이 형성된 판재를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과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를 사용하여 파형강관을 연결하여 완벽하게 수밀성이 향상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금형 의하여 정확한 파형을 형성할 수 있어, 제작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는 연결되는 파형강관의 외경부에 형성된 파형과 면접촉되어 체결력에 의해 당해 헬리컬 플랜지가 고정되어 체결력이 유지되어 완벽하게 수밀성이 향상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을 굽힘형 결속구으로 고정시켜 연결하는 연결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을 고정시키기 위해 링 형상의 밴드부의 원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파형강관의 파형홈에 고정시키는 연결 구성도이다.
도 3은 파형강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을 단면과 파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작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작 순서를 사진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 강관의 외주면 파형과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에 형성된 파형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기존의 제조 방법인 관체를 절단하여 제조함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인 파형 강관의 외주면 파형과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에 형성된 파형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를 사진으로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을 굽힘형 결속구으로 고정시켜 연결하는 연결 구성도이다.
도 1를 참고하여 보면, 파형강관의 단부 둘레를 가압하며 고정 체결되는 굽힘형 결속구(30); 및 상기 각 굽힘형 결속구(30)에 양쪽 단이 결합되어, 상기 T형 접속구를 향해 양쪽 파형강관을 밀착 시키는 하나 이상의 조임형 체결구(40)로 이루어진 파형강관의 연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파형강관의 외주면 파형에 플랜지를 고정하기 어려워 체인형으로 형성된 굽힘형 결속구(30)가 체결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도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파형강관을 고정시키기 위해 링 형상의 밴드부의 원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파형강관의 파형홈에 고정시키는 연결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종래 발명에 따른 파형 강관의 외주면에 결합된 밴드부(100)는 파형강관(A) 단부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밴드부(100)의 원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고정나사부(200)가 삽입되어, 상기 파형강관(A)의 파형홈(A1)에 고정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같이 파형강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에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하여 플랜지 자체만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파형강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에 면접착이 가능하도록 외주면 파형이 끼움 결합되는 파형을 가진 금형을 제작하고, 제작된 금형을 프레스에 부착한 후에 도금된 강판을 프레스와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한 후에 헬리컬 플랜지를 제작하는 방법으로 연결되는 파형강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에 끼움 결합되는 헬리컬 플랜지를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 발명에서의 파형강관의 파형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과 파형 형상도이다.
도4와 도5에서는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리컬 플랜지 제작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4와 도5를 참조하면, 파형강관 결합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파형강관 단부의 파형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의 밴드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선택된 관경에 따른 파형의 피치와 파형의 깊이를 가진 금형을 선택하는 단계(S100)와, 선택된 관경에 따른 일정 폭 및 길이의 도금강판을 준비하는 단계(S200)와, 상기 선택된 금형과 프레스와 이용하여, 상기 도금강판에 선택된 파형의 피치와 파형의 깊이를 가지도록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S300)와, 상기 프레스 작업에 의해 파형이 완성된 도금강판을 밴딩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관경으로 밴딩하는 단계(S400)와, 상기 밴딩 작업에 의하여 링 형으로 형성된 도금강판의 양단에 결합용 브래킷을 용접하는 단계(S500)와, 상기 결합용 브래킷이 용접된 링형 밴드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강관연결용 브래킷을 용접하는 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파형강관 결합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각각의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선택된 관경에 따른 파형의 피치와 파형의 깊이를 가진 금형을 선택하는 단계(S100)에서는 파형강관 외경의 파형은 통상의 파형의 피치(P)는 68.0mm, 파형의 깊이(H)는 13.0mm, 파형의 굽힘 반지름은 17.5mm를 가진 1RS 형과, 파형의 피치(P)가 76.2mm, 파형의 깊이(H)는 25.4mm, 파형의 굽힘 반지름은 17.5mm를 가진 3RS 형으로 호칭되며, 이에 따른 금형도 나누어지게 되어 금형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금형에 의해 제작되는 헬리컬 플랜지는 도면 6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강관(A)에 결합될 경우 파형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의 외면에 본원 발명으로 제작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의 