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287B1 -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 - Google Patents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287B1
KR102034287B1 KR1020170085786A KR20170085786A KR102034287B1 KR 102034287 B1 KR102034287 B1 KR 102034287B1 KR 1020170085786 A KR1020170085786 A KR 1020170085786A KR 20170085786 A KR20170085786 A KR 20170085786A KR 102034287 B1 KR102034287 B1 KR 102034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page
user
editing
photo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316A (ko
Inventor
엄소정
Original Assignee
(주)스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냅스 filed Critical (주)스냅스
Priority to KR1020170085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28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에 설치되며, 편집 중인 포토북에 리소스를 삽입하여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 필수 리소스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 리소스 중 셀렉 리소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 사양과 관계없이 저용량 사용에 따른 향상된 효율의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BROWSER EDITOR SYSTEM FOR PHOTO­BOOK EDITING SOFTWAR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에 설치되며, 편집 중인 포토북에 리소스를 삽입하여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휴대폰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들을 인화하여 포토북, 액자, 카드 또는 기프트(gift) 상품 등으로 제작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그 중 포토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사진(이미지)뿐만 아니라 이미지, 레이아웃, 배경, 스티커, 텍스트 등의 리소스가 필요하다.
종래의 포토북 편집 시스템는 소프트웨어 구동 시, 포토북 제작을 위한 항목에 따른 전체 리소스를 서버 또는 저장장치에서 일시에 호출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제공하였다.
이러한 경우, 종래의 포토북 편집 시스템는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PC,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컴퓨터 등)의 기기 사양에 따라 원활하게 구동되지 않거나, 사용 상의 문제가 발생되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 내 CPU, RAM, HDD의 사양에 따라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성능 변화가 발생하여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종래의 포토북 편집 시스템는 포토북 제작 및 편집을 위한 전체 리소스를 호출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최초 구동 시, 구동이 완료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전체 리소스의 사용은 사용자 단말기의 CPU 점유율 및 RAM 상주 용량 조절이 불가능하며, 고정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포토북 제작 및 편집을 제공하는 포토북 서비스의 성능 효율을 낮추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83473호(2006.05.18 등록), "문서편집 소프트웨어의 수식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5044호(2014.09.01 공개), "인터랙티브한 편집 시스템능이 구비된 멀티 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필수적인 리소스만 서버 또는 저장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며, 이후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 리소스를 추가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활성화)로 전환 및 관리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와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수 리소스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 리소스 중 셀렉 리소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 사양과 관계없이 저용량 사용에 따른 향상된 효율의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 내 연속적인 페이지를 편집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추가 또는 삭제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위치 및 모양을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에 설치되며, 편집 중인 포토북에 리소스를 삽입하여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필수 리소스의 목록을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 리소스를 호출하여 제공하는 리소스 메뉴부, 상기 필수 리소스 및 상기 선택 리소스 중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활성화되는 셀렉 리소스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셀렉 리소스의 편집을 제어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선택 리소스를 호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수 리소스, 상기 선택 리소스 및 상기 셀렉 리소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레이아웃, 배경, 스티커, 텍스트 등을 나타내며, 복수의 각 항목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소스 메뉴부는 상기 필수 리소스 및 상기 선택 리소스 중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리소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리소스 메뉴부는 상기 목록에 표시되는 필수 리소스 외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상기 선택 리소스의 추가를 위해 리소스 추가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의 최초 구동 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필수 리소스를 호출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 내 저장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선택 리소스를 호출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셀렉 리소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페이지의 추가 및 삭제의 편집을 제공하는 페이지 편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지 편집부는 상기 셀렉 리소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페이지 사이에 위치하며, 새로운 페이지를 추가하는 페이지 추가 모듈 및 상기 셀렉 리소스를 포함하는 페이지의 모양 및 위치를 강조하여 표기하며, 상기 표기된 페이지를 삭제하는 페이지 삭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이지 추가 모듈에 의해 상기 새로운 페이지가 추가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필수 리소스를 호출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에 설치되며, 포토북에 리소스를 삽입하여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필수 리소스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 리소스를 호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필수 리소스 및 상기 선택 리소스 중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활성화되는 셀렉 리소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셀렉 리소스 및 상기 선택 리소스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 및 호출된다.
