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953B1 -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953B1
KR102034953B1 KR1020180028890A KR20180028890A KR102034953B1 KR 102034953 B1 KR102034953 B1 KR 102034953B1 KR 1020180028890 A KR1020180028890 A KR 1020180028890A KR 20180028890 A KR20180028890 A KR 20180028890A KR 102034953 B1 KR102034953 B1 KR 102034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mai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529A (ko
Inventor
송시호
Original Assignee
송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시호 filed Critical 송시호
Priority to KR1020180028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95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35Expandable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 -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제1 측에 인접한 제1 영역에 제공되는 제1 메인 연결부 및 상기 제1 측의 반대측인 제2 측에 인접한 제2 영역에 제공되는 제2 메인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2 측과 연결되는 제3 측에 인접한 제3 영역에 제공되는 외부연결포트를 포함함 - 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기능이 확장되도록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쉴드기판; 및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쉴드기판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1 쉴드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기판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쉴드 연결부 및 상기 제2 메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쉴드 연결부를 포함하고,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1 메인 연결부, 상기 제2 메인 연결부, 상기 제1 쉴드 연결부 및 상기 제2 쉴드 연결부를 보호하고, 상기 외부연결포트와 전선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2 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의 쉴드{SHIELD OF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쉴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과 쉴드기판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초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의무화 됨에 따라, 소프트웨어 코딩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여러가지 코딩 교육 도구들이 소프트웨어 교육에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며 하드웨어의 동작을 가시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아두이노 우노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아두이노와 같은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코딩 교육이 이루어지는 경우, 회로이론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들은 메인 보드와 입출력장치를 연결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쓰게 된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대부분의 시간이 하드웨어 교육에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입출력장치간의 회로 연결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과제는, 코딩 교육 대상자들이 소프트웨어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과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과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쉴드기판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과제는, 외부충격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되는 장치들을 보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과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이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 -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제1 측에 인접한 제1 영역에 제공되는 제1 메인 연결부 및 상기 제1 측의 반대측인 제2 측에 인접한 제2 영역에 제공되는 제2 메인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2 측과 연결되는 제3 측에 인접한 제3 영역에 제공되는 외부연결포트를 포함함 - 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기능이 확장되도록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쉴드기판;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쉴드기판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1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기판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쉴드 연결부 및 상기 제2 메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쉴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부재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1 메인 연결부, 상기 제2 메인 연결부, 상기 제1 쉴드 연결부 및 상기 제2 쉴드 연결부를 보호하고, 상기 외부연결포트와 전선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2 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입출력장치간의 회로 연결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코딩 교육 대상자들이 소프트웨어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쉴드기판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충격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되는 장치들이 보호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이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 -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제1 측에 인접한 제1 영역에 제공되는 제1 메인 연결부 및 상기 제1 측의 반대측인 제2 측에 인접한 제2 영역에 제공되는 제2 메인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2 측과 연결되는 제3 측에 인접한 제3 영역에 제공되는 외부연결포트를 포함함 - 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기능이 확장되도록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쉴드기판; 및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쉴드기판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1 쉴드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기판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쉴드 연결부 및 상기 제2 메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쉴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1 메인 연결부, 상기 제2 메인 연결부, 상기 제1 쉴드 연결부 및 상기 제2 쉴드 연결부를 보호하고, 상기 외부연결포트와 전선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2 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는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결착되는 제1 쉴드 결착부 및 상기 쉴드기판에 결착되는 제2 쉴드 결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쉴드 결착부는 상기 쉴드기판과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의 제1 쉴드 결착부는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제1 측에 결착되고,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의 제2 쉴드 결착부는 상기 쉴드기판의 제1 쉴드 연결부에 인접한 일 측에 결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쉴드는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의 반대측에서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결착되는 제2 쉴드 잠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메인 바디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기판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와 접하고,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의 폭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의 폭은 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포트는 상기 제3 측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쉴드는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 및 제2 쉴드 잠금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기능이 확장되도록 상기 