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253B1 - 파이프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253B1
KR102031253B1 KR1020190008094A KR20190008094A KR102031253B1 KR 102031253 B1 KR102031253 B1 KR 102031253B1 KR 1020190008094 A KR1020190008094 A KR 1020190008094A KR 20190008094 A KR20190008094 A KR 20190008094A KR 102031253 B1 KR102031253 B1 KR 102031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plate
support
couple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남
Original Assignee
권오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남 filed Critical 권오남
Priority to KR102019000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몸체; 가압부; 및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는 탄성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함입된 파이프 수용공이 제공되는 파이프 분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파이프 분리 장치{Pipe opener}
본 발명은 파이프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파이프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는 속이 빈 가늘고 긴 관을 뜻한다. 파이프는 유체 등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파이프의 내부 공간을 따라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파이프는 수도관, 가스관 등에 사용될 수도 있고, 각종 공업용 시설에 사용될 수도 있다.
파이프는 복수 개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같은 진행 방향을 가진 복수 개의 파이프가 연결될 수도 있고, 다른 진행 방향을 가진 복수 개의 파이프가 연결될 수도 있다. 파이프들은 파이프 연결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부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파이프들을 고정할 수 있다.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결합시키기 위하여, 파이프 연결부는 원터치 방식의 결합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파이프 연결부의 버튼을 축 방향으로 누르면, 파이프와 파이프 연결부의 결합 및/또는 결합의 해제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부로부터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파이프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이프 연결부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는 파이프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이프 연결부의 수명을 증진시킬 수 있는 파이프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형상의 파이프 연결부에 적용 가능한 파이프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부로부터 안정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파이프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부로부터 적은 힘으로도 제거시킬 수 있는 파이프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부로부터 한 손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파이프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부로부터 한정 공간 내에서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있는 파이프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몸체; 가압부; 및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는 탄성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함입된 파이프 수용공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상기 몸체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부터 밑으로 함입 형성된 탄성수단 수용공; 및 상기 탄성수단 수용공의 바닥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축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탄성수단 상에 위치하되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탄성수단 수용공에 일부가 삽입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 상에 위치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교차되는 제3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 사이에 파이프 안착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이 유연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상기 몸체가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는 힌지 기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힌지 기준부와 결합하는 힌지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몸체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상기 받침부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상기 몸체가 측면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입된 함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함입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제1 방향으로 가동적으로 결합되는 가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교차되는 제3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 사이에 파이프 수용공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상기 몸체 및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 사이에 파이프 안착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몸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몸체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상기 받침부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상기 몸체가 측면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입된 함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함입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사항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파이프 분리 장치에 따르면,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부로부터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 분리 장치에 따르면, 파이프 연결부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 분리 장치에 따르면, 파이프 연결부의 수명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 분리 장치에 따르면, 다양한 형상의 파이프 연결부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 분리 장치에 따르면,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부로부터 안정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 분리 장치에 따르면,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부로부터 적은 힘으로도 제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 분리 장치에 따르면,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부로부터 한 손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이프 분리 장치에 따르면, 파이프를 파이프 연결부로부터 한정 공간 내에서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블록도, 사시도, 및/또는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다양한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1의 D1을 제1 방향, D2를 제2 