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480B1 - 분입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분입체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9480B1 KR101799480B1 KR1020170033630A KR20170033630A KR101799480B1 KR 101799480 B1 KR101799480 B1 KR 101799480B1 KR 1020170033630 A KR1020170033630 A KR 1020170033630A KR 20170033630 A KR20170033630 A KR 20170033630A KR 101799480 B1 KR101799480 B1 KR 1017994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motor
- amount
- weight
- discharg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65G33/265—Screws with a continuous helical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4—Applications of driv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11—Conveyor screws
- B65G2812/0527—Conveyor screw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e.g. hollow, toothed
- B65G2812/0533—Conveyor screw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e.g. hollow, toothed with opposite thr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44—House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분입체를 정확한 양만큼 배출할 수 있는 분입체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분입체 공급장치는 중량측정센서, 회동측정센서 및 그와 연결된 제어부를 통하여 설정된 배출 목표량과 지속적으로 비교, 대조를 하고 비교, 대조한 결과에 따라 모터의 회동력을 제어함으로써 분입체를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입체 공급장치는 중량측정센서, 회동측정센서 및 그와 연결된 제어부를 통하여 설정된 배출 목표량과 지속적으로 비교, 대조를 하고 비교, 대조한 결과에 따라 모터의 회동력을 제어함으로써 분입체를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기술은 분입체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모터의 회동 속도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일정한 양의 분입체를 공급할 수 있는 분입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체, 입체(이하 "분입체")는 제철소, 시멘트, 건자재, 식품 공장 등에서 원료를 정량으로 공급하여 활용하거나, 원료의 배합을 통하여 이용된다.
이러한 분입체의 공급은 수동으로 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으나, 생산의 대량화, 효율화 등을 위하여 분입체 공급장치를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분입체 공급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벨트식의 이송이 착안될 수 있으나 벨트식 이송은 분입체가 투입되고 배출 시 비산, 냄새, 분진을 통한 폭발의 위험성 등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입체의 이동을 스크류의 회동을 통하여 구현한 분입체 공급장치가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스크류를 활용한 분입체 공급장치는 케이스, 모터, 스크류샤프트를 포함한다. 케이스의 상측에는 사이로 또는 호퍼가 설치될 수 있다. 사이로 또는 호퍼는 분입체를 설정된 양만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체이다. 케이스 내로 분입체가 사이로 또는 호퍼로부터 공급되면 모터가 동작되고, 이 모터의 동작에 따라 스크류샤프트가 회동하여 분입체를 이동시켜 배출부측으로 이동시켜 분입체를 공급시킨다.
이렇게 동작되는 분입체 공급장치는 정량의 분입체를 이동시켜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예시로 제약분야에서 분입체 공급장치가 활용되어 알약의 원료를 공급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알약은 많은 원료가 성분비에 맞추어 포장되어야 약효를 발현한다. 이 알약은 설정된 성분비에 맞추어 정량으로 혼합된 원료가 하나로 포장되어 약효를 발휘함은 당연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알약에 공급되는 원료를 이송시키는 분입체 공급장치가 설정된 양의 원료를 이송시키지 못하고 매번 다른 원료를 이송시키면 원료의 성분비가 변화되게 되어 제대로 된 약효를 발현할 수 없거니와 제조되는 알약이 동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게 된다.
위와 같은 이유 때문에 분입체 공급장치에서 분입체의 정량 이동 및 공급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전술한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종래의 분입체 공급장치가 분입체의 정량 이동 및 공급을 구현하지 못하여 제품의 품질을 조악하게 하며, 품질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분입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인 분입체 공급장치는 케이스, 모터, 이송샤프트, 제어부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상부 일측에 분입체가 공급되는 공급부와 하부 타측에 분입체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모터는 케이스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회동력을 제공한다.
이송샤프트는 모터와 연결되고, 케이스의 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송샤프트의 외측면의 둘레에는 나선형의 스크류가 형성되어 모터가 제공하는 회동력에 따라 분입체를 이송시킨다.
제어부는 모터와 연결되어 배출부로 배출되는 분입체가 설정된 목표량으로 배출되도록 모터의 회동속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이송샤프트는 배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영역(A)과 제2영역(B)으로 구분된다.
