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567B1 -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 Google Patents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567B1
KR102035567B1 KR1020180015275A KR20180015275A KR102035567B1 KR 102035567 B1 KR102035567 B1 KR 102035567B1 KR 1020180015275 A KR1020180015275 A KR 1020180015275A KR 20180015275 A KR20180015275 A KR 20180015275A KR 102035567 B1 KR102035567 B1 KR 102035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ry
slab
support
access fl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822A (ko
Inventor
홍한성
박재영
구본수
배상환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제이제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제이제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5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5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5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5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패널에 있어서, 난방용 배관이 설치된 난방패널; 난방패널 상부에 배치되는 탄성패드 또는 도포되는 코팅층; 및 상기 난방패널 상부에 배치되는 마감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건식패널은, 플로팅보드와 상기 플로팅보드를 슬라브로부터 기설정된 높이로 부상시키는 기둥부재로 이루어진 악세스플로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브로부터 기설정된 높이로 부상되어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악세스플로어 상에 건식패널을 설치함으로써, 종래 시도되지 아니하였던 악세스플로어 상에서의 건식패널의 정합 조건을 확립하고, 악세스 플로어 상에 바닥구조를 구현함에 있어서 시공 속도를 제고하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Floor structure consisting of combined access floor and dry panels}
본 발명은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식패널은 습식공법에 의해 구현되는 난방방식에 비해 경량이고, 시공이 편리하며, 공기가 짧아 이를 적용하는 건축물의 빠른 완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따라서 공사현장에서 채택률이 높아지고 있다.
종래의 건식패널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3377호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을 통하여 공개된 바 있다.
선행기술은 저면에는 가로와 세로로 동일한 간격으로 반구형 홈이 상향 요입되도록 형성하고, 반구형 홈 사이의 하단면은 최소의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사각의 배관블록; 온수 파이프가 안치되도록 평판의 판면을 일정 깊이로 하향 만곡지게 밴딩되도록 한 파이프 안치부와 판면을 절단하면서 일단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도록 한 복수의 매립 돌부가 매설되도록 하여 배관블록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열전도판;을 필수요소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은, 저온에서도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및 보행감 문제 해소로 최적의 온돌난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적용범위가 제한적이며, 특히, 습식구조의 대체제로 사용되므로 주택이라는 범위에 제한적으로 사용될 뿐이고, 주택 이외의 건축물에서는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근래 주택 이외의 건축물에서는 슬라브와 마감패널을 이격시키고, 이격 공간에 전력케이블 또는 통신케이블을 배치하여 케이블의 노출을 방지함은 물론, 사무실 등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보다 제고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주택은 물론 주택 이외의 건축물에도 적용할 수 있는 건식패널이 요구되고 있으며, 나아가, 악세스플로어 상에 적용될 수 있는 건식패널에 대한 연구 개발이 절실이 요망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07337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악세스플로어 상에 건식패널을 설치함으로써, 종래에 시도되지 아니하였던 악세스플로어 상에서의 건식패널의 정합 조건을 확립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습식 바닥 구조와 악세스플로어라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건물의 바닥구조를 건식 바닥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바닥구조와 악세스플로어가 비로소 양립가능하게 한 것으로서, 향후에는 건식 바닥 구조는 악세스플로어의 편리성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악세스플로어상에 시공됨으로써 악세스플로어의 보행감, 바닥 충격음, 소음 등의 문제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유용성이 매우 큰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식패널의 영역 중 악세스플로어의 기둥부재에 지지되지 아니하는 건식패널의 테두리(바닥의 벽면 인접 테두리 영역) 하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지지대에 의해 지탱되므로, 상기 테두리에 각종 정적 또는 동적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건식패널이 함몰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기둥부재와 슬라브 사이에 완충재가 더 마련되어, 건식 바닥 구조의 최상단 부재(예를 들어 마감패널)에서 발생한 바닥 충격음이 악세스플로어의 기둥부재를 타고 바닥 슬라브로 전달되는 진동량을 제어하여 바닥충격음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브에 점착성 코팅제를 도포함으로써, 시공 현장에 부유하는 시멘트 및 모르타르 등 미세 먼지가 슬라브 상에서 포집 및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부유 먼지의 양을 줄임으로써 쾌적한 시공현장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식패널에 있어서, 난방용 배관이 설치된 난방패널; 난방패널 상부에 배치되는 탄성패드 또는 도포되는 코팅층; 및 상기 난방패널 상부에 배치되는 마감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건식패널은, 플로팅보드와 상기 플로팅보드를 슬라브로부터 기설정된 높이로 부상시키는 기둥부재로 이루어진 악세스플로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건식패널이 슬라브로부터 기설정된 높이로 부상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fmf 개시한다.
