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082B1 - 벽부형 행거 - Google Patents

벽부형 행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082B1
KR102031082B1 KR1020190048278A KR20190048278A KR102031082B1 KR 102031082 B1 KR102031082 B1 KR 102031082B1 KR 1020190048278 A KR1020190048278 A KR 1020190048278A KR 20190048278 A KR20190048278 A KR 20190048278A KR 102031082 B1 KR102031082 B1 KR 102031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plate
wall
article
attachment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진
Original Assignee
박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진 filed Critical 박동진
Priority to KR1020190048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082B1/ko
Priority to PCT/KR2020/005479 priority patent/WO2020218895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07Clothes hoo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91)에 설치되는 행거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부착되는 부착판(10)의 상단부에 만곡된 봉체인 각형봉(20)이 형성되어, 각형봉(20)에 의하여 물품이 지지됨으로써, 부착판(10)이 물품 배후에 은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행거의 부착판(10)이 물품 배후에 은폐됨에 따라, 부착판(10)의 물품 외측 노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행거 설치 벽체(91)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부형 행거{WALL TYPE HANGER}
본 발명은 벽체(91)에 설치되는 행거에 관한 것으로, 벽면에 부착되는 부착판(10)의 상단부에 만곡된 봉체인 각형봉(20)이 형성되어, 각형봉(20)에 의하여 물품이 지지됨으로써, 부착판(10)이 물품 배후에 은폐되는 것이다.
벽체(91)에 부착되어 각종 물품을 거는 행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102046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벽체(91) 부착식 행거는 도 1에서와 같이, 벽체(91)에 고정되는 부착판(10)과, 부착판(10)에 접합된 고리(19) 등으로 구성되어 액자 또는 의류 등 다양한 소품을 지지하게 된다.
특허 제1102046호를 비롯한 종래 행거의 주요 구성으로는 부착판(10) 및 고리(19)를 들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부착판(10)은 벽체(91)에 부착,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부착판(10)의 배면이 접착제 또는 접착성 시트 등에 의하여 벽체(91) 표면에 접착되거나 부착판(10)이 못 또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벽체(91)에 고정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부착판(10)에 접합되는 고리(19)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물품을 직접 지지하는 봉상(棒狀)의 구성으로서, 동 도면에서와 같이 부착판(10)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고리(19)에 결합된 물품이 이탈되지 않도록 선단부(先端部)가 상방으로 절곡된다.
벽체(91) 부착식 행거에 있어서 벽체(91)와 행거간의 부착력은 부착판(10) 배면과 벽체(91) 표면간 밀착 면적에 비례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착판(10)과 벽체(91)간 접촉 면적과 행거 부착력간의 비례관계는 전술한 행거의 부착 방식상 구분인 접착 및 체결을 막론하고 성립된다.
