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260B1 - 보일러 배가스가 친환경 세정되어 대기오염이 저감되는 스마트 팜 - Google Patents

보일러 배가스가 친환경 세정되어 대기오염이 저감되는 스마트 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260B1
KR102031260B1 KR1020190040968A KR20190040968A KR102031260B1 KR 102031260 B1 KR102031260 B1 KR 102031260B1 KR 1020190040968 A KR1020190040968 A KR 1020190040968A KR 20190040968 A KR20190040968 A KR 20190040968A KR 102031260 B1 KR102031260 B1 KR 102031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discharged
boiler
green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0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7Metering or regula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재배를 위한 온실 시스템으로서, 온실에 열을 공급하는 보일러; 상기 온실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저장부;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가스가 유입되는 스크러빙부; 내부에 막 모듈이 위치하며, 상기 스크러빙부에서 배출되는 세정수가 유입되는 오염수 처리부; 및 상기 보일러, 상기 양액 저장부 및 상기 스크러빙부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스마트 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일러 배가스가 친환경 세정되어 대기오염이 저감되는 스마트 팜{Smart farm capable of reducing air pollution by eco-cleaning boiler flue gas}
본 발명은 식물 재배를 위한 스마트 팜으로서, 상세하게는 온실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가스를 유입수를 이용하여 세정함으로써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스마트 팜에 관한 것이다.
양액 재배는 일반적인 토양재배와 다르게 작물에 공급되는 물과 양분을 동시에 조절하여 인공토양(배지)에 공급하면서 재배하는 방식이다.
양액 재배 방법은 시비 방법이 간편하고 관행적인 토양재배보다 토양 중의 비료 농도를 적량으로 낮게 조절할 수 있어서 토양에 염류 집적 장해가 나타나지 않게 되어 연작장해 경감 및 비료의 오용을 줄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딸기, 파프리카, 토마토 등 시설재배에 보편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재배시 작물에 따라 15 내지 18℃ 정도의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특히 겨울철에는 양분의 흡수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외부 열원 등을 추가로 설치하여 온실 내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액 재배를 위한 기존의 온실 시스템은, 양액 저장부(40)에 물을 공급하고, 공급된 물에 양분과 pH조절제를 투입하여 양액을 제조하여 온실(10)로 공급한다.
그리고, 온실(10)과 연결된 보일러(20)를 통하여 열매체를 가열하여 온실(10)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 튜브(11)에 공급함으로써, 온실(10) 내의 온도를 조절한다.
특허문헌 1에는 탄화수소를 연료로 하는 보일러의 열교환을 통하여 온실 내의 온도를 조절하고, 보일러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가스를 온실에 공급하여, 배가스 내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온실 내의 식물의 광합성에 이용하도록 하는 온실 재배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보일러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가스를 직접 온실에 공급하므로, 고체 연료나 불순물이 포함된 저급연료 등을 사용하는 경우, 연소에 의해 질소산화물 등의 오염물질이 배가스에 포함되고, 이러한 배가스를 온실 내에 직접 공급할 수는 없으므로, 탄화수소로만 이루어진 액체 또는 기체연료를 사용하여야만 하는 제약이 있으며, 이는 곧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JP 5,451,473 B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온실의 열을 공급하기 위한 보일러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가스를 유입수를 세정수로서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처리 및 재사용하고, 배가스 처리에 사용된 세정수를 재순환시켜 재배 효율을 향상시키는 스마트 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온실에 열을 공급하는 보일러; 상기 온실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저장부; 상기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가스가 유입되는 스크러빙부; 내부에 막 모듈이 위치하며, 상기 스크러빙부에서 배출되는 세정수가 유입되는 오염수 처리부; 및 상기 보일러, 상기 양액 저장부 및 상기 스크러빙부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스마트 팜을 제공한다.
