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478B1 - IoT 장치 및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장치 및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478B1
KR101553478B1 KR1020140065800A KR20140065800A KR101553478B1 KR 101553478 B1 KR101553478 B1 KR 101553478B1 KR 1020140065800 A KR1020140065800 A KR 1020140065800A KR 20140065800 A KR20140065800 A KR 20140065800A KR 101553478 B1 KR101553478 B1 KR 101553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device
iot
buddy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균
양진홍
박효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6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IoT 장치 및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대화 기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메신저 서비스 플랫폼(messenger service platform)을 통해 상기 IoT 장치를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버디(buddy)로 인식하여 상기 IoT 장치와의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장치 및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AND SERVICE BASED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장치와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란 Internet of objects로도 불리우며, 통신 가능한 모든 사물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상호 통신 수행이 가능한 개념을 의미한다. 시스템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모든 객체는 Things 또는 Object로 분류하며, 여기에는 근거리 및 원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센서 등 데이터 생산 및 이용이 가능한 사물 또는 사람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8668호(공개일 2014년 01월 22일)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POS(point of sales)에 IoT 서비스를 적용한 IoT POS 시스템을 통해 메뉴 정보 및 좌석 정보를 전송 받아 모바일 기기로 예약 및 결제를 처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최근 트위터 및 페이스 북 등의 인터넷 서비스가 모바일 장치까지 확대되어 모바일을 지원하는 웹페이지가 늘어나면서 모바일의 시스템 레벨 제어를 위한 기능도 HTML5의 표준안에 반영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만을 위한 네트워크를 넘어 모바일 및 임베디드 디바이스의 영역까지 인터넷이 확장되고 있으며, 웹 플랫폼은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프로토콜로 인터넷 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렇듯 인터넷과 사물 간 통신의 융화가 최근 이슈로 확대되고 IoT 장치들이 늘어남에 따라 IoT 장치와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버디(buddy) 개념을 이용하여 IoT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황 정보에 따른 일반적인 키워드를 이용하여 IoT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메신저 서비스 플랫폼(messenger service platform)을 통해 상기 IoT 장치를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버디(buddy)로 인식하여 상기 IoT 장치와의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의 식별 정보와 인터페이스 정보 및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에 대해 상기 선택된 메신저 서비스의 포맷으로 임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화 기능을 활성화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가 포함된 버디 목록 및 상기 IoT 장치가 참여하는 대화방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IoT 장치의 제어 기능을 노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장치 메시지의 유효성 검사 및 상기 장치 메시지의 수신 주기를 통해 상기 IoT 장치의 이상 상황을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가 포함된 버디 목록 및 상기 IoT 장치가 참여하는 대화방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IoT 장치의 이상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IoT 장치로부터 장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장치 메시지를 상기 IoT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기준으로 재구성 하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휘 및 상기 IoT 장치의 제어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가 포함된 버디 목록 및 상기 IoT 장치가 참여하는 대화방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어휘와 함께 상기 IoT 장치의 제어 기능을 노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의 온톨로지 정보를 통해 추론된 서비스 컨디션에 대응되는 어휘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IoT 장치를 하나의 버디인 통합 버디(composite buddy)로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버디를 이용하여 D2D(device to device) 형태 또는 매시업(Mashup) 형태의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대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비스 템플릿(service template)으로 IoT 장치 간의 메시지 라우팅 및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에 대하여 IoT 장치의 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버디의 생성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에 대하여 IoT 장치 별 대화 레벨과 제어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IoT 장치 중 복수의 IoT 장치를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하나의 버디(buddy)인 통합 버디(composite buddy)로 관리하는 단계; 및 메신저 서비스 플랫폼(messenger service platform)을 통해 상기 통합 버디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IoT 장치가 참여하는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과정; 및 메신저 서비스 플랫폼(messenger service platform)을 통해 상기 IoT 장치를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버디(buddy)로 인식하여 상기 IoT 장치와의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과정; 상기 등록된 IoT 장치 중 복수의 IoT 장치를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하나의 버디(buddy)인 통합 버디(composite buddy)로 관리하는 과정; 및 메신저 서비스 플랫폼(messenger service platform)을 통해 상기 통합 버디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IoT 장치가 참여하는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처리하는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oT 환경의 다양한 장치들을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 개별 장치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인지할 필요 없이 대화 기반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oT 장치를 대화 상대로 인식하기 위한 기능과, 복합 서비스(두 개 이상의 IoT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시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일반적인 키워드로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Non-UI 환경에서 사용자의 보다 편리하게 IoT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서비스 시스템과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간의 관계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장치의 장치 메시지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장치에 대한 대화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장치를 개별 버디로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IoT 장치에 대한 복합 버디 생성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와 IoT 장치 간의 대화 기능을 위한 대화방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instant messenger service)의 플랫폼과 IoT 장치의 연동을 통해 IoT 장치나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IoT 환경에서의 장치 제어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서비스 시스템과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간의 관계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IoT 장치(101)와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100) 및 사용자 단말(102)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구성 요소 간의 연결선은 IoT 장치(101)와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100) 간, 그리고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102) 