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431B1 -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 Google Patents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431B1
KR102035431B1 KR1020180149678A KR20180149678A KR102035431B1 KR 102035431 B1 KR102035431 B1 KR 102035431B1 KR 1020180149678 A KR1020180149678 A KR 1020180149678A KR 20180149678 A KR20180149678 A KR 20180149678A KR 102035431 B1 KR102035431 B1 KR 102035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discharge
filtrate
sediment
contami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천
Original Assignee
최병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천 filed Critical 최병천
Priority to KR1020180149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4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bunkers, hoppers, or like containers
    • B01F15/00538
    • B01F15/0288
    • B01F15/029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55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a rotary discharge means, e.g. a screw beneath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9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distributing means, e.g. manifold valves or multiple fittings for supplying the discharge components to a plurality of dispensing pl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상부로 안쪽으로 공급되어 하부 일측방향으로 배출하고, 하부 방향으로 여과액을 배출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파쇄 교반하고, 하부에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배출되는 위치인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교반배출부; 상기 호퍼부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화된 악취성분을 수집하여 액화시켜 배출하는 탈취부; 및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여과액과 상기 탈취부에서 배출되는 액화된 악취성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액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A Hopper Device that Automatically Discharges One or More Compounds of Dewatered Cake, Inclusion, Sendiment}
본 발명은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반출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호퍼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의 파쇄와 교반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면서 측정된 정량을 스크류를 통해서 반출하고,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의 악취를 제거하여 주변 환경을 개선하면서 정확한 반출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에서는 발생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반출하기 전에 일시 저장하기 위하여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저장 호퍼가 설치된다.
이런,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호퍼 장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트럭과 같은 이송 시설을 통해서 외부로 반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하부에 화물차가 이동하는 공간을 가지고 적재 위치에서 자유 낙하에 의해 반출하도록 구비된다.
종래 기술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호퍼 장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저장호퍼에 저장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최대 저장용량에 근접하게 되면, 저장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반출하기 위하여 호퍼게이트를 열고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배출시켜 화물차에 적재하고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처리할 수 있는 최종 처분장소로 이송하게 된다.
종래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호퍼 장치에 대하여 콘크리트 골조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지지되고, 저장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배출하여 화물차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부에 임의 개폐되는 하부 호퍼게이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장호퍼에 저장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에서 발생하는 침출수가 하부 호퍼게이트의 중앙결합부 배수공에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저장호퍼, 및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저장호퍼에 부속되어 저장 중인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에서 자연 침출되는 침출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공에 대면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이런 종래 기술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호퍼 장치는 배수공을 통해서 침출수를 배출하면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호퍼게이트를 조작하여 저장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화물차에 적재하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호퍼 장치는 저장호퍼에 저장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의 저장량과 반출량을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함에 따라 작업자의 판단에 의해 화물차에 적재 반출함으로써, 저장량을 초과하게 되면 호퍼장치가 넘칠 수 있고, 화물차에 적재량이 불 균일하여 반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호퍼 장치는 저장호퍼에 저장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의 반출 시 호퍼게이트의 개방하면 중력에 의해 화물차로 낙하하여 반출시키는 것으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저장 중에 시간을 지체하게 되면 점도가 높은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굳어져 저장공간에 부착됨에 따라 중력으로 제거하기 어려워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반출 후에도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호퍼 장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제거하여 침출수에 대한 오염과 악취를 제거하였으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자체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어려워 악취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반출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호퍼의 내부에 파쇄와 교반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면서 스크류 방식으로 배출하여 정량 배출이 가능하고, 중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정확한 저장량과 반출량을 관리하며,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의 악취를 제거하여 주변 환경을 개선하면서 정확한 반출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상부로 안쪽으로 공급되어 하부 일측방향으로 배출하고, 하부 방향으로 여과액을 배출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파쇄 교반하고, 