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426B1 - 제지용 정선장치 - Google Patents

제지용 정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426B1
KR100815426B1 KR1020070138638A KR20070138638A KR100815426B1 KR 100815426 B1 KR100815426 B1 KR 100815426B1 KR 1020070138638 A KR1020070138638 A KR 1020070138638A KR 20070138638 A KR20070138638 A KR 20070138638A KR 100815426 B1 KR100815426 B1 KR 100815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asket
discharge pipe
housing
pulp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익성
신준식
전재형
권오근
송호근
최성민
Original Assignee
한국 노스케스코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노스케스코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 노스케스코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8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02Straining or screening the pulp
    • D21D5/023Stationary screen-drums
    • D21D5/026Stationary screen-drums with rotating cleaning foil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12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wet methods, by the use of steam
    • D21B1/30Defibrating by other means
    • D21B1/32Defibrating by other means of wast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1/00Methods of beating or refining; Beaters of the Hollander type
    • D21D1/20Methods of refining
    • D21D1/34Other mills or ref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지용 정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에 고해펄프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 하부에 상기 투입구를 통해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정선되어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원심력에 의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을 지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 1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원심력에 의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을 지나 외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 2스크린 바스켓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스크린 바스켓의 제 2스크린 바스켓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과 제 2스크린 바스켓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수직날개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수직날개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의 내측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의 외측으로 각각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리닝 레이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용 정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정선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린 바스켓 상에 펄프플러그가 발생될 우려가 현저하게 낮아지게 되고, 나아가 상기 배출관으로 정선된 고해펄프가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우징, 스크린 바스켓, 스크리닝 레이커

