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652B1 -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652B1
KR102035652B1 KR1020190063098A KR20190063098A KR102035652B1 KR 102035652 B1 KR102035652 B1 KR 102035652B1 KR 1020190063098 A KR1020190063098 A KR 1020190063098A KR 20190063098 A KR20190063098 A KR 20190063098A KR 102035652 B1 KR102035652 B1 KR 102035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orting
coastal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석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엠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엔테크(주) filed Critical 엠엔테크(주)
Priority to KR1020190063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4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6Fee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된 해안폐기물을 종류 및 비중에 대응되게 풍량 및 송풍 각도 그리고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해안폐기물 펼침부를 통하여 공급된 해안폐기물을 펼쳐진 상태로 선별용 하우징 내측으로 투입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선별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Waste sorting device for solid fuel}
본 발명은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된 해안폐기물을 종류 및 비중에 대응되게 풍량 및 송풍 각도 그리고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해안폐기물 펼침부를 통하여 공급된 해안폐기물을 펼쳐진 상태로 선별용 하우징 내측으로 투입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선별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육상기인, 해상기인 및 어업활동기인으로 발생되는 국내 연근해 해양폐기물은 연안환경파괴, 해양생태계피해 및 해상안전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연안해역의 임해공업단지의 확대와 도시화, 그리고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염원의 배출증가로 인한 해상부유 쓰레기, 해저면의 침적쓰레기, 오염퇴적물 등으로 해양자체의 정화능력을 넘어서는 심각한 상태에 도달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해양오염 발생원을 중심으로 한 실태조사 및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연구와 노력은 해양폐기물의 조사, 예방, 수거, 처리 및 재활용에 대한 실용화 장비의 개발과 도입의 다각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민원과 관련하여 수거와 처리가 골치덩어리로 치부되고 있으며, 한편 에너지의 재활용의 인식의 보편적 보급으로 인해, 해양폐기물의 재활용에 대하여도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양폐기물은 육상폐기물에 비하여 폐기물의 조성이 간단하고, 자원화 가능한 물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발열량이 높고, 부패하거나 악취의 가능성이 낮아 조속한 처리를 요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폐기물간의 함수율 변동이 심하며, 염분에 의한 처리설비의 부식위험성이 높고 절단과 파쇄를 요하는 폐기물이 많으며 발생위치가 분산되어 수집이나 집하체계의 구성이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해양 폐기물의 특성을 고려하고, 해양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를 위해 해양폐기물이 담고 있는 염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시스템의 개발이 선행되었다.
수거된 해양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기술적 접근은 해수가 첨가된 폐기물의 안정화에서 시작하여 폐기물의 특성상 자원화에까지 이어질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염분에 의한 처리설비의 부식을 방지하고, 조대성폐기물(그물, 로프 등)의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해양폐기물의 자원화를 극대화하여 처리설비에 의한 공해 물질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세정기, 절단기, 파쇄기, 탈수기, 건조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처리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으나, 보통은 연안에 적체된 해양폐기물이 수집되는 장소와 거리가 있어, 육로를 통해 2중의 운반과정을 거쳐 처리되기에 여전히 에너지의 효율화의 문제점이 잔존한다.
한편, 폐기물 이송차량에 의한 생활환경 파괴와 같은 각종 환경문제의 유발은 주민들로 하여금 환경시설의 설치를 반대하게 만들었으며, 그 영향이 해양폐기물의 처리에까지 미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해양폐기물의 수거와 처리 및 재활용에 대한 관점에서는, 해양폐기물의 적체, 수거되는 장소는 연안의 특정 위치에 산재되어 있어, 육로를 통해 각각의 연안에서의 해양폐기물이 운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기술과 장치들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해양폐기물의 처리와 재활용의 방법에 대해서는, 해양폐기물을 육상으로 운송하지 않고 바로 처리 및 재활용을 할 수 있고, 또한 해양폐기물이 연안의 특정 지역에 적체되어 있는 특성상 해상의 경로를 통해 일괄적으로 해결할 필요성 및 운항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에 있어서 해양폐기물의 사용 및 운항 중의 전력의 축적과 도서지역에서의 전력공급을 위한 포괄적이고도 다각적 해양폐기물의 처리와 활용 방안이 절실히 요청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번호 10-2017-0110463호를 통하여 해안폐기물용 처리 시스템을 특허 출원하여 등록받은 적이 있다.