상기 건식패널은, 상기 슬라브 상부에, 평탄화를 도모하고 분진을 구속함으로써, 비산을 억제하는 막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막층은, 상기 슬라브 상부에 겔 내지는 액상으로 도포된 수지가 건조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로팅보드는, 강도를 보강하는 마그네슘 또는 규소의 무기질 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패드는, 폴리프로필렌(EPP) 또는 폴리스티렌(EPS),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EPDM)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EPDM)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패널은, 자웅의 결합을 통해 좌우 연속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하는 각 측면에 자웅의 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식패널은, 테두리 하부와 상기 슬라브 사이에 마련되어 하중을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슬라브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플로팅보드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바(bar) 형태의 지지바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받침대와 수용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토록 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바는, U, C, ㄷ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bar)로서, 개방된 일면이 상기 수용부와 마주하고, 폐쇄된 그 대향면은 상기 플로팅보드 밑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브 상부에 단열재가 더 배치되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기둥부재 및 지지대에 대응하는 영역에 천공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부재 및 지지대는, 상기 슬라브와 맞닿는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건식패널로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악세스플로어 상에 건식패널을 설치함으로써, 종래에 시도되지 아니하였던 악세스플로어 상에서의 건식패널의 정합 조건을 확립하고 악세스 플로어 상에 바닥구조를 구현함에 있어서 시공 속도를 제고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식패널의 영역 중 악세스플로어의 기둥부재에 지지되지 아니하는 건식패널의 테두리(바닥의 벽면 인접 테두리 영역) 하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지지대에 의해 지탱되므로, 상기 테두리에 각종 정적 또는 동적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건식패널이 함몰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기둥부재와 슬라브 사이에 완충재가 더 마련되어, 건식 바닥 구조의 최상단 부재(예를 들어 마감패널)에서 발생한 바닥 충격음이 악세스플로어의 기둥부재를 타고 바닥 슬라브로 전달되는 진동량을 제어하여 바닥충격음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브에 점착성 코팅제를 도포함으로써, 시공 현장에 부유하는 시멘트 및 모르타르 등 미세 먼지가 슬라브 상에서 포집 및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부유 먼지의 양을 줄임으로써 쾌적한 시공현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패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공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패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공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기둥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기둥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지지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지지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패널의 추가적인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공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열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패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마감패널의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패널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공 순서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건식패널의 시공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공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시공사례를 공동주택으로 한정하고 그로 인해, 도출되는 효과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시공범위가 공동주택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난방이 요구되는 밀폐공간이면 모두 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공 영역 선택의 자유도가 높다.
악세스플로어는 플로팅보드(120)와 기둥부재(170)를 조합한 것으로서, 별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아니하였다. 또한, 플로팅보드(120)는 건식패널의 일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이로써,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이 유기적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 부분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다만, 건식패널과 악세스플로어가 플로팅보드(120)를 공유하지 않고 악세스플로어가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그 위에 건식 패널이 적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악세스플로어의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패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공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건식패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건식패널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패널(100)은 악세스플로어상에 설치되며, 기둥부재(170)에 의하여 슬라브(10)로부터 소정 이격되어 시공된다. 특히, 난방패널(130)이 마련되므로, 종래에 악세스플로어에서 향유할 수 없었던 악세스플로어상에서 난방의 이점도 향유할 수 있다.