상기 유입수는 수처리부에서 막여과 처리되어 상기 보일러, 상기 양액 저장부및 상기 스크러빙부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일러에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가스는 상기 스크러빙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상기 배가스는 상기 유입수에 의해 습식 스크러빙되어 배출되고, 상기 배가스의 습식 스크러빙에 의해 발생하는 오염수는 상기 오염수 처리부로 유입되어 상기 막 모듈에 의해 여과처리되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러빙부에서 세정되어 배출되는 배가스는 상기 온실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입수를 저장하여 상기 보일러로 공급되도록 하는 보충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일러가 동작하면, 상기 밸브는 상기 유입수가 상기 스크러빙부로 공급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염수 처리부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pH 조절용으로 상기 양액 저장부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수가 수처리부에서 막여과 처리된 처리수를 저장하는 처리수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수 저장부에 저장된 처리수가 상기 오염수 처리부에서 배출되는 배출수 라인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염수 처리부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상기 스크러빙부로 공급되어 순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염수 처리부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상기 수처리부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염수 처리부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상기 보일러에서 상기 온실로 열을 공급하는 열교환 튜브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팜에 의하면, 온실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유입수를 사용하여 친환경 세정하므로, 세정에 필요한 추가설비나 물이 필요하지 않으며 보일러 배가스 배출에 의한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
오염물질을 포함한 세정수를 여과처리하여 배출할 수 있고, 또한, 오염물질이 제거된 배가스를 온실에 공급하여 온실 내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저급연료를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염수 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재순환 시킴으로써, 유입수 사용량 절감, 양액 제조비용 절감, 유입수의 염분문제 해결 및 열교환 튜브의 부식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양액 재배를 위한 기존의 스마트 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팜은, 온실(100), 보일러(200), 양액 저장부(400), 스크러빙부(500), 오염수 처리부(600), 막 모듈(610)을 포함한다.
온실(100)은 그 내부에 식물을 생육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온실(100)에는 그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열매체가 유동할 수 있는 열교환 튜브(110)가 위치한다.
온실(100)은 일반적으로 식물을 생육하는 데에 사용되는 공지된 온실(100)이면 되므로, 그 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일러(200)는 온실(100)과 연결되어 위치한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가 열매체로서 보일러(200)로 공급된다.
상기한 유입수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지하수 또는 해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보일러(200)에 투입되는 연료가 연소됨에 따라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된 유입수(열매체)가 온실(100)의 열교환 튜브(110)를 통하여 온실 내부와 열교환 하면서 온실(100)의 온도가 조절된다.
유입수는 보일러(200)와 온실(100)의 열교환 튜브(110) 내를 순환하면서 온실(100)의 온도를 조절한다.
보일러(200)는, 액체 연료나 기체연료는 물론이고, 고체연료나 바이오매스 등의 연료의 연소가 가능한 보일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배가스의 처리는 후술한다.
보일러(200)와 온실(100)을 연결하는 라인 상에는 보충수 공급부(300)가 위치하여 열매체인 물을 연결 라인에 공급하여 보충한다.
즉, 유입수는 보일러(200)에 직접 유입될 수도 있으나, 보충수 공급부(300)로 유입시켜 저장해두었다가 보충수 공급부(300)로부터 보일러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열교환 튜브(110)에서 열매체가 순환함에 따라 줄어든 열매체를 보충수 공급부(300)로부터 보일러(200)로 공급하여 보충되도록 할 수 있다.
양액 저장부(400)는 온실(100)과 연결되어, 온실(100) 내에 양액을 공급한다.
양액은 작물의 생육에 꼭 필요한 양분을 각각의 흡수량의 비율에 맞추어 물에 용해시킨 것으로써, 외부로부터 양액 저장부(400)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양액 공급수로서 저류하고 저류된 양액 공급수에 양분을 용해시키고, pH조절제를 투입하여 양액을 제조하고, 이를 온실(100) 내에 공급함으로써 온실(100) 내 식물의 생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스크러빙부(500)는 보일러(200)와 연결되어, 보일러(200)에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가스가 유입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가 스크러빙부(500)로 공급되어 스크러빙부(500) 내의 분사부(510)에 의해 분사된다.
분사부(510)에서 분사되는 유입수에 의해 배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및 미세입자가 세정되어 제거되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배가스는 외부로 배출된다.
약품 주입부(520)는 스크러빙부(500)로 세정에 필요한 약품을 추가로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유입수는 외부로부터 직접, 보일러(200), 온실(100) 및 스크러빙부(50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으나, 유입수의 유입 유량이 일정하지 않거나, 지하수를 사용하는 경우 등 유입수의 전처리가 필요할 수가 있다.
따라서, 유입수의 유입부에 유입수 저장부(410)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를 유입수 저장부(410)에 저장하였다가 일정한 유량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유입수 저장부(410) 전단에는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펌프(P)가 구비된다.
유입수 저장부(410)부의 후단에는 유입수 저장부(410)에 저장된 물을 여과하기 위한 수처리부(420)가 구비된다.
수처리부(420)는 유입수를 정화처리 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되고,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유입수의 수질에 따라 카트리지 필터, 역삼투막 등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유입수 저장부(410)에 저장된 물이 수처리부(420)로 유입되어 여과됨으로써 처리수로 배출된다.