하부에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배출되는 위치인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교반배출부; 상기 호퍼부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화된 악취성분을 수집하여 액화시켜 배출하는 탈취부; 및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여과액과 상기 탈취부에서 배출되는 액화된 악취성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액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호퍼부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상부에 위치한 호퍼투입구로 투입되어 내부에 호퍼공간에 저장되도록 구비된 호퍼몸체; 상기 호퍼몸체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호퍼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교반배출부가 설치되는 배출공간을 가지고, 돌출된 일측에 하부에 개방되어 상기 교반배출부에서 일측으로 이동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몸체; 및 상기 배출몸체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판 형태로 개폐작동체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비된 개폐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몸체의 하부에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걸림되고 여과액만 통과하도록 복수의 통공 형태의 여과액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출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액배출공을 통해서 배출되는 여과액을 하부에 위치한 상기 여과액배출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되고, 일측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여과액배출부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여과액배출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호퍼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몸체에 수납되어 있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화물차로 적재하는 위치로 지지하는 호퍼지지몸체; 및 상기 호퍼몸체가 상기 호퍼지지몸체에 지지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몸체 내에 수납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교반배출부는, 상기 호퍼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 가능한 원통형 축 형태로 상기 호퍼부에 지지되어 내부 중앙에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바깥면에 복수형태로 공급된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배출공을 형성한 교반몸체; 상기 교반몸체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 위치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블레이드 형태로 상기 교반몸체의 바깥 둘레에 돌출 구비되고, 일측방향으로 서로 엇갈린 위치에 배치되도록 복수열로 구비된 교반날개; 상기 호퍼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몸체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 및 상기 호퍼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배출되는 하부에 한쌍으로 위치하여 바깥 둘레에 일측 방향으로 나선 형태의 스크류날개가 구비된 상태에서 축결합된 스크류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기설정된 배출량으로 배출하는 스크류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몸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회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내부에서 상기 교반몸체 회전 시 회전을 지지하는 교반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취부는, 상기 호퍼부의 상부 내측에서 한쪽 측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부의 내부에 수납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에서 발생되는 악취성분의 기체를 한쪽 측면으로 수집하는 관 형태의 악취수집관; 상기 호퍼부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를 원통형으로 하부를 원뿔형으로 구비하고, 원통형의 접선방향으로 상기 악취수집관이 연결되고, 중앙 상부에 출구관을 구비하며, 이중벽 구조로 안쪽으로 선회흐름인 사이클론 현상이 발생되는 탈취공간을 형성하고, 바깥쪽으로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순환공간이 형성되어 악취성분의 기체가 하부로 선회하면서 냉각되어 악취성분은 액화된 후 정화된 기체가 상기 출구관으로 배출되는 탈취몸체; 상기 탈취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탈취공간에서 액화된 악취성분이 포함된 탈취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탈취액저장체; 및 상기 탈취액저장체와 상기 여과액배출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여과액배출부로 탈취액을 배출하도록 설치된 관 형태의 탈취액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여과액배출부는,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여과액을 하부에서 수납하여 수집하는 여과액수집몸체; 상기 여과액수집몸체의 하부에서 한쪽 측면으로 수집된 여과액을 배출하는 수집배출관; 상기 여과액수집몸체의 일측에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부에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배출 시에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여과액수집몸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수집이송체; 상기 호퍼부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집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여과액과 상기 탈취부에서 탈취된 탈취액을 수납하도록 설치된 여과액배출몸체; 및 상기 배출몸체의 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설치되어 수납된 여과액과 탈취액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 여과액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반출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호퍼의 내부에 파쇄와 교반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면서 스크류 방식으로 배출하여 정량 배출이 가능하고, 중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정확한 저장량과 반출량을 관리하며,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의 악취를 제거하여 주변 환경을 개선하면서 정확한 반출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에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배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에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에 주요 구성인 교반배출부의 일부 구성인 교반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에 주요 구성인 탈취부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에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배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에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에 주요 구성인 교반배출부의 일부 구성인 교반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에 주요 구성인 탈취부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100)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저장되는 내부에 교반과 파쇄를 지속적으로 실시하면서 한쌍의 스크류 작동에 의해 정량으로 반출하고,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의 저장량과 반출량을 중량을 측정 관리하며, 악취와 여과액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런,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100)는 호퍼부(110), 교반배출부(120), 탈취부(130), 및 여과액배출부(140)를 포함한다.