쉴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서브쉴드기판; 및 상기 쉴드기판 및 상기 서브쉴드기판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는 서브쉴드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쉴드 연결부와 상기 제2 쉴드 연결부는 상기 쉴드기판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쉴드기판은 상기 쉴드기판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3 쉴드 연결부 및 제4 쉴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쉴드기판은 상기 제3 쉴드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서브쉴드 연결부 및 상기 제4 쉴드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서브쉴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쉴드 잠금부재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3 쉴드 연결부, 상기 제4 쉴드 연결부, 상기 제1 서브쉴드 연결부 및 상기 제2 서브쉴드 연결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쉴드기판에 결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쉴드 잠금부재는 상기 쉴드기판에서의 결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와 상기 쉴드기판이 만나는 상기 쉴드기판의 일측의 반대측에 결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는 상기 제1 측의 일 영역에 결착되고, 상기 서브쉴드 잠금부재는 상기 제3 쉴드 연결부와 인접한 일 측에서 상기 쉴드기판에 결착되되, 상기 쉴드기판에서의 결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와 상기 쉴드 기판이 만나는 일 영역과 다른 영역에 결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부재는 상기 홀에 결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 패키지(1)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및 인쇄회로기판의 쉴드(200) 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쉴드(20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쉴드(20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과 결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쉴드(20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쉴드(20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과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은 메인 바디기판(110), 마이크로 컨트롤러(120), 제1 메인 연결부(131), 제2 메인 연결부(132), 및 외부연결포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쉴드(200)는 쉴드 바디기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은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뼈대를 구성할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은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은 제1 측(111), 제2 측(112), 제3 측(113) 및 제4 측(114)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111), 제2 측(112), 제3 측(113) 및 제4측(114)은 메인 바디기판(110)의 각각의 측면일 수 있다.
제1 측(111)은 제2 측(112)의 반대측일 수 있고, 제3 측(113)은 제4 측(114)의 반대측일 수 있다. 제3 측(113)은 제1 측(111)과 제2 측(112)을 연결하는 측면일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은 일면과 타면을 가질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의 일면은 쉴드 바디기판(210)과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의 타면은 상기 일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은 기판의 일종으로서, 반도체, 컨덴서, 저항 등 각종 부품이 연결되어 부품 상호간을 연결시킬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은 내부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은 상기 내부배선을 통해 메인 바디기판(110) 상에 장착된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메인 바디기판(11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메인 바디기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메인 바디기판(110)의 상기 내부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력 및 출력 모듈이 구비된 칩을 포함하는 소형 컴퓨터로서, 각종 입출력장치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일 예로서 아두이노 보드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며 하드웨어의 동작을 가시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게 하여 교육시설에서 소프트웨어 코딩 교육 등에 많이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메인 바디기판(110)의 상기 내부배선을 통해 제1 메인 연결부(131) 및 제2 메인 연결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제1 메인 연결부(131) 및 제2 메인 연결부(132)를 통해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메인 연결부(131) 및 제2 메인 연결부(132)는 메인 바디기판(11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메인 연결부(131)는 제1 측(111)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메인 연결부(132)는 제2 측(112)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메인 연결부(131) 및 제2 메인 연결부(132)의 폭, 넓이 및/또는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메인 연결부(131) 및 제2 메인 연결부(132)는 소켓, 핀, 단자 또는 포트일 수 있다. 제1 메인 연결부(131) 및 제2 메인 연결부(132)는 메인 바디기판(110)의 상기 내부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메인 연결부(131) 및 제2 메인 연결부(132)는 메인 바디기판(110)의 상기 내부배선을 통해 외부연결포트(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연결포트(140)는 메인 바디기판(11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외부연결포트(140)는 제1 측(111) 및 제2 측(112)과 연결되는 제3 측(113)에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외부연결포트(140)는 제3 측(113)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외부연결포트(140)는 전원 포트 또는 USB포트일 수 있다. 외부연결포트(140)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에 전달할 수 있다. 외부연결포트(14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20)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외부연결포트(140)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200)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쉴드(200)는 쉴드 기판(201) 및 제1 쉴드 잠금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쉴드기판(201)은 쉴드 바디기판(210), 제1 쉴드 연결부(221) 및 제2 쉴드 연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쉴드 바디기판(210)은 쉴드기판(201)의 뼈대를 구성할 수 있다. 쉴드 바디기판(210)은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쉴드 바디기판(210)은 서로 평행하는 일면 및 타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일면은 메인 바디기판(110)에 대향하는 면이고, 상기 타면은 상기 일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쉴드 바디기판(210)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은 기판의 일종으로서, 반도체, 컨덴서, 저항 등 각종 부품이 연결되어 부품 상호간을 연결시킬 수 있다. 쉴드 바디기판(210)은 내부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 바디기판(210)은 상기 내부배선을 통해 쉴드 바디기판(210) 상에 장착된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쉴드 바디기판(210)은 메인 인쇄회로기판(100)과 연결되어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바디기판(210)에는 와이파이 모듈, GPS 모듈, 온습도 센서, 조도센서, 부저, MP3 플레이어 모듈, 터치 모듈, 인터넷 모듈 등이 상기 내부배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쉴드 바디기판(210)이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에 결합될 경우,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에 포함된 마이크로 컨트롤러(120)는 상기 와이파이 모듈, 상기 GPS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쉴드 연결부(220)는 쉴드 바디기판(210)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쉴드 연결부(220)는 쉴드 바디기판(210)의 상기 일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쉴드 연결부(220)는 제1 쉴드 연결부(221) 및 제2 쉴드 연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쉴드 연결부(221)는 제1 메인 연결부(131)와 결합될 수 있는 일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일 영역은 제1 메인 연결부(131)가 위치하는 영역과 대향할 수 있다.