이송샤프트의 제1영역(A)에 형성된 스크류는 제1각도를 가진다. 따라서 제1영역(A)의 이송샤프트는 분입체를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송샤프트의 제2영역에 형성된 스크류는 제2각도를 가진다. 따라서 제2영역의 이송샤프트는 분입체를 설정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송샤프트는 케이스의 길이보다 작지 않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에 배치되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진다.
이송샤프트가 케이스에 배치되고 돌출된 이 부분에는 회동수를 측정하는 회동측정센서가 설치된다.
제어부는 기설정된 이송샤프트의 회동수에 따른 분입체의 이동량이 기설정되어서 회동측정센서가 출력하는 센싱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동 속도를 가변하여 분입체가 설정된 양으로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케이스의 하부에는 고정 지지되는 고정판이 배치되고 이 고정판과 베어링을 통하여 연결된다.
또한, 케이스의 하부에는 제어부와 연결되고 케이스에 공급되는 분입체의 중량에 따라 케이스가 기울어져 가압 되는 가압력을 공급된 분입체의 중량으로 측정하는 중량측정센서가 설치된다.
여기서, 베어링은 공급부의 중심을 하부로 연장하면 그려지는 가상의 직선이 고정판과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고, 중량측정센서는 베어링과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고정판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중량측정센서가 출력하는 센싱신호를 수신하여 측정된 분입체의 중량에 회동측정센서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출되는 분입체의 이동량을 연산하여 배출부에 배출되는 분입체의 양을 측정하고, 이 측정된 값을 실시간으로 기설정된 목표량과 비교하여 모터의 회동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따라서 모터와 연결된 이송스크류의 회동 속도가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전술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본 발명은 정확한 이송 목표치에 부합하는 정량의 분입체를 공급할 수 있어서 제품의 품질 향상 및 제품의 품질 일정성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모터의 회동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더욱 정확한 정량의 분입체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입체 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샤프트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량측정센서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베어링과 중량측정센서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샤프트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량측정센서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베어링과 중량측정센서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입체 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시에 의한 분입체 공급장치는 케이스(100), 모터(200), 이송샤프트(300),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이송샤프트(300)를 수용하고, 연통 되어 있는 공급부(110)와 배출부(120)를 통하여 분입체를 공급받고,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스(100)는 상부 일측에 사이로 또는 호퍼가 접하며 고정되는 공급부(110)와 하부 타측에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예를 들면 보관체, 이송체 등)와 접하며 연결되는 배출부(1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100)는 공급부(110)를 통하여 사이로 또는 호퍼에 저장되어 있는 분입체를 상부 일측에서 공급받고, 타측 하부의 배출부(120)로 배출한다.
케이스(100)의 공급부(110)와 배출부(120)는 각각 설정된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돌출된 부분의 일부는 탄성연결부재(500)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연결부재(500)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이로 또는 호퍼의 진동, 무빙 등에 케이스(100)는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케이스(100)의 내부에 공급된 분입체의 양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이는 배출부(120)도 마찬가지인 바, 케이스(100)의 배출부(120)도 케이스(100)의 공급부(110)처럼 연결된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는다.
또한, 케이스(100)의 공급부(110)에는 사용자에 따라서 오토게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오토게이트는 사이로 또는 호퍼와 연통된 케이스(100) 공급부(110)를 폐쇄하다가 설정된 신호에 따라 공급부(110)를 개방시키고 다시 설정된 신호에 따라 케이스(100)의 공급부(110)를 폐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오토게이트가 제어되는 설정된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은 제어부(400)일 수 있다.
공급부(110)와 배출부(120)는 각각 케이스(100)의 일측,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케이스(100)의 일측에서 공급된 분입체가 타측으로 이송샤프트(300)에 의해 이동되어 설정된 양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이송샤프트(300)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케이스(100)는 고정판(710)과 연결되되 베어링(600)을 통하여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 살펴보면 케이스(100)는 고정판(710)에 연결판(720)을 매개로 하여 베어링(600)으로 연결된다.
고정판(710)은 본 발명의 각 구성을 고정하며 지지하는 설정된 두께 및 길이를 가지는 판이다.