상기 필수 리소스, 상기 선택 리소스 및 상기 셀렉 리소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레이아웃, 배경, 스티커, 텍스트 등을 나타내며, 복수의 각 항목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수 리소스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의 최초 구동 시,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필수 리소스를 호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리소스를 호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 내 저장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선택 리소스를 호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셀렉 리소스를 표시하는 단계는 페이지 내 상기 활성화되는 셀렉 리소스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수적인 리소스만 서버 또는 저장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며, 이후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 리소스를 추가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활성화)로 전환 및 관리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와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수 리소스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 리소스 중 셀렉 리소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 사양과 관계없이 저용량 사용에 따른 향상된 효율의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 내 연속적인 페이지를 편집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추가 또는 삭제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위치 및 모양을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메뉴부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편집부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에 설치되며, 편집 중인 포토북에 리소스를 삽입하여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100, 200)의 각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100)는 필수 리소스 및 선택 리소스 중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셀렉 리소스(Select Resources)의 편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100, 200)는 리소스 메뉴부(110, 210), 표시부(120, 2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리소스 메뉴부(110, 210)는 필수 리소스의 목록을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 리소스를 호출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면, 리소스 메뉴부(110, 210)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100)의 최초 구동 시, 사용자가 선택한 포토북의 스타일(여행, 커플, 가족 등의 테마) 및 사이즈에 기초하여, 각 스타일 및 사이즈에 적합한 필수 리소스를 표시(display)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수 리소스는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 내 저장장치에 저장된 것일 수 있으며, 선택된 포토북을 제작 및 편집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리소스일 수 있다.
이후, 리소스 메뉴부(110, 21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선택 리소스는 사용자 단말기 내 저장장치,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 내 저장장치 및 외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복수의 리소스 중 사용자의 선호도에 의해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리소스 메뉴부(110, 210)는 목록에 표시되는 필수 리소스 외에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 리소스의 추가를 위해 리소스 추가 버튼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리소스 추가 버튼을 클릭하는 선택 입력함으로써, 선택 리소스를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리소스 메뉴부(110, 210)는 필수 리소스 및 선택 리소스 중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리소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소스 메뉴부(110, 21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클릭 입력, 드래그 입력 또는 더블클릭 입력 등)에 기초하여 강조 표시, 체크 표시, 활성화 표시 등의 리소스 활성화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20, 220)는 필수 리소스 및 선택 리소스 중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활성화되는 셀렉 리소스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20, 220)는 포토북 제작 및 편집을 위해, 포토북에 반영되는 복수의 각 페이지를 디스플레이(display, 표시)하며, 셀렉 리소스, 이미지 및 사진틀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셀렉 리소스는 필수 리소스 및 사용자에 의해 추가된 선택 리소스 중 페이지를 제작 및 편집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하여 활성화된 리소스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수 리소스, 상기 선택 리소스 및 상기 셀렉 리소스는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레이아웃, 배경, 스티커, 텍스트 등을 나타내며, 복수의 각 항목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표시부(120, 220)에 표시된 셀렉 리소스의 편집을 제어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선택 리소스를 호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100)의 최초 구동 시,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 내 저장장치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필수 리소스를 호출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 내 저장장치,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 내 저장장치 및 외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 리소스를 호출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 기기로,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포토북을 제작 및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표시부(120, 220)에 표시된 셀렉 리소스 및 이미지에 대한 배치, 배열, 이동, 확대 또는 축소, 회전 등의 편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포토북 옵션(스타일, 사이즈 등)의 변경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100)는 입력부(140) 및 페이지 편집부(150, 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페이지 편집부(150, 230)는 셀렉 리소스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영역이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페이지에 대한 추가 및 삭제의 편집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페이지 편집부(150, 230)는 셀렉 리소스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페이지를 표시하며,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페이지를 추가하는 페이지 추가 모듈(미도시) 및 페이지의 모양 및 위치를 강조하여 표기하며, 표기된 페이지를 삭제하는 페이지 삭제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이지 편집부(150, 230)는 페이지 추가 모듈 및 페이지 삭제 모듈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새로운 페이지를 추가하거나, 선택된 페이지를 삭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추가된 새로운 페이지는 진행 중인 포토북의 스타일 및 사이즈와 동일한 옵션의 페이지일 수 있으며, 기본적인 필수 리소스 및 사진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페이지 추가 모듈에 의해 새로운 페이지가 추가되는 경우,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 내 저장장치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필수 리소스를 호출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메뉴부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포토북의 제작 및 편집을 위한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내 리소스 메뉴부(30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메뉴부(300)에 대한 리소스 표현방식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메뉴부(300)는 복수의 항목(310), 필수 리소스(321), 선택 리소스(331) 및 리소스 추가 버튼(340)을 포함할 수 있다.
