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907B1 -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포그 컴퓨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포그 컴퓨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907B1
KR102030907B1 KR1020170179507A KR20170179507A KR102030907B1 KR 102030907 B1 KR102030907 B1 KR 102030907B1 KR 1020170179507 A KR1020170179507 A KR 1020170179507A KR 20170179507 A KR20170179507 A KR 20170179507A KR 102030907 B1 KR102030907 B1 KR 102030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ot
framework
iot devic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7926A (ko
Inventor
홍지만
이성욱
변기범
손명준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9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7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06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distributed, e.g. networked systems, clusters, multiprocess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8Data format conversion from or to a datab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포그 컴퓨팅 시스템이 개시된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에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를 파싱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등록하거나,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 및 분석하는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및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포그 컴퓨팅 시스템 {IOT DEVICE MONITORING FRAMEWORK, FOG SERVER EQUIPPED WITH THE SAME AND FOG COMPUTING SYSTEM}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포그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포그 컴퓨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는 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생산하는 데이터는 방대할 뿐만 아니라, 한꺼번에 폭증적으로 생성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낮은 연산능력을 갖는 저성능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는 자체적으로 의미 있는 데이터 분석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하드웨어적 제약 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고성능의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다양한 분석 도구를 기반으로 의미 있는 정보나 지식이 추출될 수 있다.
한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생성하는 데이터 양의 증가 속도가 네트워크 또는 서버 용량의 증가 속도보다 훨씬 빨라질 것이라는 예측이 있으며, 종래의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하에서의 효율적인 사물인터넷 서비스 구축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포그 컴퓨팅(Fog Computing)이 제안된바 있다.
포그 컴퓨팅은 자체적으로 사물인터넷 데이터의 분석과 처리가 가능하다. 포그 컴퓨팅 모델에서 포그 서버는 데이터가 발생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거리상 인접하여 있기 때문에 실시간 데이터 분석 및 처리가 가능하며, 결과 값을 사용자 또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그 컴퓨팅은 데이터가 원거리의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집중하여 발생하는 혼잡 현상을 방지하며, 클라우딩 컴퓨팅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모델이라 할 수 있다.
포그 컴퓨팅과 관련된 연구로는, 개발자들에게 사용자 영역 내 컴퓨팅 자원들을 활용가능하게 하는 엣지 컴퓨팅 프레임워크인 ParaDrop이 제안된바 있다. 이는 개발자들이 가상화된 컴퓨팅 자원을 설계하여 사용자 가까이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개발자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한 동적 설치와 관리 정책 설계를 통한 자원 제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포그 컴퓨팅의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관리 모듈을 통해 확장된 프레임워크가 제안된바 있다. 확장된 프레임워크는 정책 결정 엔진, 정책 리졸버, 정책 저장소, 정책 집행자 등의 모듈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듈들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사용자 인증 및 확인, 정책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지향적인 유틸리티 함수 기반의 이기종 자원 공유를 위한 수학적인 프레임워크가 제안된바 있다. 이는 특히 포그 컴퓨팅에서 극대화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단위를 정량화하여 모든 수치들을 시간 자원에 동등하게 매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대기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적절한 포그 디바이스 이웃 집합을 찾는 온라인 알고리즘을 접목한 온라인 비서 프레임워크가 제안된바 있다. 이는 주어진 포그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포그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퓨팅 자원의 원격 클라우드 서버와 포그 네트워크로의 적절한 분배가 가능하다.
한편,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장의 확대에 힘입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는 그 종류와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있어서 일관된 표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제조사마다의 다른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사용, 일관되지 않은 데이터 구조 등으로 인해 통합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아울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모니터링 할 시스템도 존재하지 않는다.