방향,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실질적으로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D3를 제3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파이프 분리 장치(O)는 몸체(1), 가압부(3), 지지부(5) 및 받침부(7)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분리 장치(O)는 결합수단(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1)는 가압부(3), 지지부(5) 및 받침부(7)와 결합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몸체(1)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압부(3)는 몸체(1)와 가동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가압부(3)는 가압부재(31) 및 연결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31)는 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31)는 연결판(311), 제1 안착부(313), 제2 안착부(315) 및 파이프 수용공(31h)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판(311)은 연결부재(33)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안착부(313)는 연결판(311)의 단부에서 제2 방향(D2)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제2 안착부(315)는 연결판(311)의 단부에서 제2 방향(D2)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제1 안착부(313) 및 제2 안착부(315)는 제3 방향(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안착부(313) 및 제2 안착부(315)의 사이에는 파이프 수용공(31h)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파이프 수용공(31h)은 원형 모양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1 안착부(313) 및 제2 안착부(315)는 연결판(311) 없이 연결부재(33)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33)는 몸체(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33)는 몸체(1)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5)는 몸체(1)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5)는 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5)는 제1 지지판(51) 및 제2 지지판(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판(51)과 제2 지지판(53)은 각각 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판(51)과 제2 지지판(53)은 서로 제3 방향(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지지판(51)과 제2 지지판(53)의 사이에는 파이프 안착공간(5h)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지지판(51) 및 제2 지지판(53)은 유연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1 지지판(51) 및 제2 지지판(53)은 플라스틱 및/또는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지지부(5)는 힌지 결합을 통해 몸체(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5)는 힌지 회전부(55, 도 7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는 힌지 기준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기준부(15)는 몸체(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 회전부(55) 및 힌지 기준부(15)는 결합수단(9)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7)는 몸체(1)에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7)는 받침 몸체(71) 및 받침판(73)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 몸체(71)는 받침부(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받침판(73)은 받침 몸체(71)로부터 제2 방향(D2) 또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수단(9)은 힌지 회전부(55) 및 힌지 기준부(15)를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결합수단(9)은 막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회전부(55)는 결합수단(9)에 의해 지지되어 힌지 기준부(15)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3 방향(D3)에 평행한 축을 기준으로 힌지 회전부(55)가 회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몸체(1)의 상면에서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함입된 탄성수단 수용공(1h)이 제공될 수 있다. 탄성수단 수용공(1h)을 둘러싸는 구성은 하우징(11)이라 칭할 수 있다. 몸체(1)는 탄성수단 수용공(1h)의 바닥에서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축(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3)는 버튼(331) 및 연결축(333)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331)은 연결판(311)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축(333)은 버튼(331)에서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축(333)의 일부분은 탄성수단 수용공(1h)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연결축(333)은 실질적인 사각 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의 탄성수단 수용공(1h)은 사각 홈일 수 있다. 연결축(333)의 일부가 탄성수단 수용공(1h)의 일부에 삽입되면, 연결축(333)의 회전은 방지될 수 있다. 가압부(3)의 이동은 제1 방향(D1)으로만 안내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탄성수단(E)이 더 제공될 수 있다. 탄성수단(E)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탄성수단(E)은 축(13)을 감쌀 수 있다. 탄성수단(E)은 몸체(1)와 가압부(3)를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수단(E)의 하부는 탄성수단 수용공(1h)의 바닥에 연결되고, 탄성수단(E)의 상부는 연결축(333)에 연결될 수 있다. 버튼(331)을 누르면 탄성수단(E)이 압축되어 연결축(333)이 탄성수단 수용공(1h)에 더 깊이 삽입될 수 있다. 버튼(331)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수단(E)의 압축이 풀려 연결축(333)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탄성수단(E)에 의해 가압부(3)는 몸체(1)에 탄성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파이프 및 파이프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파이프는 제1 파이프(82), 제2 파이프(84) 및 제3 파이프(8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파이프 연결부는 제1 파이프 연결부(81), 제2 파이프 연결부(83) 및 제3 파이프 연결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이프 연결부(81)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연결부(81)는 제1 파이프(8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파이프 연결부(81)는 원터치 피팅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이프 연결부(81)와 제1 파이프(82)는 원터치 피팅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1 파이프 연결부(81)는 제1 몸체(811) 및 제1 버튼(8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813)은 제1 몸체(811)에 가동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몸체(811)는 스프링(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813)을 누르면, 제1 몸체(811)의 스프링 등이 압축될 수 있다. 제1 버튼(813)이 하강하면, 제1 파이프(82)를 제1 파이프 연결부(81)에 삽입할 수 있다. 제1 버튼(813)의 가압을 해제하면, 제1 몸체(811)의 스프링 등의 압축은 해제되고, 제1 파이프(82)와 제1 파이프 연결부(81)는 고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파이프(82)가 결합된 제1 파이프 연결부(81)는 잠길 수 있다. 제1 버튼(813)을 다시 누르면, 제1 몸체(811)의 스프링 등이 압축될 수 있다. 제1 파이프(82)는 제1 파이프 연결부(81)로부터 빠질 수 있다.
