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734B1 - 전광판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광판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734B1
KR102035734B1 KR1020180024346A KR20180024346A KR102035734B1 KR 102035734 B1 KR102035734 B1 KR 102035734B1 KR 1020180024346 A KR1020180024346 A KR 1020180024346A KR 20180024346 A KR20180024346 A KR 20180024346A KR 102035734 B1 KR102035734 B1 KR 102035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olley
roller
displa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657A (ko
Inventor
강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미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미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미디텍
Priority to KR1020180024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73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61B3/02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61C13/04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for elevated railways with rigid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는 제 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용 제 1 트롤리 바를 포함하는 제 1 트롤리 유닛; 상기 제 1 트롤리 유닛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며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용 제 2 트롤리 바를 포함하는 제 2 트롤리 유닛;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단이 상기 롤러의 축 상에 결합되고 하단이 제 1 전광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전광판이 이송되도록 상기 롤러와 상기 제 1 전광판을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전광판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제 1, 제 2 이송유닛; 상기 제 1, 제 2 이송유닛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제 2 트롤리 바와의 면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제 2 트롤리 바를 따라 주행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 2 전광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제 2 집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 2 집전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제 2 트롤리 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면접촉을 유지하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 1 전광판에 전원 공급이 유지되어 전원 차단 없이 제 1 전광판을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광판 이송 시스템{Display Board Moving System}
본 발명은 전광판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행사장, 공연장, 전시장 등에서 각종 정보나 광고, 영상 이미지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설치된 대형 전광판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전광판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광판은 불특정 다수에게 화상정보, 예컨대 광고정보, 안내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근래의 전광판은 발광수단으로서 발광다이오드(LED)를 채용함에 따라 전력소비가 적다는 장점을 비롯하여 LED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고품질의 화질 구현성이 부가되었다.
이러한 LED 전광판은, 평판형의 보드 표면에 다수의 LED를 설치하여 LED의 점멸을 제어하므로서 각종 문자나 도안, 또는 애니메이션 등을 출력하여 각종 정보나 광고, 뉴스 등을 알리는 광고장치의 일종으로서 최근에는 주로 옥내/외용 광고, 홍보매체로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행사장, 공연장, 전시장 등에서 각종 정보나 광고, 영상 이미지 등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업용 광고를 위한 LED 전광판의 경우에는 정확한 정보 전달 및 광고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점점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종래의 대형 LED 전광판의 경우, 설치 장소의 천정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한번 설치되면 전광판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 제20-0484920호 (2017.11.07. 공고)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 제10-0751226호 (2007.08.23. 공고)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행사장, 공연장, 전시장 등에서 각종 정보나 광고, 영상 이미지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설치되는 대형 전광판을 자유롭게 이송시켜 대형 전광판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전광판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정에 설치된 전광판 이송용 가이드 레일의 절단부를 전원 차단 없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전광판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개의 전광판이 연결될 경우 처짐, 휨, 변형 등에 의한 영상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2개의 전광판을 연결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전광판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광판 이송시스템은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는 제 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용 제 1 트롤리 바를 포함하는 제 1 트롤리 유닛; 상기 제 1 트롤리 유닛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며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용 제 2 트롤리 바를 포함하는 제 2 트롤리 유닛;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단이 상기 롤러의 축 상에 결합되고 하단이 제 1 전광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전광판이 이송되도록 상기 롤러와 상기 제 1 전광판을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전광판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제 1, 제 2 이송유닛; 상기 제 1, 제 2 이송유닛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제 2 트롤리 바와의 면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제 2 트롤리 바를 따라 주행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 2 전광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제 2 집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 2 