호퍼부(110)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상부로 안쪽으로 공급되어 하부 일측방향으로 배출하고, 하부 방향으로 여과액을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호퍼부(110)는 호퍼몸체(111), 배출몸체(112), 개폐체(113), 여과액배출체(115), 호퍼지지몸체(117), 및 중량측정체(118)를 포함한다.
호퍼몸체(111)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상부에 위치한 호퍼투입구(111b)로 투입되어 내부에 호퍼공간(111a)에 저장되도록 구비된다. 호퍼공간(111a)의 내부에는 교반배출부(120)의 교반되는 부분이 설치되어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배출몸체(112)는 호퍼몸체(111)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호퍼공간(111a)과 연통되어 교반배출부(120)가 설치되는 배출공간(112a)을 가지고, 돌출된 일측에 하부에 개방되어 교반배출부(120)에서 일측으로 이동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12b)가 형성된다.
배출몸체(112)는 호퍼공간(111a)에 저장되어 있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교반배출부(120)의 작동에 의해 기설정된 반출량으로 배출하기 위해서 일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출구(112b)를 형성하여 낙하에 의해 화물차에 적재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배출몸체(112)의 하부에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걸림되고 여과액만 통과하도록 복수의 통공 형태의 여과액배출공(112c)이 형성된다.
개폐체(113)는 배출몸체(112)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출구(112b)를 개폐시키는 판 형태로 개폐작동체(114)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즉, 개폐체(113)는 배출구(112b)를 폐쇄한 상태에서 배출공간(112a) 내부에서 교반배출부(120)의 작동으로 이동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개방하면 하부로 낙하하면서 반출하도록 구비된다.
여과액배출체(115)는 배출몸체(1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여과액배출공(112c)을 통해서 배출되는 여과액을 하부에 위치한 여과액배출부(140)로 안내하도록 구비되고, 일측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16)과 연결되어 여과액배출부(140)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호퍼지지몸체(117)는 호퍼몸체(1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호퍼몸체(111)에 수납되어 있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화물차로 적재하는 위치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화물차의 상부에 낙하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적재하기 위해서 화물차보다 높은 위치로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설치 높이를 유지하도록 호퍼지지몸체(117)에 호퍼몸체(111)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중량측정체(118)는 호퍼몸체(111)가 호퍼지지몸체(117)에 지지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호퍼몸체(111) 내에 수납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비된다. 즉, 중량측정체(118)는 호퍼몸체(111)에 수납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의 중량을 실시간을 측정하여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의 호퍼몸체(111)의 내부에 수납량과 반출량을 인지할 수 있어 저장과 반출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중량측정체(118)는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으로, 중량을 측정하는 모든 수단이 사용할 수 있는 것임에 따라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교반배출부(120)는 호퍼몸체(111)와 배출몸체(1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파쇄 교반하고, 하부에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배출되는 위치인 일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교반배출부(120)는 교반몸체(121), 교반날개(124), 교반모터(125), 스크류몸체(126), 및 교반지지체(129)를 포함한다.
교반몸체(121)는 호퍼몸체(111)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 가능한 원통형 축 형태로 호퍼몸체(111)에 지지되어 내부 중앙에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유로(122)가 형성되고, 바깥면에 복수형태로 공급된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배출공(123)을 형성한다.
교반날개(124)는 교반몸체(121)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 위치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블레이드 형태로 교반몸체(121)의 바깥 둘레에 돌출 구비되고, 일측방향으로 서로 엇갈린 위치에 배치되도록 복수열로 구비된다.
교반모터(125)는 호퍼몸체(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교반몸체(121)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스크류몸체(126)는 배출몸체(112)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배출되는 하부에 한쌍으로 위치하여 바깥 둘레에 일측 방향으로 나선 형태의 스크류날개(127)가 구비된 상태에서 축결합된 스크류모터(128)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기설정된 배출량으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스크류몸체(126)는 한쌍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일측에 위치한 배출구(112b) 측으로 회전에 의해 스크류날개(127)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회전 구비된다.