살펴보면, 상기한 해안폐기물용 처리 시스템은,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 일측에 일단이 회동용 붐에 의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고, 타단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해안폐기물을 파지가능하게 구비되는 크레인을 갖추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운송부와, 상기 적재부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것에 의해 크레인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크레인으로부터 공급되는 해안폐기물을 투입시켜 절단 및 파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절단 파쇄부와, 상기 절단 파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절단 후 파쇄된 해안폐기물에 포함된 스틸을 자석을 이용하여 분류시키면서 나머지는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분류용컨베이어와, 상기 분류용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절단 파쇄되어 분류된 해안폐기물을 비중에 따라 선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선별부와, 상기 분류용컨베이어 하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절단 파쇄부와 분류용컨베이어 그리고 선별부측으로 유압을 공급가능하게 구비되는 유압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 파쇄부는, 크레인 일측에 일단이 적재부 상면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절단 파쇄용프레임과, 상기 절단 파쇄용프레임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것에 의해 공급된 해안폐기물을 일방향으로 밀어 투입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시 회동시켜 구동함에 따른 투입된 해안폐기물을 절단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절단된 해안폐기물을 파쇄가능하게 구비되는 파쇄부로 구성되고, 상기 절단부는 사용시에는 투입부에 대해서 수직으로 세워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평으로 누워서 보관될 수 있도록 상기 절단 파쇄용프레임에 일단이 회동축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절단용지지부재와, 상기 절단용지지부재의 상단에 구동가능하게 절단용피스톤을 갖추어 구비되는 절단용실린더와, 상기 절단용실린더의 절단용피스톤에 일단이 고정되어 투입부를 통하여 투입된 해안폐기물을 전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절단날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선별부는 절단 파쇄부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됨에 따른 절단 및 파쇄된 해안폐기물을 비중별로 분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선별부는 분류용컨베이어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과 타측에는 제1,2배출구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선별용하우징과, 상기 선별용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별용컨베이어와, 상기 선별용하우징의 제1,2배출구 하부에 설치되어 선별된 해안폐기물을 저장부측으로 자동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선별배출용제1,2컨베이어와, 상기 선별용하우징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하는 것에 의해 송풍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송풍부와, 상기 선별용하우징의 유입구 하부에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은 송풍부와 관을 매개로 연결되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선별된 해안폐기물측으로 송풍시키는 것에 의해 비중에 대응되게 제1,2배출구측으로 해안폐기물이 선별되어 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송풍토출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한 해안폐기물용 처리 시스템의 선별부는 절단 파쇄부에 의해 절단 파쇄된 폐기물이 이송되어 선별부의 선별용하우징 내측으로 떨어지게 되면, 폐기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송풍토출부를 통하여 동일한 세기 및 양의 바람을 송풍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송풍 바람이 약할 경우 나무 또는 비중이 높은 플라스틱은 선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번호 10-2017-0110463호, 출원일; 2017년08월30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된 해안폐기물을 종류 및 비중에 대응되게 풍량 및 송풍 각도 그리고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해안폐기물 펼침부를 통하여 공급된 해안폐기물을 펼쳐진 상태로 선별용 하우징 내측으로 투입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선별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공급부를 통하여 투입되는 해안폐기물을 회전하는 것에 의해 펼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해안폐기물 펼침부와, 상기 해안폐기물 펼침부가 일단 상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펼쳐진 해안폐기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송용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해안폐기물의 형상 또는 재질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와,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의 타단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해안폐기물을 내부로 수용하여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선별된 해안폐기물을 각각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선별용 하우징과, 상기 선별용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이송용 컨베이어의 타단 하부에 위치되어 송풍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투입되는 해안폐기물측으로 분사시켜 해안폐기물을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선별가능하도록 각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별용 에어분사부와, 상기 선별용 에어분사부 전방에 구동모터의 구동에 대응되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연성 폐기물을 안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으로 구성되되, 상기 감지센서가 해안폐기물의 형상 또는 재질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로 인가함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부의 풍량과 선별용 에어분사부의 각도 조절과 그리고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어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해안폐기물 펼침부는,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의 일단 상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인가하는 것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펼침용 구동모터와, 상기 펼침용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에 의해 투입된 해안폐기물을 펼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펼침용 회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에 따르면, 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된 해안폐기물을 종류 및 비중에 대응되게 풍량 및 송풍 각도 그리고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해안폐기물 펼침부를 통하여 공급된 해안폐기물을 펼쳐진 상태로 선별용 하우징 내측으로 투입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해안폐기물의 선별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내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일부 도면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공급부(미도시함)를 통하여 투입되는 해안폐기물을 회전하는 것에 의해 펼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해안폐기물 펼침부(110)와, 상기 해안폐기물 펼침부(110)가 일단 상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펼쳐진 해안폐기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송용 컨베이어(120)와,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해안폐기물의 형상 또는 재질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130)와,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의 타단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해안폐기물을 내부로 수용하여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선별된 해안폐기물을 각각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선별용 