이러한 건식패널(100)은 플로팅보드(120), 난방패널(130), 탄성패드(140) 또는 코팅층 및 마감패널(1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악세스플로어의 기둥부재(170)를 매개로 슬라브(10)로부터 이격되어 시공된다.
이때, 건식패널(100)은 고정핀(200)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핀(200)은 플로팅보드(120), 난방패널(130), 탄성패드(140) 및 마감패널(150) 간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특히 횡하중(예를 들어, 지진 등)으로 인한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플로팅보드(120)는 기설정된 크기의 규격을 가지는 육면체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기둥부재(170)에 지지되어 슬라브(10)로부터 소정 이격되어 시공된다.
이러한 플로팅보드(120)는 건식패널(100)의 내구성 강화는 물론, 화재예방과 더불어 보행감 향상을 위해 마그네슘이나 규소 등의 무기질 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기질 성분은 상기 열거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매우 바람직하게는 시공영역에 따라 방충 기능 등 다양한 기능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황토 등 보다 다변화된 무기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특징은, 통상 플로팅보드(120)로 사용되는 스티로폼을 탈피하여 건식패널에 필수적인 내하중성을 높이고자 무기질 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플로팅보드(120)를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즉, 무기질 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플로팅보드(120)는 건식패널의 유기적 구성요소로서 건식패널의 완성된 일 부분을 이룬다.
난방패널(130)은 플로팅보드(120) 상부에 적층되는 경질의 판재로서, 상면에 난방용 배관(133)이 안착되도록 관수홈(131)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탄성패드(140)가 적층된다.
탄성패드(140)는 마감패널(150)을 지지하여 소정의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발포성 패널로서, 폴리프로필렌(EPP), 폴리스티렌(EPS)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EPDM)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 중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패드(140)는 패널형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난방패널상에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를 코팅함으로써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패널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보다 얇게 하면서도 기능의 저하는 방지할 수 있다.
마감패널(150)은 장판, 타일, 강화마루 등 통상의 바닥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자웅의 결합구조로서 연속 연결된 배치가 용이한 강화마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결합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웅의 결합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자웅의 돌기와 결합홈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서로 마주하는 측면부 상하단 사이에 양각 및 음각으로 형성된 자웅 구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마감패널(150)의 자웅의 돌기와 결합홈에는 각각 접착제가 미리 도포되며, 이로써 서로 대응하는 마감패널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쪽매이음의 경우 단순 결합 구조로 시공하면서 이탈 및 그에 따른 소음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적용하면 긴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슬라브(10)상에 예를 들어 코팅에 의한 막층(110)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막층(110)은 슬라브(10) 상부에서 건조된 겔 내지는 액상의 수지이고, 상기 겔 또는 수지에는 무기재료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막층(110)을 통해 슬라브(10)의 평탄화를 구현함은 물론, 슬라브(10)에 잔류하거나 공기중에 부유하다가 침잠하는 분진을 구속하여 분진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슬라브 상부를 코팅하므로 방수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그 재질은 예를 들어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둥부재(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10)과 플로팅보드(120)를 포함하는 건식패널(10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기둥부재(170)의 상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십자형 구획재(171)가 마련된다.
이러한 기둥부재(170)는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연속 배치되며, 이때, 간격은 플로팅보드(120)의 규격(예를 들어, 500mm * 500mm)에 대응하는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둥부재(170)에는 도 3과 같이 슬라브(10)와 맞닿는 일면에 건식패널(100)로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재(200)가 마련되어, 건식패널(10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완충작용을 통하여 보행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완충재(200)는 탄성력을 갖는 합성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나, 수축력이 너무 높게 되면 장시간 사용으로 지지력을 저하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천연고무 또는 주원료로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을 사용하되 기타 혼합물을 섞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질상 완충재(200)는 플로팅보드(120)에 비하여 연성인 것이 좋다.
한편, 기둥부재(170)가 설치되는 영역 중 벽체 인접 영역에는 건식패널(100)을 지지하여 건식패널(100)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지지대(180)가 더 마련된다.