집전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제 2 트롤리 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면접촉을 유지하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 1 전광판에 전원 공급이 유지되어 전원 차단 없이 제 1 전광판을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집전유닛과 제 2 집전유닛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 1 집전유닛과 제 2 집전유닛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 1 트롤리 유닛과 제 2 트롤리 유닛의 이격 거리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제 2 이송유닛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종동롤러와, 상단이 상기 롤러의 축 상에 결합되고 하단이 제 1 전광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종동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전광판이 이송되도록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제 1 전광판을 연결시키는 보조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보조이송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보조이송유닛은 상기 제 1 이송유닛의 일측 및 제 2 이송유닛의 일측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집전유닛 및 제 2 집전유닛은 상기 제 1, 제 2 트롤리 바에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집전용 전극과, 상기 집전용 전극의 외측을 감싸는 절연 브라켓과, 상기 집전용 전극을 고정시키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절연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단을 수용하는 형태로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여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완충스프링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상,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전광판에 영상정보가 표출되게 하는 영상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트롤리 유닛 또는 제 2 트롤리 유닛에는 상기 제 1 이송유닛 및 제 1 집전유닛과 상기 제 2 이송유닛 및 제 2 집전유닛이 상단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 2 전광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광판과 제 2 전광판의 연결 시 면 접촉되는 측면의 후방에는 제 1, 제 2 전광판의 연결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위치 결정부재는 상기 제 1 전광판의 후면 일 측단에 위치 결정핀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전광판의 일 측단과 면 접촉되는 상기 제 2 전광판의 후면 일 측단에 상기 위치 결정핀이 삽입되는 위치 결정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 전광판과 제 2 전광판의 연결 시 면 접촉되는 측면의 후방에는 제 1, 제 2 전광판의 연결을 구속하는 잠금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잠금모듈은 상기 제 1 전광판의 후면 일 측단에 핀 결합되어 상기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락킹 로드와, 상기 락킹 로드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로드의 회전을 위해 직선 운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제 1 전광판의 일 측단과 면 접촉되는 상기 제 2 전광판의 후면 일 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하는 락킹로드의 선단부를 구속하는 고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 1 전광판과 제 2 전광판의 연결 시 면 접촉되는 측면의 후방에는 제 1, 제 2 전광판의 접촉시 부딪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집전유닛(150)과 제 2 집전유닛(160)을 제 1 전광판(210)의 양측에 구비하여 제 1, 제 2 집전유닛(150,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 1, 제 2 트롤리 바(112,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면 접촉을 유지하면 제 1, 제 2 이송유닛의 제 1 구동부(132) 및 제 1 전광판(210)에 전원 공급이 유지되어 제 1 트롤리 바(112)와 제 2 트롤리 바(122)의 절단부를 전원 차단 없이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전광판(210)과 제 2 전광판(250)의 측면을 접촉시켜 연결시킴으로써 초대형의 전광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제 2 전광판(210,250)을 연결시키는 위치결정부재(300) 및 잠금모듈(400)을 통해 전광판의 처짐이나 휨, 변형 등에 의한 영상의 어긋남이 발생되지 않게 함으로써 하나 또는 복수의 영상을 자유자재로 디스플레이하는 초대형 전광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광판 이송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광판 이송시스템에서 제 1 이송유닛 및 제 1 집전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광판 이송시스템에서 제 1 이송유닛 및 제 1 집전유닛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광판 이송시스템에서 제 1 집전유닛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광판 이송시스템에서 보조이송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광판 이송시스템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제 1 트롤리유닛과 제 2 트롤리유닛의 절단부를 전광판의 전원 차단 없이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광판 이송시스템에서 제 1 트롤리 유닛 또는 제 2 트롤리 유닛에 제 2 전광판이 더 구비되어 제 1 전광판과 제 2 전광판을 연결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도 8에서 제 1 전광판과 제 2 전광판의 연결 시 위치결정부재 및 충격흡수모듈 및 잠금모듈의 동작을 도시한 요부확대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광판 이송시스템은 제 1 트롤리 유닛(110), 제 2 트롤리 유닛(120), 제 1 이송유닛(130), 제 2 이송유닛(140), 제 1 집전유닛(150), 제 2 집전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 1 트롤리 유닛(110)은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레일(111)과, 제 1 가이드레일(11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용 제 1 트롤리 바(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가이드레일(111)은 H형 또는 I형 단면구조를 가진 빔 형태일 수 있으며, 설치 위치나 설치 방법에 따라 하나의 제 1 가이드레일로 구성되거나 또는 마주보는 형태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제 1 가이드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트롤리 바(112)는 제 1 가이드레일(111)의 일측에 구비되거나 이격된 복수의 제 1 가이드레일(11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 1 트롤리 바(112)는 전원이 흐르는 트롤리 케이블이 내장되어 각종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이동 컨베어 라인, 솔리콘베이어, Stacker 크레인 등 운반용 이송대차에 전원을 공급하여 이동기계로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말하는 것으로서, 클램프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제 1 가이드레일(111)에 고정된다.