하우징(140)과,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이송용 컨베이어(120)의 타단 하부에 위치되어 송풍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투입되는 해안폐기물측으로 분사시켜 해안폐기물을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선별가능하도록 각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별용 에어분사부(160)와, 상기 선별용 에어분사부(160) 전방에 구동모터의 구동에 대응되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비닐류와 같이 가연성 폐기물을 안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170)으로 구성되되, 상기 감지센서(130)가 해안폐기물의 형상 또는 재질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로 인가함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부(150)의 풍량과 선별용 에어분사부(160)의 각도 조절과 그리고 드럼(170)의 회전속도를 제어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과 배출관(181)을 매개로 연결되어 해안폐기물 선별시 발생되는 먼지를 사이클론방식에 의해 포집가능하도록 더스트포집부(180)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의 해안폐기물 펼침부(110)는, 공급부를 통하여 투입된 해안폐기물을 이송용 컨베이어(120)측으로 펼쳐지면서 공공급되어 감지센서(130)에서 펼쳐진 해안폐기물의 감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해안폐기물 펼침부(110)는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의 일단 상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인가하는 것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펼침용 구동모터(111)와, 상기 펼침용 구동모터(11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에 의해 투입된 해안폐기물을 펼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펼침용 회전체(112)로 구성된다.
상기한 이송용 컨베이어(120)는, 상기 해안폐기물 펼침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해안폐기물 펼침부(110)를 통하여 펼쳐진 해안폐기물을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 내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감지센서(130)는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의 중간 상부에 설치되어 펼쳐진 상태로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를 통하여 이송중인 해안폐기물의 형상 또는 재질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로 인해 상기한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130)에서 감지된 신호가 인가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송풍부(150)의 풍량과 선별용 에어분사부(160)의 각도 조절과 그리고 드럼(17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므로 인해, 선별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선별용 하우징(140)은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의 타단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해안폐기물을 내부로 수용하여 선별용 에어분사부(160)를 통하여 선별된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을 각각 배출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선별용 하우징(140)은 일면에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를 통하여 이송된 해안폐기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141)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41)에 대향되는 타면과 상면에는 선별용 에어분사부(160)를 통하여 분사된 에어를 더스트포집부(18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142)가 형성되며, 바닥면 일측과 타측에는 해안폐기물이 상기 선별용 에어분사부(160)를 통해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선별됨에 따른 선별된 해안폐기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가연성 및 불연성 폐기물배출구(143,144)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선별용 하우징(1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드럼(170)의 일측과, 가연성 폐기물배출구(143) 일측 그리고 드럼(170)과 선별용 하우징(140)의 천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용 에어분사부(160)로부터 토출되는 에어가 선별용 하우징(140)의 내부에서 와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연성 폐기물이 상기 드럼(170)을 통하여 가연성 폐기물배출구(143)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제1,2,3공기유도판(145,146,147)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1공기유도판(145)은 불연성 폐기물 배출구(144)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드럼(170)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2공기유도판(146)은 가열성 폐기물배출구(143)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배출구(142) 하단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3공기유도판(147)은 상기 드럼(170)과 선별용 하우징(140)의 천정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일단은 투입구(141)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다수번 절곡 연장되어 배출구(142)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선별용 하우징(140)에 형성된 배출구(142) 전방에는 가연성 폐기물이 선별용 에어분사부(160)로부터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더스트포집부(180)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의 바닥면에 형성된 가연성 폐기물배출구(143)측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체인형태의 차단부재(148)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선별용 에어분사부(160)는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의 타단 하부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 내부에 설치되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면서 에어를 상기 드럼(170) 측으로 도출시켜 투입된 해안폐기물을 가연성과 불연성 폐기물로 선별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선별용 에어분사부(160)는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의 타단 하부에 위치되게 일단은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에 힌지축(도면보호 생략)을 매개로 회동가능게 설치되어 송풍부(150)와 공급관(162)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송풍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드럼(170)측으로 송풍가능하게 구비되는 분사노즐부(161)와, 상기 분사노즐부(161)의 타단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부(161)의 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피스톤이 상기 분사노즐부(16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163)로 구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드럼(170)은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의 바닥면에 형성된 가연성 및 불가연성 폐기물 사이의 바닥면에 설치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전원이 인가되는 것에 의해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에 따른 가연성 폐기물을 가연성 폐기물배출구(143)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를 통하여 해안폐기물을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선별시키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를 통하여 해안폐기물이 회전하는 해안폐기물 펼침부(110)로 공급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해안폐기물은 펼쳐지면서 이송용 컨베이어(120)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측으로 펼쳐지면서 떨어진 해안폐기물은 구동하는 이송용 컨베이어(120)에 의해 선별용 하우징(140)의 투입구(141)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 상부측에 설치된 감지센서(130)는 이송중인 펼쳐진 해안폐기물의 형상을 감지하여 제어부측으로 인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의 투입구(141)측으로 투입되면, 송풍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선별용 에어분사부(160)를 통하여 떨어지는 해안폐기물측으로 송풍된다.