즉, 상기 지지대(1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패널(100)의 테두리(벽체(20)와 인접한 영역)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건식패널(100)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특히, 테두리에 가해지는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하여 예를 들어 해당 부위가 함몰되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대(180)는 벽면 테두리 인접 영역 중 악세스플로어의 규격으로 인하여 악세스플로어와 벽면 테두리간의 이격공간에서 그 상부의 마감재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악세스플로어가 설치되기 어려운 영역과 벽면 사이의 공간 상부에 건식패널(100)이 시공되는 경우, 그 건식패널의 하부는 빈 공간으로 존재하므로 여기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함몰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지지대(180)를 별도로 시공하여 이러한 함몰을 막고, 지지대(180)를 기둥부재(170)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면 건식패널(100)의 편평도가 시공 면적 전체적에 대하여 균일도를 가진다.
다만, 지지대(180)는 건식패널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지지대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건식패널의 최상층인 마감패널(150)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단순 마감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80)는 슬라브(10)를 지지하는 받침대(181), 플로팅보드(120)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바(bar) 형태의 지지바(187)가 수용되는 수용부(185) 및 플로팅보드(120)와 받침대(181) 사이에 마련되고, 수용부(185)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길이조절부(1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지지바(187)는 도시된 바와 같이 U, C, ㄷ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bar)로서, 개방된 일면이 수용부(185)와 마주하고, 폐쇄된 그 대향면은 플로팅보드(120)의 하면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지지바(187)는, 고정핀(190)을 통해 건식패널(100)과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며, 따라서 횡하중 발생 시, 지지바(187)가 건식패널(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받침대(18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10)를 지지하는 플랫한 판재이나, 도시된 사각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각은 물론, 원형 등 다양한 도형의 형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10)와 마주하는 받침대(181) 밑면에 완충재(200)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완충재(200)는 기둥부재(170)의 완충재(2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용부(185)는 지지바(187)를 수용하기 위한 형태를 이루며, 지지바(187) 양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U, C, ㄷ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바(187)가 양단 사이로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하였다.
길이조절부(183)는 내부에 나사산이 마련된 관체와 수나사의 구조로 이루어져, 회전 시 길이가 줄어들거나 늘어나도록 함으로써, 수용부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로써 지지대(180)의 높이를 기둥부재(170) 높이에 대응하여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수나사에 높낮이 제한을 위한 너트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트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존재하여 너트간 회전이 제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건식패널(100)의 일례로서, 슬라브(10)에는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층과 병행시공되거나, 그의 대체재로서 단열재(160)가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열재(160)는 슬라브(10)를 통해 유입되는 온기 내지는 냉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서 슬라브(10)에 적층된다. 이러한 단열재(160)는 도 6(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80)와 기둥부재(170)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천공(161)이 형성되며, 이러한 천공(161)은 지지대(180)와 기둥부재(170)가 슬라브(10)를 지지하여 건식패널(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단열재(160)는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음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는 재질로 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도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160)는 천공되지 않으며, 기둥부재(170)가 단열재(160)와 그 상부에 거치된 강판(210) 위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기둥부재(170)의 하부에 구비된 완충재(200)와 더불어 마감패널에서 발생되어 바닥 슬라브에 전달되는 바닥 충격음을 상당 부분 상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건식패널(100)은 하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시공되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패널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깅 위해 나타낸 시공 순서도이고, 도 10은 건식패널의 시공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공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패널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를, 그리고 지지대가 설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기둥부재를 배치하는 제1단계, 지지대와 기둥부재를 통하여 슬라브로부터 이격된 상부에 플로팅보드와 난방패널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제2단계, 난방패널 상부에 탄성패드 또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 및 탄성패드 또는 코팅층 상부에 마감패널을 배치하는 제4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1단계는 지지대와 기둥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기둥부재는 일단 벽면 테두리 영역을 고려하지 않고 설치하며,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는 벽면 테두리 인접 영역 중 악세스플로어의 규격으로 인하여 기둥부재가 설치되기 어려운 영역의 하부에는 지지대가 설치된다. 물론, 악세스플로어의 규격과 공간의 크기가 대체로 부합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지지대의 설치는 필요치 않다.