Description

제지용 정선장치{SCREEN APPARATUS FOR PAPER-MAKING}
본 발명은 일측에 고해펄프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 하부에 상기 투입구를 통해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정선되어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원심력에 의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을 지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 1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원심력에 의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을 지나 외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 2스크린 바스켓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스크린 바스켓의 제 2스크린 바스켓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과 제 2스크린 바스켓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수직날개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수직날개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의 내측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의 외측으로 각각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리닝 레이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용 정선장치에 관 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정선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린 바스켓 상에 펄프플러그가 발생될 우려가 현저하게 낮아지게 되고, 나아가 상기 배출관으로 정선된 고해펄프가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제지용 정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해기에서 고해된 고해펄프에는 덜 풀리거나 거칠고 큰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 초지기로 이송되기 전에 섬유의 크기를 고르게 하고 선별하게 되는데 이를 정선이라 한다.
한편, 작업자는 정선장치를 사용하여 초지기로 이송되기 전에 섬유의 크기를 고르게 하고 선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선장치는 통상적으로 고해펄프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는 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스크린 바스켓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고해펄프가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공을 통해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리닝 레이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정선장치는 대개 정선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린 바스켓상에 발생되는 펄프플러그로 인해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고해펄프 가 정체되기 때문에 고해펄프가 상기 배출관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정선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 바스켓 상에 펄프플러그가 발생될 우려가 현저하게 낮아지게 되고, 나아가 상기 배출관으로 정선된 고해펄프가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제지용 정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고해펄프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 하부에 상기 투입구를 통해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정선되어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원심력에 의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을 지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 1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원심력에 의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을 지나 외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 2스크린 바스켓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스크린 바스켓의 제 2스크린 바스켓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과 제 2스크린 바스켓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수직날개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수직날개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 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의 내측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의 외측으로 각각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리닝 레이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용 정선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관은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고해펄프가 배출되는 제 1배출관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고해펄프가 배출되는 제 2배출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배출관과 제 2배출관에는 상기 제 1배출관과 제 2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자동밸브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원심력에 의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을 지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되는 제 1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원심력에 의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을 지나 외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되는 제 2스크린 바스켓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바스켓으로 인해 보다 용이하게 고해펄프에 포함되어 있는 섬유를 정선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정선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스크리닝 레이커의 수직날개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의 내측과 제 2스크린 바스켓의 외측으 로 각각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과 제 2스크린 바스켓 상에 펄프플러그가 발생될 우려가 현저하게 낮아지게 되고, 특히 상기 하우징의 배출관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의 내측으로 이동한 고해펄프가 배출되는 제 1배출관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의 외측으로 이동한 고해펄프가 배출되는 제 2배출관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정선된 고해펄프가 배출되는 과정 중에 정체될 우려없이 상기 배출관으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배출관과 제 2배출관에 상기 제 1배출관과 제 2배출관을 개폐하는 자동밸브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배출관과 제 2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지용 정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하우징(10)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정선되어 각각 제 1배출관(13a)과 제 2배출관(13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지용 정선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 스크린 바스켓(30) 및 스크리닝 레이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정선하고자 하는 고해펄프가 투입되는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같이 일측에 고해펄프가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고, 일측 하부에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정선되어 배출되는 배출관(13)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정선하고자 하는 고해펄프가 투입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린 바스켓(3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를 정선하는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되고, 표면에 복수의 배출공(31a)이 형성되는 원형형상의 제 1스크린 바스켓(31)과;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되고, 표면에 복수의 배출공(33a)이 형성되는 제 2스크린 바스켓(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는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과 제 2스크린 바스켓(33) 사이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제 1스크 린 바스켓(31)과 제 2스크린 바스켓(33) 사이에 유입된 고해펄프는 후술할 스크리닝 레이커(50)의 수직날개(55)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의 배출공(31a)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의 배출공(33a)을 통해 각각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의 내측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다.
상기 스크린 바스켓(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를 정선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리닝 레이커(50)는 구동부재(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 사이에 유입된 고해펄프를 각각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의 내측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스크린 바스켓(30)의 제 2스크린 바스켓(33)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됨과 동시에 구동부재(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미도시)로는 스탭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크리닝 레이커(5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크리닝 레이커(5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재(미도시)가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스탭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스크리닝 레이커(5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저면에 구동부재(미도시)의 구동축에 축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이 구비된 회전판(51)과; 상기 회전판(51)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내주연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53a)가 상기 회전판(51)과 연결되는 환형테(53)와; 상기 환형테(53)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1수직날개(55a)와, 상기 제 1수직날개(55a)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환형테(53)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2수직날개(55b)로 이루어져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 사이에 삽입되는 수직날개(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판(51)이 구동부재(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게 될 시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 사이에 삽입된 상기 수직날개(55)는 상기 회전판(51)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날개(55)의 제 1수직날개(55a)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투입되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 사이에 유입된 고해펄프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 1수직날개(55a)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 사이에 유입된 고해펄프가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의 배출공(33a)을 지나 외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배출관(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날개(55)의 제 2수직날개(55b)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 사이에 유입된 고해펄프를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 2수직날개(55b)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 사이에 유입된 고해펄프가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의 배출공(31a)을 지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배출관(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의 내측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의 외측으로 이동하지 못한 고해펄프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별도의 배출관(15)으로 배출되어 다시 상기 하우징(10)의 투입구(11)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의 내측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의 외측으로 이동하지 못한 고해펄프가 상기 배출관(15)으로 배출되어 다시 상기 하우징(10)의 투입구(11)로 투입되는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스크리닝 레이커(50)의 수직날개(55)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의 내측과 제 2스크린 바스켓(33)의 외측으로 각각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관(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종 래에 비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과 제 2스크린 바스켓(33) 상에 펄프플러그가 발생될 우려가 현저하게 낮아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스크리닝 레이커(50)의 형상 및 구조는 구동부재(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 사이에 유입된 고해펄프를 각각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의 내측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의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관(13)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고해펄프가 배출되는 배출되는 제 1배출관(13a)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고해펄프가 배출되는 제 2배출관(13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배출관(13)으로 정선된 고해펄프가 보다 원활하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수직날개(55a)의 원심력(S1)은 상기 제 2수직날개(55b)의 원심력(S2)보다 상대적으로 강하다.(S1 > S2)
다시 말해서, 상기 제 2수직날개(55b)의 원심력(S2)에 의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관(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고해펄프보다 상기 제 1수직날개(55a)의 원심력(S1)에 의해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관(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고해펄프가 상기 배출 관(13)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하부에 1개의 상기 배출관(13)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제 1수직날개(55a)의 원심력(S1)에 의해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고해펄프는 상기 배출관(13)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어도 상기 제 2수직날개(55b)의 원심력(S2)에 의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고해펄프는 상기 제 1수직날개(55a)의 원심력(S1)에 의해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관(13)으로 배출되는 고해펄프에 의해 정체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관(13)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기가 어렵게 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배출관(13)이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31)의 내측으로 이동한 고해펄프가 배출되는 제 1배출관(13a)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33)의 외측으로 이동한 고해펄프가 배출되는 제 2배출관(13b)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배출관(13)으로 정선된 고해펄프가 배출되는 과정 중에 정체될 우려없이 각각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배출관(13)으로 정선된 고해펄프가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배출관(13a)과 제 2배출관(13b)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배출관(13a)과 제 2배출관(13b)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자동밸브(1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배출관(13a)과 제 2배출관(13b)에 상기 제 1배출관(13a) 과 제 2배출관(13b)을 개폐하는 자동밸브(17)가 각각 구비될 경우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제 1배출관(13a)과 제 2배출관(13b)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원심력에 의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31a)을 지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되는 제 1스크린 바스켓(31)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원심력에 의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33a)을 지나 외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되는 제 2스크린 바스켓(33)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바스켓(30)으로 인해 보다 용이하게 고해펄프에 포함되어 있는 섬유를 정선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정선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지용 정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정선되어 각각 제 1배출관과 제 2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투입구,
13, 15; 배출관, 13a; 제 1배출관,
13b; 제 2배출관, 17; 자동밸브,
30; 스크린 바스켓, 31; 제 1스크린 바스켓,
31a, 33a; 배출공, 33; 제 2스크린 바스켓,
50; 스크리닝 레이커, 51; 회전판,
53; 환형테, 53a; 연결부재,
55; 연결부재, 55; 수직날개,
55a; 제 1수직날개, 55b; 제 2수직날개.