이때, 송풍된 에어는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2,3공기유도판(145,146,147)에 의해 와류 현상이 억제되면서 배출구(142)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비닐과 같이 비중이 가벼운 가연성 폐기물은 회전하는 드럼(170)을 타고 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70) 좌측으로 날아가게 되고, 비중이 무거운 불연성 폐기물은 드럼(170) 우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드럼(170) 우측으로 떨어진 불연성 폐기물은 선별용 하우징(140)의 바닥면에 형성된 불연성 폐기물배출구(144)를 통하여 배출되고, 상기 드럼(170) 좌측으로 날아간 가연성 폐기물은 가연성 폐기물배출구(143)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상기한 감지센서(130)에서 감지된 해안폐기물에서 비닐보다 비중이 높은 예를 들어 분쇄된 밧줄을 또는 페트병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하게되면, 제어부는 송풍부(150)의 풍량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선별용 에어분사부(160)의 각도를 상방향으로 조절되게 제어신호를 인가하면서, 동시에 드럼(170)의 회전속도를 높이기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그로 인해, 비중이 높은 가연성 폐기물은 회전하는 드럼(170)을 통하여 가연성 폐기물배출구(143)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한 선별용 하우징(140)의 배출구(142)측에는 체인형태의 차단부재(148)가 설치되어 있어서 비닐과 같이 비중이 낮은 해안폐기물이 배출구(142)를 통하여 더스트포집부(180)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해안폐기물의 형상 또는 재질에 대응되게 송풍부의 송풍량과 선별용 에어분사부의 각도조절 그리고 드럼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의 선별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 110 ; 해안폐기물 펼침부
120 ; 이송용 컨베이어 130 ; 감지센서
140 ; 선별용 하우징 150 ; 송풍부
160 ; 선별용 에어분사부 170 ; 드럼
180 ; 더스트포집부

Claims (5)

  1.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는,
    공급부를 통하여 투입되는 해안폐기물을 회전하는 것에 의해 펼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해안폐기물 펼침부(110)와;
    상기 해안폐기물 펼침부(110)가 일단 상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펼쳐진 해안폐기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송용 컨베이어(120)와;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해안폐기물의 형상 또는 재질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측으로 인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130)와;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의 타단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해안폐기물을 내부로 수용하여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선별된 해안폐기물을 각각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선별용 하우징(140)과;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 내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이송용 컨베이어(120)의 타단 하부에 위치되어 송풍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투입되는 해안폐기물측으로 분사시켜 해안폐기물을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선별가능하도록 각도 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별용 에어분사부(160)와;
    상기 선별용 에어분사부(160) 전방에 구동모터의 구동에 대응되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연성 폐기물을 안내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럼(170)으로 구성되되,
    상기 감지센서(130)가 해안폐기물의 형상 또는 재질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로 인가함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부(150)의 풍량과 선별용 에어분사부(160)의 각도 조절과 그리고 드럼(170)의 회전속도를 제어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은, 일면에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를 통하여 이송된 해안폐기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141)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41)에 대향되는 타면과 상면에는 선별용 에어분사부(160)를 통하여 분사된 에어를 더스트포집부(18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142)가 형성되며, 바닥면 일측과 타측에는 해안폐기물이 상기 선별용 에어분사부(160)를 통해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로 선별됨에 따른 선별된 해안폐기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가연성 및 불연성 폐기물배출구(143,144)가 형성되며,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드럼(170)의 일측과, 가연성 폐기물배출구(143) 일측 그리고 드럼(170)과 선별용 하우징(140)의 천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선별용 에어분사부(160)로부터 토출되는 에어가 선별용 하우징(140)의 내부에서 와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연성 폐기물이 상기 드럼(170)을 통하여 가연성 폐기물배출구(143)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제1,2,3공기유도판(145,146,147)이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안폐기물 펼침부(110)는,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의 일단 상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인가하는 