항목(310)은 포토북의 제작 및 편집을 위한 카테고리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사진, 레이아웃, 배경 및 스티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항목(310)은 적용되는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메뉴부(300)는 필수 카테고리(320) 및 필수 리소스(321)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 카테고리(330) 및 선택 리소스(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수 카테고리(320) 및 선택 리소스(330)는 '현재 디자인의 배경(커버)' 및 '내가 가져온 배경(커버)'의 문구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항목(310) 별로 서로 다른 문구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필수 리소스(321)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의 최초 구동 시, 사용자가 선택한 포토북의 스타일(여행, 커플, 가족 등의 테마) 및 사이즈에 맞춤형으로 설정된 기본 리소스일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필수 리소스(321)는 기본인 흰색 배경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선택 리소스(331)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리소스 추가 버튼(340)의 활성화에 의해,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 내 저장장치, 사용자 단말기 내 저장장치 및 외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리소스 중 사용자의 선호도에 의해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 내 저장장치 또는 외부 장치는 한 페이지당 포함시키고자 하는 이미지(사진) 수에 적합한 레이아웃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 내 저장장치는 단색, 단색혼합, 패턴, 그래픽, 텍스처, 회화/브러시, 노트/다이어리, 일러스트, 전통, 모노톤 등의 배경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 내 저장장치는 텍스트 한글, 텍스트 영문, 캘리/손글씨 한글, 캘리/손글씨 영문, 일러스트, 그래픽, 선/도형, 숫자, 아이콘, 이모티콘, 테이프/라벨, 말풍선, 꽃/식물, 동물, 사물, 음식, 하트, 곰신꾸나, 교육 등의 스티커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는 사용자 단말기 내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사진 리소스(또는 이미지 리소스)를 호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연동되는 구글포토,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로부터 선택 리소스(331)를 호출하여 리소스 메뉴부(300)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수 리소스(321) 및 선택 리소스(331)의 종류, 디자인, 배열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메뉴부(300)는 필수 리소스(321) 및 선택 리소스(331) 중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리소스의 활성화(351) 또는 비활성화(352)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메뉴부(300)는 필수 리소스(321) 및 선택 리소스(331)를 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된 리소스 중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셀렉 리소스의 활성화(351)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활성화(351)는 강조 표시, 체크 표시 및 활성화 표시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메뉴부(300)는 사진, 레이아웃, 배경, 스티커의 각 항목(310)에서의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셀렉 리소스의 활성화(351)를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리소스를 비활성화(352)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메뉴부(300)는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최소한의 필수 리소스(321) 외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택 리소스(331)의 호출을 위한 리소스 추가 버튼(340, 353)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포토북 편집 시스템는 포토북의 제작 및 편집을 위해 사용 가능한 전체 리소스를 호출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활성화)로 관리하였다. 이에 따라서, 종래의 포토북 편집 시스템는 실행 후 구동이 완료되기 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으며, 전체 리소스 사용으로 CPU 점유율 및 RAM 상주 용량 조절이 불가능하여 고정적으로 사용한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에 반해,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소스 메뉴부(300)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의 구동 이후, 필수 리소스(321) 외에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 리소스(331)만 추가적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활성화(351))로 변경함으로써, CPU 점유율 및 RAM 상주 용량 조절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른 추가적인 선택 리소스(331) 또는 저장되어 유지되는 포토북 사용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사용하였던 선택 리소스(331)를 호출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으로 자동적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토북 사용 히스토리는 사용자의 아이디, 비번, 연락처 및 메일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유지되는 포토북, 액자, 카드, 머그컵, 텀블러, 핸드폰케이스 및 가렌드 등의 사용 히스토리일 수 있으며, 포토북, 액자, 카드, 머그컵, 텀블러, 핸드폰케이스 및 가렌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작 및 편집하였던 리소스 및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400)는 페이지(410) 내 레이아웃 리소스(420), 이미지 리소스(440), 스티커 리소스(431) 및 텍스트 리소스(432)를 표시(display)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이지(410)는 흰색의 배경 리소스가 적용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미지 리소스(440), 스티커 리소스(431) 및 텍스트 리소스(432)의 배치 및 배열이 기본적으로 설정된 형태의 레이아웃 리소스(420)가 적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레이아웃 리소스(420), 이미지 리소스(440), 스티커 리소스(431), 텍스트 리소스(432)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해 활성화된 셀렉 리소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부(400)는 포토북을 구성하는 복수의 페이지 각각 마다 서로 다른 레이아웃 리소스(420), 이미지 리소스(440), 스티커 리소스(431), 텍스트 리소스(432)를 표시할 수 있으며, 레이아웃 리소스(420), 이미지 리소스(440), 스티커 리소스(431), 텍스트 리소스(432)의 구성, 배열, 배치, 리소스 디자인은 적용되는 실시예 또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편집부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편집부(500)는 셀렉 