Claims (2)

  1. 일측에 고해펄프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일측 하부에 상기 투입구를 통해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정선되어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원심력에 의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을 지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 1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의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원심력에 의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을 지나 외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 2스크린 바스켓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 바스켓과;
    상기 스크린 바스켓의 제 2스크린 바스켓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과 제 2스크린 바스켓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수직날개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수직날개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고해펄프가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의 내측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의 외측으로 각각 이동하여 정선된 후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리닝 레이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용 정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관은 상기 제 1스크린 바스켓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고해펄프가 배출되는 제 1배출관과; 상기 제 2스크린 바스켓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정선된 고해펄프가 배출되는 제 2배출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배출관과 제 2배출관에는 상기 제 1배출관과 제 2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자동밸브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용 정선장치.
KR1020070138638A 2007-12-27 2007-12-27 제지용 정선장치 KR100815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638A KR100815426B1 (ko) 2007-12-27 2007-12-27 제지용 정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638A KR100815426B1 (ko) 2007-12-27 2007-12-27 제지용 정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426B1 true KR100815426B1 (ko) 2008-03-20

Family

ID=3941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638A KR100815426B1 (ko) 2007-12-27 2007-12-27 제지용 정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4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6616B2 (en) 2016-12-26 2022-03-29 Sung Ju NA Screen machine for screening for paper material, casing body for screen machine, and screen basket
CN116575252A (zh) * 2023-06-26 2023-08-11 阿尔诺维根斯(衢州)特种纸有限公司 一种食品纸制备工艺及制备过程的浆料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395B1 (ko) * 1984-07-06 1993-04-26 요트. 엠. 보이트 게엠베하 고지(古紙)의 정선 방법
KR940001002Y1 (ko) * 1989-12-08 1994-02-25 가부시기가이샤 사토미 세이사쿠쇼 지료정선(紙料精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395B1 (ko) * 1984-07-06 1993-04-26 요트. 엠. 보이트 게엠베하 고지(古紙)의 정선 방법
KR940001002Y1 (ko) * 1989-12-08 1994-02-25 가부시기가이샤 사토미 세이사쿠쇼 지료정선(紙料精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6616B2 (en) 2016-12-26 2022-03-29 Sung Ju NA Screen machine for screening for paper material, casing body for screen machine, and screen basket
CN116575252A (zh) * 2023-06-26 2023-08-11 阿尔诺维根斯(衢州)特种纸有限公司 一种食品纸制备工艺及制备过程的浆料处理装置
CN116575252B (zh) * 2023-06-26 2024-02-09 阿尔诺维根斯(衢州)特种纸有限公司 一种食品纸制备工艺及制备过程的浆料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25310A1 (en) Pressurized rotary screening apparatus
CA1128012A (en) Fibrous stock screen
KR100815426B1 (ko) 제지용 정선장치
KR100331376B1 (ko) 폐지 펄프를 스크린하기 위한 장치
FI65293B (fi) Silanordning foer en vaetskesuspension
KR20050073409A (ko) 세탁기 및 세탁기용 린트 포획 장치
EP2420609B1 (de) Laugenpumpe für wasserführende Haushaltgeräte und wasserführendes Haushaltgerät
KR20060048053A (ko) 섬유 현탁액을 스크리닝하기 위한 압축 스크린 및 그의용도
CN107780137B (zh) 一种内外桶间无水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JP7162671B2 (ja) 洗濯機
JPS591837B2 (ja) 紙パルプ洗浄回収装置
US8888958B2 (en) Pressure diffuser with an annular baffle screen plate over water inlet
CN108350656B (zh) 用于筛分的方法和筛分设备
KR20060129619A (ko) 곡물 세척 석발기
EP1612326B1 (de) Drucksortierer zum Sieben einer Faserstoffsuspension
KR100432227B1 (ko) 배수펌프를 구비한 세탁기
KR20060067804A (ko) 스크린 장치
KR200238091Y1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선별장치
EP0844324A2 (de) Trommelwaschmaschine
US6923329B2 (en) Screen apparatus
JP5750095B2 (ja) セルロースパルプの処理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30130797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Washing Textiles
KR100774511B1 (ko) 세탁기의 보푸라기 채집장치
US5770072A (en) Multiple inlet valve with means to isolate each inlet individually and direct a reverse flow therethrough
CN109208371B (zh) 一种造纸用纸浆固液分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