제 2 트롤리 유닛(120)은 제 1 트롤리 유닛(1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의 천정에 설치된다.
또한, 제 2 트롤리 유닛(120)은 제 1 트롤리 유닛(110)과 동일선상에 구비되어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121)과, 제 2 가이드레일(1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용 제 2 트롤리 바(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2 트롤리 유닛(120)을 구성하는 제 2 가이드레일(121)) 및 제 2 트롤리 바(122)는 제 1 트롤리 유닛(110)의 제 1 가이드레일(111) 및 제 1 트롤리 바(112)와 동일한 설명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이송유닛(130)은 제 1, 제 2 트롤리 유닛(110,120)의 제 1, 제 2 가이드레일(111,121)을 타고 이동하는 제 1 롤러(131)와, 제 1 롤러의 축에 결합되어 제 1 롤러(131)를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부(132)와, 상단이 제 1 롤러(131)의 축 상에 결합되고 하단이 제 1 전광판(2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 1 롤러(131)의 이동에 따라 제 1 전광판(210)이 이송되도록 제 1 롤러(131)와 제 1 전광판(210)을 연결시키는 제 1 연결프레임(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이송유닛(140)은 제 1, 제 2 트롤리 유닛(110,120)의 제 1, 제 2 가이드레일(111,121)을 타고 이동하는 제 2 롤러(141)와, 제 2 롤러의 축에 결합되어 제 2 롤러(141)를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142)와, 상단이 제 2 롤러(141)의 축 상에 결합되고 하단이 제 1 전광판(2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 2 롤러(141)의 이동에 따라 제 1 전광판(210)이 이송되도록 제 2 롤러(141)와 제 1 전광판(210)을 연결시키는 제 2 연결프레임(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제 1 이송유닛(130)과 제 2 이송유닛(140)은 제 1 전광판(210)의 상단 양측에 구비된다.
제 1 집전유닛(150)은 제 1 이송유닛(130)의 일측에 구비되고, 제 1 트롤리 바(112) 또는 제 2 트롤리 바(122)와의 면 접촉을 유지하면서 제 1 트롤리 바(112) 또는 제 2 트롤리 바(122)를 따라 주행하여 제 1 구동부(132) 및 제 1 전광판(2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 2 집전유닛(160)은 제 2 이송유닛(140)의 일측에 구비되고, 제 1 트롤리 바(112) 또는 제 2 트롤리 바(122)와의 면 접촉을 유지하면서 제 1 트롤리 바(112) 또는 제 2 트롤리 바(122)를 따라 주행하여 제 2 구동부(142) 및 제 1 전광판(2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제 1 이송유닛(130) 및 제 1 집전유닛(150)은 제 1 전광판(210)의 일측 영역에 구비되고, 제 2 이송유닛(140) 및 제 2 집전유닛(160)은 제 1 전광판(210)의 타측 영역에 구비되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 1 집전유닛(150)과 제 2 집전유닛(160)의 이격 거리(a)는 제 1 트롤리 유닛(110)과 제 2 트롤리 유닛(120)의 이격 거리(b) 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전광판(210)은 제 1 집전유닛(150)과 제 2 집전유닛(160) 중 어느 한 곳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제 1 전광판(210)의 전원이 온(ON)상태를 유지하도록 전기적인 회로가 병렬로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집전유닛(150)과 제 2 집전유닛(160)은 제 1, 제 2 트롤리 바(112,122)와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집전용 전극(151)과, 집전용 전극의 외측을 감싸는 절연 브라켓(152)과, 집전용 전극을 고정시키는 절연 하우징(153)과, 절연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되는 완충부재(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완충부재(154)는 절연 하우징(153)의 외측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54a)와, 상부케이스의 하단을 수용하는 형태로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케이스(154b)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여 하부케이스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완충스프링(154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완충스프링(154c)의 내측에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상,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샤프트(154d)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완충부재(154)는 집전용 전극(151)이 제 1, 제 2 트롤리 바(120,220)와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외부적인 충격을 흡수하고 외부로부터 집전용 전극(151)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 2 이송유닛(130,140)의 사이에는 제 1, 제 2 가이드 레일(111,121)을 타고 이동하는 종동롤러(171)와, 상단이 종동롤러의 축 상에 결합되고 하단이 제 1 전광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종동롤러의 이동에 따라 제 1 전광판이 이송되도록 종동롤러와 제 1 전광판을 연결시키는 보조프레임(172)으로 구성되는 보조이송유닛(170)이 더 구비된다.