지지대는 건식패널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슬라브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치하고, 이때, 지지대의 받침대는 슬라브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방법으로는 접착제, 테이프 및 앵커 및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대는 길이조절부를 통하여 기둥부재 높이에 대응하는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계는 플로팅보드와 난방패널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로서, 플로팅보드는 기설정된 크기의 규격을 가지는 육면체이며, 기둥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그 상부에는 난방패널이 적층된다.
제3단계는 탄성패드 또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탄성패드는 발포성 패널로서, EPDM을 재질로하며, 벌크형태로 제작되어 적층된다. 그러나, 액상의 형태로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패드 또는 코팅층은 소정의 쿠션을 제공하여 보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존재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제4단계는 탄성패드 또는 코팅층 상부에 마감패널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전용의 마감재 내지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장판, 타일, 강화마루 등) 중 어느 하나의 마감패널(150)을 시공한다.
한편, 제2단계 내지 제4단계 또는 제4단계 이후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는 플로팅보드, 난방패널, 탄성패드 및 마감패널을 고정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건식패널은 제1단계 이전에, 슬라브 상부에 평탄화와 분진 구속을 위한 막층 및 단열재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배치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막층은 슬라브 상부에 겔 내지는 액체 상태의 수지가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되므로, 슬라브 상부에 대한 평탄화 및 분진을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단열재는 슬라브를 통해 전해지는 냉기 또는 온기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존재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슬라브 20 : 벽체
100 : 건식패널 110 : 막층
120 : 플로팅보드 130 : 난방패널
131 : 관수홈 133 : 배관
140 : 탄성패드 150 : 마감패널
160 : 단열재 161 : 천공
170 : 기둥부재 180 : 지지대
181 : 받침대 183 : 길이조절부
185 : 수용부 187 : 지지바
190 : 고정핀 200 : 완충재

Claims (12)

  1. 건식패널에 있어서,
    난방용 배관이 설치된 난방패널;
    난방패널 상부에 배치되는 탄성패드 또는 도포되는 코팅층; 및
    상기 난방패널 상부에 배치되는 마감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건식패널은, 플로팅보드와 상기 플로팅보드를 슬라브로부터 기설정된 높이로 부상시키는 기둥부재로 이루어진 악세스플로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건식패널이 슬라브로부터 기설정된 높이로 부상하여 시공되고,
    상기 슬라브 상부에, 평탄화를 도모하고 슬라브에 잔류하는 분진 및 공기중에 부유하다가 침잠하는 분진을 구속함으로써, 비산을 억제하며, 슬라브 상부를 코팅하므로 방수효과가 있고,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를 재질로 하는 막층;이 겔 내지 액상의 수지로부터 슬라브 상부에 대한 코팅방식으로 형성되고,
    테두리 하부와 상기 슬라브 사이에서 플로팅보드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하중을 지탱하는 바형태의 지지대;가 더 포함되고,
    일측에는 상기 난방패널과 코팅층 및 마감패널이 함께 고정핀에 의하여 고정되고, 다른 일측에는 코팅층과 난방패널과 플로팅보드가 함께 고정핀에 의하여 고정되며,
    각 기둥부재상에는 십자형 구획재가 마련되고, 복수의 플로팅보드는 상기 기둥부재들상에 거치되되, 상기 십자형 구획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보드는,
    강도를 보강하는 마그네슘 또는 규소의 무기질 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는,
    폴리프로필렌(EPP) 또는 폴리스티렌(EPS),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EPDM)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EPDM)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은,
    자웅의 결합을 통해 좌우 연속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서로 인접하는 각 측면에 자웅의 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슬라브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플로팅보드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바(bar) 형태의 지지바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받침대와 수용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토록 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U, C, ㄷ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bar)로서, 개방된 일면이 상기 수용부와 마주하고, 폐쇄된 그 대향면은 상기 플로팅보드 밑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상부에 단열재가 더 배치되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기둥부재 및 지지대에 대응하는 영역에 천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 및 지지대는,