교반지지체(129)는 호퍼몸체(111)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교반몸체(121)의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회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내부에서 교반몸체(121) 회전 시 회전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교반지지체(129)는 축 회전을 지지하는 부싱과 지지체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으로, 축을 회전가능하는 지지하는 모든 수단이 사용할 수 있는 것임에 따라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탈취부(130)는 호퍼몸체(111)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호퍼공간(111a)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화된 악취성분을 수집하여 액화시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탈취부(130)는 악취수집관(131), 탈취몸체(132), 탈취액저장체(136), 및 탈취액배출관(137)을 포함한다.
악취수집관(131)은 호퍼몸체(111)의 상부 내측에서 한쪽 측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호퍼공간(111a)의 내부에 수납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에서 발생되는 악취성분의 기체를 한쪽 측면으로 수집하는 관 형태로 구비된다.
탈취몸체(132)는 호퍼몸체(111)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를 원통형으로 하부를 원뿔형으로 구비하고, 원통형의 접선방향으로 악취수집관(131)이 연결되며, 중앙 상부에 출구관(135)을 구비함에 따라 악취수집관(131)을 통해서 유입되는 악취성분을 가지는 기체는 원통형상과 원뿔형상을 통과하면서 중앙 상부에 위치한 출구관(135)을 통해서 배출 시 선회흐름을 가지는 사이클론 현상이 발생되어 탈취공간(133) 내의 접촉 면적이 확대된다.
이런, 탈취몸체(132)는 이중벽 구조로 안쪽으로 선회흐름인 사이클론 현상이 발생되는 탈취공간(133)을 형성하고, 바깥쪽으로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순환공간(134)이 형성되어 악취성분의 기체가 하부로 선회하면서 냉각되어 악취성분은 액화된 후 정화된 기체가 출구관(135)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즉, 사이클론 현상에 의해 선회흐름으로 접촉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순환공간(134)의 접촉으로 인해 액화되면서 하부로 배출된다.
탈취액저장체(136)는 탈취몸체(13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탈취공간(133)에서 액화된 악취성분이 포함된 탈취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구비된다.
탈취액배출관(137)은 탈취액저장체(136)와 여과액배출부(140)를 연결하고 있으며, 여과액배출부(140)로 탈취액을 배출하도록 설치된 관 형태로 구비된다.
여과액배출부(140)는 배출몸체(1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여과액배출체(115)에서 배출되는 여과액과 탈취액배출관(137)에서 배출되는 액화된 악취성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여과액배출부(140)는 여과액수집몸체(141), 수집배출관(142), 수집이송체(143), 여과액배출몸체(144), 및 여과액배출관(145)을 포함한다.
여과액수집몸체(141)는 배출몸체(1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여과액배출체(115)에서 배출되는 여과액을 하부에서 수납하여 수집하도록 구비된다.
수집배출관(142)은 여과액수집몸체(141)의 하부에서 한쪽 측면으로 수집된 여과액을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수집이송체(143)는 여과액수집몸체(141)의 일측에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배출몸체(112)에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배출 시에 간섭을 회피하도록 여과액수집몸체(141)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다.
즉, 수집이송체(143)는 화물차가 배출구에 도달 시에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여과액수집몸체(141)가 이송시키도록 구비된다.
여과액배출몸체(144)는 호퍼몸체(111)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집배출관(142)에서 배출되는 여과액과 탈취부(130)에서 탈취된 탈취액을 수납하도록 설치된다.
