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156B1 -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156B1
KR102035156B1 KR1020190059025A KR20190059025A KR102035156B1 KR 102035156 B1 KR102035156 B1 KR 102035156B1 KR 1020190059025 A KR1020190059025 A KR 1020190059025A KR 20190059025 A KR20190059025 A KR 20190059025A KR 102035156 B1 KR102035156 B1 KR 102035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unit
coupled
ro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한건설
곽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한건설, 곽현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한건설
Priority to KR1020190059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01C19/480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with solely rollers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30Cabi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도막을 시공함에 있어서, 도막의 시공 여부 및 도막의 두께에 따라 도막층형성유닛을 바닥으로부터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막시공장치는 주행 가능한 견인대차와, 견인대차의 후미에 결합되는 피벗승강유닛 및 바닥에 도막을 도포하기 위해 피벗승강유닛에 롤링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막층형성유닛을 포함하고, 피벗승강유닛은 일측은 견인대차와 결합되고 타측은 도막층형성유닛과 결합되며 견인대차를 기준으로 상하로 피벗 운동 가능한 승강링크 및 일측은 상기 견인대차와 결합되고 타측은 승강링크와 결합되며 승강링크를 상하로 피벗 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COAT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본 발명은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에 도막을 시공함에 있어서, 도막의 시공 여부 및 도막의 두께에 따라 도막층형성유닛을 바닥으로부터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 교량 등의 표면 포장은 콘크리트 포장 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 방법이 각각 65% 및 35% 비율로 시행되고 있고, 콘크리트 포장 방법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콘크리트 포장층의 보수 방법은 도로의 시공 지면에 타설된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콘크리트 포장층 위에 방수층을 깔아준 다음, 그 위에 다시 도로 표면이 되는 콘크리트 포장층을 다시 시공하는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층의 보수 방법은 도로의 시공 지면에 타설된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콘크리트 포장층 위에 방수층을 깔아준 다음, 그 위에 도로 표면이 되는 아스팔트 포장층을 다시 시공하는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포장층의 보수 방법은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노후에 따른 보수공사 및 재포장(overlay) 공사를 진행할 때, 콘크리트 포장층의 더딘 양생시간으로 인하여 교통개방 지연에 따른 교통 혼잡을 비롯하여, 막대한 공사비용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아스팔트 포장층의 보수 방법은 알카리 골재 반응이 심화된 노후 콘트리트 슬래브 또는 콘크리트 포장층 위에 아스팔트 도막방수, 마스틱(mastic) 아스팔트, 수지계 방수공법 등을 이용하여 방수층을 시공한 후, 그 위에 아스팔트를 포장하는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콘크리트 포장층과 아스팔트 포장층 간의 접착 불량, 방수 불량, 줄눈부 반사균열 등으로 인하여, 결국 빗물 등이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콘크리트 포장층으로 침투하여 노후화를 다시 촉진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도로 보수 방법에서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줄눈 절삭 없이 연속 시공이 가능하고, 방수층 및 접착층 형성을 통한 우수 등이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콘트리트 포장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반복하중에 의한 줄눈 부위 반사균열의 진전을 억제할 수 있는 인장응력 보강용 지오 그리드 메쉬 등을 이용한 복합식 도막방수 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2539호 (발명의 명칭 : 도막시공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시공된 도막 레이어, 2017. 11. 0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에 도막을 시공함에 있어서, 도막의 시공 여부 및 도막의 두께에 따라 도막층형성유닛을 바닥으로부터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막시공장치는 주행 가능한 견인대차; 상기 견인대차의 후미에 결합되는 피벗승강유닛; 및 바닥에 도막을 도포하기 위해 상기 피벗승강유닛에 롤링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막층형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피벗승강유닛은, 일측은 상기 견인대차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도막층형성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견인대차를 기준으로 상하로 피벗 운동 가능한 승강링크; 및 일측은 상기 견인대차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승강링크와 결합되며, 상기 승강링크를 상하로 피벗 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링크는, 상기 견인대차의 후미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견인대차의 후미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블럭; 상기 메인프레임과 롤링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링블럭; 및 둘 이상이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양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블럭과 상기 롤링블럭에 링크 결합되는 피벗링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견인대차의 후미와 상기 승강링크 중 어느 하나에 링크 결합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견인대차의 후미와 상기 승강링크 중 다른 하나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에 끼움 결합되는 승강피스톤; 및 상기 승강실린더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피스톤이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유압 또는 공압을 상기 승강실린더에 제공하는 피스톤동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견인대차에는, 적어도 운전석의 상측을 가리는 지붕유닛; 및 상기 견인대차의 주행 경로를 지시하는 주행지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지붕유닛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견인대차에 돌출 형성되는 지붕기둥; 상기 운전석의 상측을 가리도록 상기 지붕기둥에 결합되는 지붕부재; 및 상기 지붕부재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지붕기둥의 길이 조절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둥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행지시유닛은, 상기 견인대차의 전방 중앙 부분에 구비되는 경로지시유닛; 및 바닥에 도포되는 도막의 도포폭에 대응하여 상기 견인대차의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계지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막층형성유닛은, 상기 승강링크와 결합되고, 상기 승강링크를 기준으로 롤링 운동 가능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피칭 운동 가능한 도포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의 롤링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링크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롤링탄성부재; 및 상기 도포유닛의 피칭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도포유닛을 탄성 지지하는 피칭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중앙 부분에서 상기 승강링크와 롤링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블럭; 상기 메인블럭의 중앙 부분에서 양측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롤링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메인블럭에서 이격되어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한 쌍의 롤링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승강링크를 연결하며, 한 쌍의 롤링탄성부재 중 다른 하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승강링크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도포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피칭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칭로드; 도막이 수용되도록 찬넬 형상을 나타내되, 상기 피칭로드와 평행하게 결합되는 도포브라켓과, 상기 도포브라켓의 양단부에서 도막의 도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계브라켓을 포함하는 도막충전브라켓; 상기 견인대차의 주행에 따라 바닥과 상기 도포브라켓 사이로 배출되는 도막을 바닥에 도포하기 위해 탄성을 가지고 상기 도포브라켓에 적층되는 도포패드; 탄성을 가지고 상기 경계브라켓에 적층되는 경계패드;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도포패드를 상기 도포브라켓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도포패드에 적층되는 제1브라켓; 및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패드를 상기 경계브라켓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경계패드에 적층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막층형성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롤링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유닛; 상기 도포유닛의 피칭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도포유닛의 피칭각도를 조절하는 피칭조절유닛; 및 상기 