제2 쉴드 연결부(222)는 제1 쉴드 연결부(221)가 위치하는 상기 일 영역과 인접한 일측의 반대측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쉴드 연결부(222)는 제2 메인 연결부(132)와 직접 결합될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쉴드 연결부(221) 및 제2 쉴드 연결부(222)는 폭, 넓이 및/또는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쉴드 연결부(221) 및 제2 쉴드 연결부(222)는 서로 평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쉴드 연결부(221) 및 제2 쉴드 연결부(222)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쉴드 연결부(221) 및 제2 쉴드 연결부(222)는 쉴드 바디기판(210)의 상기 내부배선을 통해 쉴드 바디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쉴드 연결부(221) 및 제2 쉴드 연결부(222)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쉴드 바디기판(2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쉴드 연결부(221) 및 제2 쉴드 연결부(222)는 쉴드 바디기판(21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제1 쉴드 결착부(2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쉴드 바디기판(2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제1 쉴드 연결부(221)가 위치하는 영역에 인접한 쉴드 바디기판(2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면의 일부는 제1 쉴드 연결부(221)와 인접한 쉴드 바디기판(210)의 일측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일면은 제1 변, 제2 변, 제3 변 및 제4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변은 상기 제1 변, 제2 변, 제3 변 및 제4 변 중 가장 길이가 긴 변일 수 있다, 상기 제1 변은 쉴드 바디기판(201)의 상부면과 측면을 공유하는 변일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제1 변의 길이는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쉴드 연결부(221)는 다수의 변을 가질 수 있다. 제1 쉴드 연결부(221)의 다수의 변 중 가장 길이가 긴 변은 제1 쉴드 연결부(221)의 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폭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의 폭 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상기 제1 변의 길이는 상기 제1 쉴드 연결부(221)의 상기 일변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은 다면체일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면들을 각각 다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1 쉴드 연결부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메인 바디기판(110)과 쉴드기판(201)의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제1 쉴드 결착부(2311)을 통해 메인 바디기판(110)과 쉴드기판(201)의 연결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의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은 쉴드기판(201)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제1 메인 연결부(131)는 쉴드기판(201)의 제1 쉴드 연결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제2 메인 연결부(132)는 쉴드기판(201)의 제2 쉴드 연결부(222)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의 내부배선 및 쉴드 바디기판(210)의 내부배선을 통해 메인 바디기판(110)과 쉴드 바디기판(2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연결포트(140)는 제3 측(113)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 쉴드 잠금부재(231) 상기 제 3 측(113)에 위치할 경우, 외부연결포트(140)와 외부장치 또는 외부부품과의 연결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외부연결포트(140)는 제3 측(113)의 외부로 돌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상기 제3 측(113)에 결착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제1 쉴드 결착부(2311)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제3 측(113)이 아닌 제1 측(111)에 결착될 수 있다. 제1 쉴드 결착부(2311)는 메인 바디기판(110)의 상기 제1 측에 결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인쇄회로기판(100) 및 쉴드기판(201)의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제1 쉴드 결착부(231)는 외부충격으로부터 제1 메인 연결부(131) 및 제1 쉴드 연결부(221)를 보호할 수 있다.