상술한 것처럼, 포그 컴퓨팅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대부분 사용자 근접성 증대, 효율적인 정책 관리 및 지연 최소화 등과 같은 특정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포그 컴퓨팅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는 포그 컴퓨팅에서 발생하는 특정 문제 해결을 위한 프레임워크에 집중되어 있을뿐, 새로운 서비스 확장 또는 다양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합할 수 있는 포그 컴퓨팅 솔루션과 관련된 연구는 미비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에 기반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에 기반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를 탑재한 포그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 및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와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 형식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포그 서버 및 포그 서버에서 처리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포그 노드로 구성되는 포그 컴퓨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에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를 파싱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등록하거나,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 및 분석하는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및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에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를 파싱하고, 해당 메시지가 유효한지를 확인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등록 또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프레임워크 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디바이스 연결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디바이스 등록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설정을 관리하는 설정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연결부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HTTP 형식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HTTP 형식의 메시지에 바인딩 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를 파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연결부는, 상기 HTTP 형식의 메시지에 바인딩 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메시지로부터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 및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기기 정보가 검색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등록부는, 상기 디바이스 연결부에 의해 상기 HTTP 형식의 메시지에 바인딩 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고, 해당 메시지에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등록 요청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는,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부, 분류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백업하는 데이터 백업부 및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특징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종속된 환경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환경 데이터,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생성하는 데이터인 사용자 데이터 또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자체에 대한 데이터인 하드웨어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특징 선택 및 특징 추출 기법을 통해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원 축소를 수행하고,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자가적응적으로 사용 가능한 데이터인 시스템데이터를 재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와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목록,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및 그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디바이스 모니터링부, 상기 디바이스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여부 및 모니터링 주기를 설정하고,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중요도를 설정하는 모니터링 설정부 및 상기 디바이스 모니터링부에서의 모니터링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모니터링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알람부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중요도를 반영하여 사용자 알림 단계를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알림 단계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모니터링부에서의 모니터링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상기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및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는, 각 서브 프레임워크에서의 처리 결과를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전송하되, HTTP 형식의 메시지에 바인딩 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상기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및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는,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를 탑재한 포그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포그 컴퓨팅 시스템은, 각종 데이터를 생성 또는 획득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 및 상기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와 연결되어,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 형식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포그 서버 및 상기 포그 서버에서 처리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포그 노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서비스 확장 또는 다양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통합이 용이한 일관된 인터페이스의 구축이 가능하며, 우수한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가 탑재된 포그 서버를 포함하는 포그 노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그 컴퓨팅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그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가 탑재된 포그 서버를 포함하는 포그 노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그 노드(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200)가 포함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생성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00)에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에서 처리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인 oneM2M 표준에 따른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다양한 조건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일관되며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10),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20) 및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1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에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뉠 수 있다. 핸드폰, 태블릿 등의 고사양 디바이스이거나, 보일러, 스마트 전등, 도어락, 센서 등의 저사양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10)는 디바이스 연결부(111), 설정 관리부(112) 및 디바이스 등록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연결부(111)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메시지에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이하, oneM2M 메시지)를 파싱하며, oneM2M 메시지가 유효한지를 확인하여 해당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프레임워크 간의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 연결부(111)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의 메시지 수신을 위해 HTTP 서버를 열어둘 수 있다. 이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HTTP 형식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때문이다. 디바이스 연결부(111)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HTTP 형식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메시지에 바인딩 된 oneM2M 메시지를 파싱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연결부(111)는 oneM2M 메시지가 유효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디바이스 연결부(111)는 oneM2M 메시지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메시지로부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 및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반면, 디바이스 연결부(111)는 oneM2M 메시지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응답 메시지 또한 oneM2M 메시지로 HTTP 형식의 메시지에 바인딩 되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연결부(111)는 oneM2M 메시지로부터 획득한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에서 검색할 수 있다. 디바이스 연결부(111)는 기기 정보가 데이터베이스(200)에서 검색되면, 해당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후술하는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에 해당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기 등록된 상태로, 해당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생성하는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 및 분석 서비스의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그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2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면, 디바이스 연결부(111)는 기기 정보가 데이터베이스(200)에서 검색되지 않으면, 해당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등록을 위해 그 기기 정보를 후술하는 디바이스 등록부(113)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바이스 연결부(111)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와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전원 유무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간의 연결 종료 또한 관리할 수 있다.