보조이송유닛(170)은 제 1 전광판의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제 1 이송유닛(130)의 일측 및 제 2 이송유닛(140)의 일측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1 전광판(210)의 일측에는 구동부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220)와,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부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30)가 더 구비되며, 제어부(230)에는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전광판에 영상정보가 표출되게 하는 영상제어모듈(240)이 더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광판 이송시스템은 입력부(220)로부터 구동신호를 받은 제어부(230)는 제 1, 제 2 구동부(132,142)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제 1, 제 2 구동부(132,142)를 구동시키고, 제 1, 제 2 롤러(131,141)는 제 1, 제 2 구동부(132,14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제 1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이동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광판(210)의 상단 일측 영역에 구비된 제 1 이송유닛(130)이 제 1 가이드레일(111)을 타고 이동하여 제 1 가이드레일(111)의 끝단으로부터 이탈되면 제 1 트롤리 바(112)를 따라 주행하는 제 1 집전유닛(150)도 제 1 트롤리 바(112)로부터 이탈되며 제 1 집전유닛(150)이 제 1 트롤리 바(112)와 비 접촉되면서 제 1 집전유닛(150)을 통해 제 1 구동부(132) 및 제 1 전광판(21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끊어지게 된다.
하지만 제 1 전광판(210)의 상단 타측 영역에 구비된 제 2 이송유닛(140)이 제 1 가이드레일(111) 상에 위치하고 제 1 트롤리 바(112)가 상에 제 2 집전유닛(160)이 접촉되어 제 2 집전유닛(16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제 2 구동부(142) 및 제 1 전광판(210)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제 1 전광판(210)의 전원이 끊어지지 않고 온(ON)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집전유닛(16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은 제 2 구동부(142)의 구동에 의해 제 2 롤러(141)가 구동하여 제 1 전광판(210)의 이동을 유지시킨다.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레일(111)로부터 이탈된 제 1 이송유닛(130)은 제 2 구동부(142)의 구동에 의해 제 2 트롤리 유닛(120)의 제 2 가이드레일(121)로 진입되어 제 2 가이드레일(121)을 타고 이동하며 아울러 제 1 트롤리 바(122)로부터 이탈된 제 1 집전유닛(150)은 제 2 트롤리 바(122)에 접촉되어 제 2 트롤리 바(12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 1 구동부(132) 및 제 1 전광판(2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어, 제 1 구동부(132) 및 제 2 구동부(142)의 구동에 의해 제 1 이송유닛 (130)및 제 2 이송유닛(140)의 이송이 진행되다 보면 제 1 전광판(210)의 상단 타측 영역에 구비된 제 2 이송유닛(140)은 제 1 가이드레일(111)의 끝단으로부터 이탈되고, 제 1 트롤리 바(112)를 따라 주행하는 제 2 집전유닛(160)도 제 1 트롤리 바(112)로부터 이탈되어 제 2 집전유닛(16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끊어지게 된다.