리소스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페이지(501)를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영역이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페이지(501)에 대한 추가 및 삭제의 편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편집부(500)는 셀렉 리소스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페이지(501) 사이에 위치하여 새로운 페이지를 추가하는 페이지 추가 모듈(510)과, 페이지(501)의 모양(구성) 및 위치를 강조 표기(520)하며, 강조 표기된 페이지(520)를 삭제하는 페이지 삭제 모듈(5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지 추가 모듈(510) 및 페이지 삭제 모듈(521)은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해 페이지를 삭제 또는 추가하는 아이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편집부(500)는 양 쪽을 나타내는 페이지(501)를 연속적으로 나열하여 표시하며, 복수의 페이지(501) 각 사이에 페이지 추가 모듈(510)을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편집부(500)는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예를 들면, 클릭 입력)되어 위치 및 구성이 강조 표기된 페이지(520)와, 그에 따른 페이지 삭제 모듈(521)을 제공함으로써, 삭제에 대한 사용자의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삭제 시, 사용자에게 페이지 삭제에 대한 재확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팝업 창을 이용하여 페이지 삭제에 대한 삭제 여부를 재차 확인할 수도 있다.
종래의 포토북 편집 시스템는 포토북을 구성하는 연속적인 페이지를 표시하는 영역에서, 고정된 위치의 버튼 또는 메뉴를 사용하여 페이지의 추가 또는 삭제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추가되는 페이지의 위치를 쉽게 인지하기 어려우며, 의도한 위치와 달라 페이지의 추가 후, 페이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이에 반해,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편집부(500)는 포토북을 구성하는 연속적인 페이지를 표시하는 영역에서, 추가 또는 삭제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위치 및 모양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표현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편집부(500)는 추가되는 페이지의 위치 및 좌/우 페이지의 모습을 표기하기 위한 페이지 추가 모듈(510)을 배치하고, 페이지의 위치 및 구성된 형태를 표기하기 위한 페이지 삭제 모듈(521)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610)의 일 예일 뿐이고,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610)는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를 포함한 구성 또는 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사용되는 '~부' 및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610)는 디스플레이부(611), 메모리부(612), 통신부(613), 입력부(614), 출력부(615) 및 제어부(616)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611)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120)를 일컫을 수 있고, 입력부(614)는 도 1에 도시된 입력부(140)를 일컫을 수 있으며, 제어부(616)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30)를 일컫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11)는 다수의 영역들 각각에 위치하는 다수의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햅틱(haptic) 접촉 또는 택틸(tactile)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터치­감지 표면, 센서 또는 센서 집합에 기초하여 기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611)는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셀렉 리소스, 이미지 및 사진틀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611)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610)와 사용자 사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61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612)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61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 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활성화되는 셀렉 리소스, 이미지 및 복수의 페이지를 포함하는 포토북을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맞춤형 포토북 사용 히스토리(history)로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612)에 대한 액세스는 제어부(616)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통신부(613)는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13)는 전기 신호를 전자기 신호로 변환하거나 전자기 신호로부터 전기 신호를 변환하고, 전자기 신호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 다른 통신 장치 및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통신부(613)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회로는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 신호 처리기, CODEC 칩셋, 가입자 식별 모듈(SIM) 카드, 메모리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로, 통신부(613)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및/또는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등의 무선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또는 월드 와이드 웹(WWW)이라고도 불리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및 기타 장치와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의) Wi­Fi(Wireless Fidelity),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LTE(Long Term Evolution), 지그비(Zigbee), Z­wave,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Beacon),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및/또는 POP(Post Office Protocol) 등의 이메일용 프로토콜,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SIMPLE(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Leveraging Extensions), IMPS(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의 인스턴트 메시징, 또는 본원의 출원일 당시에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무선 통신에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복수의 통신 표준, 프로토콜 및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613)는 리소스를 호출하여 제공하기 위해 외부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입력부(614)는 키보드, 터치 패드,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조이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포트, USB 포트 및 마우스 등 포인터 장치 중 임의의 것과 결합할 수 있다.