견인대차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도포유닛에 수용된 도막을 분산시키는 도막분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유지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도포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롤링 방향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수평센서; 및 상기 승강링크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센서가 감지하는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롤링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롤링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칭조절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견인대차를 향해 돌출 형성되되, 돌출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경로슬릿부와, 상기 경로슬릿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경로슬릿부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단계지지홈부가 포함되는 단계조절브라켓; 및 상기 경로슬릿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포유닛과 피벗 운동 가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로슬릿부에 끼움 결합되고, 다수의 단계지지홈부 중 어느 하나와 걸림 지지되는 단계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피칭조절로드;를 포함하고, 다수의 단계지지홈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단계지지돌부가 걸림 지지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도포유닛의 피칭각도가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도막분산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력전달로드; 상기 견인대차에 구비된 분산동력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회전력을 상기 회전력전달로드에 전달하는 유니버셜로드; 상기 도포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산로드; 및 상기 회전력전달로드에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분산로드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로드에는, 상기 분산로드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분산로드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도막분산스크류;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도포유닛에 구비된 도막충전브라켓에는, 상기 분산로드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분산로드가 끼움 결합되는 축끼움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도막충전브라켓에 적층 지지되는 경계패드와 제2브라켓에는, 상기 분산로드가 길이 방향을 따라 통과되는 축노출홀;이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시공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도막시공장치를 이용하여 바닥에 도막을 도포하는 방법이고, 도막을 도포하고자 하는 바닥에 상기 견인대차와 상기 도막층형성유닛을 정위치시키는 세팅단계; 상기 도막층형성유닛에 도막을 충전시키는 도막충전단계; 및 상기 도막의 도포를 위해 상기 견인대차를 주행시키는 주행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에 따르면, 바닥에 도막을 시공함에 있어서, 도막의 시공 여부 및 도막의 두께에 따라 도막층형성유닛을 바닥으로부터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견인대차와 도막층형성유닛 사이의 탈부착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견인대차의 주행바퀴에 구비되는 바퀴경사돌부를 통해 바닥에서 주행바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바닥에 도포된 도막이 주행바퀴에 묻어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링크의 구성을 통해 피벗링크의 피벗 운동에도 불구하고, 도막층형성유닛의 피칭 운동없이 도막층형성유닛을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구동부의 구성을 통해 피벗링크의 피벗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붕유닛의 구성을 통해 외부 환경(햇빛, 비, 눈 등)에 대하여 견인대차의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지붕부재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지붕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지시유닛의 구성을 통해 견인대차를 일직선으로 주행할 수 있고, 도막층형성유닛의 크기에 대응하여 도막의 도포폭을 예측하며, 먼저 도포된 도막과 후속으로 도포하고자 하는 도막 사이의 간극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의 구성을 통해 승강링크를 기준으로 도막층형성유닛의 롤링 운동 및 피칭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포유닛의 구성을 통해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도막충전브라켓의 피칭 운동을 원활하게 하고, 수용된 도막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유지유닛의 구성을 통해 도막층형성유닛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고, 도막의 평평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칭조절유닛의 구성을 통해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도포유닛의 피칭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막분산유닛의 구성을 통해 도포유닛에 수용된 도막을 분산시켜 바닥과 도포유닛 사이로 도막이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포유닛과 분산로드의 결합 구조를 통해 도포유닛에서 분산로드의 탈부착을 원활하게 하고, 소모품인 분산로드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를 나타내는 측면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를 나타내는 정면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를 나타내는 후면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에서 견인대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에서 피벗승강유닛을 나타내는 (a) 평면사진과, (b)측면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에서 견인대차와 피벗승강유닛과 도막층형성유닛 사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에서 도막층형성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에서 도포유닛과 도막분산유닛의 분산로드 사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에서 메인프레임과 롤링탄성부재와 수평유지유닛 사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에서 피칭탄성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에서 피칭조절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에서 주행지시유닛 중 한계지시유닛을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는 바닥에 도막을 시공함에 있어서, 도막의 시공 여부 및 도막의 두께에 따라 도막층형성유닛(300)을 바닥으로부터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는 견인대차(100)와, 피벗승강유닛(200)과, 도막층형성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견인대차(100)는 주행이 가능하다.
견인대차(100)는 차체(110)와, 주행바퀴(140)를 포함하고, 핸들(130)을 더 포함하며, 운전석(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체(110)는 견인대차(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차체(110)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또는 엔진 및 구동력을 주행바퀴(14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포함된 구동시스템(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차체(110)의 후미에는 피벗승강유닛(200)에 포함되는 승강링크(10)가 결합되는 링크결합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차체(110)의 후미에는 링크결합부(111)에서 이격되어 피벗승강유닛(200)에 포함되는 승강구동부(20)가 결합되는 구동결합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차체(110)의 후미에는 구동시스템(미도시)에서 분기되어 후술하는 도막분산유닛(8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분산동력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주행바퀴(140)는 구동시스템(미도시)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특히, 주행바퀴(140)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바퀴경사돌부가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주행바퀴(140)를 통해 견인대차(100)는 자동으로 주행이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동시스템(미도시)이 없더라도 작업자의 인력으로 차체(110)를 끌어당김으로써, 인력에 의해 회전되는 주행바퀴(140)를 통해 견인대차(100)는 수동으로 주행이 가능하다.
핸들(130)은 견인대차(10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한다.
운전석(120)은 차체(110)에 구비되고 견인대차(100)의 운전을 위해 핸들(130)을 조작하는 운전자가 착석한다.
견인대차(100)에는 적어도 운전석(120)의 상측을 가리는 지붕유닛(150)과, 견인대차(100)의 주행 경로를 지시하는 주행지시유닛(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지붕유닛(15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견인대차(100)에 돌출 형성되는 지붕기둥(151)과, 운전석(120)의 상측을 가리도록 지붕기둥(151)에 결합되는 지붕부재(155)와, 지붕부재(155)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지붕기둥(151)의 길이 조절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둥고정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붕기둥(151)은 견인대차(100)의 차체(110)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기둥(152)과, 고정기둥(152)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승강기둥(153)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둥(153)에는 지붕부재(155)가 결합된다.