연결판(720)은 고정판(710) 상에 연결되는데, 이 연결판(720)은 고정판(710)에 베어링(600)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결판(720) 상에는 케이스(100)가 연결된다. 케이스(10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구성이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분입체가 일측에서 공급되어 타측으로 이동되며 타측으로 배출되는바 케이스(100)의 중량이 변경될 수 있다.
베어링(600)은 이 변경된 중량에 따라 설정된 케이스(100)에 약간의 유동을 허여한다. 베어링(600)은 후술할 중량측정센서(820)와 연동되어 제어부(400)의 동작을 구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모터(200)는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회동력을 제공한다. 모터(200)는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연결판(720) 상에 고정, 지지가 되며, 케이스(100)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고정된다. 모터(200)는 후술할 제어부(400)의 설정된 신호에 따라 제어된 회동을 수행할 수 있다. 모터(200)는 일예시로 서보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 가능한 모터(200)라면 그 종류 여하는 문제되지 않음은 당연할 것이다.
모터(200)는 모터(200) 자체의 샤프트를 가지며 일측면에서 케이스(100)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되 모터(200)의 샤프트는 바로 이송샤프트(300)와 연결되지 않고 감속기를 통하여 이송샤프트(3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이송샤프트(300)는 토크력이 부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샤프트의 확대도이다.
이송샤프트(300)는 케이스(100)의 길이방향에 따라 배치되며 모터(200)와 연결되어 있다. 이송샤프트(300)는 모터(200)의 회동방향 및 회동력에 따라 회동 된다. 이송샤프트(300)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샤프트봉(310)과 스크류(320)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크류(320)는 나선형으로 샤프트봉(310)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송샤프트(300)가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된 경우 이송샤프트(300)는 케이스(100)의 일측면부터 배출부(120)의 중심까지 영역인 제1영역(A)과 배출부(120)의 중심부터 케이스(100)의 타측면까지 영역인 제2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영역(A)에 배치된 스크류(320)는 제1각도(θ1)를 가지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샤프트봉(310)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되고, 제2영역(B)에 배치된 스크류(320)는 제2각도(θ2)를 가지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샤프트봉(310)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된다.
이러한 스크류(320)의 각도가 상이하도록 형성된 이유는 만약 스크류(320)가 제1각도로만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된다면 샤프트봉(310)의 회동에 따라 분입체가 일방향으로만 이동되어 배출부(120)로 배출되지 못한 분입체는 케이스(100)의 타측면에 지속적으로 쌓이게 될 수 있다. 이렇게 배출되지 않고 케이스(100)에서 쌓이고, 뭉쳐지는 분입체는 분입체의 정량 배출을 방해하는 요소일 뿐만 아니라, 특별한 사유에 따라 이렇게 쌓이고, 뭉쳐진 분입체가 특정 시간이 지난 후 배출부(120)를 통하여 배출되면 추후 이 분입체로 제조되는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송샤프트(300)는 케이스(100)의 길이보다 적어도 작지 않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송샤프트(300)가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경우 타측면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관찰될 수 있다.
회동측정센서(810)는 케이스(100)의 타측면에서 이 이송샤프트(300)의 돌출된 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송샤프트(300)의 설정된 길이는 회동측정센서(810)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케이스(100)의 내부는 이송샤프트(300)가 회동하며, 미세한 분입체가 이동되며 흩날리는 공간이다. 따라서 케이스(100)의 내부에 회동측정센서(810)를 설치하면 오작동할 가능성이 매우 크며, 설치할 공간을 확보하기도 힘들다.
따라서 이송샤프트(300)의 길이를 케이스(1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회동수를 측정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중량측정센서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베어링과 중량측정센서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중량측정센서(820)는 케이스(100)의 타측 하부에서 고정판(710)에 설치된다.
중량측정센서(820)는 베어링(600)을 매개로 고정판(710)과 연결되어 있어서, 케이스(100)의 내부로 공급된 분입체에 따라 케이스(100)가 중량측정센서(820)를 가압하는 정도가 변하게 되고, 이 가압력의 변화를 중량으로 측정한다.
