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837B1 -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 Google Patents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837B1
KR102035837B1 KR1020170165471A KR20170165471A KR102035837B1 KR 102035837 B1 KR102035837 B1 KR 102035837B1 KR 1020170165471 A KR1020170165471 A KR 1020170165471A KR 20170165471 A KR20170165471 A KR 20170165471A KR 102035837 B1 KR102035837 B1 KR 102035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abrasive
vibrating screen
screen
mesh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5887A (ko
Inventor
김태웅
김진홍
민지환
Original Assignee
김태웅
김진홍
민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웅, 김진홍, 민지환 filed Critical 김태웅
Priority to KR1020170165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8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지그 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는 진동스크린 및, 진동스크린의 상,하단 연결지점에 선별적으로 개폐되는 댐퍼를 구성한 것이고, 이에따라 표면 연마제를 입자 크기별로 혼용없이 자동 선별한 후 이를 각각 배출시키면서, 다양하고 규격화된 입자 크기별 표면 연마제를 통해 가공물 표면을 연마시 그 연마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POLISHING PARTICLE AUTOMATIC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표면 연마제를 입자 크기별로 자동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면 연마제는 자동차, 전자, 항공, 철도, 원자력 등에 적용되는 가공물의 표면 가공이나 광택 또는 용접부위에 대한 피닝(peening) 처리하면서 가공물의 표면 경화를 일으켜, 표면에 대한 피로 강도 및 표면 경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표면 연마제는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입자 크기(예; 0.1㎜∼3.0㎜)를 가진다.
이에, 표면 연마제를 입자 크기별로 선별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종래에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7938호(공개일 2007.07.30)의 '입자선별장치' 가 개시되기에 이르렀다.
상기 선공개특허와 같은 입자선별장치는 진동판의 진동에 따라 입자 크기별로 표면 연마제가 상하 적층 구조를 이루는 스크린(또는 격자판)을 통과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별장치는 표면 연마제의 입자 크기별 선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입자 크기가 서로 다른 표면 연마제가 혼용되는 문제가 있고, 혼용된 표면 연마제를 이용하여 가공물 표면을 연마시, 그 연마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종래에는 선별장치를 통해 표면 연마제를 선별시, 작업자가 상하 적층 구조를 이루는 스크린에서 육안으로 입자 크기별 표면 연마제를 재선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7938호(공개일 2007.07.3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지그 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는 진동 스크린을 통해 표면 연마제를 입자 크기별로 자동 선별하여, 입자 크기가 서로 다른 표면 연마제가 혼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마제 자동 선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지그 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는 진동스크린의 상,하단 연결지점에 선별적으로 개폐되는 댐퍼를 구성하여, 다양하고 규격화된 입자 크기별 표면 연마제의 자동 선별이 오류없이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방 및 후방에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지그 재그 방식으로 전방의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전,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표면 연마제를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진동하는 진동스크린;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 일단에 형성되고, 편심 회전(eccentric force)을 가진력(excitation force)으로 하여 상기 진동스크린을 진동시키는 구동체;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진동스크린은 이중의 배출 경로를 제공하도록 상,하단으로 배열되는 이중 구조로서, 서로 다른 직경의 선별구가 형성되는 제 1,2 메쉬망으로 구성하며, 상기 배출경로에는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가지는 표면 연마제가 혼용되지 않고 선별되어 하향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경로를 선별적으로 개폐 제어하는 개폐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메쉬망의 선별구 직경은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메쉬망의 선별구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동스크린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전방의 제 1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전방의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제 1 진동스크린; 상기 제 1 진동스크린으로부터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후방의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제 2 진동스크린; 상기 제 2 진동스크린으로부터 전방의 제 1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전방의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제 3 진동스크린; 및, 상기 제 3 진동스크린으로부터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후방의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제 4 진동스크린; 을 포함하는 