여과액배출관(145)은 배출몸체의 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설치되어 수납된 여과액과 탈취액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퍼 장치 110 : 호퍼부
111 : 호퍼몸체 111a : 호퍼공간
111b : 호퍼투입구 112 : 배출몸체
112a : 배출공간 112b : 배출구
112c : 여과액배출공 113 : 개폐체
114 : 개폐작동체 115 : 여과액배출체
116 : 공기공급관 117 : 호퍼지지몸체
118 : 중량측정체 120 : 교반배출부
121 : 교반몸체 122 : 공기유로
123 : 공기배출공 124 : 교반날개
125 : 교반모터 126 : 스크류몸체
127 : 스크류날개 128 : 스크류모터
129 : 교반지지체 130 : 탈취부
131 : 악취수집관 132 : 탈취몸체
133 : 탈취공간 134 : 냉각수순환공간
135 : 출구관 136 : 탈취액저장체
137 : 탈취액배출관 140 : 여과액배출부
141 : 여과액수집몸체 142 : 수집배출관
143 : 수집이송체 144 : 여과액배출몸체
145 : 여과액배출관

Claims (8)

  1. 탈수 케익, 협잡물, 및 침사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상부로 안쪽으로 공급되어 하부 일측방향으로 배출하고, 하부 방향으로 여과액을 배출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서 탈수 케익, 협잡물, 및 침사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파쇄 교반하고, 하부에서 탈수 케익, 협잡물, 및 침사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배출되는 위치인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교반배출부;
    상기 호퍼부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화된 악취성분을 수집하여 액화시켜 배출하는 탈취부; 및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여과액과 상기 탈취부에서 배출되는 액화된 악취성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액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배출부는,
    상기 호퍼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 가능한 원통형 축 형태로 상기 호퍼부에 지지되어 내부 중앙에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바깥면에 복수형태로 공급된 공기가 분사되는 공기배출공을 형성한 교반몸체;
    상기 교반몸체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 위치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블레이드 형태로 상기 교반몸체의 바깥 둘레에 돌출 구비되고, 일측방향으로 서로 엇갈린 위치에 배치되도록 복수열로 구비된 교반날개;
    상기 호퍼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몸체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
    상기 호퍼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배출되는 하부에 한쌍으로 위치하여 바깥 둘레에 일측 방향으로 나선 형태의 스크류날개가 구비된 상태에서 축결합된 스크류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탈수 케익, 협잡물, 및 침사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기설정된 배출량으로 배출하는 스크류몸체; 및
    상기 호퍼부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몸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회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탈수 케익, 협잡물, 및 침사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내부에서 상기 교반몸체 회전 시 회전을 지지하는 교반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액배출부는,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부에서 배출되는 여과액을 하부에서 수납하여 수집하는 여과액수집몸체;
    상기 여과액수집몸체의 하부에서 한쪽 측면으로 수집된 여과액을 배출하는 수집배출관;
    상기 여과액수집몸체의 일측에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부에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배출 시에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여과액수집몸체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수집이송체;
    상기 호퍼부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집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여과액과 상기 탈취부에서 탈취된 탈취액을 수납하도록 설치된 여과액배출몸체; 및
    상기 여과액배출몸체의 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설치되어 수납된 여과액과 탈취액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 여과액배출관;을 포함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상부에 위치한 호퍼투입구로 투입되어 내부에 호퍼공간에 저장되도록 구비된 호퍼몸체;
    상기 호퍼몸체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호퍼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교반배출부가 설치되는 배출공간을 가지고, 돌출된 일측에 하부에 개방되어 상기 교반배출부에서 일측으로 이동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몸체; 및
    상기 배출몸체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판 형태로 개폐작동체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비된 개폐체;를 포함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몸체의 하부에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걸림되고 여과액만 통과하도록 복수의 통공 형태의 여과액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액배출공을 통해서 배출되는 여과액을 하부에 위치한 상기 여과액배출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되고, 일측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여과액배출부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여과액배출체;를 더 포함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몸체에 수납되어 있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이 화물차로 적재하는 위치로 지지하는 호퍼지지몸체; 및
    상기 호퍼몸체가 상기 호퍼지지몸체에 지지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몸체 내에 수납된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체;를 더 포함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는,