중량측정센서(820)는 케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중량측정센서(820)를 케이스(100)의 상부에 설치하여 케이스(100)가 중량에 따라 하부로 약간 유동하면 중량측정센서(820)를 끌어당기는 인장력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케이스(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분입체의 무게를 측정하였으나, 이와 같은 경우 모터(200)의 진동, 사이로 또는 호퍼의 맥동 현상, 이송샤프트(300)에 의해 파생되는 진동 등에 따라 중량측정센서(820)가 영향을 쉽게 받기 때문에 오측정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량측정센서(820)는 케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지지돌출부(130)를 형성하고 이 지지돌출부(130)가 고정판(710)에 설치된 중량측정센서(820)와 맞닿으며 중량측정센서(820)에 의해 지지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지지돌출부(130)는 적어도 하측면은 플랫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돌출부(130)의 하부는 중량측정센서(820)와 설정된 면적으로 맞닿으며 중량측정센서(820)에 의해 지지가 된다. 지지돌출부(130)의 존재로 인하여 케이스(100)는 중량측정센서(820)와 설정된 면적에서 맞닿아서 안정적으로 지지가 되어 분입체 공급장치가 동작 시 안정적인 동작이 보장됨과 동시에 중량측정센서(820)를 충분한 면적을 통하여 가압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중량측정센서(820)가 더 정확한 중량을 측정할 수 있고, 중량측정센서(8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로 또는 호퍼에 수분측정센서(830)가 추가로 설치되어 사이로 또는 호퍼에 저장된 분입체에 자연적으로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수분측정센서(830), 중량측정센서(820), 회동측정센서(810), 모터(200)와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400)는 수분측정센서(830), 중량측정센서(820), 회동측정센서(810)가 측정하고 제어부(400)로 전송하는 센싱값을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분입체의 총량을 계산하고, 설정된 목적량과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모터(200)의 회동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설정된 목적량의 분입체가 설정된 시간동안 배출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수학식 1이 기저장되어 있으며, 수학식 1을 통하여 배출된 중량체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400)는 설정된 목표량과 지속적으로 비교를 하여 정확한 목표량을 공급하도록 한다.
<수학식 1>
유량치는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분입체의 양을 의미한다.
적산치는 설정된 시간 동안 공급된 분입체의 양을 의미한다.
제어부(400)는 이송샤프트(300)의 회동 당 분입체의 이동량이 기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이송샤프트(300)의 회동수를 회동측정센서(810)가 출력하는 센싱값을 수신하고, 중량측정센서(820)가 측정한 센싱값을 수신하여 케이스(100) 내에 분입체의 양을 측정하고, 그 후 이송샤프트(300)의 회전에 따라 변화된 질량을 측정하여 배출부(120)에 의해 배출된 분입체의 양을 측정한다.
위와 같은 방법에 본 발명의 제어부(400)는 정밀한 분입체의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식 1을 통하여 각각의 보정값을 가진다.
위의 식은 사이로 또는 호퍼에 저장된 분입체가 포함한 수분율을 측정하여 실제 공급된 분입체에서 수분이 제외한 실제 분입체만의 양을 따로 보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하게 공급된 분입체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위의 식은 실제 시험을 통하여 획득된 시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하여 이론값을 시험값으로 보정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분입체는 밀가루이고, 모터(200)가 1000 rpm으로 회전하는 경우 100kg의 양이 배출부(120)에서 배출되어 공급된다고 가정하겠다.
그러나 위와 같은 조건으로 실험을 수행하면 모터(200)의 부하, 분입체의 점도, 분입체의 스크류(320)의 밀착 점도, 분진으로 케이스(100)에서 배출되지 않는 분입체의 양 등 때문에 밀가루는 80kg만이 배출된다. 즉, 이론값과 실제 시험값은 동일한 결과를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실제 시험을 통하여 획득한 결과를 반영하여 정확하게 배출된 분입체의 양을 측정한다.