    상기 슬라브와 맞닿는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건식패널로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KR1020180015275A 2018-02-07 2018-02-07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Active KR102035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275A KR102035567B1 (ko) 2018-02-07 2018-02-07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275A KR102035567B1 (ko) 2018-02-07 2018-02-07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822A KR20190095822A (ko) 2019-08-16
KR102035567B1 true KR102035567B1 (ko) 2019-10-23

Family

ID=6780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275A Active KR102035567B1 (ko) 2018-02-07 2018-02-07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56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003A (ja) * 2001-10-15 2003-04-23 Dow Kakoh Kk 乾式嵩上げ構造体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416316B1 (ko) * 2001-01-20 2004-01-31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유리온돌을 이용한 악세스 플로어형 바닥구조 및 그시공방법
JP2008057202A (ja) * 2006-08-31 2008-03-13 Ube Ind Ltd 二重床の施工方法
KR100874885B1 (ko) * 2007-03-13 2008-12-19 (주)에이스테크시스템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JP2011163016A (ja) * 2010-02-10 2011-08-25 Fukuvi Chemical Industry Co Ltd 交点支持フロアポスト
KR101292777B1 (ko) * 2011-04-11 2013-08-05 박은태 황토온돌패널을 이용한 뜬바닥구조
KR101703306B1 (ko) * 2016-06-13 2017-02-22 이현구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707B1 (ko) * 2004-03-11 2007-08-21 정호진 마루널 고정장치
KR20080026369A (ko) * 2006-09-20 2008-03-25 김석규 건축물의 차음설비구조
KR101864428B1 (ko) 2015-12-18 2018-06-04 (주)에스에프씨 온수 난방용 건식온돌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316B1 (ko) * 2001-01-20 2004-01-31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유리온돌을 이용한 악세스 플로어형 바닥구조 및 그시공방법
JP2003120003A (ja) * 2001-10-15 2003-04-23 Dow Kakoh Kk 乾式嵩上げ構造体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8057202A (ja) * 2006-08-31 2008-03-13 Ube Ind Ltd 二重床の施工方法
KR100874885B1 (ko) * 2007-03-13 2008-12-19 (주)에이스테크시스템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JP2011163016A (ja) * 2010-02-10 2011-08-25 Fukuvi Chemical Industry Co Ltd 交点支持フロアポスト
KR101292777B1 (ko) * 2011-04-11 2013-08-05 박은태 황토온돌패널을 이용한 뜬바닥구조
KR101703306B1 (ko) * 2016-06-13 2017-02-22 이현구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822A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6233A1 (en) Heating floor system
KR101437337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시공방법
KR101133056B1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방법
KR101486313B1 (ko) 홀더부재를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층간소음 저감용 뜬바닥 구조
KR20090035125A (ko) 건물의 바닥의 형성을 위한 모듈화된 바닥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건물의 바닥시공방법
KR200433792Y1 (ko) 다층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방진단열모듈판 및 이를이용한 습식 이중바닥구조
KR102035567B1 (ko) 악세스플로어와 건식패널의 조합에 의한 건물 바닥 구조
KR20130094040A (ko) 난방배관용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KR100698410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KR102268331B1 (ko) 단열 성능을 구비한 슬래브 일체형 층간소음 저감구조
KR100874885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완전건식구조
KR20070014427A (ko) 이중바닥 방음장치
KR100701858B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102457861B1 (ko) 건식난방패널의 마감구조
KR100627220B1 (ko) 건축물 층간 차음 및 단열구조와 그 시공방법.
KR200391133Y1 (ko) 소음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101642289B1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뜬바닥 어셈블리
KR101428760B1 (ko) 층간소음 바닥재
KR101477136B1 (ko)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
JP4072773B2 (ja) 防水床構造
KR20180064877A (ko) 건식패널 및 건식패널의 시공방법
KR20080105472A (ko) 바닥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KR102436004B1 (ko) 조립식 난방배관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KR200351882Y1 (ko) 건물의 조립식 난방 바닥 구조물
KR20190053039A (ko) 건식패널 시공현장의 패널 부재 지지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5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7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0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