도 2의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1 쉴드 연결부(221)는 제1 메인 연결부(131)에 연결되고, 제2 쉴드 연결부(222)는 제2 메인 연결부(1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메인 연결부(131)는 제1 쉴드 연결부(221)와 폭, 넓이 및/또는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메인 연결부(131)의 폭은 제1 쉴드 연결부(22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쉴드 연결부(221)는 제1 메인 연결부(131)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메인 연결부(132)는 제2 쉴드 연결부(222)와 폭, 넓이 및/또는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제2 메인 연결부(132)의 폭은 제2 쉴드 연결부(22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쉴드 연결부(132)는 제2 메인 연결부(222)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메인 연결부(131)의 길이는 제1 쉴드 연결부(221)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제1 쉴드 연결부(221)는 제1 메인 연결부(131)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메인 연결부(132)의 길이는 제2 쉴드 연결부(222)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제2 쉴드 연결부(132)는 제2 메인 연결부(222)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쉴드 연결부(221)는 제1 메인 연결부(131)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쉴드 결합부(2311)는 홈을 가질 수 있다. 제1 쉴드 결합부(2311)는 ㄷ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은 제1 쉴드 결합부(2311)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쉴드 결착부(2311)는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 및 제1 쉴드 함몰영역(23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은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에 대향할 수 있다. 제1 쉴드 함몰영역(2311-3)은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과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의 크기는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의 크기와 같을 수 있다.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과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 및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은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 및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 및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쉴드 결착부(2311)의 결착력은 증가할 수 있다. 제1 결착부(2311)와 메인 바디기판(110)의 결착이 유지되고, 메인 바디기판(110) 및 쉴드 바디기판(210)의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의 재질은 제1 쉴드 함몰영역(2311-3)의 재질과 상이할 수 있다. 제1 쉴드 함몰영역(2311-3)은 제1 쉴드 결착부(2311)의 결착이 용이하도록 탄성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과 메인 바디기판(110)의 상부면이 접촉하는 면적은, 제1 메인 연결부(131)가 메인 바디기판(110)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과 메인 바디기판(110)의 접촉면적이 클수록 메인 바디기판(100) 및 쉴드 바디기판(210)의 연결이 보다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제2 쉴드 잠금부재(232) 및 제3 쉴드 결착부(2321)가 추가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제2 쉴드 잠금부재(232)가 부가된 것 이외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1)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 패키지(1)는 메인 바디기판(110), 제1 메인 연결부(131), 제2 메인 연결부(132), 외부연결포트(140), 쉴드 바디기판(210), 제1 쉴드 연결부(221), 제2 쉴드 연결부(222), 제1 쉴드 잠금부재(231), 제2 쉴드 잠금부재(232), 제1 쉴드 결착부(2311) 및 제3 쉴드 결착부(23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 패키지(1)의 구성중 도 1 및 도 2에 포함된 구성에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쉴드 바디기판(210)은 제2 쉴드 잠금부재(23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쉴드 바디기판(210)은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측 면인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면은 제1 쉴드 잠금부재(231)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타면은 제2 쉴드 잠금부재(232)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쉴드 잠금부재(232)는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쉴드 잠금부재(232)는 외부연결포트(140)와 차단하지 않도록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쉴드 잠금부재(232)는 제3 쉴드 결착부(2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쉴드 결착부(2321) 메인 바디기판(110)의 제2 측(112)에 결착될 수 있다.
제 3 쉴드 결착부(2321)가 메인 바디기판(110)의 제3 측(113)에 결착할 경우, 외부연결포트(140)와 외부 전선의 연결이 어려워질 수 있다.
제 3 쉴드 결착부(2321)는 제 1 쉴드 결착부(2311)와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쉴드 결착부(2321)는 제 1 쉴드 결착부(2311)와 마찬가지로 돌출영역 및 함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쉴드 결착부(2321)는 제 1 쉴드 결착부(2311)와 동일한 방식으로 메인 바디기판(110)에 결착될 수 있다. 제3 쉴드 결착부(2321)는 제 1 쉴드 결착부(2311)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 3 쉴드 결착부(2321)가 추가됨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의 결착력은 향상될 수 있다. 제 3 쉴드 결착부(2321)가 추가됨에 따라, 제2 메인 연결부(132) 및 제2 쉴드 연결부(222)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4의 (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입체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실시예는 상기 제2 실시예에 돌기부(270) 및 커버부(280)가 추가되고, 제1 쉴드 결착부(2311)의 형태가 변형된 실시예이다.