위와 같은 보정값이 반영된 식을 통하여 정확하게 배출되는 분입체의 양을 측정하고, 이를 설정된 목표량과 지속적으로 비교하면서 배출된 양이 적으면 모터(200)의 회동력을 증가시켜 이송샤프트(300)가 빠른 속도로 회동하도록 하며, 그 반대로 너무 많은 양이 배출되고 있으면 모터(200)의 회동 속도를 감소시켜 이송샤프트(300)가 느린 속도로 회동하도록 하여 설정된 목표량과 정확하게 매칭되는 분입체 양이 배출되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또한, 오토게이트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설정된 목표량의 분입체가 공급된 경우 오토게이트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오토게이트가 폐쇄되도록 하며, 그 반대인 경우 오토게이트를 개방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케이스(100)의 하부에 설치된 베어링(600)과 중량측정센서(820)는 이격(L)되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중량측정센서(820)는 배출부(120)에 근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첫 번째로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본 발명의 분입체 공급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케이스(100)는 분입체를 공급받는 공급부(110)와 분입체를 배출하는 배출부(120)를 포함하며, 일측에 형성된 공급부(110)에서 공급된 분입체가 설정된 거리를 이동하여 타측에 형성된 배출부(120)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중량 측정을 통하여 공급되는 분입체의 양을 측정함으로 베어링(600)이 설치됨은 필수이고 이러한 베어링(600) 설치와 함께 케이스(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스(100)의 공급부(110)의 중심에서 하부로 연장하는 가상의 직선이 고정판(710)과 맞닿는 부분에 베어링(600)을 설치하고, 그와 이격되어 배출부(120)와 인접한 위치에 중량측정센서(820)를 설치함으로써 케이스(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로는 배출부(120)는 분입체가 배출되기 위한 최종적 목표가 되는 위치이며, 이 목표가 되는 위치에 도달하는 분입체는 필연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분입체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본 발명의 베어링(600)과 중량측정센서(820)는 이격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공급부
120 : 배출부 130 : 지지돌출부
200 : 모터 300 : 이송샤프트
310 : 샤프트봉 320 : 스크류
400 : 제어부 500 : 탄성연결부재
600 : 베어링 710 : 고정판
720 : 연결판 810 : 회동측정센서
820 : 중량측정센서 830 : 수분측정센서
A : 제1영역 B : 제2영역
120 : 배출부 130 : 지지돌출부
200 : 모터 300 : 이송샤프트
310 : 샤프트봉 320 : 스크류
400 : 제어부 500 : 탄성연결부재
600 : 베어링 710 : 고정판
720 : 연결판 810 : 회동측정센서
820 : 중량측정센서 830 : 수분측정센서
A : 제1영역 B : 제2영역
Claims (7)
- 고정판의 상부에서 베어링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부 일측에 분입체가 공급되는 공급부와 하부 타측에 분입체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공급되는 분입체의 중량에 따라 케이스가 기울어져 가압되는 가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케이스에 공급되고 배출되는 분입체의 중량변화를 측정하는 중량측정센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회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외측면의 둘레에는 나선형의 스크류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가 제공하는 회동력에 따라 회동하여 분입체를 이동시키는 이송샤프트; 및
상기 중량측정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분입체가 설정된 목표량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모터의 회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샤프트는 적어도 상기 케이스의 길이보다 작지 않은 길이를 가져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지고, 상기 이송샤프트의 돌출된 부분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회동수를 측정하는 회동측정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상기 이송샤프트의 회동수에 따른 분입체의 이동량이 기설정되어서 상기 회동측정센서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동 속도를 가변하여 분입체가 설정된 양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분입체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샤프트는
상기 배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된 스크류는 제1각도를 가져서 분입체를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영역에 형성된 스크류는 상기 제1각도와 대칭되는 제2각도를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분입체 공급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공급부의 중심을 하부로 연장하면 그려지는 가상의 직선이 상기 고정판과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중량측정센서는 상기 베어링과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분입체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측정센서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된 분입체의 중량에 상기 회동측정센서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도출된 상기 분입체의 이동량을 연산하여 상기 배출부에 배출되는 분입체의 양을 측정하고 기설정된 목표량과 비교하여
상기 모터의 회동력을 가감하여 상기 스크류의 회동 속도를 가감하는 것