다중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진동스크린을 구성하는 이중 구조의 메쉬망은 표면 연마제 중에서 가장 큰 제 1 직경의 표면 연마제를 선별하여 전방의 배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은 표면 연마제는 상기 제 2 진동스크린으로 하향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진동스크린을 구성하는 이중 구조의 메쉬망은 상기 제 1 진동스크린으로부터 하향 배출되는 표면 연마제 중에서 제 2 직경의 표면 연마제를 선별하여 후방의 배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제 2 직경보다 작은 표면 연마제는 상기 제 3 진동스크린으로 하향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진동스크린을 구성하는 이중 구조의 메쉬망은 상기 제 2 진동스크린으로부터 하향 배출되는 표면 연마제 중에서 제 3 직경의 표면 연마제를 선별하여 전방의 배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제 3 직경보다 작은 표면 연마제는 상기 제 4 진동스크린으로 하향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4 진동스크린을 구성하는 이중 구조의 메쉬망은 상기 제 3 진동스크린으로부터 하향 배출되는 표면 연마제를 후방의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하단의 이중 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쉬망 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배출경로와 각각 연통되는 이중 구조의 배출구인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전방의 제 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진동스크린과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진동스크린의 연결지점, 그리고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진동스크린과 전방의 제 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진동스크린의 연결지점에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배출경로를 개폐 제어하도록 회전하는 댐퍼인 것이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서 수동 조작을 통해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수동형 댐퍼인 것이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서 조작패널의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동형 댐퍼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는 지그 재그 방식으로 배열되는 진동스크린 및, 진동스크린의 상,하단 연결지점에 선별적으로 개폐되는 댐퍼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표면 연마제를 입자 크기별로 혼용없이 자동 선별한 후 이를 각각 배출시키면서, 다양하고 규격화된 입자 크기별 표면 연마제를 통해 가공물 표면을 연마시 그 연마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댐퍼의 열림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댐퍼의 닫힘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댐퍼의 열림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댐퍼의 닫힘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는, 본체부(10), 진동스크린(20), 구동체(30), 개폐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진동스크린(30)이 수직방향으로 다중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표면 연마제 투입을 위한 투입구(11)가 형성되고, 전방 및 후방측에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배출구(12)(12')를 각각 형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2)(12')는 전방에 하나, 후방에 하나만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그 돌출 개수는 선별하고자 하는 표면 연마제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동스크린(20)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서 지그 재그 방식으로 전방의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전,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배출구(12)(12')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표면 연마제를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상기 구동체(30)에 의해 진동하는 것이며, 제 1,2,3,4 진동스크린(21)(22)(23)(24)을 포함하는 다중 구조물인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2,3,4 진동스크린(21)(22)(23)(24)은 각각 이중의 배출 경로(U1,U2)를 제공하도록 상,하단으로 배열되는 이중 구조로서, 서로 다른 직경의 선별구가 형성되는 제 1,2 메쉬망(M1,M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메쉬망(M1)의 선별구 직경은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메쉬망(M1)의 선별구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이는 상기 제 1 메쉬망(M1)의 진동으로부터 상단의 배출경로(U1)를 통해 입자가 가장 큰 표면 연마제가 상부 배출구(12 또는 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 입자가 가장 큰 일부의 표면 연마제는 물론 이 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지는 표면 연마제가 상단의 제 1 선별구를 통해 하단의 제 2 메쉬망(M2)으로 하향 배출되었을 때, 상기 제 2 메쉬망(M2)에서는 입자가 가장 큰 표면 연마제가 하향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하부 배출구(12 또는 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후, 입자가 가장 큰 일부의 표면 연마제와 함께 하향 배출된 입자가 작은 표면 연마제만이 하향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표면 연마제는 이중 구조를 이루는 메쉬망(M1,M2)을 통해 2회에 걸쳐 선별되면서 그 혼용이 1차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진공스크린(20)에 포함되는 제 1 진공스크린(21)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서 전방의 제 1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전방의 상기 