기둥고정부재(154)는 공지된 다양한 결합 구조를 통해 고정기둥(152)에 승강기둥(153)을 고정시킬 수 있다.
주행지시유닛(160)은 견인대차(100)의 전방 중앙 부분에 구비되는 경로지시유닛(161)과, 바닥에 도포되는 도막의 도포폭에 대응하여 견인대차(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계지시유닛(16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로지시유닛(161)은 견인대차(100)의 운전석(120)의 전방 중앙 부분에 구비되는 경로지시로드가 구비된다. 경로지시로드는 지붕기둥(151)과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한계지시유닛(162)은 회전로드(1622)와, 회전축(1623)과, 지시탄성부재(1624)와, 탄성지지부(1625)와, 한계지시로드(1626)를 포함하고, 측면브라켓(16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로드(1622)는 견인대차(100)의 차체(110) 또는 측면브라켓(16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1623)은 회전로드(1622)의 회전 중심을 형성한다. 회전축(1623)은 견인대차(100)의 차체(110) 또는 측면브라켓(1621)에서 회전로드(16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시탄성부재(1624)는 탄성력에 의해 회전로드(1622)를 견인대차(100)의 차체(110) 또는 측면브라켓(1621)에 밀착시킨다. 지시탄성부재(1624)는 회전축(1623)에 권취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1625)는 지시탄성부재(1624)를 지지한다.
한계지시로드(1626)는 회전로드(1622)의 단부에 결합된다.
측면브라켓(1621)은 견인대차(100)의 차체(110)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러면, 회전로드(1622)는 견인대차(100)의 차체(110) 또는 측면브라켓(1621)에 적층되고, 지시탄성부재(1624)의 일단부는 견인대차(100)의 차체 또는 측면브라켓(1621) 또는 회전로드(1622)에 탄성 지지되고, 지시탄성부재(1624)의 타단부는 탄성지지부(1625)에 탄성 지지되므로, 회전로드(1622)는 견인대차(100)의 차체(110) 또는 측면브라켓(1621)이 밀착 지지되고, 회전축(1623)을 중심으로 회전로드(1622)를 간편하게 회전시킴은 물론 회전로드(1622)의 회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피벗승강유닛(200)은 견인대차(100)의 후미에 결합된다.
피벗승강유닛(200)은 승강링크(10)와, 승강구동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링크(10)는 견인대차(100)를 기준으로 상하로 피벗 운동 가능하다. 승강링크(10)의 일측은 견인대차(100)에 구비된 링크결합부(111)와 결합되고, 승강링크(10)의 타측은 도막층형성유닛(300)과 롤링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링크(10)는 고정블럭(11)과, 롤링블럭(12)과, 피벗링크(1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럭(11)은 견인대차(100)의 후미에서 링크결합부(111)에 구비된다. 일예로, 고정블럭(11)은 견인대차(100)의 후미에서 링크결합부(1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정블럭(11)은 견인대차(100)의 후미에서 링크결합부(1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롤링블럭(12)은 도막층형성유닛(300)과 롤링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롤링블럭(12)에는 로드지지부(121)와, 연장로드부(1122)와, 롤링부(123)와, 로드고정부(124)가 포함된다.
로드지지부(121)는 롤링블럭(12)의 하단부에서 돌출 형성된다.
연장로드부(1122)는 로드지지부(121)와 끼움 결합된다.
로드지지부(121)와 연장로드부(1122) 중 어느 하나에는 로드지지부(121)와 연장로드부(1122) 중 다른 하나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이 함몰 형성되고, 로드고정부(124)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롤링부(123)는 연장로드부(1122)의 단부에 구비된다. 롤링부(123)는 롤링부(123)는 후술하는 메인프레임(30)의 메인블럭(31)에 롤링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면, 후술하는 메인프레임(30)은 롤링블럭(12)을 기준으로 롤링 운동이 가능하다.
일예로, 롤링부(123)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롤링부(123)의 판면에서 연장로드부(1122)가 돌출 형성되며, 롤링부(123)의 측면이 바닥을 향하는 경우, 후술하는 메인프레임(30)은 롤링블럭(12)을 기준으로 롤링 운동만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 롤링부(123)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롤링부(123)의 측면에서 연장로드부(1122)가 돌출 형성되며, 롤링부(123)의 판면이 바닥을 향하는 경우, 후술하는 메인프레임(30)은 롤링블럭(12)을 기준으로 요잉 운동만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롤링부(123)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롤링부(123)의 측면에서 연장로드부(1122)가 돌출 형성되며, 롤링부(123)의 측면이 바닥을 향하는 경우, 후술하는 메인프레임(30)은 롤링블럭(12)을 기준으로 피칭 운동만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롤링부(123)는 구 형상을 나타내므로, 후술하는 메인프레임(30)은 롤링블럭(12)을 기준으로 롤링 운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요잉 운동과 피칭 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운동도 가능하다.
피벗링크(13)는 둘 이상이 높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다. 피벗링크(13)의 양단부는 각각 고정블럭(11)과 롤링블럭(12)에 링크 결합된다.
그러면, 고정블럭(11)을 기준으로 피벗링크(13)가 상하로 피벗 운동할 때, 롤링블럭(12)은 피벗링크(13)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여 상하로 승강 운동을 하게 되고, 도막층형성유닛(300)이 피칭 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구동부(20)는 승강링크(10)를 상하로 피벗 운동시킨다. 승강구동부(20)의 일측은 견인대차(100)에 구비된 구동결합부(112)와 링크 결합되고, 승강구동부(20)의 타측은 승강링크(10)의 피벗링크(13)와 링크 결합된다.
승강구동부(20)는 승강실린더(21)와, 승강피스톤(22)과, 피스톤동작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실린더(21)는 견인대차(100)의 후미에 구비된 구동결합부(112)와 승강링크(10)의 피벗링크(13) 중 어느 하나에 링크 결합된다.