을 특징으로 포함하는 분입체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3630A KR101799480B1 (ko) | 2017-03-17 | 2017-03-17 | 분입체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3630A KR101799480B1 (ko) | 2017-03-17 | 2017-03-17 | 분입체 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9480B1 true KR101799480B1 (ko) | 2017-11-20 |
Family
ID=6080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3630A KR101799480B1 (ko) | 2017-03-17 | 2017-03-17 | 분입체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948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5431B1 (ko) * | 2018-11-28 | 2019-10-22 | 최병천 |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
KR20240104479A (ko) | 2022-12-28 | 2024-07-05 | 삼보계량시스템(주) | 이차전지용 분체 샘플링장치 |
WO2024167450A1 (en) * | 2023-02-10 | 2024-08-15 | Valmet Ab | Screw conveyor for transport of lignocellulosic materia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01315A (ja) | 2001-04-05 | 2002-10-15 | Tsukishima Kikai Co Ltd | スクリュウプレス式濾過装置およびスクリュウプレス式濾過装置のクリアランス検出方法 |
JP2005169301A (ja) | 2003-12-12 | 2005-06-30 | Hitachi Chem Co Ltd | 粉体や粒体の加熱・供給装置 |
JP2011202221A (ja) * | 2010-03-25 | 2011-10-13 |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 精鉱装入量の制御方法 |
-
2017
- 2017-03-17 KR KR1020170033630A patent/KR1017994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01315A (ja) | 2001-04-05 | 2002-10-15 | Tsukishima Kikai Co Ltd | スクリュウプレス式濾過装置およびスクリュウプレス式濾過装置のクリアランス検出方法 |
JP2005169301A (ja) | 2003-12-12 | 2005-06-30 | Hitachi Chem Co Ltd | 粉体や粒体の加熱・供給装置 |
JP2011202221A (ja) * | 2010-03-25 | 2011-10-13 |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 精鉱装入量の制御方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5431B1 (ko) * | 2018-11-28 | 2019-10-22 | 최병천 | 탈수 케익, 협잡물, 침사물 중에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호퍼장치 |
KR20240104479A (ko) | 2022-12-28 | 2024-07-05 | 삼보계량시스템(주) | 이차전지용 분체 샘플링장치 |
WO2024167450A1 (en) * | 2023-02-10 | 2024-08-15 | Valmet Ab | Screw conveyor for transport of lignocellulosic materi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79374B2 (en) | Feeder unit, feeder module comprising feeder units, and method for discharging a constant mass flow of one or more powders into a receiving container | |
KR101799480B1 (ko) | 분입체 공급장치 | |
KR950011541B1 (ko) | 곡물 연속 혼합장치 | |
US20160221220A1 (en) | Volumetric mixer with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system | |
CN107530663B (zh) | 用于制造颗粒的装置 | |
CN102389742B (zh) | 一种高精度配料设备及其控制方法 | |
AU2001249819B2 (en) | Rotary pocketed weigh feeder | |
WO2016150923A2 (en) | A blender | |
US20070290008A1 (en) | Apparatus for conveying material in a dispensing system | |
US8783509B2 (en) | Method, a device and a system for metering of powder | |
KR102488155B1 (ko) | 롤러 밀용 입구 장치, 이러한 입구 장치를 가지는 롤러 밀 및 롤러 밀의 저장 용기에서 분쇄 재료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 |
RU77177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х смесей | |
KR101766643B1 (ko) | 분입체 정량 공급장치 | |
CN115175864A (zh) | 送料装置 | |
KR20140066865A (ko) | 원료 측정 및 배합장치 | |
US7581659B2 (en) | Dosing device | |
JP2009019947A (ja) | 粉体計量装置 | |
EP372779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tering ingredients of compounds, in particular for tyres | |
Alvarez et al. | Influence of refilling on dosing accuracy of loss-in-weight powder feeders in continuous manufacturing | |
Nowak | Feeding Technology and Material Handling for Pharmaceutical Extrusion | |
RU2561825C1 (ru) | Модуль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ого дозирования | |
Hou et al. | A continuous micro-feeder for cohesive pharmaceutical materials | |
RU151070U1 (ru) | Модуль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ого дозирования | |
RU80944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смеси | |
CN116457639A (zh) | 扇区负载测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