처리수 저장부(430)는 수처리부(420)의 후단에 연결되어, 수처리부(420)에서 여과처리된 처리수를 저장하였다가, 보일러(100)(또는 보충수 공급부(300)), 양액 저장부(400) 및 스크러빙부(500)로 공급되도록 한다.
밸브(V1)는 유입수가 보일러(100)(또는 보충수 공급부(300)), 양액 저장부(400) 및 스크러빙부(500)로 공급되도록 하는 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유입수(또는 처리수)의 선택적인 유입 또는 유입량을 조절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밸브(V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오염수 처리부(600)는 스크러빙부(500)와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막 모듈(610)이 배치된다.
막 모듈(610)은 세라믹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무기막으로 구성된다.
스크러빙부(500)에서 배가스의 세정에 의해 발생하는 오염수에는 배가스에 포함되어 있던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및 입자성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산성을 띄게 되는데, 유기막을 사용하는 경우 산성인 오염수에 의해 막이 쉽게 파손되기 때문이다.
스크러빙부(500)에서 유입수에 의한 배가스 세정에 의해 발생하는 오염수가 오염수 처리부(600)로 유입되어 막 모듈(610)에 의해 여과처리되어 배출된다.
한편, 오염수에 포함되어 막 모듈(610)에 의해 여과된 입자성 오염물질(dust)는 오염수 처리부(600) 하부에 위치한 수집부(620)에서 수집되어 배출된다.
오염수 처리부(600)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오염수는, 오염수 처리부(600)와 각각 연결된 스크러빙부(500), 양액 저장부(400), 수처리부(420) 및 열교환 튜브(110)로 공급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하, 첨부된 도 2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실(100)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유입수는 펌프(P)를 통하여 외부에서 유입되어 유입수 저장부(410)에 저장되고, 수처리부(420)를 통하여 여과처리된다.
여과처리된 처리수는 처리수 저장부(430)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수처리부(420)에서 처리되어 처리수 저장부(430)에 저장된 처리수는 밸브(V1)에 의해, 보일러(100)(또는 보충수 공급부(300)), 양액 저장부(400) 및 스크러빙부(500)로의 공급이 조절된다.
양액의 제조 및 공급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밸브(V1)를 동작시켜 처리수 저장부(430)에 저장된 처리수를 양액 공급수로서 양액 저장부(400)로 공급하고, 양액 저장부(400)로 공급되어 저류된 양액 공급수에,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각각의 흡수량의 비율에 맞추어 물에 용해시키고 pH 조절제를 투입하여 양액을 제조하고, 이를 온실(100)로 공급한다.
온실(100)의 온도를 올리려는 경우, 제어부는 밸브(V1)를 동작시켜 처리수 저장부(430)에 저장된 처리수를 보일러(200)로 공급되도록 하고, 보일러(200)를 동작시켜 가열된 처리수를 열매체로서 온실(100)의 열교환 튜브(110)로 순환시킨다.
또는, 제어부는 밸브를 동작시켜 처리수 저장부(430)에 저장된 처리수를 보충수 공급부(300)로 공급되도록 하고, 보충수 공급부(300)에 저장된 처리수를 보일러(200)에 공급하고, 보일러(200)의 동작에 의해 가열된 유입수를 온실(100)의 열교환 튜브(110)로 순환시킨다.
제어부는 보일러(200)의 연소가 이루어짐과 함께 밸브(V1)를 동작시켜 처리수 저장부(430)에 저장된 처리수가 스크러빙부(500)로 공급되어 분사부(510)에 의해 분사되도록 한다.
보일러(200)에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가스는 스크러빙부(500)로 투입되며, 배가스가 스크러빙부(500)에 유입되면, 공급되는 배가스는 분사부(510)로부터 분사되는 처리수에 의해 세정되어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가스는 오염물질은 제거된 상태이나, 이산화탄소는 포함하고 있는 상태로서, 이를 온실(100)에 공급하여 식물에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스크러빙부(500)에서의 배가스 세정에 의해 발생하는 오염수는 오염수 처리부(600)로 유입되고, 막 모듈(610)에 의해 여과처리되어 배출수로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제어부는 오염수 처리부(600)와, 스크러빙부(500), 양액 저장부(400), 수처리부(420) 및 열교환 튜브(110)를 각각 연결하는 라인 상에 설치되는 각 밸브(V2, V3, V4, V5)를 조절한다.
이로써, 오염수 처리부(600)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배출수는, 스크러빙부(500), 양액 저장부(400), 수처리부(420) 및 열교환 튜브(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공급된다.