내면에 형성된 파형이 일치하여 면접촉되어 결합되는 파형 강관의 외주면 파형과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에 형성된 파형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으로는 외주면에 파형이 형성된 파형강관을 절단하여 헬리컬 플랜지로 제작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헬리컬 플랜지는 도면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의 깊이(H)가 탄성에 의해 -1.0mm 내지 -1.5mm 변형이(h1) 발생하며, 파형의 피치(P) 또한 -0.5mm 내지 -1.0mm의 변형이(p1) 발생하여,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헬리컬 플랜지를 이용하여 파형강관에 결합시키면 결합되는 파형강관의 파형이 일치되지 않아 파형강관과 헬리컬 플랜지가 밀착되지 않아 결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파형강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파형과 결합되는 헬리컬 플랜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파형이 일치될 수 있도록 헬리컬 플랜지의 내주면에 금형과 프레스를 이용하여 파형을 형성하며,
이에 사용되는 금형의 파형의 형상은 선택되는 파형관의 파형의 피치 및 깊이와 동일하게 제작함으로서 파형강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의 형상과 헬리컬 플랜지의 내주면에 형성된 파형을 일치 시킬 수 있어,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파형강관과 헬리컬 플랜지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금형을 선택하는 단계(S100)에서 상기 금형의 파형의 피치(p)와 선택되는 파형관의 피치는 동일하며, 파형의 깊이(h)는 금형의 파형의 깊이가 선택된 파형관의 파형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파형의 상부 굽힌 반지름 또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금강판을 준비하는 단계(S200)에서 도금강판의 길이는 선택된 관경 원주에서 1Piece는 -40mm 내지 -45mm로 제작하는 것과, 2 Piece는 -35mm 내지 -42 mm로 제작하는 것과 3Piece는 -5mm 내지 -15mm로 제작하는 것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관경의 원주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은 결합용 브래킷을 결합하여 파형강관의 외경에 맞추어 볼트체결에 의하여 파형강관에 형성된 파형의 외면에 헬리컬 플랜지에 형성된 파형의 내면에 면접촉되도록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밴딩하는 단계(S400)에서의 밴딩기는 선택된 기준 파형의 형상을 가진 3개의 축으로 형성된 밴딩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딩기의 3개의 축중에서 플랜지 내면과 접하는 상부 중심축의 파형은 금형의 파형과 동일한 피치와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파형강관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 회전축을 이용함으로 성형되는 헬리컬 플랜지의 파형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도금강판은 양면에 PE(Poly Ethylene)시트 또는 PVC(PolyViny Chloride)시트가 선 피복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밴딩하는 단계(S400)에서의 밴딩되어 링 형상으로 형성된 헬리컬 플랜지의 양단면에는 결합용브래킷을 용접하여 파형강관에 결합할 있도록 형성하며,
용접방법으로는 알곤용접, 레이져 용접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현장 조건에 맞추어 용접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강관연결용 브래킷을 용접하는 단계(S600)를 거쳐 완성된 파형강관 헬리컬 플랜지에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S700)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강관연결용 브래킷을 용접하는 단계(S600)를 거쳐 완성된 헬리컬 플랜지는 PVC, PE등의 조성물을 도포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또는 조성물을 스프레이 하는 단계, 조성물에 침전하는 단계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등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금강판을 이용하여 제작된 헬리컬 플랜지는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내외면에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이유는 용접에 의한 도금층의 파손을 보수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파형강관 단부의 파형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의 밴드부의 파형을 금형과 프레스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 밴드부 내주면에 형성된 파형을 연결되는 파형강관 외주면의 파형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결합시에 면접촉으로 밀착됨으로서 파형강관과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가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와 이를 제작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작성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파형강관
P : 파형의 피치
H ; 파형의 깊이
h1 : 기존 관체 절단 가공으로 생성되는 파형 깊이의 간극
p1: 기존 관체 절단 가공으로 생성되는 파형 피치의 간극
1000 : 링형으로 형성된 강판
1100 : 결합용 브래킷
1200 : 강관연결용 브래킷

Claims (4)

  1. 파형강관 결합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파형강관 단부의 파형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의 밴드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선택된 관경에 따른 파형의 피치와 파형의 깊이를 가진 금형을 선택하는 단계(S100)와
    선택된 관경에 따른 일정 폭 및 길이의 도금강판을 준비하는 단계(S200)와,
    상기 선택된 금형과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도금강판에 선택된 파형의 피치와 파형의 깊이를 가지도록 금형을 이용한 프레스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S300)와,