하지만, 이때는 제 1 전광판(210)의 상단 일측 영역에 구비된 제 1 이송유닛(130)이 제 2 가이드레일(121) 상에 위치하고 제 2 트롤리 바(122) 상에 제 1 집전유닛(150)이 접촉되어 제 1 집전유닛(15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이 제 1 구동부(132) 및 제 1 전광판(210)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제 1 전광판(210)의 전원이 끊어지지 않고 온(ON)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집전유닛(150)과 제 2 집전유닛(160)을 제 1 전광판(210)의 양측에 구비하여 제 1, 제 2 집전유닛(150,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 1, 제 2 트롤리 바(112,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면 접촉을 유지하면 제 1, 제 2 이송유닛의 제 1 구동부(132) 및 제 1 전광판(210)에 전원 공급이 유지되어 제 1 트롤리 바(112)와 제 2 트롤리 바(122)의 절단부를 전원 차단 없이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트롤리 유닛(110) 또는 제 2 트롤리 유닛(120)에는 제 1 이송유닛(130) 및 제 1 집전유닛(150)과, 제 2 이송유닛(140) 및 제 2 집전유닛(160)이 상단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고, 제 1 이송유닛(130)과 제 2 이송유닛(140) 사이에 보조이송유닛(170)이 구비되는 제 2 전광판(25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제 2 전광판(250)에 구비되는 제 1 이송유닛(130) 및 제 1 집전유닛(150), 제 2 이송유닛(140) 및 제 2 집전유닛(160)은 제 1 전광판(210)에 구비된 것과 동일한 설명으로 이루어지며, 제 2 전광판(250)은 제 1, 제 2 집전유닛(150,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 1, 제 2 트롤리 바(112,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면 접촉을 유지하면 전원 공급이 유지되어 전원 차단 없이 제 1 트롤리 유닛(110) 및 제 2 트롤리 유닛(120)을 타고 이송할 수 있게 구비된다.
또한, 제 2 전광판(250)의 일측에는 제 1, 제 2 이송유닛의 제 1, 제 2 구동부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220)와,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제 1, 제 2 구동부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30)가 더 구비되며, 제어부에는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전광판에 영상정보가 표출되게 하는 영상제어모듈(240)이 더 포함된다.
또한, 제 2 전광판(250)은 제 1 집전유닛(150)과 제 2 집전유닛(160) 중 어느 한 곳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제 2 전광판(250)의 전원이 온(ON)상태를 유지하도록 전기적인 회로가 병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광판(210)과 제 2 전광판(250)에는 제 1, 제 2 전광판(210,250)의 연결시 면 접촉되는 측면의 후방에 위치되어 제 1, 제 2 전광판(210,250)의 연결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재(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위치 결정부재(300)는 제 1 전광판(210)의 후면 일 측단에 구비되는 위치 결정핀(310)과, 제 1 전광판(210)의 일 측단과 면 접촉되는 제 2 전광판(250)의 후면 일 측단에 구비되는 위치 결정홈(320)으로 구비되어 제 1 전광판(210)과 제 2 전광판(250)을 연결하기 위해 제1, 제 2 전광판(210,250)의 양 측면을 접촉시킬 경우 제 1 전광판(210)의 위치 결정핀(310)이 제 2 전광판(250)의 위치 결정홈(320)에 삽입되어 제 1, 제 2 전광판(210,250)의 처짐이나 휨, 변형 등에 의한 영상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 1, 제 2 전광판(210,250)의 연결위치를 결정해준다.
이에 더하여, 제 1 전광판(210)과 제 2 전광판(250)의 연결 시 면 접촉되는 측면의 후방에는 제 1, 제 2 전광판(210,250)의 연결을 구속하는 잠금모듈(4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잠금모듈(400)은 제 1 전광판(210)의 후면 일 측단에 핀(410) 결합되어 핀(41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락킹 로드(420)와, 락킹 로드(420)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락킹 로드(420)의 회전을 위해 직선 운동하는 실린더(430)와, 제 1 전광판(210)의 일 측단과 면 접촉되는 제 2 전광판(250)의 후면 일 측단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락킹 로드(420)의 선단부를 구속하는 고리부(440)로 구성된다.
즉, 잠금모듈(400)은 실린더(430)가 작동하여 직선운동하면 락킹 로드(420)가 핀(41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 2 전광판(250)의 후면에 구비된 고리부(440)에 걸림됨으로써 제 1 전광판(210)과 제 2 전광판(250)의 연결을 구속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제 1 전광판(210)과 제 2 전광판(250)의 연결 시 면 접촉되는 측면의 후방에는 제 1, 제 2 전광판(210,250)의 접촉시 부딪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모듈(500)이 더 구비된다.