물을 분사하여 배가스를 세정하는 스크러빙부(500)의 구성은 상당히 많은 물을 필요로 하는데, 상기와 같이 오염수 처리부(60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다시 스크러빙부(500)로 재순환시킴으로써 사용되는 유입수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온실(100)에 공급되는 양액은 약산성으로 제조되는데, 오염수 처리부(60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도 산성을 띄므로, 이 배출수를 양액 저장부(400)에 공급하여 pH조절제 대신 사용할 수 있어, 양액 저장부(400)에 별도로 pH조절제를 투입하지 않아도 된다.
이때, 양액 저장부(400)로 공급되는 배출수에, 처리수 저장부(430)에 저장된 처리수를 투입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밸브(V6)을 동작시켜 처리수 저장부(430)에 저장된 처리수를 상기 양액 저장부(400)로 공급되는 배출수가 유입되는 배출수 라인으로 공급되도록 조절한다.
이로써, 오염수 처리부(60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희석하여 pH를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양액 저장부(400)로 공급되는 배출수가 비교적 강한 산성을 띄는 경우에도 양액의 pH조절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입수로 지하수 또는 해수를 사용하는 경우, 유입수에는 많은 양의 염분(무기염류)이 포함되어 있는데, 오염수 처리부(60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수처리부(420)에 공급하여 유입수를 희석하여 염분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 튜브(110)에서 장시간 열매체의 순환이 이루어지면, 열교환 튜브(110) 내에 스케일이 부착되어, 열효율이 저하되거나 열교환 튜브(110)가 파손 될 수 있는데, 오염수 처리부(60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열교환 튜브(110)에 공급하여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팜에 의하면, 온실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유입수를 사용하여 친환경 세정하므로, 세정에 필요한 추가설비나 물이 필요하지 않고, 배가스 배출에 의한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을 포함한 세정수를 여과처리하여 배출할 수 있고, 또한, 오염물질이 제거된 배가스를 온실에 공급하여 온실 내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저급연료를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염수 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재순환 시킴으로써, 유입수 사용량 절감, 양액 제조비용 절감, 유입수의 염분문제 해결 및 열교환 튜브의 부식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온실
110: 열교환 튜브
200: 보일러
300: 보충수 공급부
400: 양액 저장부
410: 유입수 저장부
420: 수처리부
430: 처리수 저장부
500: 스크러빙부
510: 분사부
520: 약품 주입부
600: 오염수 처리부
610: 막 모듈
620: 수집부
700: 제어부
P: 펌프
V1, V2, V3, V4, V5, V6: 밸브

Claims (11)

  1. 온실(100)에 열을 공급하는 보일러(200);
    상기 온실(100)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 저장부(400);
    상기 보일러(200)에서 배출되는 배가스가 유입되는 스크러빙부(500);
    내부에 막 모듈(610)이 위치하며, 상기 스크러빙부(500)에서 배출되는 세정수가 유입되는 오염수 처리부(600); 및
    상기 보일러(200), 상기 양액 저장부(400) 및 상기 스크러빙부(500)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조절하는 밸브(V1);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수 처리부(60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pH 조절용으로 상기 양액 저장부(400)로 공급되는,
    스마트 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는 수처리부(420)에서 막여과 처리되어 상기 보일러(200), 상기 양액 저장부(400) 및 상기 스크러빙부(500)로 유입되는,
    스마트 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200)에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가스는 상기 스크러빙부(500)로 유입되며, 유입된 상기 배가스는 상기 유입수에 의해 습식 스크러빙되어 배출되고,
    상기 배가스의 습식 스크러빙에 의해 발생하는 오염수는 상기 오염수 처리부(600)로 유입되어 상기 막 모듈(610)에 의해 여과처리되어 배출되는,
    스마트 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러빙부(500)에서 세정되어 배출되는 배가스는 상기 온실(100)로 공급되는,
    스마트 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V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입수를 저장하여 상기 보일러(200)로 공급되도록 하는 보충수 공급부(300)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200)가 동작하면, 상기 밸브(V1)는 상기 유입수가 상기 스크러빙부(500)로 공급되도록 동작하는,
    스마트 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가 수처리부(420)에서 막여과 처리된 처리수를 저장하는 처리수 저장부(4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리수 저장부(430)에 저장된 처리수가 상기 오염수 처리부(60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 라인으로 공급되는,
    스마트 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 처리부(60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상기 스크러빙부(500)로 공급되어 순환하는,
    스마트 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 처리부(60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상기 수처리부(420)로 공급되는,
    스마트 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 처리부(600)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상기 보일러(200)에서 상기 온실로 열을 공급하는 열교환 튜브(110)로 공급되는,
    스마트 팜.