승강피스톤(22)은 견인대차(100)의 후미에 구비된 구동결합부(112)와 승강링크(10)의 피벗링크(13) 중 다른 하나에 링크 결합된다. 승강피스톤(22)은 승강실린더(2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피스톤동작부(23)는 유압 또는 공압을 승강실린더(21)에 제공한다. 피스톤동작부(23)는 승강실린더(21)를 기준으로 승강피스톤(22)을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도막층형성유닛(300)은 바닥에 도막을 도포하기 위해 피벗승강유닛(200)에 롤링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막층형성유닛(300)은 메인프레임(30)과, 도포유닛(40)과, 롤링탄성부재(501)와, 피칭탄성부재(50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30)은 중앙 부분에서 승강링크(10)와 롤링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프레임(30)은 중앙 부분에서 승강링크(10)의 롤링블럭(12)과 롤링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블럭(31)과, 메인블럭(31)의 중앙 부분에서 양측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2)과, 메인블럭(31)에서 이격되어 한 쌍의 수직프레임(32)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3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블럭(31)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메인블럭(31)에는 롤링블럭(12)에 구비된 롤링부(12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링지지부(311)와, 롤링부(123)를 감싸고 연장로드부(1122)가 통과하도록 롤링지지부(311)와 결합되는 롤링브라켓(312)이 포함될 수 있다.
메인블럭(31)에는 도포유닛(40)의 피칭로드(41)가 피칭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칭브라켓(31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32)에는 롤링탄성부재(501)가 결합된다.
수평프레임(33)에는 후술하는 피칭조절유닛(70)의 단계조절브라켓(71)이 결합된다.
도포유닛(40)은 메인프레임(30)과 결합된다. 도포유닛(40)은 메인프레임(30)을 기준으로 피칭 운동 가능하다.
도포유닛(40)은 피칭로드(41)와, 도막충전브라켓(42)과, 도포패드(43)와, 경계패드(44)와, 제1브라켓(45)과, 제2브라켓(46)을 포함할 수 있다.
피칭로드(41)는 메인프레임(30)에 구비된 피칭브라켓(313)에 피칭 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피칭로드(41)에는 도막충전브라켓(42)과의 결합을 위해 제1연장브라켓(41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막충전브라켓(42)은 도막이 수용되도록 찬넬 형상을 나타낸다. 도막충전브라켓(42)은 피칭로드(41)와 평행하게 결합되는 도포브라켓(421)과, 도포브라켓(421)의 양단부에서 도막의 도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계브라켓(4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막충전브라켓(42)은 도포브라켓(421)에서 이격되어 경계브라켓(423)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로드(425)를 더 포함함으로써, 도막충전브라켓(42)의 전방 개구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포브라켓(421)에는 피칭로드(41)와의 결합을 위해 제2연장브라켓(42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별도의 고정부재로 제1연장브라켓(411)과 제2연장브라켓(422)을 상호 연결 고정시킬 수 있다.
경계브라켓(423)에는 후술하는 도막분산유닛(80)의 분산로드(83)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도막분산유닛(80)의 분산로드(83)가 끼움 결합되는 축끼움홈(424)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끼움홈(424)의 입구는 바닥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축끼움홈(424)의 입구는 하늘 쪽을 향해도 무방하다.
도포패드(43)는 탄성을 가지고 도포브라켓(421)에 적층된다. 도포패드(43)는 견인대차(100)의 주행에 따라 바닥과 도포브라켓(421) 사이로 배출되는 도막을 바닥에 도포한다. 도포패드(43)는 도포브라켓(421)의 하단보다 더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도포패드(43)에서 돌출된 부분은 탄성에 의해 구부러져 바닥에 지지되도록 한다.
경계패드(44)는 탄성을 가지고 경계브라켓(423)에 적층된다. 경계패드(44)는 도막이 경계브라켓(423)과 바닥 사이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계패드(44)는 경계브라켓(423)의 하단보다 더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경계패드(44)에서 돌출된 부분은 바닥에 지지되거나, 탄성에 의해 구부러져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경계패드(44)에는 축끼움홈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도막분산유닛(80)의 분산로드(83)가 길이 방향을 따라 통과하는 축노출홀(46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브라켓(45)은 도포패드(43)에 적층된다. 그러면, 도포브라켓(421)과 도포패드(43)와 제1브라켓(45)은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밀착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재가 도포브라켓(421)과 도포패드(43)와 제1브라켓(45)의 결합을 해제하면, 도포패드(43)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제2브라켓(46)은 경계패드(44)에 적층된다. 그러면, 경계브라켓(423)과 경계패드(44)와 제2브라켓(46)은 결합부재에 의해 상호 밀착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재가 경계브라켓(423)과 경계패드(44)와 제2브라켓(46)의 결합을 해제하면, 경계패드(44)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제2브라켓(46)에도 축끼움홈(424)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도막분산유닛(80)의 분산로드(83)가 길이 방향을 따라 통과하는 축노출홀(46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롤링탄성부재(501)는 메인프레임(30)의 롤링 방향에 대응하여 승강링크(10)의 롤링블럭(12)을 기준으로 메인프레임(30)의 수직프레임(32)을 탄성 지지한다. 롤링탄성부재(501)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한 쌍의 롤링탄성부재(501) 중 어느 하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2) 중 어느 하나와 승강링크(10)의 롤링블럭(12)을 연결하고, 한 쌍의 롤링탄성부재(501) 중 다른 하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2) 중 다른 하나와 승강링크(10)의 롤링블럭(12)을 연결한다.
피칭탄성부재(502)는 도포유닛(40)의 피칭 방향에 대응하여 메인프레임(30)을 기준으로 도포유닛(40)의 지지로드(425)를 탄성 지지한다. 피칭탄성부재(502)의 일단부는 메인프레임(30)의 메인블럭(31)에 결합되고, 피칭탄성부재(502)의 타단부는 도포유닛(40)의 지지로드(425)에 결합된다. 피칭탄성부재(502)에 의해 도포유닛(40)의 도막충전브라켓(42)을 수평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막층형성유닛(300)은 수평유지유닛(60)과, 피칭조절유닛(70)과, 도막분산유닛(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유지유닛(60)은 메인프레임(30)의 롤링 방향에 대응하여 메인프레임(30)의 수평을 유지시킨다.