설정 관리부(112)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와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설정을 관리할 수 있다. 설정 관리부(112)는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기본 정보, 설정 값을 조회 및 변경할 수 있다. 설정 관리부(112)는 데이터베이스(200)에 기 등록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설정 관리부(112)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의 시작 시, 초기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부(113)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부(113)는 디바이스 연결부(111)로부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전달 받으면, 해당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 등록부(113)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oneM2M 메시지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고, 해당 메시지에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등록 요청 정보가 포함되며, 데이터베이스(200)에 해당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부(113)는 이러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등록 성공 여부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응답 메시지 또한 oneM2M 메시지로 HTTP 형식의 메시지에 바인딩되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2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생성하는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 및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20)는 데이터 수집부(121), 데이터 분류부(122), 데이터 백업부(123) 및 데이터 분석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21)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수집부(121)는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10)로부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전달 받아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21)는 후술하는 데이터 분류부(122)에 의해 분류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것처럼 고사양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러한 데이터 수집부(121)를 통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선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121)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데이터베이스(200) 간의 일관성을 맞추기 위한 동기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21)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생성하는 데이터인 사용자데이터의 변경 유무를 확인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데이터베이스(200) 간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분류부(122)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분류부(122)는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10)로부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전달 받아 그 종류를 분류할 수 있다. 데이터 분류부(122)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종속된 환경을 나타내는 데이터, 예를 들어, 온도, 습도 등의 데이터를 환경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데이터는 주로 저사양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분류부(122)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생성하는 데이터, 예를 들어, 사진, 스케쥴, 이메일 등의 데이터를 사용자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분류부(122)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자체에 대한 데이터, 예를 들어, CPU, 메모리, 배터리 등의 데이터를 하드웨어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데이터 백업부(123)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정보를 백업 및 복구할 수 있다. 데이터 백업부(123)는 데이터베이스(200)의 테이블 및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파일, 즉, 사용자 데이터를 백업 및 복구할 수 있다. 데이터 백업부(123)는 데이터베이스(200)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백업할 수 있다. 데이터 백업부(123)는 설정에 따라 결정되는 백업주기, 자동백업여부 등에 따라 백업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백업부(123)는 백업시점에 따른 복구 지점을 선택하여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24)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분석부(124)는 데이터 분류부(122)에 의해 분류되어 저장되는 데이터에 있어서, 특징 분석을 수행하여 차원 축소를 진행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24)는 특징 선택 및 특징 추출 기법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원 축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분석부(124)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자가적응적으로 사용 가능한 데이터인 시스템데이터를 재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24)는 데이터 분류부(122)에 의해 분류되어 저장되는 데이터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에 따른 시스템데이터를 재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데이터 또한 데이터 분류부(122)에 의해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다.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3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에서 생성하는 데이터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30)는 디바이스 모니터링부(131), 모니터링 설정부(132) 및 모니터링 알람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모니터링부(131)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와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목록, 각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생성하는 데이터 및 그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모니터링부(131)는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20)에서의 데이터 특징 분석 결과와, 사용자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에 따라 재생성한 시스템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 모니터링부(131)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응답 메시지 또한 oneM2M 메시지로 HTTP 형식의 메시지에 바인딩 되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설정부(132)는 디바이스 모니터링부(131)의 각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여부 및 모니터링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설정부(132)는 각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간의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설정부(132)는 데이터 종류에 따른 중요도를 설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알람부(133)는 디바이스 모니터링부(131)에서의 각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모니터링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모니터링 알람부(133)는 디바이스 모니터링부(131)에서의 각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생성하는 데이터 변화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모니터링 알람부(133)는 디바이스 모니터링부(131)에서의 각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생성하는 데이터 변화의 모니터링 결과, 미리 설정된 중요 변화에 해당하거나,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알람부(133)는 알람의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알람부(133)는 모니터링 설정부(132)에 의해 설정되는 각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간의 중요도 및 데이터 종류에 따른 중요도를 반영하여 알람의 단계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응답 메시지 또한 oneM2M 메시지로 HTTP 형식의 메시지에 바인딩 되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포그 노드를 포함하여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인 oneM2M 표준이 적용된 포그 컴퓨팅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그 컴퓨팅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포그 컴퓨팅 시스템은 포그 노드(10) 및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20)를 포함할 수 있다. 포그 컴퓨팅 시스템은 포그 노드(10) 및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20) 간에 통신을 수행하여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포그 노드(10)는 도 1에 도시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인 oneM2M 표준에 따른 플랫폼으로 구현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를 탑재한 포그 서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10) 및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20)는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공통으로 이용 가능한 플랫폼으로, CSE(common Service Entities)에 해당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을 정의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 기구인 oneM2M에서 정의한 CSE에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등록 및 관리,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 서비스의 제공이 포함되는데,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1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등록과 연결을 관리하고,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20)는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바, CSE(common Service Entities)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30)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받는 사용자를 위한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AE(Application Entities)에 해당할 수 있다.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3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 대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바, oneM2M에서 정의한 CSE의 레퍼런스 모델인 AE에 해당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2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의 노드로, 포그 노드(10)와 통신을 수행하여, 각종 데이터를 생성 또는 획득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2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사양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전용 노드(ADN: Application Dedicated Node)(21) 이거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노드(ASN: Application Service Node)(22)일 수 있다.