출력부(615)는 오디오 모듈, 스피커 모듈 및 진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출력부(615)는 포토북 서비스의 제작 및 편집 중 발생할 수 있는 알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출력부(615)는 오디오 모듈, 스피커 모듈 또는 부저를 이용하여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여 경고등을 점멸할 수 있으며, 진동 모듈을 이용하여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616)는 프로세서,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16)는 디스플레이부(611), 메모리부(612), 통신부(613), 입력부(614) 및 출력부(615)에 의하여 수행되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6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616)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6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어부(616)는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제어부(616)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16)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616)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에 설치되며, 포토북에 리소스를 삽입하여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710에서 필수 리소스의 목록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단계 710은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의 최초 구동 시, 사용자가 선택한 포토북의 스타일(여행, 커플, 가족 등의 테마) 및 사이즈에 기초하여, 각 스타일 및 사이즈에 적합한 필수 리소스를 표시(display)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필수 리소스는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 내 저장장치에 저장된 것일 수 있으며, 선택된 포토북을 제작 및 편집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리소스일 수 있다.
단계 720에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 리소스를 호출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면, 단계 720은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 내 저장장치,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 내 저장장치 및 외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되어 유지되는 복수의 리소스 중 사용자의 선호도에 의해 선택된 선택 리소스를 호출하여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730에서 필수 리소스 및 선택 리소스 중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활성화되는 셀렉 리소스를 표시한다. 이때, 셀렉 리소스 및 선택 리소스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편집 및 호출된다.
예를 들면, 단계 730은 포토북 제작 및 편집을 위해, 포토북에 반영되는 복수의 각 페이지를 디스플레이(display, 표시)하며, 셀렉 리소스, 이미지 및 사진틀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셀렉 리소스는 필수 리소스 및 사용자에 의해 추가된 선택 리소스 중 페이지를 제작 및 편집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하여 활성화된 리소스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수 리소스, 상기 선택 리소스 및 상기 셀렉 리소스는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레이아웃, 배경, 스티커, 텍스트 등을 나타내며, 복수의 각 항목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200, 610: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210, 300: 리소스 메뉴부
220, 400: 표시부
230, 500: 페이지 편집부
310: 항목
320: 필수 카테고리
330: 선택 카테고리
321, 331, 420, 431, 432, 440: 리소스
340: 리소스 추가 버튼
351: 리소스의 활성화
352: 리소스의 비활성화
410, 501: 페이지
510: 페이지 추가 모듈
520: 강조 표기된 페이지
521: 페이지 삭제 모듈

Claims (14)

  1. 필수 리소스의 목록을 표시하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선택 리소스를 호출하여 제공하는 리소스 메뉴부;
    상기 필수 리소스 및 상기 선택 리소스 중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활성화되는 셀렉 리소스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셀렉 리소스의 편집을 제어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선택 리소스를 호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셀렉 리소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된 페이지의 추가 및 삭제의 편집을 제공하는 페이지 편집부를 포함하되,
    상기 리소스 메뉴부는
    상기 필수 리소스 및 상기 선택 리소스 중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리소스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표시하며, 상기 목록에 표시되는 필수 리소스 외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른 상기 선택 리소스의 추가를 위해 리소스 추가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필수 리소스 및 사용자에 의해 추가된 상기 선택 리소스 중 페이지 제작 및 편집을 위해 활성화된 상기 셀렉 리소스, 이미지 및 사진틀을 진행 중인 포토북의 스타일 및 사이즈와 동일한 옵션의 새로운 페이지에 표시하며,
    상기 페이지 편집부는
    상기 셀렉 리소스를 포함하는 복수의 페이지 각 사이에 위치하고, 추가되는 페이지의 위치 및 좌/우 페이지의 모습을 표기하여 상기 새로운 페이지를 추가하는 페이지 추가 모듈, 및 페이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셀렉 리소스를 포함하는 페이지의 모양 및 위치를 강조하여 표기하며, 상기 표기된 페이지를 삭제하는 페이지 삭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이지 추가 모듈에 의해 상기 새로운 페이지가 추가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필수 리소스를 호출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 리소스, 상기 선택 리소스 및 상기 셀렉 리소스 중 어느 하나는
    포토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레이아웃, 배경, 스티커, 텍스트 등을 나타내며, 복수의 각 항목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의 최초 구동 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필수 리소스를 호출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 내 저장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선택 리소스를 호출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0085786A 2017-07-06 2017-07-06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 KR102034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786A KR102034287B1 (ko) 2017-07-06 2017-07-06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786A KR102034287B1 (ko) 2017-07-06 2017-07-06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316A KR20190005316A (ko) 2019-01-16