즉, 부착판(10) 배면이 벽체(91) 표면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는 경우 당연히 부착판(10)이 확대될수록 접착 면적 또한 확대되어 행거의 부착력 역시 증대되며, 부착판(10)과 벽체(91)가 못이나 나사 등으로 체결되는 경우에도 부착판(10)과 벽체(91)간 실질적인 부착력은 못이나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벽체(91) 표면에 부착판(10) 배면이 압착됨에 따라 발현되는 정지 마찰력에서 기인하는 바, 확대된 부착판(10)이 적용될수록 행거의 부착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따라서, 벽체(91) 부착식 행거가 소기의 지지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벽체(91) 표면과 부착판(10) 배면 간 접촉 면적의 충분한 확보가 요구되며, 이로 인하여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물품을 실제 지지하는 고리(19) 상단부에 상당한 면적을 가지는 부착판(10)이 구성되는 구조가 일반화된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벽체(91) 부착식 행거에 있어서 부착판(10)은 부착력 및 지지력을 발현하기 위한 필수 구성일 뿐 아니라, 부착판(10)의 면적과 부착력간 비례관계가 성립되는 구성으로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부착판(10)은 실제 물품을 지지하는 고리(19)에 비하여 월등한 노출 면적을 형성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행거의 구성 중 대부분이 바로 부착판(10)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벽체(91)에 부착된 행거에 물품을 걸어서 지지하는 상황에서 물품 상측으로 부착판(10)이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미관이 훼손되고 상당한 시각적 불편감이 야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벽체(91) 부착식 행거의 부착력 및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부착판(10)의 노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벽부형 행거에 있어서, 배면이 벽체(91)에 부착되는 부착판(10)과, 후단부가 부착판(10)과 연결되고 부착판(10)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봉체인 각형봉(20)이 구성되되, 부착판(10)의 상단부에 각형봉(20)이 연결되고, 부착판(10)과 연결되는 각형봉(20) 후단부에 동체부(21)가 형성되며, 각형봉(20)은 호형(弧形)으로 만곡된 형태를 가지되 각형봉(20) 선단이 상단에 위치하고 각형봉(20) 하단의 동체부(21)가 부착판(10)과 연결되어, 각형봉(20)에 물품을 걸었을 때 부착판(10)이 물품 배후에 은폐되고 물품 자중의 지지점이 동체부(21)와 부착판(10)간 연결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형 행거이다.
또한, 상기 각형봉(20)의 동체부(21)는 그 단면 형상이 비원형 점대칭 도형을 이루고, 부착판(10) 상단부에는 각형봉(20)의 동체부(21) 단면과 일치하는 단면의 치합공(13)이 형성되어, 각형봉(20)의 동체부(21)가 부착판(10)의 치합공(13)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형 행거이며, 상기 각형봉(20)의 동체부(21) 후단에는 단면적이 확대된 확경부(23)가 형성되되 확경부(23)의 형상은 비원형 점대칭 도형을 이루고, 치합공(13)의 부착판(10) 배면측 외곽에는 상기 확경부(23)와 일치하는 형상의 확공부(1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형 행거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행거의 부착판(10)이 물품 배후에 은폐됨에 따라, 부착판(10)의 물품 외측 노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행거 설치 벽체(91)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부착판(10)의 설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벽부형 행거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사용자 편의를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행거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2는 종래 행거의 사용 상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종래 행거와 본 발명의 작용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절형 실시예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절형 실시예 배면 사시도
도 10은 설치 방향이 변경된 본 발명의 조절형 실시예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조절형 실시예 부분절단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조절형 실시예의 배면도 및 대표 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은 본 발명 벽부형(壁附形) 행거(hanger)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행거가 지지하는 물품으로서 액자가 적용된 상태가 예시되어 있으며, 동 도면과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 1 및 도 2를 비교함으로써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착판(10)이 물품 배후에 완전히 은폐되고 있다.
즉, 본 발명 사용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된 도 4에서와 같이, 부착판(10)이 벽체(91)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착판(10) 전면(前面) 상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각형봉(角形棒)(20)에 액자 등의 물품을 걸게 되면, 부착판(10)이 물품 배후부에 완전히 은폐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 시점(視點)에서 물품 외측으로 노출되는 행거의 구성이 최소화될 수 있는 바, 행거로 인하여 물품 설치 지점의 미관이 훼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판(10)의 은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부착판(10) 하부에 고리(19)가 단순 접합되는 종래 행거의 구성을 탈피하여,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물품을 지지하는 각형봉(20)이 부착판(10) 상단부에서 호형(弧形)으로 돌출되는 본 발명 벽부형 행거의 특징적 구성을 통하여 달성된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벽부형 행거는 기본적으로 배면이 벽체(91)에 부착되는 부착판(10)과, 후단부가 부착판(10)과 연결되고 부착판(10)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봉체인 각형봉(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착판(10)은 벽체(91)와 행거간의 부착력을 발현하는 구성으로서, 도면상 명시되지는 않았으나 부착판(10) 배면과 벽체(91) 표면이 접착제 또는 접착성 시트 등을 통하여 상호 접착되거나, 부착판(10)과 벽체(91)가 못이나 나사 등으로 상호 체결되어 부착판(10) 배면이 벽체(91) 표면에 밀착되는 방식 등 다양한 설치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착판(10)과 벽체(91)간 부착 방식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선택 적용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청구범위의 구체적인 한정은 하지 않는다.