도 4의 (b)는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의 측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 패키지(1)는 메인 바디기판(110), 제1 메인 연결부(131), 제2 메인 연결부(132), 외부연결포트(140), 쉴드 바디기판(210), 제1 쉴드 연결부(221), 제2 쉴드 연결부(222), 제1 쉴드 잠금부재(231), 제2 쉴드 잠금부재(232), 제1 쉴드 결착부(2311), 제3 쉴드 결착부(2321), 돌기부(270) 및 커버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3의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메인 바디기판(110)은 상기 내부배선을 통해 다른 부품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은 돌기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270)는 메인 바디기판(110)의 일면에 연결된 부품의 일부일 수 있다.
돌기부(270)는 메인 바디기판(110)의 상기 내부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돌기부(270)는 메인 바디기판(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70)는 날카로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270)는 외부 물체 또는 인체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돌기부(270)의 하부에는 커버부(28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280)는 돌기부(270)가 외부 물체 또는 인체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커버부(280)는 메인 바디기판(110)의 하부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커버부(280)는 제1 쉴드 잠금부재(231) 및 제2 쉴드 잠금부재(232)와 결착할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 및 쉴드 바디기판(210)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의 제1 메인 연결부(131)는 쉴드 바디기판(210)의 제1 쉴드 연결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의 제2 메인 연결부(132)는 쉴드 바디기판(210)의 제2 쉴드 연결부(222)와 연결될 수 있다.
쉴드 바디기판(210)은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측 면인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면은 제1 쉴드 잠금부재(231)와 결착될 수 있고, 상기 타면은 제2 쉴드 잠금부재(232)와 결착될 수 있다.
제2 쉴드 잠금부재(232)는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쉴드 잠금부재(232)는 외부연결포트(140)와 차단하지 않도록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제1 쉴드 결착부(2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쉴드 결착부(2311)는 상기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 및 상기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쉴드 결착부(2311)는 상기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 및 상기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외에, 상기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쉴드 돌출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쉴드 결착부(2311)는 상기 제1 쉴드 함몰영역(2311-3)외에, 상기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 및 상기 제3 쉴드 돌출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쉴드 함몰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쉴드 함몰영역(2311-3) 및 상기 제2 쉴드 함몰영역의 재질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 및 상기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의 재질은 상기 제3 쉴드 돌출영역의 재질과 상이할 수 있다. 제3 쉴드 돌출영역은 상기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과 대응될 수 있고, 제2 쉴드 함몰영역은 상기 제1 쉴드 함몰영역(2311-3)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3 쉴드 돌출영역은 마찰계수가 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280)는 상기 제2 쉴드 함몰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커버부(280)는 상기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 및 상기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커버부(280)가 상기 제1 쉴드 결착부(2311) 및 제2 쉴드 결착부(2321)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커버부(280)는 상기 제1 쉴드 결착부(2311) 및 제2 쉴드 결착부(23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80)는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280)는 탄성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280)는 비전도체일 수 있다. 커버부(280)는 돌기부(270)와 닿을 수 있다.
도 5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서브쉴드기판(300) 및 서브쉴드 잠금부재(240)가 추가된 실시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 패키지(1)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 및 인쇄회로기판의 쉴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쉴드(200)는 상기 쉴드기판(201) 및 서브쉴드기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쉴드기판(201)은 쉴드 바디기판(210), 제1 쉴드 연결부(221), 제2 쉴드 연결부(222), 제3 쉴드 연결부(223), 제4 쉴드 연결부(224) 및 제1 쉴드 잠금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쉴드 바디기판(210)은 일면과 타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일면은 상기 타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제1 쉴드 연결부(221) 및 제2 쉴드 연결부(222)는 상기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쉴드 연결부(223) 및 제4 쉴드 연결부(224)는 상기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쉴드 연결부(221) 및 제3 쉴드 연결부(223)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제2 쉴드 연결부(222) 및 제4 쉴드 연결부(224)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제3 쉴드 연결부(223) 및 제4 쉴드 연결부(224)는 서브쉴드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브쉴드기판(300)은 상기 쉴드기판(20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쉴드기판(300)은 상기 쉴드기판(201)과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서브쉴드기판(300)은 상기 쉴드기판(201)과 결합될 수 있다. 