배출구(12)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진동스크린(21)을 구성하는 이중 구조의 메쉬망(M1,M2)은 표면 연마제 중에서 가장 큰 제 1 직경의 표면 연마제를 선별하여 전방의 배출구(12)로 배출하고,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은 표면 연마제는 상기 제 2 진동스크린(20)으로 하향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진동스크린(22)은 상기 제 1 진동스크린(21)으로부터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후방의 상기 배출구(12')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진동스크린(22)을 구성하는 이중 구조의 메쉬망(M1,M2)은 상기 제 1 진동스크린(21)으로부터 하향 배출되는 표면 연마제 중에서 제 2 직경의 표면 연마제를 선별하여 후방의 배출구(12')로 배출하고, 상기 제 2 직경보다 작은 표면 연마제는 상기 제 3 진동스크린(23)으로 하향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제 3 진동스크린(23)은 상기 제 2 진동스크린(22)으로부터 전방의 제 1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전방의 상기 배출구(12)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3 진동스크린(23)을 구성하는 이중 구조의 메쉬망(M1,M2)은 상기 제 2 진동스크린(22)으로부터 하향 배출되는 표면 연마제 중에서 제 3 직경의 표면 연마제를 선별하여 전방의 배출구(12)로 배출하고, 상기 제 3 직경보다 작은 표면 연마제는 상기 제 4 진동스크린(24)으로 하향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제 4 진동스크린(24)은 상기 제 3 진동스크린(23)으로부터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후방의 상기 배출구(12')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4 진동스크린(24)을 구성하는 이중 구조의 메쉬망(M1,M2)은 상기 제 3 진동스크린(23)으로부터 하향 배출되는 표면 연마제를 후방의 배출구(12')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체(3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편심 회전(eccentric force)을 가진력(excitation force)으로 하여 상기 진동스크린(20)을 이루는 제 1,2,3,4 진동스크린(21)(22)(23)(24)을 진동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구동체(30)는 편심 회전하는 회전체로서, 이러한 회전체는 모터에 의해 편심 회전하고, 상기 모터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부(10)에 구성되는 제어패널의 조작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개폐부(40)는 이중 구조를 이루는 상기 배출 경로(U1,U2) 중에서 하단의 배출경로(U2)를 개폐하는 것으로, 이는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가지는 표면 연마제가 혼용되지 않고 선별되어 하향 배출이 가능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부(40)는 전방의 제 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 1 진동스크린(21)과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 2 진동스크린(22)의 연결지점, 그리고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 2 진동스크린(22)과 전방의 제 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 3 진동스크린(23)의 연결지점, 및/또는 전방의 제 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 3 진동스크린(23)과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 4 진동스크린(24)의 연결지점에 각각 형성되면서, 상,하단의 이중 구조를 이루는 상기 배출경로(U1,U2) 중에서 하단의 배출경로(U2)를 개폐 제어하는 댐퍼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댐퍼는 상기 본체부(10)의 외부면에서 수동 조작을 통해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수동형 댐퍼이거나, 또는 상기 본체부(10)의 외주면에서 조작패널의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동형 댐퍼로서, 상기 댐퍼의 닫힘 동작시 하단의 배출경로(U2)를 통해 하단 배출구(12)(12')로 표면 연마제의 외부 배출이 차단되면서, 하단의 제 2 메쉬망(M2)에서는 진동을 통해 외부 배출이 차단된 표면 연마제에서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가지는 표면 연마제의 분리 선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에따라 선별된 표면 연마제는 다른 입자 크기를 가지는 표면 연마제와의 혼용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우선 댐퍼로 이루어진 개폐부(4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본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투입구(11)를 통해 서로 다른 입자 크기들이 혼용된 표면 연마제를 투입한다.
그러면, 상기 표면 연마제는 제 1 진공스크린(21)를 이루는 상부의 제 1 메쉬망(M1)으로 낙하되므로, 상기 제 1 진공스크린(21)은 구동체(30)의 편심력을 통한 가진력에 의해 진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 1 진공스크린(21)에 포함되는 상부의 제 1 메쉬망(M1)에서는 입자 크기가 가장 큰 제 1 직경의 표면 연마제를 상부의 배출경로(U1)를 통해 하향 경사진 전방의 상단 배출구(12)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메쉬망(M1)의 선별구에서는 진동을 통해 제 1 직경을 가지는 표면 연마제 일부는 물론,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표면 연마제들을 하향 배출시켜, 상기 제 1 메쉬망(M1)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 2 메쉬망(M2)으로 낙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부(40)를 회전시켜 하단의 배출경로(U2)를 차단하여 두면, 상기 제 2 메쉬망(M2)으로 하향 배출된 표면 연마제들은 상기 제 2 메쉬망(M2) 위에 정체되므로, 상기 제 2 메쉬망(M2)이 진동시, 상기 제 2 메쉬망(M2)의 선별구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표면 연마제들은 하단에 배열되는 제 2 진공스크린(22)의 제 1 메쉬망(M1)으로 하향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진공스크린(21)을 구성하는 상기 제 2 메쉬망(M2) 위에는 상기 제 2 메쉬망(M2)의 선별구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직경을 가지는 표면 연마제만이 남게 된다.