충격흡수모듈(500)은 제 1 전광판(210)과 제 2 전광판(250)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양 측면이 접촉될 때 부딪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제 1, 제 2 전광판(210,250)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여기서, 충격흡수모듈(500)은 쇼크 업소버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전광판(250)은 양측에 제 1 집전유닛(150)과 제 2 집전유닛(160)이 구비되고, 제 1, 제 2 집전유닛(150,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 1, 제 2 트롤리 바(112,1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면 접촉을 유지하면 제 1, 제 2 이송유닛(130,140) 및 제 2 전광판(250)에 전원 공급이 유지되어 제 1 트롤리 바(112)와 제 2 트롤리 바(122)의 절단부를 전원 차단 없이 이동할 수 있으며, 제 1 전광판(210)과 제 2 전광판(250)의 측면을 접촉시켜 연결시킴으로써 초대형의 전광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제 2 전광판(210,250)을 연결시키는 위치결정부재(300) 및 잠금모듈(400)을 통해 전광판의 처짐이나 휨, 변형 등에 의한 영상의 어긋남이 발생되지 않게 함으로써 하나 또는 복수의 영상을 자유자재로 디스플레이하는 초대형 전광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 1 트롤리 유닛 111: 제 1 가이드레일
112: 제 1 트롤리 바 120: 제 2 트롤리 유닛
121: 제 2 가이드레일 122: 제 2 트롤리 바
130: 제 1 이송유닛 131: 제 1 롤러
132: 제 1 구동부 133: 제 1 연결프레임
140: 제 2 이송유닛 141: 제 2 롤러
142: 제 2 구동부 143: 제 2 연결프레임
150: 제 1 집전유닛 151: 집전용 전극
152: 절연 브라켓 153: 절연 하우징
154: 완충부재 154a: 상부케이스
154b: 하부케이스 154c: 완충스프링
154d: 샤프트 160: 제 2 집전유닛
170: 보조이송유닛 210: 제 1 전광판
220: 입력부 230: 제어부
240: 영상제어모듈 250: 제 2 전광판
300: 위치결정부재 310: 위치 결정핀
320: 위치 결정홈 400: 잠금모듈
410: 핀 420: 락킹 로드
430: 실린더 440: 고리부
500: 충격흡수모듈

Claims (14)

  1.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는 제 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용 제 1 트롤리 바를 포함하는 제 1 트롤리 유닛;
    상기 제 1 트롤리 유닛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며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천정에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구비되는 전원공급용 제 2 트롤리 바를 포함하는 제 2 트롤리 유닛;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축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단이 상기 롤러의 축 상에 결합되고 하단이 제 1 전광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전광판이 이송되도록 상기 롤러와 상기 제 1 전광판을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전광판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제 1, 제 2 이송유닛;
    상기 제 1, 제 2 이송유닛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 제 2 트롤리 바와의 면접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제 2 트롤리 바를 따라 주행하여 상기 구동부 및 제 2 전광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제 2 집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 2 집전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제 2 트롤리 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면접촉을 유지하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제 1 전광판에 전원 공급이 유지되어 전원 차단 없이 제 1 전광판을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전유닛과 제 2 집전유닛은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 1 집전유닛과 제 2 집전유닛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 1 트롤리 유닛과 제 2 트롤리 유닛의 이격 거리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이송유닛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종동롤러와, 상단이 상기 롤러의 축 상에 결합되고 하단이 제 1 전광판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종동롤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전광판이 이송되도록 상기 종동롤러와 상기 제 1 전광판을 연결시키는 보조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보조이송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송유닛은 상기 제 1 이송유닛의 일측 및 제 2 이송유닛의 일측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전유닛 및 제 2 집전유닛은 상기 제 1, 제 2 트롤리 바에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집전용 전극과, 상기 집전용 전극의 외측을 감싸는 절연 브라켓과, 상기 집전용 전극을 고정시키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절연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단을 수용하는 형태로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여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완충스프링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상,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전광판에 