서브쉴드기판(300)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쉴드기판(300)은 메인 인쇄회로기판(100) 및 상기 쉴드기판(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서브쉴드기판(300)은 서브쉴드 바디기판(310), 제1 서브쉴드 연결부(321) 및 제2 서브쉴드 연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은 서브쉴드기판(300)의 뼈대를 구성할 수 있다.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은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은 일측과 타측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일측은 상기 타측의 반대측일 수 있다.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은 일면과 타면을 가질 수 있다.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의 상기 일면은 쉴드 바디기판(210)과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의 상기 타면은 상기 일면의 반대면일 수 있다.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은 기판의 일종으로서, 반도체, 컨덴서, 저항 등 각종 부품이 연결되어 부품 상호간을 연결시킬 수 있다.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은 내부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은 상기 내부배선을 통해 서브쉴드 바디기판(310) 상에 장착된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은 메인 인쇄회로기판(100)과 연결되어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은 제1 서브쉴드 연결부(321) 및 제2 서브쉴드 연결부(322)와 연결될 수 있다.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은 상기 내부배선을 통해 제1 서브쉴드 연결부(321) 및 제2 서브쉴드 연결부(3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서브쉴드 연결부(321)는 및 제2 서브쉴드 연결부(322)는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의 상기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서브쉴드 연결부(321)는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의 일측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서브쉴드 연결부(322)는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의 타측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서브쉴드 연결부(321)는 제3 쉴드 연결부(22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서브쉴드 연결부(321)는 제3 쉴드 연결부(223)와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서브쉴드 연결부(321)는 제3 쉴드 연결부(223)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서브쉴드 연결부(322)는 제4 쉴드 연결부(22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서브쉴드 연결부(322)는 제4 쉴드 연결부(224)와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제2 서브쉴드 연결부(322)는 제4 쉴드 연결부(224)와 결합될 수 있다.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은 서브쉴드 잠금부재(240)와 연결될 수 있다.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제1 서브쉴드 결착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쉴드 결착부(241)는 돌출영역 및 함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영역은 및 상기 함몰영역에 대해서는 도 2의 (b)에서 설명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서브쉴드 결착부(241)는 상기 쉴드기판(201)의 제4 쉴드 연결부(224)와 인접한 일 측에 결착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기판(110), 쉴드 바디기판(210) 및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바디기판(110) 및 쉴드 바디기판(210)의 연결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에서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쉴드 바디기판(210)의 일측에 결착될 수 있다.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제1 쉴드 잠금부재(231)가 쉴드 바디기판(210)과만나는 일측의 반대측에 결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제4 쉴드 연결부(224) 및 제2 서브쉴드 연결부(322)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쉴드 바디기판(210) 및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의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메인 바디기판(110)의 상기 제2 측(112)에 결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32), 상기 제2 쉴드 연결부(222), 제4 쉴드 연결부(224) 및 제2 서브쉴드 연결부(322)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기판(110), 쉴드 바디기판(210) 및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의 결합은 유지될 수 있다.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제1 서브쉴드 결착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쉴드 결착부(241)는 돌출영역 및 함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영역 및 상기 함몰영역에 대해서는 도 2의 (b)의 상기 제1 쉴드 돌출영역(2311-1), 상기 제2 쉴드 돌출영역(2311-2) 및 제1 쉴드 함몰영역(2311-3)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 패키지(1)는 메인 바디기판(110), 쉴드 바디기판(210) 및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기판(110), 쉴드 바디기판(210) 및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의 연결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쉴드 바디기판(210)은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쉴드 바디기판(210)은 제1 측, 제2 측, 제3 측, 제4 측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측, 제2 측, 제3 측 및 제4측은 쉴드 바디기판(210)의 각각의 측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측은 상기 제2 측의 반대측 면일 수 있다.