    상기 호퍼부의 상부 내측에서 한쪽 측면으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부의 내부에 수납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에서 발생되는 악취성분의 기체를 한쪽 측면으로 수집하는 관 형태의 악취수집관;
    상기 호퍼부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를 원통형으로 하부를 원뿔형으로 구비하고, 원통형의 접선방향으로 상기 악취수집관이 연결되고, 중앙 상부에 출구관을 구비하며, 이중벽 구조로 안쪽으로 선회흐름인 사이클론 현상이 발생되는 탈취공간을 형성하고, 바깥쪽으로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순환공간이 형성되어 악취성분의 기체가 하부로 선회하면서 냉각되어 악취성분은 액화된 후 정화된 기체가 상기 출구관으로 배출되는 탈취몸체;
    상기 탈취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탈취공간에서 액화된 악취성분이 포함된 탈취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탈취액저장체; 및
    상기 탈취액저장체와 상기 여과액배출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여과액배출부로 탈취액을 배출하도록 설치된 관 형태의 탈취액배출관;을 포함하는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8. 삭제
KR1020180149678A 2018-11-28 2018-11-28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KR102035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78A KR102035431B1 (ko) 2018-11-28 2018-11-28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78A KR102035431B1 (ko) 2018-11-28 2018-11-28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431B1 true KR102035431B1 (ko) 2019-10-22

Family

ID=68420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678A KR102035431B1 (ko) 2018-11-28 2018-11-28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4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441B1 (ko) * 2020-01-15 2020-09-21 코스모이엔텍 (주) 터널굴착폐수 처리설비의 침사지
CN113103435A (zh) * 2021-04-07 2021-07-13 甘肃建投商品混凝土有限公司 一种超高强高性能混凝土加工可对原料混料的上料装置
CN113581889A (zh) * 2021-07-29 2021-11-02 安徽省天长市周氏羊业有限公司 一种有机肥生产用除杂输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886A (ko) * 2009-03-27 2010-10-06 손승언 삼차원 복합 음식물 쓰레기 건조 처리기
KR20110006997U (ko) * 2010-01-06 2011-07-13 그린비환경기술연구소 주식회사 음식점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332783B1 (ko) * 2012-01-31 2013-11-25 전일호 음식물처리장치
KR101799480B1 (ko) * 2017-03-17 2017-11-20 삼보계량시스템(주) 분입체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886A (ko) * 2009-03-27 2010-10-06 손승언 삼차원 복합 음식물 쓰레기 건조 처리기
KR20110006997U (ko) * 2010-01-06 2011-07-13 그린비환경기술연구소 주식회사 음식점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332783B1 (ko) * 2012-01-31 2013-11-25 전일호 음식물처리장치
KR101799480B1 (ko) * 2017-03-17 2017-11-20 삼보계량시스템(주) 분입체 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441B1 (ko) * 2020-01-15 2020-09-21 코스모이엔텍 (주) 터널굴착폐수 처리설비의 침사지
CN113103435A (zh) * 2021-04-07 2021-07-13 甘肃建投商品混凝土有限公司 一种超高强高性能混凝土加工可对原料混料的上料装置
CN113581889A (zh) * 2021-07-29 2021-11-02 安徽省天长市周氏羊业有限公司 一种有机肥生产用除杂输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431B1 (ko)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RU25949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тделения масла для шлифования из шлифовальных шламов
KR1015172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20070029247A1 (en) Apparatus to separate waste from wastewater
KR1015172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100824A (ko) 연속 탈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2010000989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H08309320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1209199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EP0048683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Schmutzrückständen
KR20180027329A (ko)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분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599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71361A (ko)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KR20000077346A (ko) 건조기
KR20041048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2282824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036253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773299B1 (ko) 더스트 제거장치
KR2023013754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80026836A (ko) 낮은 함수율을 갖는 고형물을 생성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0478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0017879A (ko) 폐수협잡물의 복합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1512986B1 (ko) 화력발전소용 이동형 습식 집진장치
JPH09165283A (ja) 発酵処理装置
KR100493739B1 (ko) 오폐수용 협잡물 파쇄 및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