KR102034287B1 true KR102034287B1 (ko) 2019-10-18

Family

ID=6528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786A KR102034287B1 (ko) 2017-07-06 2017-07-06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28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907A (ja) 2000-08-03 2002-02-15 Canon Inc デジタルアルバム作成装置およびデジタルアルバム作成方法
JP2003230005A (ja) 2001-09-19 2003-08-15 Nakabayashi Co Ltd アルバム制作システム、および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494477B1 (ko) 2004-06-14 2005-06-10 주식회사 아지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사진 서비스 방법
JP2007311840A (ja) 2006-05-16 2007-11-29 Cho & Company Co Ltd テンプレート編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016426A1 (en) * 2009-07-20 2011-01-20 Aryk Erwin Grosz Color Selection and Application Method for Image and/or Text-Based Projects Created Through an Online Editing Tool
JP2016018418A (ja) 2014-07-09 2016-02-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ォトブック作成プログラム、端末、編集方法、フォトブック製造方法、及び、フォトブック作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473B1 (ko) 2003-12-18 2006-05-24 김문수 문서편집 소프트웨어의 수식 편집기 및 그 편집방법
KR20080077035A (ko) * 2006-12-13 2008-08-21 김성경 디지털 사진 인화 주문 방법과 디지털 사진 인화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090062211A (ko) * 2007-12-12 2009-06-17 엘지엔시스(주) 데이터 파일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이의 시스템
KR101645487B1 (ko) * 2009-10-12 2016-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편집 기능을 갖는 전자 매뉴얼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45152A (ko) *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그의 템플릿 기반 컨텐츠 제작 서비스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적용한 단말 장치
KR20140015675A (ko) * 2012-07-05 2014-02-07 주식회사 미래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포토북 편집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포토북 제작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907A (ja) 2000-08-03 2002-02-15 Canon Inc デジタルアルバム作成装置およびデジタルアルバム作成方法
JP2003230005A (ja) 2001-09-19 2003-08-15 Nakabayashi Co Ltd アルバム制作システム、および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494477B1 (ko) 2004-06-14 2005-06-10 주식회사 아지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이미지사진 서비스 방법
JP2007311840A (ja) 2006-05-16 2007-11-29 Cho & Company Co Ltd テンプレート編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016426A1 (en) * 2009-07-20 2011-01-20 Aryk Erwin Grosz Color Selection and Application Method for Image and/or Text-Based Projects Created Through an Online Editing Tool
JP2016018418A (ja) 2014-07-09 2016-02-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フォトブック作成プログラム、端末、編集方法、フォトブック製造方法、及び、フォトブック作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316A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900B1 (ko) 터치 감응형 이차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들을 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US20210042028A1 (en) Sharing user-configurable graphical constructs
EP3352438B1 (en) User terminal device for recommending response message and method therefor
US9207837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multiple levels of interaction with a program
KR102148541B1 (ko) 리본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하는 기법
US8610722B2 (en) User interface for an application
JP2021507364A (ja) 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の表示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記憶媒体
US20140157200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4002107B1 (en) Data bind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of mini program, and storage medium
CN105683895A (zh) 提供用户交互的用户终端设备及其方法
TW201333784A (zh) 控制具有螢幕之電子裝置的方法、電子裝置及電腦程式產品
KR20140128208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1221A (ko) 페이지 구성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TW201333822A (zh) 用以在螢幕間提供過渡之裝置及方法
KR20160140795A (ko) 일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엘리먼트
WO2018040547A1 (zh) 一种创建群组的方法及装置
KR20220054373A (ko) 정보 입력 방법, 단말기 및 비임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JP2018509673A (ja) 対話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対話サービス提供デバイス
US20130155112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raphically transitioning between multiple program interface levels of a program
KR102034287B1 (ko)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브라우저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
US201501696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index page using content authoring tool
US10283082B1 (en) Differential opacity position indicator
KR102069215B1 (ko)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모바일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
US1092460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994685B1 (ko) 포토북 편집 소프트웨어의 포토북 편집 시스템 및 그 편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