본 발명 벽부형 행거의 각형봉(角形棒)(20)은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가축의 뿔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봉체로서, 부착판(10)과 연결되는 후단부에는 동체부(胴體部)(21)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동체부(21)에 비하여 단면적이 축소된 첨부(尖部)(22)가 형성된다.
종래의 행거에 있어서는 물품을 지지하는 고리(19)가 부착판(10)의 하단에 접합되는 반면, 본 발명의 행거에 있어서는 부착판(10)의 상단부에 각형봉(20)의 후단부가 연결되며, 각형봉(20)의 동체부(21)에서 첨부(22)에 이르는 구간은 호형(弧形)으로 만곡된 형태를 가지되 각형봉(20) 선단의 첨부(22)가 상단에 위치하고 각형봉(20) 하단의 동체부(21)가 부착판(10)과 연결된다.
즉,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부착판(10)이 벽체(91)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착판(10)의 상단부에 호형의 각형봉(20)이 연결되되, 각형봉(20) 후단부에서 부착판(10)과 각형봉(20)간 연결부를 형성하는 동체부(21)의 후단이 각형봉(20)의 전체 구간 중 최 하측에 위치하고, 각형봉(20)의 선단을 구성하는 첨부(22)가 최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물품을 일단 각형봉(20)에 걸게 되면 물품의 자중에 의하여 물품의 지지점이 각형봉(20)이 측면상 이루는 호(弧)의 최 하단점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며, 이로써 후술할 도 7에서와 같이, 부착판(10)을 벽체(91)에서 분리하는 모멘트(moment)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에 있어서 물품의 자중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은 각형봉(20)의 동체부(21)로서, 동체부(胴體部)(21)는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각형봉(20)의 몸통을 이루면서 행거에 걸린 물품을 지지함과 동시에 각형봉(20)과 부착판(10)간 연결부를 형성하게 되는 바, 첨부(22)에 비하여 충분히 확대된 단면적이 부여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마치 소의 뿔과 같이 상측으로 부드럽게 만곡되면서도 하단부의 단면이 상단부에 비하여 확대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 벽부형 행거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은 부착판(10) 은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부착판(10)의 상단부에는 각형봉(20)이 연결되는 두부(頭部)(12)와, 이 두부(12)와 부착판(10)을 연결하는 목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각형봉(20)의 동체부(21) 후단이 연결되는 두부(12)는 각형봉(20)의 동체부(21) 단면에 비하여 소폭 확대된 표면적을 형성하는 바, 부착판(10) 본체에 비하여 상당히 축소된 표면적으로 가지게 되며, 목부(11) 역시 두부(12)와 부착판(10)간의 연결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부착판(10) 본체에 비하여 축소된 표면적이 부여된다.
즉,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 행거에 있어서 부착판(10) 상단부에 형성되는 목부(11) 및 두부(12)는 부착판(10)과 각형봉(20)간의 연결을 위한 구성으로서, 행거와 벽체(91)간 부착력의 조성은 목부(11) 하측의 부착판(10) 본체가 실질적으로 담당하게 된다.