제2 파이프 연결부(83)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파이프 연결부(83)는 제1 파이프 연결부(8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파이프 연결부(83)는 제1 파이프 연결부(81)와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파이프 연결부(83)는 제2 파이프(84)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파이프 연결부(83)는 제2 몸체(831) 및 제2 버튼(8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버튼(833)을 이용한 제2 파이프 연결부(83)와 제2 파이프(84)의 결합 및 해제 방식은 제1 파이프 연결부(81)와 제1 파이프(82)의 결합 및 해제 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3 파이프 연결부(85)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파이프 연결부(85)는 제1 파이프 연결부(81) 및/또는 제2 파이프 연결부(83)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제3 파이프 연결부(85)는 제1 파이프 연결부(81) 및 제2 파이프 연결부(83)에 실질적으로 수직에 가깝게 결합될 수 있다. 제3 파이프 연결부(85)는 제3 몸체(851) 및 제3 버튼(8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버튼(853)을 이용한 제3 파이프 연결부(85)와 제3 파이프(86)의 결합 및 해제 방식은 제1 파이프 연결부(81)와 제1 파이프(82)의 결합 및 해제 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파이프 분리 장치는 다양한 방식 및/또는 다양한 형태로 파이프 연결부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파이프 분리 장치는 탄성수단 수용공(1h)에 제1 파이프(82)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파이프 연결부에 결합할 수 있다. 가압부재(31)는 제1 버튼(813)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안착부(313) 및 제2 안착부(315)가 제1 파이프(82)를 사이에 두고 제1 버튼(813)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지지부(5)는 파이프 연결부를 감쌀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이프 안착공간(5h)에 파이프 연결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지지판(51) 및 제2 지지판(53)은 파이프 연결부를 감쌀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파이프 연결부에 파이프 분리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판(51)을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2 지지판(53)을 제3 방향(D3)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 지지판(51) 및 제2 지지판(53)은 변형될 수 있다. 제1 지지판(51) 및 제2 지지판(53)은 파이프 연결부를 가압할 수 있다. 파이프 분리 장치는 파이프 연결부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파이프 연결부가 파이프 분리 장치에 삽입된 상태로, 가압부(3)를 가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튼(331)을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탄성수단(E)은 압축될 수 있다. 가압부재(31)는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안착부(313) 및 제2 안착부(315)는 제1 버튼(813)을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 버튼(813)은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버튼(813)이 눌리면, 제1 파이프(82)는 제1 파이프 연결부(81)로부터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에 따르면,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가 존재하므로 파이프 연결부의 버튼을 고르게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 연결부의 일측에만 하중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파이프 연결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파이프와 파이프 연결부를 결합/해제할 수 있으며, 한 손으로도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적은 힘만으로도 파이프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부담은 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에 따르면, 유연한 재질의 지지부를 사용하므로 파이프 연결부에 파이프 분리 장치의 위치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 분리 장치에 의한 파이프의 분리 작업은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므로, 파이프 연결부의 버튼을 균일하게 가압하는 것도 용이할 수 있고, 파이프 연결부의 수명은 증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지지부(5)가 몸체(1)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지지부(5)는 제3 방향(D3)에 평행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5)는 힌지 회전부(55)가 힌지 기준부(15)를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몸체(1)의 밑으로 회전될 수 있다. 결합수단(9)에 의해 힌지 기준부(15)를 기준으로 힌지 회전부(55)가 회전하는 것이 지지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지지부(5)는 몸체(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지지판(51) 등은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받침부(7)가 몸체(1)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받침부(7)는 제1 방향(D1)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받침부(7)는 받침판(73)이 제2 방향(D2)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몸체(1)는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7)는 몸체(1)의 함입된 구조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받침부(7)는 몸체(1)의 함입된 구조에 삽입된 채 회전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받침판(73)이 제2 방향(D2)을 향하게 회전된 경우, 받침판(73)과 가압부재(31)는 같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받침판(73)과 가압부재(31)의 제1 안착부(313) 및 제2 안착부(315)는 제1 방향(D1)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파이프 분리 장치는 파이프 연결부에 파이프 분리 장치가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파이프 연결부(85) 상에 가압부재(31)가 위치하도록 파이프 분리 장치가 파이프 연결부에 접근할 수 있다. 받침판(73)이 제1 파이프 연결부(81) 및 제2 파이프 연결부(83) 밑에 오도록 파이프 분리 장치가 파이프 연결부에 접근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파이프 연결부에 파이프 분리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안착부(313) 및 제2 안착부(315)가 제3 파이프 연결부(85)의 제3 버튼(853)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제3 파이프(86)는 탄성수단 수용공(1h)에 삽입될 수 있다. 받침판(73)은 제1 파이프 연결부(81) 및 제2 파이프 연결부(83)의 밑에 접촉될 수 있다. 받침판(73)은 제1 파이프 연결부(81) 및 제2 파이프 연결부(83)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파이프 연결부가 파이프 분리 장치에 삽입된 상태로, 가압부(3)를 가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튼(331)을 아래로 가압할 수 있다. 탄성수단(E)은 압축될 수 있다. 가압부재(31)는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안착부(313) 및 제2 안착부(315)는 제3 버튼(853)을 아래로 가압할 수 있다. 제3 버튼(853)은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버튼(853)이 눌리면, 제3 파이프(86)는 제3 파이프 연결부(85)로부터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에 따르면, 지지부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므로, 파이프 분리 장치를 다양한 형태의 파이프 연결부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일자형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연결부 외에도, T자형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연결부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는 T자형 외에 다른 형태의 파이프 연결부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파이프 분리 장치만 있으면 다양한 파이프 연결부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작업자는 한 개의 파이프 분리 장치만을 가지도 다녀도 모든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작업자의 작업 속도와 편의는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파이프 분리 장치에 따르면,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므로 파이프 연결부의 버튼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 손으로도 용이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난이도와 속도는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가 존재하면 파이프 분리 장치의 버튼을 고르게 가압할 수 있으므로, 파이프 분리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O: 파이프 분리 장치
1: 몸체
11: 하우징
1h: 탄성수단 수용공
13: 축
15: 힌지 기준부
3: 가압부
31: 가압부재
311: 연결판
313: 제1 안착부
315: 제2 안착부
31h: 파이프 수용공
33: 연결부재
331: 버튼
333: 연결
5: 지지부
51: 제1 지지판
53: 제2 지지판
5h: 파이프 안착공간
55: 힌지 회전부
7: 받침부
71: 받침 몸체
73: 받침판
E: 탄성수단
9: 결합수단

Claims (16)

  1. 몸체;
    가압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함입된 파이프 수용공이 제공되고,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교차되는 제3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 사이에 파이프 안착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은 유연한 물질을 포함하는 파이프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부터 밑으로 함입 형성된 탄성수단 수용공; 및
    상기 탄성수단 수용공의 바닥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축을 둘러싸는 파이프 분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탄성수단 상에 위치하되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탄성수단 수용공에 일부가 삽입되는 연결축 및 상기 연결축 상에 위치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파이프 분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는 힌지 기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힌지 기준부와 결합하는 힌지 회전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분리 장치.