    상기 프레스 작업에 의해 파형이 완성된 도금강판을 밴딩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관경으로 밴딩하는 단계(S400)와,
    상기 밴딩 작업에 의하여 링형으로 형성된 도금강판의 양단에 결합용 브래킷을 용접하는 단계(S500)와,
    상기 결합용 브래킷이 용접된 링형 밴드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강관연결용 브래킷을 용접하는 단계(S600)로 이루어지는 금형을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을 선택하는 단계(S100)에서
    상기 금형은 금형의 파형 피치와 깊이를 선택되는 파형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피치(P)와 깊이가 동일하게 제작된 금형을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밴딩하는 단계(S400)에서의 밴딩기는 선택된 기준 파형의 형상을 가진 3개의 축으로 형성된 밴딩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을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
  4. 삭제
KR1020190078073A 2019-06-28 2019-06-28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및 금형을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 KR102036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73A KR102036148B1 (ko) 2019-06-28 2019-06-28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및 금형을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73A KR102036148B1 (ko) 2019-06-28 2019-06-28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및 금형을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148B1 true KR102036148B1 (ko) 2019-11-26

Family

ID=6873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073A KR102036148B1 (ko) 2019-06-28 2019-06-28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및 금형을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1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63B1 (ko) 2008-04-30 2009-03-03 양정현 이중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20130001604A (ko) * 2011-06-27 2013-01-04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파이프 연결장치
KR20140143920A (ko) 2013-06-10 2014-12-18 임애순 배관 연결용 플랜지 및 그 제작방법
KR101681908B1 (ko) 2016-06-30 2016-12-05 대한강관 주식회사 무용접 체결 방식의 연결장치 일체형 파형강관
KR20170027920A (ko) * 2015-09-02 2017-03-13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관 단부 삽입형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63B1 (ko) 2008-04-30 2009-03-03 양정현 이중파형강관의 연결장치
KR20130001604A (ko) * 2011-06-27 2013-01-04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파이프 연결장치
KR20140143920A (ko) 2013-06-10 2014-12-18 임애순 배관 연결용 플랜지 및 그 제작방법
KR20170027920A (ko) * 2015-09-02 2017-03-13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관 단부 삽입형 연결구조
KR101681908B1 (ko) 2016-06-30 2016-12-05 대한강관 주식회사 무용접 체결 방식의 연결장치 일체형 파형강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1800B (zh) 具堅固嵌件之流體處理總成
JP4452558B2 (ja) 既設管の更生工法
WO2011060695A1 (zh) 用于螺旋波纹形塑钢缠绕管的钢带增强复合带材
KR102036148B1 (ko)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및 금형을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용 헬리컬 플랜지 제조 방법
CA2793590C (en) A pipe connection to form a liquid tight seal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CN101031728B (zh) 无端式套管固定卡箍及其制造方法
FI3935301T3 (fi) Metalliputki öljyn ja kaasun kuljettamiseen, käsittäen metallipinnoitteen siirtymäalueella
KR200389344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RU2686129C1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труб с внутренней пластмассовой облицовкой
JP2010133557A (ja) 管用ボルト型係合システム
JP2009162241A (ja) 管継手、その製造方法、これを用いたマンホール構造物並びに管の接続方法
CN103384791B (zh) 在两个金属管之间的管接头及其形成该管接头的方法
RU2398156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с внутренним цементно-песчаным покрытием
GB2528713A (en) Bi-metallic mechanically lined pipe
JP2014114882A (ja) クリープ損傷を受ける金属製配管の補強工法、及び、補強構造
TWM623477U (zh) 外覆管接頭結構
RU2155291C1 (ru) Способ нераз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труб
KR102277149B1 (ko)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KR20200017023A (ko) 딤플플랜지 파형강관 이음 구조 및 그 방법
EP25691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collar to the end of a pipe
KR20140125947A (ko)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00301613A (ja) 曲がり部を有する既設管の更生工法
CN219623508U (zh) 一体化表弯式环压钢塑转换
US272191A (en) Pipe-coupling
RU2263244C1 (ru) Не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и способ его выполн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