이렇듯, 부착판(10) 상단에 각형봉(20) 후단을 단순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부착판(10) 상단에 목부(11) 및 두부(12)를 형성하고 두부(12)에 각형봉(20)을 연결함으로써, 도 3에서와 같이, 물품 외측으로 노출되는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벽부형 행거를 통하여, 물체의 지지점을 부착판(10)의 상측에 형성함으로써, 물품 배후에 부착판(10)이 은폐되어 미관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호형 각형봉(20)의 지지점 유도 및 유지 작용을 통하여 부착판(10) 부착력의 확보 및 물품의 안정적 지지 역시 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 행거의 역학적 거동이 종래기술과 대비되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7의 좌단에는 전술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종래의 행거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의 중앙에는 부착판(10) 상단부에서 단순 돌출된 봉체로 물품이 지지되는 방식의 행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의 우단에는 호형 각형봉(20)이 적용된 본 발명의 행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좌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행거에서는 물품 자중(W)의 작용점이 벽체(91)에서 상당거리 이격되어 있으나 부착판(10)을 벽체(91)에서 분리하는 모멘트(M)의 중심점(O)이 부착판(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바, 비교적 안정적인 부착력 유지가 가능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도 7 좌단에서와 같은 종래의 행거는 부착판(10)이 물품 상측에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7 중앙에서와 같이, 부착판(10) 상단에 단순 돌출된 고리(19)를 형성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부착판(10)을 벽체(91)에서 분리하는 모멘트(M)의 중심점(O)이 부착판(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바, 물품 자중(W)의 작용점이 벽체(91)에서 이격될 경우 부착판(10)의 부착력에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7의 우단에서와 같이, 부드럽게 만곡된 호형 각형봉(20)을 구성하였는 바, 물품의 자중(W) 작용점이 각형봉(20) 후단의 부착판(10) 연결점에 위치하게 되어, 물품 자중(W) 작용점과 벽체(91)간 이격 거리가 최소화되며, 따라서 부착판(10)을 벽체(91)에서 분리하는 모멘트(M)의 중심점(O)이 부착판(10)의 하단에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모멘트(M)가 극적으로 약화되며 부착판(10)의 부착력이 유지될 수 있다.
즉, 각형봉(20)이 부착판(10)의 상단에 형성되어 각형봉(20)에 물품을 걸었을 때 부착판(10)이 물품 배후에 은폐됨과 동시에, 물품을 각형봉(20)에 걸면 각형봉(20)의 호형 구조로 인하여 물품과 각형봉(20)의 결속부가 자연스럽게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물품 자중(W)의 지지점이 동체부(21)와 부착판(10)간 연결부에 형성되고, 결국 부착판(10)을 벽체(91)에서 분리하는 모멘트(M)가 약화되고 부착판(10)과 벽체(91)간 견고한 부착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2는 부착판(10)과 각형봉(20)을 착탈 가능한 분리형으로 구성하되, 각형봉(20)의 결합 방향을 상, 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절형 실시예로서, 이로써 물품의 지지점을 부착판(10)의 상단 또는 하단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조절형 실시예에 있어서, 부착판(10)과 각형봉(20)은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결합됨으로써 각형봉(20)이 부착판(10) 상단에 위치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도 10에서와 같이 결합될 경우 즉, 부착판(10)의 목부(11) 및 두부(12)가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각형봉(20)의 첨부(22)는 상측을 향하도록 결합될 경우 각형봉(20)이 부착판(10) 하단에 위치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조절형 실시예에 있어서 각형봉(20)은 부착판(10)과의 결합 방향이 상, 하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데, 이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은 각형봉(20) 동체부(21)의 단면 형상과 이에 대응되도록 부착판(10)에 천공, 형성되는 치합공(13)의 단면 형상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각형봉(20)의 동체부(21)는 그 단면 형상이 비원형 점대칭 도형을 이루고, 부착판(10) 상단부에는 각형봉(20)의 동체부(21) 단면과 일치하는 단면의 치합공(13)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로써 각형봉(20)의 방향을 180도 회전하여 치합공(13)에 결합하여도 원활한 결합이 가능함은 물론, 치합공(13)에 결합된 각형봉(20)의 견고한 고정 역시 가능한 것이다.