  7. 삭제
  8. 몸체;
    가압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단부에서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함입된 파이프 수용공이 제공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몸체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판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 분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측면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입된 함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함입부에 결합되는 파이프 분리 장치.
  10. 몸체;
    상기 몸체에 제1 방향으로 가동적으로 결합되는 가압부;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안착부 및 제2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교차되는 제3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안착부 사이에 파이프 수용공이 제공되되,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판 및 제2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판 및 상기 제2 지지판 사이에 파이프 안착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몸체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 분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분리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몸체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파이프 분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 분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측면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입된 함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함입부에 결합되는 파이프 분리 장치.
KR1020190008094A 2019-01-22 2019-01-22 파이프 분리 장치 KR102031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94A KR102031253B1 (ko) 2019-01-22 2019-01-22 파이프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94A KR102031253B1 (ko) 2019-01-22 2019-01-22 파이프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253B1 true KR102031253B1 (ko) 2019-10-11

Family

ID=68210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094A KR102031253B1 (ko) 2019-01-22 2019-01-22 파이프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747B1 (ko) * 2020-12-31 2021-07-05 (유) 천진기업 펠렛 코크스 성형장치의 가압 로울러 분리용 회전 지지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4048A (ja) * 1996-03-22 1997-09-30 Isuzu Motors Ltd 管継ぎ手の管体引抜工具
KR200442161Y1 (ko) * 2007-04-20 2008-10-14 천재권 손가락 악력단련기
CN201950629U (zh) * 2011-03-21 2011-08-31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插入式直通快换管接头拔管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4048A (ja) * 1996-03-22 1997-09-30 Isuzu Motors Ltd 管継ぎ手の管体引抜工具
KR200442161Y1 (ko) * 2007-04-20 2008-10-14 천재권 손가락 악력단련기
CN201950629U (zh) * 2011-03-21 2011-08-31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插入式直通快换管接头拔管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747B1 (ko) * 2020-12-31 2021-07-05 (유) 천진기업 펠렛 코크스 성형장치의 가압 로울러 분리용 회전 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4882B1 (en) Vacuum sealing cap
JP6271542B2 (ja) ピペットチップ連結用の、ピペット装置のピペット導管の連結構造
JP2008221390A (ja) ロボットアームカップリング装置
KR102031253B1 (ko) 파이프 분리 장치
CN1981153A (zh) 用于待装配入容腔的管连接的嵌入式卡头
JPH02236089A (ja) 接続具
US10105527B2 (en) Bayonet coupling assembly
US10199771B2 (en) High-current plug with clip lock
KR20180118289A (ko) 고압전용 퀵커플러
US20130221665A1 (en) Pipe connecting connector
US6530604B1 (en) Coupling system with blocking device
CN104089123A (zh) 管接头
JP5336771B2 (ja) 手持ち式打ち込み装置のための操作伝達を行う姿勢アダプタ装置
JP5921414B2 (ja) 調心機能付き連結装置
JP2010533828A (ja) 押し込み式アダプター
KR100984839B1 (ko) 파이프용 연결물
TW201114562A (en) Tool adaptor structure
US20180073235A1 (en) Gasket system and methods of use
JP4926566B2 (ja) 水道蛇口と給水ホースとの連結用ホルダー装置
US582022A (en) Pipe-coupling
KR101204817B1 (ko) 호스 연결 및 분리용 커플링 장치
US11291823B2 (en) Coupling component and fluid coupling
KR102485867B1 (ko) 퀵 커플러
KR20220023188A (ko) 일체형 퀵 커넥터
US20220136621A1 (en) Pipe holding c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