쉴드 바디기판(210)은 제1 쉴드 잠금부재(231) 및 서브쉴드 잠금부재(2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쉴드 바디기판(2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쉴드 바디기판(210)의 일측의 일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쉴드 바디기판(210)의 제1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쉴드 잠금부재(231)는 상기 제1 측의 일 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제1 쉴드 결착부(2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쉴드 결착부(2311)에 대해서는 도 2의 (b)에서 설명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의 일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쉴드 바디기판(210)의 상기 제1 측(111)에 결착될 수 있다.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제1 쉴드 잠금부재(231)가 결합되는 쉴드 바디기판(210)의 상기 제1 측(111)에 결착될 수 있다.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제1 쉴드 잠금부재(231)가 결합되는 쉴드 바디기판(210) 상기 제1 측(111)의 일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 결착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제1 측(111)의 중앙부에 결착될 수 있다. 이 때,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제1 쉴드 잠금부재(231)가 결착된 상기 제1 측(111)의 중앙부에 결착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제1 쉴드 잠금부재(231)가 결착되지 않은 상기 제1 측(111)의 측부에 결착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제1 측(111)의 측부에 결착될 수 있다. 이 때,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제1 쉴드 잠금부재(231)가 결착된 상기 제1 측(111)의 측부에 결착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때,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제1 쉴드 잠금부재(231)가 결착되지 않은 상기 제1 측(111)의 중앙부에 결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바디기판(110), 쉴드 바디기판(210) 및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의 결합은 유지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제1 메인 연결부(131) 및 제1쉴드 연결부(221)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제3 쉴드 연결부(223) 및 제1 서브쉴드 연결부(321)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와 서브쉴드 잠금부재(240)가 메인 바디기판(110)의 동일한 측면에서 서로 엇갈리게 결착됨에 따라, 쉴드 바디기판(210) 및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이 추가가 되더라도 제1 쉴드 잠금부재(231) 및 서브쉴드 잠금부재(240)는 동일한 측면에서 결착될 수 있다. 즉, 연결되는 바디기판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상기 바디기판간의 연결을 고정시키는 잠금부재는 상기 바디기판의 동일한 측면에서 결착될 수 있다.
도 8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패키지의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제1 쉴드 결착부(2311) 및 제2 쉴드 결착부(2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제1단 및 제2 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은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하부로서 메인 바디기판(110)과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은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상부로서 쉴드 바디기판(210)과 인접할 수 있다.
제1 쉴드 결착부(2311)는 상기 제1 단과 인접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쉴드 결착부(2312)는 상기 제2 단과 인접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쉴드 결착부(2311)는 메인 바디기판(110)의 일측에 결착될 수 있다. 제2 쉴드 결착부(2312)는 쉴드 바디기판(210)의 일측에 결착될 수 있다.
제1 쉴드 결착부(2311)에 대해서는 도 2의 (b)에서 설명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2 쉴드 결착부(2312)에 대해서는 도 2의 (b)에서 설명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6 실시예에 따른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형상은, 전술한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서, 제1 쉴드 잠금부재(231), 제2 쉴드 잠금부재(232) 및 서브쉴드 잠금부재(240)의 형상은 상기 제 6실시예에 따른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형상과 같아질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쉴드 바디기판(210)과 분리될 수 있다. 제2 쉴드 결착부(2312)는 쉴드 바디기판(210)과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쉴드 바디기판(210)과 분리되어 메인 바디기판(110)의 제2측(112) 및 상기 제2 측(112)에 대응되는 쉴드 바디기판(210)의 일측에 결착될 수 있다.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쉴드 바디기판(210) 및 서브쉴드 바디기판(310)에 결착될 수 있다. 즉, 제2 쉴드 결착부(2312)가 쉴드 바디기판(210)과 분리가능함에 따라, 제1 쉴드 잠금부재(231)의 범용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메인 바디기판(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고, 제1 쉴드 잠금부재(231)가 상기 홀에 결착됨으로써, 메인 바디기판(110) 및 쉴드 바디기판(210)의 연결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쉴드 잠금부재(231)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갈고리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홀을 관통하여 메인 바디기판(110)에 결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 -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제1 측에 인접한 제1 영역에 제공되는 제1 메인 연결부 및 상기 제1 측의 반대측인 제2 측에 인접한 제2 영역에 제공되는 제2 메인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2 측과 연결되는 제3 측에 인접한 제3 영역에 제공되는 외부연결포트를 포함함 - 에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기능이 확장되도록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쉴드기판;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기능이 확장되도록 상기 쉴드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서브쉴드기판;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쉴드기판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1 쉴드 잠금부재; 및