각형봉(20) 동체부(21) 단면에 적용되는 비원형(非圓形) 점대칭(點對稱) 도형 형상은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도형의 중심점을 축으로 180도 회전하여도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는 형상으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타원형 단면이 적용되었다.
원(圓)은 대표적인 점대칭 도형임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동체부(21) 및 치합공(13)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는 원이 배제되는데, 이는 원의 경우 각형봉(20)의 결합 방향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나, 각형봉(20)의 불필요한 회전이 야기되어 물품의 지지 기능이 상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절형 실시예에 있어서 각형봉(20)의 치합공(13) 결합은 부착판(10)의 배면측에서 정면측으로 각형봉(20)의 첨부(22)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데, 도 9에서와 같이, 각형봉(20)의 동체부(21) 후단에는 단면적이 확대된 확경부(23)가 형성되어 각형봉(20)이 치합공(13)을 완전히 통과하여 전방측으로 이탈,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각형봉(20)의 동체부(21) 후단에 형성되는 확경부(23)가 일종의 스토퍼(stopper)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경부(23)가 부착판(10) 배면의 치합공(13) 주변부에 밀착되면서 각형봉(20)의 이탈이 억제되는 것이다.
또한, 도 9의 우측 도면 및 도 11에서와 같이, 각형봉(20)의 치합공(13) 결합시 확경부(23)가 부착판(10) 내측으로 완전히 매입되어 부착판(10) 배면 전체에 평탄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써 부착판(10)과 벽체(91)간 밀착성을 확보하고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확경부(23) 주면 부착판(10) 배면의 평탄면은 각형봉(20)의 치합공(13) 결합 방향과 무관하게 형성될 필요가 있는 바, 확경부(23)의 형상 역시 비원형 점대칭 도형을 이룰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치합공(13)의 부착판(10) 배면측 외곽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확경부(23)와 일치하는 형상의 확공부(14) 형성되어, 도 12에서와 같이 확경부(23)가 확공부(14)에 완전히 투입, 결합됨으로써 부착판(10) 배면 전반에 평탄면이 조성된다.
10 : 부착판
11 : 목부
12 : 두부
13 : 치합공
14 : 확공부
19 : 고리
20 : 각형봉
21 : 동체부
22 : 첨부
23 : 확경부
91 : 벽체

Claims (3)

  1. 벽부형 행거로서, 배면이 벽체(91)에 부착되는 부착판(10)과, 후단부가 부착판(10)과 연결되고 부착판(10)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봉체인 각형봉(20)이 구성되되, 부착판(10)의 상단부에 각형봉(20)이 연결되고, 부착판(10)과 연결되는 각형봉(20) 후단부에 동체부(21)가 형성되며, 각형봉(20)은 호형(弧形)으로 만곡된 형태를 가지되 각형봉(20) 선단이 상단에 위치하고 각형봉(20) 하단의 동체부(21)가 부착판(10)과 연결되어, 각형봉(20)에 물품을 걸었을 때 부착판(10)이 물품 배후에 은폐되고 물품 자중의 지지점이 동체부(21)와 부착판(10)간 연결부에 형성되는 벽부형 행거에 있어서,
    각형봉(20)의 동체부(21)는 그 단면 형상이 비원형 점대칭 도형을 이루고;
    부착판(10) 상단부에는 각형봉(20)의 동체부(21) 단면과 일치하는 단면의 치합공(13)이 천공 형성되어;
    각형봉(20)의 동체부(21)가 부착판(10)의 치합공(13)에 결합되되 각형봉(20)의 방향을 180도 회전하여 치합공(13)에 결합하여도 원활한 결합 및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며;
    각형봉(20)의 동체부(21) 후단에는 단면적이 확대된 확경부(23)가 형성되고 치합공(13)의 부착판(10) 배면측 외곽에는 상기 확경부(23)와 일치하는 형상의 확공부(14)가 형성되어, 각형봉(20)이 치합공(13)을 완전히 통과하여 전방측으로 이탈,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부착판(10)의 배면측에서 정면측으로 각형봉(20)의 첨부(22)가 삽입되어 각형봉(20)이 치합공(13)에 결합되되, 확경부(23)가 확공부(14)에 완전히 투입 결합됨으로써 부착판(10) 배면 전반에 평탄면이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형 행거.