것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펼침용 구동모터(111)와, 상기 펼침용 구동모터(11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에 의해 투입된 해안폐기물을 펼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펼침용 회전체(1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에 형성된 배출구(142) 전방에는 가연성 폐기물이 선별용 에어분사부(160)로부터 토출되는 에어에 의해 더스트포집부(180)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의 바닥면에 형성된 가연성 폐기물배출구(143)측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체인형태의 차단부재(14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용 에어분사부(160)는, 상기 이송용 컨베이어(120)의 타단 하부에 위치되게 일단은 상기 선별용 하우징(140)에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가능게 설치되어 송풍부(150)와 공급관(162)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송풍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드럼(170)측으로 송풍가능하게 구비되는 분사노즐부(161)와, 상기 분사노즐부(161)의 타단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부(161)의 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피스톤이 상기 분사노즐부(16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163)로 구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
KR1020190063098A 2019-05-29 2019-05-29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 KR102035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098A KR102035652B1 (ko) 2019-05-29 2019-05-29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098A KR102035652B1 (ko) 2019-05-29 2019-05-29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652B1 true KR102035652B1 (ko) 2019-10-23

Family

ID=6846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098A KR102035652B1 (ko) 2019-05-29 2019-05-29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6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662B1 (ko) * 2021-09-23 2022-05-13 유성민 풍력 선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930A (ja) * 2000-05-23 2001-11-27 Nkk Corp 高速仕分け装置
KR20140135283A (ko) * 2013-05-15 2014-11-26 주식회사 슈레텍 역풍을 이용한 풍력선별장치
KR20160079506A (ko) * 2014-12-26 2016-07-06 (주)유성 풍력을 이용한 연료재료 선별장치
KR20170110463A (ko) 2016-03-23 2017-10-11 문일태 무속용 제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무속용 제구
KR101826971B1 (ko) * 2017-08-30 2018-02-07 엠엔테크(주) 해안폐기물용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930A (ja) * 2000-05-23 2001-11-27 Nkk Corp 高速仕分け装置
KR20140135283A (ko) * 2013-05-15 2014-11-26 주식회사 슈레텍 역풍을 이용한 풍력선별장치
KR20160079506A (ko) * 2014-12-26 2016-07-06 (주)유성 풍력을 이용한 연료재료 선별장치
KR20170110463A (ko) 2016-03-23 2017-10-11 문일태 무속용 제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무속용 제구
KR101826971B1 (ko) * 2017-08-30 2018-02-07 엠엔테크(주) 해안폐기물용 처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662B1 (ko) * 2021-09-23 2022-05-13 유성민 풍력 선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457B1 (ko) 해양폐기물의 해상 수거, 전처리 및 도서지역 전력공급이 가능한 해양폐기물 자원화 처리 선박
KR101024457B1 (ko) 친환경 처리장치 및 선박 하중 조절장치가 탑재된 해양폐기물의 해상 수거, 전처리 및 도서지역 전력공급이 가능한 해양폐기물 자원화 처리 선박
KR100733631B1 (ko) 건설폐기물의 분쇄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200024402A (ko) 해양쓰레기 수거 및 고형연료제조 선박
KR101826971B1 (ko) 해안폐기물용 처리 시스템
KR102035652B1 (ko) 고형 연료용 폐기물 선별장치
JP2010241082A (ja) 農業用プラスチック製品の分別再生プラント
KR100761554B1 (ko) 파분쇄된 순환골재 선별장치
CN109351032B (zh) 一种火电厂循环水排污水处理系统
KR20090098463A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0765852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20100100362A (ko) 혼합쓰레기 전처리 과정에서의 선별방법
KR100479527B1 (ko) 폐 연심로프 분쇄 재활용 장치
KR20100005787A (ko) 폐그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
KR20050050320A (ko)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 방법 및 장치
KR100559483B1 (ko)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CN101318194A (zh) 以水为介质的生活垃圾重力分选系统
CN110984103A (zh) 一种移动式水域聚集漂浮物自动处理抽吸清除装置
KR101826972B1 (ko) 해안폐기물 처리기용 절단 파쇄장치
CN1226103C (zh) 中型垃圾分类回收方法及装置
CN207859253U (zh) 一种废旧塑料处理装置
KR100734520B1 (ko) 건설폐기물의 에어 선별장치
KR20100128212A (ko) 물과 가압공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가연물을 선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403511Y1 (ko) 생활쓰레기 선별장치
KR100488241B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