    상기 쉴드기판 및 상기 서브쉴드기판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하는 서브쉴드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기판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쉴드 연결부 및 상기 제2 메인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쉴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1 메인 연결부, 상기 제2 메인 연결부, 상기 제1 쉴드 연결부 및 상기 제2 쉴드 연결부가 보호되고, 상기 외부연결포트와 전선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측 및 상기 제2 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착되고,
    상기 제1 쉴드 연결부와 상기 제2 쉴드 연결부는 상기 쉴드기판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쉴드기판은 상기 쉴드기판의 타면에 위치하는 제3 쉴드 연결부 및 제4 쉴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쉴드기판은 상기 제3 쉴드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서브쉴드 연결부 및 상기 제4 쉴드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 서브쉴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쉴드 잠금부재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3 쉴드 연결부, 상기 제4 쉴드 연결부, 상기 제1 서브쉴드 연결부 및 상기 제2 서브쉴드 연결부가 보호되도록, 상기 쉴드기판에 결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는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결착되는 제1 쉴드 결착부 및 상기 쉴드기판에 결착되는 제2 쉴드 결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쉴드 결착부는 상기 쉴드기판과 분리가 가능한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의 제1 쉴드 결착부는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제1 측에 결착되고,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의 제2 쉴드 결착부는 상기 쉴드기판의 상기 제1 쉴드 연결부에 인접한 일 측에 결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의 반대측에서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결착되는 제2 쉴드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메인 바디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기판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와 접하고,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의 폭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의 폭 보다 크거나 같은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포트는 상기 제3 측의 외부로 돌출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쉴드는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 및 제2 쉴드 잠금부재와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쉴드 잠금부재는
    상기 쉴드기판에서의 결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와 상기 쉴드기판이 만나는 상기 쉴드기판의 일측의 반대측에 결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는 상기 제1 측의 일 영역에 결착되고,
    상기 서브쉴드 잠금부재는
    상기 제3 쉴드 연결부와 인접한 일 측에서 상기 쉴드기판에 결착되되, 상기 쉴드기판에서의 결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와 상기 쉴드 기판이 만나는 일 영역과 다른 영역에 결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쉴드 잠금부재는 상기 홀에 결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KR1020180028890A 2018-03-12 2018-03-12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KR102034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90A KR102034953B1 (ko) 2018-03-12 2018-03-12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90A KR102034953B1 (ko) 2018-03-12 2018-03-12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529A KR20190107529A (ko) 2019-09-20
KR102034953B1 true KR102034953B1 (ko) 2019-10-21

Family

ID=6806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890A KR102034953B1 (ko) 2018-03-12 2018-03-12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9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6534A (ja) * 2004-11-26 2006-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バイル機器内基板間接続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回路装置
JP2007234860A (ja) * 2006-03-01 2007-09-13 Nec Access Technica Ltd サポート部品および基板取付方法
KR100859697B1 (ko) * 2007-11-26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168A (ko) * 2012-04-18 2013-10-25 강호용 입력모듈 가변형 차량용 오디오 믹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6534A (ja) * 2004-11-26 2006-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バイル機器内基板間接続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回路装置
JP2007234860A (ja) * 2006-03-01 2007-09-13 Nec Access Technica Ltd サポート部品および基板取付方法
KR100859697B1 (ko) * 2007-11-26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529A (ko) 201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1887B2 (en) Switch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970702601A (ko) 전기커넥터용 도전성 시라우드
US3155767A (en) Connecting arrangement in electronic modular structures
US40854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ackaging density of discrete electronic components
US4116518A (en) Clip for paralleling packaged integrated circuit chips
KR102034953B1 (ko) 인쇄회로기판의 쉴드
US7040904B2 (en) Connector
US20160118753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2121912B1 (ko) 케이블 커넥터
KR102234775B1 (ko) 일체형 교육용 아두이노 실습키트
CN107871154B (zh) 无人飞行器
US9054466B2 (en) Integrated circuit assembly for high-frequency on-board printed circuit board testing,validation, and verification
US20090298327A1 (en) Connecting module
JP4286278B2 (ja) ソケット
JP6734395B2 (ja) データ伝送用のプラグコネクタ
KR102149844B1 (ko) 리셉터클 커넥터용 미드플레이트 및 리셉터클 커넥터
TWM623962U (zh) 側向移動式鎖固連接器
JP2013532389A5 (ko)
JPH03109798A (ja) 電子機器
TWI825477B (zh) 側向移動式鎖固連接器
KR200169744Y1 (ko) 납땜이 필요없는 전자회로 조립블록
TWI573340B (zh) 連接器及製造連接器之製造方法
KR20190056483A (ko) 아두이노 보관함
US6767222B2 (en) Protective contact cover for chip socket
WO2015093232A1 (ja) マイコン実装用プリント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