수평유지유닛(60)은 수평센서(61)와, 롤링구동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센서(61)는 메인프레임(30)의 메인블럭(31)에 구비된다. 수평센서(61)는 메인프레임(30)과 도포유닛(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롤링 방향 기울어짐을 감지한다.
롤링구동부(62)는 승강링크(10)의 롤링블럭(12)에 구비된다. 롤링구동부(62)는 수평센서(61)가 감지하는 기울어짐에 따라 롤링탄성부재(501)의 탄성력을 조절한다. 롤링구동부(62)는 승강링크(10)의 롤링블럭(12)에 구비되는 수평실린더(621)와, 수평센서(61)가 감지하는 기울어짐에 따라 수평실린더(621)에서 돌출되거나 수평실린더(621)에 삽입되는 수평피스톤(62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피스톤(622)은 수평실린더(621)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양쪽으로 돌출이 가능하다. 수평피스톤(622)의 단부에는 롤링탄성부재(501)와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수평동작부는 유압 또는 공압을 수평실린더(621)에 제공한다. 수평동작부는 수평실린더(621)를 기준으로 수평피스톤(622)을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수평유지유닛(60)은 수평피스톤(622)과 롤링탄성부재(501)를 연결하는 수평신축조인트(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수평신축조인트(63)는 수평피스톤(622)의 잡아당김 동작에 대응하여 길이가 수축되고, 수평피스톤(622)의 밀어냄 동작에 대응하여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일예로, 견인대차(100)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메인프레임(30)과 도포유닛(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좌측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수평센서(61)가 좌측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경우, 롤링구동부(62)는 승강링크(10)의 롤링블럭(12)을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된 롤링탄성부재(501)를 잡아당겨 메인프레임(30)과 도포유닛(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롤링구동부(62)는 승강링크(10)의 롤링블럭(12)을 기준으로 우측에 구비된 롤링탄성부재(501)를 밀어내어 메인프레임(30)과 도포유닛(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견인대차(100)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메인프레임(30)과 도포유닛(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우측 기울어짐에 대응하여 수평센서(61)가 우측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경우, 롤링구동부(62)는 승강링크(10)의 롤링블럭(12)을 기준으로 우측에 구비된 롤링탄성부재(501)를 잡아당겨 메인프레임(30)과 도포유닛(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롤링구동부(62)는 승강링크(10)의 롤링블럭(12)을 기준으로 좌측에 구비된 롤링탄성부재(501)를 밀어내어 메인프레임(30)과 도포유닛(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롤링구동부(62)에서 수평피스톤(622)은 수평실린더(621)의 양방향에서 돌출 가능하므로, 상술한 수평피스톤(622)의 잡아당김 동작과 밀어냄 동작을 상호 연동시킬 수 있다.
피칭조절유닛(70)은 도포유닛(40)의 피칭 방향에 대응하여 도포유닛(40)의 피칭각도를 조절한다. 피칭조절유닛(70)은 단계조절브라켓(71)과, 피칭조절로드(7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조절브라켓(71)은 메인프레임(30)의 수평프레임(33)에 돌출 형성된다. 단계조절브라켓(71)에는 돌출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경로슬릿부(711)와, 경로슬릿부(711)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경로슬릿부(711)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단계지지홈부(712)가 포함된다.
피칭조절로드(72)는 경로슬릿부(711)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도포유닛(40)과 피벗 운동 가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경로슬릿부(711)에 끼움 결합된다. 피칭조절로드(72)에는 다수의 단계지지홈부(712) 중 어느 하나와 걸림 지지되는 단계지지돌부(721)가 돌출 형성된다.
그러면, 다수의 단계지지홈부(712) 중 어느 하나와 단계지지돌부(721)가 걸림 지지되는 위치에 따라 메인프레임(30)의 메인블럭(31)을 기준으로 도포유닛(40)의 도막충전브라켓(42)의 피칭각도가 조절되고, 도포하고자 하는 도막의 두께 및 도막의 도포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도막분산유닛(80)은 견인대차(10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도포유닛(40)에 수용된 도막을 분산시킨다. 도막분산유닛(80)은 회전력전달로드(81)와, 유니버셜로드(82)와, 분산로드(83)와, 도막분산스크류(834)와, 회전력전달부재(8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력전달로드(81)는 메인프레임(30)의 메인블럭(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력전달로드(81)는 메인블럭(3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회전력전달부재(84)와 결합되도록 한다. 회전력전달로드(81)는 메인블럭(31)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일측 또는 양측 단부는 메인블럭(31)에서 돌출되어 회전력전달부재(84)와 결합된다.
이때, 메인블럭(31)에는 회전력전달로드(8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드브라켓(811)이 구비될 수 있다. 로드브라켓(811)이 구비됨에 따라 후술하는 회전력전달부재(84)를 간편하게 설치하고, 회전력전달로드(81)의 떨림을 방지할 수 있다.
유니버셜로드(82)는 견인대차(100)에 구비된 분산동력부(113)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회전력전달로드(81)에 전달한다. 유니버셜로드(82)의 일단부는 분산동력부(113)에 연결되고, 유니버셜로드(82)의 타단부는 회전력전달로드(81)에 연결된다.
유니버셜로드(82)에는 한 쌍의 유니버셜조인트(821)가 구비됨으로써, 피벗승강유닛(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유니버셜로드(82)의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유니버셜로드(82)에는 로드신축조인트(822)가 구비됨으로써, 피벗승강유닛(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유니버셜로드(8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분산로드(83)는 도포유닛(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분산로드(83)의 양단부는 각각 도막충전브라켓(42)의 경계브라켓(423), 경계패드(44), 제2브라켓(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분산로드(83)는 제1로드(831)를 포함하고, 제2로드(8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로드(831)는 도포유닛(40)의 도막충전브라켓(42)에서 도포브라켓(42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로드(831)의 양단부는 도막충전브라켓(42)의 경계브라켓(423), 경계패드(44), 제2브라켓(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로드(832)는 도막충전브라켓(42)에서 도포브라켓(42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로드(832)는 도막충전브라켓(42)의 경계브라켓(423), 경계패드(44), 제2브라켓(4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로드(832)는 제1로드(831)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분산로드(83)와 경계브라켓(423) 사이에는 분산로드(8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드지지부시(833)가 구비되어 분산로드(83)의 회전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산로드(83)에는 도막분산스크류(834)가 구비될 수 있다.