KR1020190040968A 2019-04-08 2019-04-08 보일러 배가스가 친환경 세정되어 대기오염이 저감되는 스마트 팜 KR102031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68A KR102031260B1 (ko) 2019-04-08 2019-04-08 보일러 배가스가 친환경 세정되어 대기오염이 저감되는 스마트 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968A KR102031260B1 (ko) 2019-04-08 2019-04-08 보일러 배가스가 친환경 세정되어 대기오염이 저감되는 스마트 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260B1 true KR102031260B1 (ko) 2019-10-11

Family

ID=6821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968A KR102031260B1 (ko) 2019-04-08 2019-04-08 보일러 배가스가 친환경 세정되어 대기오염이 저감되는 스마트 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849B1 (ko) * 2020-08-14 2021-04-22 유해권 고형연료 소각로를 이용한 폐열 재활용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1473B2 (ja) 2010-03-18 2014-03-26 大阪瓦斯株式会社 温室栽培システム
KR20150086860A (ko) * 2014-01-21 2015-07-29 이용석 보일러를 이용한 식물 재배 시스템
KR20150106736A (ko) * 2014-03-12 2015-09-22 농업회사법인 누리팜(주) 농작물의 양액공급시스템
JP2017093393A (ja) * 2015-11-27 2017-06-01 株式会社タクマ 排ガス供給システムおよび排ガス供給方法
KR20170126180A (ko) * 2016-05-09 2017-11-17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1473B2 (ja) 2010-03-18 2014-03-26 大阪瓦斯株式会社 温室栽培システム
KR20150086860A (ko) * 2014-01-21 2015-07-29 이용석 보일러를 이용한 식물 재배 시스템
KR20150106736A (ko) * 2014-03-12 2015-09-22 농업회사법인 누리팜(주) 농작물의 양액공급시스템
JP2017093393A (ja) * 2015-11-27 2017-06-01 株式会社タクマ 排ガス供給システムおよび排ガス供給方法
KR20170126180A (ko) * 2016-05-09 2017-11-17 주식회사 파나시아 배기가스 처리용 세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849B1 (ko) * 2020-08-14 2021-04-22 유해권 고형연료 소각로를 이용한 폐열 재활용 시스템
WO2022034986A1 (ko) * 2020-08-14 2022-02-17 유해권 고형연료 소각로를 이용한 폐열 재활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12747A1 (e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using biofloc fermenter and aquaponics
CN104938322B (zh) 一种温室营养液循环利用装置
JP3545401B2 (ja) 魚類養殖池の水質管理
CN105967420A (zh) 基于电厂废水零排放技术的气液固污染物协同处理系统
WO2005069814A2 (en) Combustion furnace humidification devices, systems & methods
CN102849850A (zh) 一种反硝化除磷过程中n2o产生的减量控制装置及方法
KR100654583B1 (ko) 양어장 용수정화시스템과 그 것을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및 원격관리시스템
KR102031260B1 (ko) 보일러 배가스가 친환경 세정되어 대기오염이 저감되는 스마트 팜
CN104663560A (zh) 一种实验室模拟海洋酸化系统
EP2700299A1 (en) Co2 diffuser
JP2009247255A (ja) 飼育水浄化方法および飼育水浄化装置
KR102495247B1 (ko) 순환식 수경재배 장치
KR101379600B1 (ko) 배기 가스로부터 회수한 이산화탄소를 온실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60024B1 (ko) 온실용 이산화탄소 시비 장치
CN212713128U (zh) 一种人工湿地河道污水处理系统
KR102275541B1 (ko) 에너지 융합형 복합양식 시스템
KR100406495B1 (ko) 액상촉매와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황화수소와 VOCs의처리시스템
KR102053379B1 (ko) 보일러 보충수, 양액 공급수 및 냉각수로 처리수가 다중 이용되는 스마트 팜
CN207918647U (zh) 一种焦化废水处理系统
JP2007022840A (ja) 磁化炭化物の製造方法、及び排水処理方法
EP3831463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ammonia from exhaust air from a livestock stable
JP2009044985A (ja) 水耕栽培システム
CN208144214U (zh) 一种水产品养殖池循环水系统
KR20180027980A (ko) 수막재배시설용 하이브리드 관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산소수 교대 주입 방법
CN219585940U (zh) 地表水回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