  2. 삭제
  3. 삭제
KR1020190048278A 2019-04-25 2019-04-25 벽부형 행거 KR102031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278A KR102031082B1 (ko) 2019-04-25 2019-04-25 벽부형 행거
PCT/KR2020/005479 WO2020218895A1 (ko) 2019-04-25 2020-04-24 벽부형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278A KR102031082B1 (ko) 2019-04-25 2019-04-25 벽부형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082B1 true KR102031082B1 (ko) 2019-10-14

Family

ID=6817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278A KR102031082B1 (ko) 2019-04-25 2019-04-25 벽부형 행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31082B1 (ko)
WO (1) WO20202188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895A1 (ko) * 2019-04-25 2020-10-29 박동진 벽부형 행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6941A1 (en) * 2000-08-03 2003-04-10 Beaty Alan Keith Force distributing multi-piece hinged hanger
KR20150063991A (ko) * 2015-05-19 2015-06-10 신동열 욕실용 설치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51605B1 (ko) * 2015-04-09 2015-09-08 존 중원 김 도어용 옷걸이
JP2018186909A (ja) * 2017-04-28 2018-11-29 株式会社マグエバー フック用磁石製品及びフック付き磁石製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670A (ja) * 1996-05-08 1997-11-18 Nagamasa Hayashi ワンタッチ式重量物用石膏ボードフック
JP5245055B2 (ja) * 2009-10-14 2013-07-24 株式会社サカエ 懸吊具
KR102031082B1 (ko) * 2019-04-25 2019-10-14 박동진 벽부형 행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6941A1 (en) * 2000-08-03 2003-04-10 Beaty Alan Keith Force distributing multi-piece hinged hanger
KR101551605B1 (ko) * 2015-04-09 2015-09-08 존 중원 김 도어용 옷걸이
KR20150063991A (ko) * 2015-05-19 2015-06-10 신동열 욕실용 설치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8186909A (ja) * 2017-04-28 2018-11-29 株式会社マグエバー フック用磁石製品及びフック付き磁石製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895A1 (ko) * 2019-04-25 2020-10-29 박동진 벽부형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8895A1 (ko)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588B1 (ko) 가변형 벽부식 행거
US11266263B2 (en) Support bracket for rod assembly
US4458873A (en) Picture frame hanger-clip
USD516901S1 (en) Extensible hanger
US20100140428A1 (en) Hanger Device and Method for Hanging an Object
US20130145543A1 (en) Hookless shower liner fastener
US1560029A (en) Hanger
USD529792S1 (en) Hanger bracket for hanging shoe racks
USD900592S1 (en) Mounting bracket
US20160033076A1 (en) Wall Mounting Bracket
USD491447S1 (en) Hanging bracket for vinyl siding
US20190309898A1 (en) Hanging device for siding members
KR102031082B1 (ko) 벽부형 행거
US5193775A (en) Assortment of window adornment mounting brackets
CA3022245A1 (en) Ornamental wreath and lantern hanger
USD503578S1 (en) Tailored drapery tab
US1103491A (en) Picture-hanger.
US1729721A (en) Picture hanger
USD928599S1 (en) Mounting bracket for structure
US4335865A (en) Curtain rod bracket
US2202412A (en) Combined window shade and curtain bracket
JPS6244686Y2 (ko)
KR101233563B1 (ko) 다보 액자용 벽걸이대
US1035329A (en) Lace-rod bracket.
JPH0749010B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