도막분산스크류(834)는 분산로드(83)와 함께 회전되도록 분산로드(83)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일예로, 제1로드(831)에 구비되는 도막분산스크류(834)의 나선 방향은 제2로드(832)에 구비되는 도막분산스크류(834)의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막분산스크류(834)는 분산로드(83)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양측 단부를 향해 상호 다른 나선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도막충전브라켓(42)의 중앙 부분에 공급되는 도막을 도막충전브라켓(42)의 양측 단부로 분산시킬 수 있다.
회전력전달부재(84)는 회전력전달로드(81)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분산로드(83)에 전달한다. 회전력전달부재(84)는 회전력전달로드(81)의 단부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로킷(841)과, 분산로드(83)의 단부에 결합되는 종동스프로킷(842)과, 구동스프로킷(841)과 종동스프로킷(842)을 연결하여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는 구동체인(843)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산로드(83)가 제1로드(831)와 제2로드(832)로 구분됨에 따라 회전력전달부재(84)는 제1로드(831)의 단부에서 종동스프로킷(842)과 함께 결합되는 제1스프로킷(844)과, 제2로드(832)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스프로킷(845)과, 제1스프로킷(844)과 제2스프로킷(845)을 연결하여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는 연동체인(8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503은 승강링크(10)의 피벗링크(13)를 기준으로 메인프레임(30)의 수평프레임(33)을 탄성 지지하는 피벗탄성부재이다. 일예로, 피벗탄성부재(503)의 일단부는 메인프레임(30)의 수평프레임(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벗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승강링크의 피벗링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피벗링크(13)의 피벗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는 롤링블럭(12)을 기준으로 피벗링크(13)를 탄성 지지하거나, 롤링블럭(12)을 기준으로 피벗탄성부재(503)를 탄성 지지하는 승강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는 도포유닛(40)에 도막을 공급하는 도막호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막호퍼(미도시)는 도막충전브라켓(42)의 상부에 구비되고, 도막분산유닛(80)의 분산로드(83)에 도막을 공급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장치를 이용하여 바닥에 도막을 도포하는 방법이고, 세팅단계(S1)와, 도막충전단계(S2)와, 주행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세팅단계(S1)는 도막을 도포하고자 하는 바닥에 견인대차(100)와 도막층형성유닛(300)을 정위치시킨다. 세팅단계(S1)는 피벗승강유닛(200)을 동작시켜 도막층형성유닛(300)을 바닥으로 이격시킨 다음, 견인대차(100)를 주행하여 바닥의 도포시작부로 이동하고, 다시 피벗승강유닛(200)을 동작시켜 도막층형성유닛(300)을 바닥의 도포시작부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세팅단계(S1)는 유닛정위치단계를 포함하고, 수평초기화단계와, 피칭조절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정위치단계(S11)는 도막층형성유닛(300)을 바닥의 도포시작부에 정위치시킨다. 유닛정위치단계(S11)는 피벗승강유닛(200)을 동작시켜 도막층형성유닛(300)을 바닥으로 이격시킨 다음, 견인대차(100)를 주행하여 바닥의 도포시작부로 이동하고, 다시 피벗승강유닛(200)을 동작시킴으로써, 도막층형성유닛(300)을 바닥의 도포시작부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수평초기화단계(S12)는 바닥의 도포시작부에 정위치된 도막층형성유닛(300)의 수평을 설정한다. 일예로, 수평초기화단계(S12)는 바닥의 도포시작부에 대응하여 수평센서(61)의 감지에 따라 롤링구동부(62)가 동작됨으로서, 바닥의 도포시작부에서 수평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평초기화단계(S12)는 바닥의 도포시작부에 대응하여 롤링구동부(62)를 동작시켜 수평센서(61)의 영점을 조정함으로써, 바닥의 도포시작부에서 수평을 설정할 수 있다.
피칭조절단계(S13)는 도막층형성유닛(300)에서 도포유닛(40)의 피칭각도를 조절한다. 피칭조절단계(S13)는 바닥의 도포시작부에 정위치된 도막층형성유닛(300)에서 피칭조절유닛(70)을 조작하여 도포유닛(40)의 피칭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막충전단계(S2)는 도막층형성유닛(300)에 도막을 충전시킨다. 여기서, 도막은 점성이 큰 액체 상태 또는 겔 상태를 나타내므로, 도막층형성유닛(300)이 정지된 상태에서 도막은 도막층형성유닛(300)에서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1798호 (발명의 명칭 : 콘크리트 교면의 방수층 구조, 2017. 05. 30. 공고)의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고, 이창케미칼에서 생산되는 커버코트를 이용할 수 있다.
주행단계(S3)는 도막층형성유닛(300)에 도막이 충전된 상태에서 도막의 도포를 위해 견인대차(100)를 주행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시공방법은 예비공급단계(S4)와, 수평유지단계(S5)와, 도막분산단계(S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비공급단계(S4)는 주행단계(S3)에 앞서, 견인대차(100)의 주행 방향에 대응하여 바닥에 도막을 공급한다. 그러면, 바닥에 공급된 도막은 견인대차(100)의 주행에 따라 도막층형성유닛(300)의 도포유닛(40)에 수용되므로, 연속적으로 도막이 공급되는 도포유닛(40)은 도막을 바닥에 도포할 수 있다.