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20) 또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인 oneM2M 표준에 따른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CSE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10) 및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와, AE에 해당하는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30)의 이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10),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20) 및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30)는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인 oneM2M 표준에 따른 플랫폼으로, oneM2M 표준에 다른 포그 컴퓨팅 시스템에 있어서 기초 노드(IN: Infrastructure Node) 또는 중간 노드(MN: Middle Node)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데이터 구조, 다양한 라이브러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일관되며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추가,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추가 서비스의 확장이 용이하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포그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그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그 노드(10)는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10),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20) 및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130)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200)로 구성될 수 있다.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2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 설치된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포그 노드(10)에서의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등록 시 데이터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20)는 oneM2M 메시지가 바인딩 된 HTTP 형식의 메시지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항시 HTTP 서버를 열어둘 수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message_parser"함수를 호출하여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20)로부터 수신한 HTTP 형식의 메시지에 바인딩 된 oneM2M 메시지를 파싱하고, 해당 메시지가 유효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oneM2M 메시지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Query_Database"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oneM2M 메시지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Response"함수를 호출하여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에러 메시지는 oneM2M 메시지가 바인딩 된 HTTP 형식의 메시지일 수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Query_Database"함수를 호출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데이터베이스(200)에 등록된 디바이스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질의문(query)으로 변경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해당 질의문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등록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기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면, "Message_parser"함수를 호출하여 oneM2M 메시지에 포함된 기기 정보 및 데이터를 "Dataclassification_L" 함수로 전달할 수 있다. 반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미등록된 것으로 확인되면, 에러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에러 메시지는 oneM2M 메시지가 바인딩 된 HTTP 형식의 메시지일 수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Dataclassification_L"함수를 호출하여 전달 받은 oneM2M 메시지에 포함된 기기 정보 및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환경 데이터, 사용자 데이터 또는 하드웨어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특징 선택 및 특징 추출 기법을 통해 데이터 차원 축소를 수행하고, 환경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에 따른 시스템데이터를 재생성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Data_Collection_L"함수를 호출하여, 데이터 분류 및 분석 결과에 따른 질의문을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해당 질의문에 따른 저장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100)는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저장 결과를 확인하고, "Response"함수를 호출하여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20)로 전송할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응답 메시지는 oneM2M 메시지가 바인딩 된 HTTP 형식의 메시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포그 컴퓨팅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를 통해 사물인터넷 서비스가 극대화될 수 있는 스마트 홈, 스마트 오피스,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의로, 스마트 그리드 등 포그 컴퓨팅 시스템이 적용되는 환경에서 모니터링 서비스를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가 스마트 공간에 적용되면 민첩성과 혁신성을 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관련 원천기술 확보와 더불어 4차 산업 기반 국가 SW 산업 경쟁력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 포그 노드
100: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200: 데이터베이스

Claims (14)

  1.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에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를 파싱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등록하거나,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 및 분석하는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및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는,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하는 데이터 분류부;
    분류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백업하는 데이터 백업부; 및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특징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데이터 분석부; 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에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를 파싱하고, 해당 메시지가 유효한지를 확인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등록 또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프레임워크 간의 연결을 관리하는 디바이스 연결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디바이스 등록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설정을 관리하는 설정 관리부;
    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연결부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HTTP 형식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HTTP 형식의 메시지에 바인딩 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를 파싱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연결부는,
    상기 HTTP 형식의 메시지에 바인딩 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메시지로부터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 및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기기 정보가 검색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로 전달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등록부는,
    상기 디바이스 연결부에 의해 상기 HTTP 형식의 메시지에 바인딩 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고, 해당 메시지에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등록 요청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기기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류부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가 종속된 환경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환경 데이터,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생성하는 데이터인 사용자 데이터 또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자체에 대한 데이터인 하드웨어 데이터로 분류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특징 선택 및 특징 추출 기법을 통해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원 축소를 수행하고,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서 자가적응적으로 사용 가능한 데이터인 시스템데이터를 재생성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와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목록,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및 그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디바이스 모니터링부;
    상기 디바이스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여부 및 모니터링 주기를 설정하고,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중요도를 설정하는 모니터링 설정부; 및
    상기 디바이스 모니터링부에서의 모니터링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모니터링 알람부;
    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알람부는,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중요도를 반영하여 사용자 알림 단계를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알림 단계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모니터링부에서의 모니터링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상기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및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는,
    각 서브 프레임워크에서의 처리 결과를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전송하되, HTTP 형식의 메시지에 바인딩 된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로 전송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상기 데이터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 및 모니터링 관리 서브 프레임워크는,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플랫폼으로 구현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13.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를 탑재한 포그 서버.