영상정보가 표출되게 하는 영상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롤리 유닛 또는 제 2 트롤리 유닛에는 상기 제 1 이송유닛 및 제 1 집전유닛과 상기 제 2 이송유닛 및 제 2 집전유닛이 상단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 2 전광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광판과 제 2 전광판의 연결 시 면 접촉되는 측면의 후방에는 제 1, 제 2 전광판의 연결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재는 상기 제 1 전광판의 후면 일 측단에 위치 결정핀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전광판의 일 측단과 면 접촉되는 상기 제 2 전광판의 후면 일 측단에 상기 위치 결정핀이 삽입되는 위치 결정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광판과 제 2 전광판의 연결 시 면 접촉되는 측면의 후방에는 제 1, 제 2 전광판의 연결을 구속하는 잠금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모듈은 상기 제 1 전광판의 후면 일 측단에 핀 결합되어 상기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락킹 로드와, 상기 락킹 로드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락킹로드의 회전을 위해 직선 운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제 1 전광판의 일 측단과 면 접촉되는 상기 제 2 전광판의 후면 일 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하는 락킹로드의 선단부를 구속하는 고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광판과 제 2 전광판의 연결 시 면 접촉되는 측면의 후방에는 제 1, 제 2 전광판의 접촉시 부딪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이송시스템.

KR1020180024346A 2018-02-28 2018-02-28 전광판 이송 시스템 KR102035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46A KR102035734B1 (ko) 2018-02-28 2018-02-28 전광판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46A KR102035734B1 (ko) 2018-02-28 2018-02-28 전광판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657A KR20190103657A (ko) 2019-09-05
KR102035734B1 true KR102035734B1 (ko) 2019-10-23

Family

ID=6794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46A KR102035734B1 (ko) 2018-02-28 2018-02-28 전광판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7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2033A (ja) 2000-07-19 2002-01-31 Fujitsu General Ltd 表示装置の吊下装置
KR100709068B1 (ko) 2006-10-17 2007-04-18 쓰리피시스템(주) 평판 디스플레이의 반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503A (ko) * 2000-09-20 2002-03-27 신권식 유동식 광고장치
KR100520061B1 (ko) * 2002-12-06 2005-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버헤드타입 이송장치
KR100751226B1 (ko) 2006-11-16 2007-08-23 (주)럭스맥스 엘이디 전광판
KR200484920Y1 (ko) 2015-07-03 2017-11-07 주식회사 대한전광 이동식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2033A (ja) 2000-07-19 2002-01-31 Fujitsu General Ltd 表示装置の吊下装置
KR100709068B1 (ko) 2006-10-17 2007-04-18 쓰리피시스템(주) 평판 디스플레이의 반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657A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40064A1 (en) Display device, til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453897A1 (en) Display mounting apparatus
KR101712620B1 (ko) 멀티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61788A (ko) 부품실장기용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인쇄회로기판 이송방법
US20030094348A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rinted circuit board
KR102552528B1 (ko) 표시 장치
EP1929458A1 (en) A large scale display system
KR20100128589A (ko) 자기부상방식 판유리 이송장치
CN101488516A (zh) 有机发光显示器
CN104244662A (zh) 滑轨组件及滑轨组件对
KR102465746B1 (ko) 표시 장치 및 다중 패널 표시 장치
KR102035734B1 (ko) 전광판 이송 시스템
CN105021613A (zh) 电路板双面检测设备
CN204660576U (zh) 一种料箱自动存储及取货系统
KR102035733B1 (ko) 전광판 이송장치
US11929602B2 (en) Cable conveyance systems incorporating electronic visual displays
EP2526542B1 (en) Mobile image display system
US20190375302A1 (en) Article transferring device
CN108898968A (zh) 一种安装往复运动视觉暂留全彩led灯条的方形户外显示屏
JP2002299893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CN216888456U (zh) 多工位滚筒运输机器人
KR102014862B1 (ko) 통풍구조를 가지는 유니트형 도로전광표지
CN113233149B (zh) 顶升移栽设备和分拣设备
KR101536770B1 (ko) 롤러 구동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롤러 컨베이어 장치
CN107481666A (zh)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