수평유지단계(S5)는, 견인대차(100)의 주행에 대응하여 도막층형성유닛(300)의 수평을 조절한다. 수평유지단계(S5)는 수평센서(61)를 통해 도막층형성유닛(300)의 수평 상태를 감지하는 수평감지단계(S51)와, 수평감지단계(S51)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도막층형성유닛(300)의 수평 상태를 조절하는 롤링구동단계(S5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유지단계(S5)는 수평유지유닛(60)의 동작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도막분산단계(S6)는 도막층형성유닛(300)의 도포유닛(40)에 수용되는 도막을 분산시킨다. 도막분산단계(S6)는 도막분산유닛(80)의 동작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에 따르면, 바닥에 도막을 시공함에 있어서, 도막의 시공 여부 및 도막의 두께에 따라 도막층형성유닛(300)을 바닥으로부터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견인대차(100)와 도막층형성유닛(300) 사이의 탈부착 결합을 원활하게 하고, 견인대차(100)의 주행바퀴(140)에 구비되는 바퀴경사돌부를 통해 바닥에서 주행바퀴(140)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바닥에 도포된 도막이 주행바퀴(140)에 묻어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링크(10)의 구성을 통해 피벗링크(13)의 피벗 운동에도 불구하고, 도막층형성유닛(300)의 피칭 운동없이 도막층형성유닛(300)을 수평 상태에서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구동부(20)의 구성을 통해 피벗링크(13)의 피벗 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붕유닛(150)의 구성을 통해 외부 환경(햇빛, 비, 눈 등)에 대하여 견인대차(100)의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지붕부재(155)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지붕부재(155)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주행지시유닛(160)의 구성을 통해 견인대차(100)를 일직선으로 주행할 수 있고, 도막층형성유닛(300)의 크기에 대응하여 도막의 도포폭을 예측하며, 먼저 도포된 도막과 후속으로 도포하고자 하는 도막 사이의 간극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30)의 구성을 통해 승강링크(10)를 기준으로 도막층형성유닛(300)의 롤링 운동 및 피칭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포유닛(40)의 구성을 통해 메인프레임(30)을 기준으로 도막충전브라켓(42)의 피칭 운동을 원활하게 하고, 수용된 도막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평유지유닛(60)의 구성을 통해 도막층형성유닛(300)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고, 도막의 평평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피칭조절유닛(70)의 구성을 통해 메인프레임(30)을 기준으로 도포유닛(40)의 피칭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막분산유닛(80)의 구성을 통해 도포유닛(40)에 수용된 도막을 분산시켜 바닥과 도포유닛(40) 사이로 도막이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도포유닛(40)과 분산로드(83)의 결합 구조를 통해 도포유닛(40)에서 분산로드(83)의 탈부착을 원활하게 하고, 소모품인 분산로드(83)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견인대차 110: 차체 111: 링크결합부
112: 구동결합부 113: 분산동력부 120: 운전석
130: 핸들 140: 주행바퀴 150: 지붕유닛
151: 지붕기둥 152: 고정기둥 153: 승강기둥
154: 기둥고정부재 155: 지붕부재 160: 주행지시유닛
161: 경로지시유닛 162: 한계지시유닛 1621: 측면브라켓
1622: 회전로드 1623: 회전축 1624: 지시탄성부재
1625: 탄성지지부 1626: 한계지시로드 200: 피벗승강유닛
10: 승강링크 11: 고정블럭 12: 롤링블럭
121: 로드지지부 122: 연장로드부 123: 롤링부
124: 로드고정부 13: 피벗링크 20: 승강구동부
21: 승강실린더 22: 승강피스톤 23: 피스톤동작부
300: 도막층형성유닛 30: 메인프레임 31: 메인블럭
311: 롤링지지부 312: 롤링브라켓 313: 피칭브라켓
32: 수직프레임 33: 수평프레임 40: 도포유닛
41: 피칭로드 411: 제1연장브라켓 42: 도막충전브라켓
421: 도포브라켓 422: 제2연장브라켓 423: 경계브라켓
424: 축끼움홈 425: 지지로드 43: 도포패드
44: 경계패드 45: 제1브라켓 46: 제2브라켓
461: 축노출홀 501: 롤링탄성부재 502: 피칭탄성부재
503: 피벗탄성부재 60: 수평유지유닛 61: 수평센서
62: 롤링구동부 621: 수평실린더 622: 수평피스톤
63: 수평신축조인트 70: 피칭조절유닛 71: 단계조절브라켓
711: 경로슬릿부 712: 단계지지홈부 72: 피칭조절로드
721: 단계지지돌부 80: 도막분산유닛 81: 회전력전달로드
811: 로드브라켓 82: 유니버셜로드 821: 유니버셜조인트
822: 로드신축조인트 83: 분산로드 831: 제1로드
832: 제2로드 833: 로드지지부시 834: 도막분산스크류
84: 회전력전달부재 841: 구동스프로킷 842: 종동스프로킷
843: 구동체인 844: 제1스프로킷 845: 제2스프로킷
846: 연동체인
S1: 세팅단계 S11: 유닛정위치단계 S12: 수평초기화단계
S13: 피칭조절단계 S2: 도막충전단계 S3: 주행단계
S4: 예비공급단계 S5: 수평유지단계 S51: 수평감지단계
S52: 롤링구동단계 S6: 도막분산단계

Claims (15)

  1. 주행 가능한 견인대차;
    상기 견인대차의 후미에 결합되는 피벗승강유닛; 및
    바닥에 도막을 도포하기 위해 상기 피벗승강유닛에 롤링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막층형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피벗승강유닛은,
    일측은 상기 견인대차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도막층형성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견인대차를 기준으로 상하로 피벗 운동 가능한 승강링크; 및
    일측은 상기 견인대차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승강링크와 결합되며, 상기 승강링크를 상하로 피벗 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막층형성유닛은,
    상기 승강링크와 결합되고, 상기 승강링크를 기준으로 롤링 운동 가능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피칭 운동 가능한 도포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의 롤링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링크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롤링탄성부재; 및
    상기 도포유닛의 피칭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도포유닛을 탄성 지지하는 피칭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링크는,
    상기 견인대차의 후미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견인대차의 후미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블럭;
    상기 메인프레임과 롤링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링블럭; 및
    둘 이상이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양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블럭과 상기 롤링블럭에 링크 결합되는 피벗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견인대차의 후미와 상기 승강링크 중 어느 하나에 링크 결합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견인대차의 후미와 상기 승강링크 중 다른 하나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에 끼움 결합되는 승강피스톤; 및
    상기 승강실린더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피스톤이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유압 또는 공압을 상기 승강실린더에 제공하는 피스톤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대차에는,
    적어도 운전석의 상측을 가리는 지붕유닛; 및
    상기 견인대차의 주행 경로를 지시하는 주행지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시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유닛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견인대차에 돌출 형성되는 지붕기둥;
    상기 운전석의 상측을 가리도록 상기 지붕기둥에 결합되는 지붕부재; 및
    상기 지붕부재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지붕기둥의 길이 조절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둥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시공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지시유닛은,
    상기 견인대차의 전방 중앙 부분에 구비되는 경로지시유닛; 및
    바닥에 도포되는 도막의 도포폭에 대응하여 상기 견인대차의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계지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시공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중앙 부분에서 상기 승강링크와 롤링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블럭;
    상기 메인블럭의 중앙 부분에서 양측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롤링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메인블럭에서 이격되어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한 쌍의 롤링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승강링크를 연결하며,