  14. 각종 데이터를 생성 또는 획득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 및
    상기 사물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노드와 연결되어,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국제 표준에 따른 메시지 형식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포그 서버 및 상기 포그 서버에서 처리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포그 노드;
    를 포함하며,
    상기 포그 노드는,
    상기 포그 서버와 연결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목록,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및 그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디바이스 모니터링부;
    상기 디바이스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여부 및 모니터링 주기를 설정하고,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중요도를 설정하는 모니터링 설정부; 및
    상기 디바이스 모니터링부에서의 모니터링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모니터링 알람부; 를 포함하는 포그 컴퓨팅 시스템.
KR1020170179507A 2017-12-26 2017-12-26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포그 컴퓨팅 시스템 KR102030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507A KR102030907B1 (ko) 2017-12-26 2017-12-26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포그 컴퓨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507A KR102030907B1 (ko) 2017-12-26 2017-12-26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포그 컴퓨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926A KR20190077926A (ko) 2019-07-04
KR102030907B1 true KR102030907B1 (ko) 2019-10-10

Family

ID=6725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507A KR102030907B1 (ko) 2017-12-26 2017-12-26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포그 컴퓨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406A1 (ko) * 2022-10-13 2024-04-1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데이터 플랫폼 미가동시에도 손실 없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478B1 (ko) * 2014-05-30 2015-09-17 한국과학기술원 IoT 장치 및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634295B1 (ko) 2014-12-16 2016-06-30 주식회사 윈스 IoT 보안을 위한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36904B1 (ko) 2015-02-11 2016-07-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토콜 스키마 기반의 안전한 프락시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1700122B1 (ko) 2016-08-10 2017-02-01 주식회사 금경 사물인터넷기반의 전자기기 제어장치
KR101786290B1 (ko) * 2016-01-08 2017-10-18 디노플러스 (주) 스마트 홈 구현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478B1 (ko) * 2014-05-30 2015-09-17 한국과학기술원 IoT 장치 및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634295B1 (ko) 2014-12-16 2016-06-30 주식회사 윈스 IoT 보안을 위한 인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36904B1 (ko) 2015-02-11 2016-07-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토콜 스키마 기반의 안전한 프락시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1786290B1 (ko) * 2016-01-08 2017-10-18 디노플러스 (주) 스마트 홈 구현을 위한 통합 게이트웨이장치
KR101700122B1 (ko) 2016-08-10 2017-02-01 주식회사 금경 사물인터넷기반의 전자기기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926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8413B2 (en) Sharable storage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data analytics
US10560465B2 (en) Real time anomaly detection for data streams
KR102086490B1 (ko) M2m 클러스터링 관리
US9367257B2 (en) Techniques for resource location and migration across data centers
CN100527684C (zh) 用于管理多主机环境下的公共信息模型的方法和系统
US8856800B2 (en) Service-level enterprise service bus load balancing
CN106933548B (zh) 全局信息获取、处理及更新、方法、装置和系统
JP2018514848A (ja) クラウド対クライアント挙動の差異を通じてマルウェアを特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539590B2 (en) Detect impact of network maintenance in software defined infrastructure
JP2013513860A (ja) クラウドコンピューティングのモニタリングと管理システム
CN106933550B (zh) 全局信息获取、处理及更新方法、装置和系统
US9910881B1 (en) Maintaining versions of control plane data for a network-based service control plane
WO2019206100A1 (zh) 一种特征工程编排方法及装置
JP4588768B2 (ja) オーバーレイネットワークのノードの最高ワークロードの決定
KR102012097B1 (ko) 모니터링, 분석 및 제어 플랫폼,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포그 컴퓨팅 시스템
US20240089343A1 (en) Service layer-based methods to enable efficient analytics of iot data
KR101945430B1 (ko) 클라우드 스토리지 페더레이션 환경의 가용성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KR102030907B1 (ko)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포그 컴퓨팅 시스템
CN110795041A (zh) 分布式文件系统的配额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CN112236979B (zh) 用于启用基于雾的数据处理的数据样本模板(dst)管理
US10567469B1 (en) Embedding hypermedia resources in data interchange format documents
US11259169B2 (en) Highly scalable home subscriber server
KR101553923B1 (ko) 시스템 사용량 분석 장치 및 방법
WO2020146689A1 (en) Enabling distributed semantic mashup
US11736336B2 (en) Real-time monitoring of machine learning models in service orchestration p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