이때,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개폐부(40)를 회전시켜 하단의 배출경로(U2)를 개방시키면, 상기 제 1 진공스크린(21)을 구성하는 제 2 메쉬망(M2) 위에 남아있던 표면 연마제는 전방의 하단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그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진공스크린(22)을 구성하는 상단의 제 1 메쉬망(M1)으로 1차 선별된 표면 연마제가 하향 배출시, 상기 제 2 진공스크린(22)은 구동체(30)의 편심력을 통한 가진력에 의해 진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 2 진공스크린(22)에 포함되는 상부의 제 1 메쉬망(M1)에서는 입자 크기가 가장 큰 제 2 직경의 표면 연마제를 상부의 배출경로(U1)를 통해 하향 경사진 후방의 상단 배출구(12')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메쉬망(M1)의 선별구에서는 진동을 통해 제 2 직경을 가지는 표면 연마제 일부는 물론, 상기 제 2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표면 연마제들을 하향 배출시켜, 상기 제 1 메쉬망(M1)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 2 메쉬망(M2)으로 낙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부(40)를 회전시켜 하단의 배출경로(U2)를 차단하여 두면, 상기 제 2 메쉬망(M2)으로 하향 배출된 표면 연마제들은 상기 제 2 메쉬망(M2) 위에 정체되므로, 상기 제 2 메쉬망(M2)이 진동시, 상기 제 2 메쉬망(M2)의 선별구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표면 연마제들은 하단에 배열되는 제 3 진공스크린(23)의 제 1 메쉬망(M1)으로 하향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진공스크린(22)을 구성하는 상기 제 2 메쉬망(M2) 위에는 상기 제 2 메쉬망(M2)의 선별구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직경을 가지는 표면 연마제만이 남게 된다.
이때,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개폐부(40)를 회전시켜 하단의 배출경로(U2)를 개방시키면, 상기 제 2 진공스크린(22)을 구성하는 제 2 메쉬망(M2) 위에 남아있던 표면 연마제는 후방의 하단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그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진공스크린(23)을 구성하는 상단의 제 1 메쉬망(M1)으로 2차 선별된 표면 연마제가 하향 배출시, 상기 제 3 진공스크린(23)은 구동체(30)의 편심력을 통한 가진력에 의해 진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 3 진공스크린(24)에 포함되는 상부의 제 1 메쉬망(M1)에서는 입자 크기가 가장 큰 제 3 직경의 표면 연마제를 상부의 배출경로(U1)를 통해 하향 경사진 전방의 상단 배출구(12)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메쉬망(M1)의 선별구에서는 진동을 통해 제 3 직경을 가지는 표면 연마제 일부는 물론, 상기 제 3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표면 연마제들을 하향 배출시켜, 상기 제 1 메쉬망(M1)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 2 메쉬망(M2)으로 낙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부(40)를 회전시켜 하단의 배출경로(U2)를 차단하여 두면, 상기 제 2 메쉬망(M2)으로 하향 배출된 표면 연마제들은 상기 제 2 메쉬망(M2) 위에 정체되므로, 상기 제 2 메쉬망(M2)이 진동시, 상기 제 2 메쉬망(M2)의 선별구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표면 연마제들은 하단에 배열되는 제 3 진공스크린(23)의 제 1 메쉬망(M1)으로 하향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진공스크린(23)을 구성하는 상기 제 2 메쉬망(M2) 위에는 상기 제 2 메쉬망(M2)의 선별구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직경을 가지는 표면 연마제만이 남게 된다.