    한 쌍의 롤링탄성부재 중 다른 하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승강링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시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피칭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칭로드;
    도막이 수용되도록 찬넬 형상을 나타내되, 상기 피칭로드와 평행하게 결합되는 도포브라켓과, 상기 도포브라켓의 양단부에서 도막의 도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계브라켓을 포함하는 도막충전브라켓;
    상기 견인대차의 주행에 따라 바닥과 상기 도포브라켓 사이로 배출되는 도막을 바닥에 도포하기 위해 탄성을 가지고 상기 도포브라켓에 적층되는 도포패드;
    탄성을 가지고 상기 경계브라켓에 적층되는 경계패드;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도포패드를 상기 도포브라켓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도포패드에 적층되는 제1브라켓; 및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패드를 상기 경계브라켓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경계패드에 적층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시공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층형성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롤링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수평유지유닛;
    상기 도포유닛의 피칭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도포유닛의 피칭각도를 조절하는 피칭조절유닛; 및
    상기 견인대차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도포유닛에 수용된 도막을 분산시키는 도막분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시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도포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롤링 방향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수평센서; 및
    상기 승강링크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센서가 감지하는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롤링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롤링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시공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칭조절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상기 견인대차를 향해 돌출 형성되되, 돌출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경로슬릿부와, 상기 경로슬릿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경로슬릿부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단계지지홈부가 포함되는 단계조절브라켓; 및
    상기 경로슬릿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포유닛과 피벗 운동 가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로슬릿부에 끼움 결합되고, 다수의 단계지지홈부 중 어느 하나와 걸림 지지되는 단계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피칭조절로드;를 포함하고,
    다수의 단계지지홈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단계지지돌부가 걸림 지지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도포유닛의 피칭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시공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분산유닛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력전달로드;
    상기 견인대차에 구비된 분산동력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회전력을 상기 회전력전달로드에 전달하는 유니버셜로드;
    상기 도포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산로드; 및
    상기 회전력전달로드에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분산로드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로드에는,
    상기 분산로드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분산로드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도막분산스크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시공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유닛에 구비된 도막충전브라켓에는,
    상기 분산로드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분산로드가 끼움 결합되는 축끼움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도막충전브라켓에 적층 지지되는 경계패드와 제2브라켓에는,
    상기 분산로드가 길이 방향을 따라 통과되는 축노출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시공장치.
  15.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막시공장치를 이용하여 바닥에 도막을 도포하는 방법이고,
    도막을 도포하고자 하는 바닥에 상기 견인대차와 상기 도막층형성유닛을 정위치시키는 세팅단계;
    상기 도막층형성유닛에 도막을 충전시키는 도막충전단계; 및
    상기 도막의 도포를 위해 상기 견인대차를 주행시키는 주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시공방법.
KR1020190059025A 2019-05-20 2019-05-20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 KR102035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025A KR102035156B1 (ko) 2019-05-20 2019-05-20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025A KR102035156B1 (ko) 2019-05-20 2019-05-20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156B1 true KR102035156B1 (ko) 2019-10-22

Family

ID=6842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025A KR102035156B1 (ko) 2019-05-20 2019-05-20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1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5812A (ja) * 1997-01-13 1998-07-28 Osaka Nichireki Kk アスファルト系塗膜防水材散布機
KR20090094915A (ko) * 2008-03-04 2009-09-09 주식회사 시그마하이텍 도로용 컷팅기
KR200451437Y1 (ko) * 2008-09-19 2010-12-15 박종병 도료 살포장치
KR101792539B1 (ko) 2017-03-10 2017-11-02 진석토건 주식회사 도막시공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시공된 도막 레이어
JP2019023420A (ja) * 2017-06-09 2019-02-14 ヨゼフ フェゲーレ アーゲー 操作台及びアクセス制御装置を備えた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5812A (ja) * 1997-01-13 1998-07-28 Osaka Nichireki Kk アスファルト系塗膜防水材散布機
KR20090094915A (ko) * 2008-03-04 2009-09-09 주식회사 시그마하이텍 도로용 컷팅기
KR200451437Y1 (ko) * 2008-09-19 2010-12-15 박종병 도료 살포장치
KR101792539B1 (ko) 2017-03-10 2017-11-02 진석토건 주식회사 도막시공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시공된 도막 레이어
JP2019023420A (ja) * 2017-06-09 2019-02-14 ヨゼフ フェゲーレ アーゲー 操作台及びアクセス制御装置を備えた建設機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339B2 (en) Powered strike-off plow
CN101918639B (zh) 轮式整平装置
US4655633A (en) Screeding apparatus and method
US5352063A (en) Polymer concrete paving machine
US4854769A (en) System for paving inclined and/or curved surfaces
EP0376692A2 (en) Improved screed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10002736A1 (en) Slip form paver
US4861189A (en) System for paving inclined and/or curved surfaces
US20040208699A1 (en) Blade with a control system for leveling asphalt mixtures
JP4076118B2 (ja) フィニッシャ用の付設装置
KR102035156B1 (ko) 도막시공장치와 도막시공방법
US20030215288A1 (en) Narrow gauge road paving apparatus
JP3312293B2 (ja) 自走式コンクリート仕上げ機械
US11821151B2 (en) Road construction materials spreading vehicle
CN101545239A (zh) 新型摊铺机
CN101575839A (zh) 新型牵引式摊铺机
RU2005836C1 (ru) Асфальтоукладчик
JPH0526085Y2 (ko)
JPH0344803Y2 (ko)
CN213538621U (zh) 熨平装置和摊铺机
RU198973U1 (ru) Укладчик лёгких дорожных матов с адаптивным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положения верхней поворотной рамы
JP4900698B2 (ja) コンクリート舗装に使用するコンクリート材料供給装置
CN216107928U (zh) 一种半挂式纤维同步碎石封层车
JPS63125704A (ja) クロ−ラ式走行装置
JPH05287705A (ja) 自走式敷き均し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