이때,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개폐부(40)를 회전시켜 하단의 배출경로(U2)를 개방시키면, 상기 제 3 진공스크린(23)을 구성하는 제 2 메쉬망(M2) 위에 남아있던 표면 연마제는 전방의 하단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그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4 진공스크린(24)을 구성하는 상단의 제 1 메쉬망(M1)으로 3차 선별된 표면 연마제가 하향 배출시, 상기 제 4 진공스크린(24)은 구동체(30)의 편심력을 통한 가진력에 의해 진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 4 진공스크린(24)에 포함되는 상부의 제 1 메쉬망(M1)에서는 입자 크기가 가장 큰 제 4 직경의 표면 연마제를 상부의 배출경로(U1)를 통해 하향 경사진 후방의 상단 배출구(12')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메쉬망(M1)의 선별구에서는 진동을 통해 제 4 직경을 가지는 표면 연마제 일부는 물론, 상기 제 4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표면 연마제들을 하향 배출시켜, 상기 제 1 메쉬망(M1)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 2 메쉬망(M2)으로 낙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부(40)를 회전시켜 하단의 배출경로(U2)를 차단하여 두면, 상기 제 2 메쉬망(M2)으로 하향 배출된 표면 연마제들은 상기 제 2 메쉬망(M2) 위에 정체되므로, 상기 제 2 메쉬망(M2)이 진동시, 상기 제 2 메쉬망(M2)의 선별구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표면 연마제들은 하단에 배열되는 제 4 진공스크린(24)의 제 1 메쉬망(M1)으로 하향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 4 진공스크린(24)을 구성하는 상기 제 2 메쉬망(M2) 위에는 상기 제 2 메쉬망(M2)의 선별구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직경을 가지는 표면 연마제만이 남게 된다.
이때,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개폐부(40)를 회전시켜 하단의 배출경로(U2)를 개방시키면, 상기 제 4 진공스크린(24)을 구성하는 제 2 메쉬망(M2) 위에 남아있던 표면 연마제는 후방의 하단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그 배출이 가능하게 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선별기는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가지는 표면 연마제를 혼용없이 선별할 수 있고, 이렇게 선별된 표면 연마제를 통해 가공물의 표면을 연마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본체부 11; 투입구
12,12'; 배출구 20; 진공스크린
21; 제 1 진공스크린 22; 제 2 진공스크린
23; 제 3 진공스크린 24; 제 4 진공스크린
30; 구동체 40; 개폐부
M1,M2; 메쉬망 U1,U2; 배출경로

Claims (12)

  1.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전방 및 후방에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지그 재그 방식으로 전방의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전,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표면 연마제를 입자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진동하는 진동스크린;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 일단에 형성되고, 편심 회전(eccentric force)을 가진력(excitation force)으로 하여 상기 진동스크린을 진동시키는 구동체;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진동스크린은 이중 배출 경로를 제공하도록 상,하단으로 배열되는 이중 구조로서 서로 다른 직경의 선별구가 형성되는 제 1,2 메쉬망으로 구성하며,
    상기 배출경로에는 서로 다른 입자 크기를 가지는 표면 연마제가 혼용되지 않고 선별되어 하향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배출경로를 선별적으로 개폐 제어하는 개폐부를 구성하고,
    상기 개폐부는,
    전방의 제 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진동스크린과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진동스크린의 연결지점, 그리고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진동스크린과 전방의 제 1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진동스크린의 연결지점에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배출경로를 개폐 제어하도록 회전하는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메쉬망의 선별구 직경은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메쉬망의 선별구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스크린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전방의 제 1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전방의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제 1 진동스크린; 및,
    상기 제 1 진동스크린으로부터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후방의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제 2 진동스크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스크린은,
    상기 제 2 진동스크린으로부터 전방의 제 1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전방의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제 3 진동스크린; 및,
    상기 제 3 진동스크린으로부터 후방의 제 2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후방의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제 4 진동스크린; 을 더 포함하는 다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스크린을 구성하는 이중 구조의 메쉬망은 표면 연마제 중에서 가장 큰 제 1 직경의 표면 연마제를 선별하여 전방의 배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은 표면 연마제는 상기 제 2 진동스크린으로 하향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진동스크린을 구성하는 이중 구조의 메쉬망은 상기 제 1 진동스크린으로부터 하향 배출되는 표면 연마제 중에서 제 2 직경의 표면 연마제를 선별하여 후방의 배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제 2 직경보다 작은 표면 연마제는 상기 제 3 진동스크린으로 하향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진동스크린을 구성하는 이중 구조의 메쉬망은 상기 제 2 진동스크린으로부터 하향 배출되는 표면 연마제 중에서 제 3 직경의 표면 연마제를 선별하여 전방의 배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제 3 직경보다 작은 표면 연마제는 상기 제 4 진동스크린으로 하향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진동스크린을 구성하는 이중 구조의 메쉬망은 상기 제 3 진동스크린으로부터 하향 배출되는 표면 연마제를 후방의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하단의 이중 구조를 이루는 상기 메쉬망 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배출경로와 각각 연통되는 이중 구조의 배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서 수동 조작을 통해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수동형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서 조작패널의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동형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KR1020170165471A 2017-12-04 2017-12-04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KR102035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471A KR102035837B1 (ko) 2017-12-04 2017-12-04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471A KR102035837B1 (ko) 2017-12-04 2017-12-04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887A KR20190065887A (ko) 2019-06-12
KR102035837B1 true KR102035837B1 (ko) 2019-10-24

Family

ID=66845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471A KR102035837B1 (ko) 2017-12-04 2017-12-04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9416A1 (de) * 2020-06-03 2021-12-08 Uhlmann Pac-System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übergabe von produkt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6273B (zh) * 2019-12-17 2022-02-25 汪远和 一种水利工程用筛沙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681A (en) * 1892-03-15 Apparatus for washing and grading gravel
JP2001046974A (ja) * 1999-08-09 2001-02-20 Nakayama Iron Works Ltd 廃棄物の分離回収方法とその装置
US20140061140A1 (en) 2011-04-13 2014-03-06 Marshall Graham Bailey Scree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637B1 (ko) * 2004-10-14 2006-08-11 윤훈철 건설폐기물의 풍력선별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77938A (ko) 2006-01-25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자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681A (en) * 1892-03-15 Apparatus for washing and grading gravel
JP2001046974A (ja) * 1999-08-09 2001-02-20 Nakayama Iron Works Ltd 廃棄物の分離回収方法とその装置
US20140061140A1 (en) 2011-04-13 2014-03-06 Marshall Graham Bailey Screen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9416A1 (de) * 2020-06-03 2021-12-08 Uhlmann Pac-System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übergabe von produk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887A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837B1 (ko) 표면 연마제 자동 선별기
CN206643072U (zh) 细砂分级分选清洗机
CN107718358A (zh) 氨基模塑料的进料装置
CN109834036A (zh) 一种用于煤矸分选的多级振动筛分设备
JPH11244788A (ja) 廃棄物選別装置
CN209061567U (zh) 一种直线振动筛
CN107379320A (zh) 硅烷交联料筛选装置
KR100658949B1 (ko) 진동선별기
KR101359494B1 (ko) 진동스크린
KR20070006083A (ko) 곡물 선별기
KR20200117801A (ko) 선별공에 박힌 멸치를 과도한 진동으로 제거하는 멸치선별장치
KR102355984B1 (ko) 석발기
KR101554781B1 (ko) 입도 선별장치
JP2012011496A (ja) 連続式バレルブラスター
JP6896222B2 (ja) 石抜機
CN218554707U (zh) 一种可筛料式粉末物料投放装置
CN107442402A (zh) 一种茶叶振动筛
CN213468547U (zh) 一种砂石振筛机
CN211051891U (zh) 一种锰锌铁氧体砂磨用钢球振动筛
KR100815426B1 (ko) 제지용 정선장치
CN219003773U (zh) 一种具有超声波清筛功能的重选机
CN212328476U (zh) 一种叶片式自动破碎筛分机
KR102403677B1 (ko) 선별기
CN217700053U (zh) 一种冶金材料用筛选装置
CN214234951U (zh) 一种水泥加工用震动筛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