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oT 장치(101)는 전기/가스 또는 상하수도를 포함한 에너지를 관리하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가정의 냉방과 난방을 통합 관리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자동차 문의 잠금 장치를 자동으로 해제하거나 키를 꽂지 않아도 시동을 걸 수 있는 스마트 키 등과 같이 IoT 기술 기반의 서비스 대상이 되는 모든 스마트 기기나 센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등의 통신 디바이스로,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100)과 관련된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메신저 앱'이라 칭함)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2)은 메신저 앱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100)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IoT 장치(101)를 버디 형태로 인지하고 사용자들이 익숙한 대화(conversation) 기능을 이용하여 IoT 장치(101)를 제어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100)은 IoT 장치(101)와 관련된 장치 메시지에 대해 장치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른 알림(notification)을 구분하거나 장치 메시지의 주기성 등에 따른 장치 상태를 파악하는 기술과, 복수의 IoT 장치(101)를 엮어(예를 들어, 거실의 냉난방 장치를 연동하는 경우 등) 통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이를 하나의 대화방 또는 새로운 버디로 인식할 수 있는 기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100)은 독립된 형태로 존재하거나, IoT 기반의 웹 서비스 사업자 또는 메신저 서비스 사업자에 포함된 시스템 형태로 서비스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01), 버스(2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 메모리(204) 및 데이터베이스(205)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4)는 운영체제 및 서비스 제공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1)는 장치 제어부(210), 대화 제어부(220) 및 버디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20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204)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4)에는 운영체제와 서비스 제공 루틴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204)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를 통해 메모리(204)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202)는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2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202)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는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2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는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2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05)는 메신저 서비스를 기반으로 IoT 장치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205)는 IoT 장치와 관련된 장치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 메시지 저장소(device message repository), IoT 장치에 관한 기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 정보 저장소(device information repository), IoT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상위 온톨로지(upper ontology for device interface), 사용자와 IoT 간 대화 기능을 위한 어휘를 저장하고 있는 언어 데이터베이스(conversation vocabulary DB), 사용자와 IoT 간 대화 기능을 위한 서비스 템플릿을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템플릿 저장소(service template repository),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 저장소(user information repository), 사용자와 IoT 간 버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버디 정보 저장소(buddy information reposit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200)의 내부에 데이터베이스(205)를 구축하여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별개의 다른 시스템 상에 구축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로서 존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프로세서(201)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2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04)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3)에 의해, 그리고 버스(202)를 통해 프로세서(201)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01)는 장치 제어부(210), 대화 제어부(220) 및 버디 제어부(230)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204)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 제어부(210), 대화 제어부(220) 및 버디 제어부(23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제어부(210)는 장치 관리부(211), 메시지 처리부(212), 장치 체크부(213) 및 메시지 변환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관리부(211)는 IoT 장치를 시스템 상에 등록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장치 관리부(211)는 사용자가 직접 IoT 장치를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200)의 서비스 상에서 등록할 수 있는 디바이스 직접 등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 상의 사용자 포털(user portal)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IoT 장치의 기본적인 정보(예컨대, 장치명, 공간 정보, 태깅(tagging) 정보 등)를 입력하고, 개별적인 인터페이스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경우) 선택하거나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장치 관리부(211)는 IoT 장치와 관련된 API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디바이스 API 기반 등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장치 관리부(211)는 IoT 장치 공급자 또는 다른 별도의 써드 파티(3rd Party) 서비스가 제공하는 API를 통해 IoT 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때 시스템 상의 사용자 포털을 이용하여 IoT 장치의 API 정보를 입력하고 관련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 관리부(211)는 IoT 장치 별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개별적인 인터페이스 정보 설정이 가능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등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는 기 정의된 시맨틱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메시지 변환부(214) 상에서 메시지 변환 및 서비스 동작 추론을 진행할 수 있다. IoT 장치 별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위 온톨로지(upper ontology) 구조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관련된 제어 정보를 추론하여 선택함으로써 IoT 장치에 알맞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지 처리부(212)는 시스템 상에 등록된 IoT 장치로부터 장치 메시지(device message)를 수신하고 이때 수신된 장치 메시지를 큐(queue) 형태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 체크부(213)는 IoT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장치 메시지에 대한 유효성 검사(validation check)를 수행한 후 장치 메시지의 주기를 기반으로 IoT 장치의 이상 상황을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장치 체크부(213)는 IoT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장치 메시지를 이용하여 IoT 장치의 네트워크 또는 배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장치 체크부(213)는 IoT 장치와 관련된 배터리 구동 장치의 메시지 송신 주기 정보를 바탕으로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장치 체크부(213)는 장치 메시지의 유효성을 기반으로 IoT 장치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일정 주기 이상의 이상 발생 시 IoT 장치의 이상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메시지 변환부(214)는 IoT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장치 메시지를 일반적인 용례의 표현으로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메시지 변환부(214)는 IoT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로우(raw) 메시지를 IoT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기준으로 의미를 추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IoT 장치인 온도 센서에서 23이라는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해당 온도 센서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23 섭씨(˚C) 정보 또는 23 화씨(˚F) 정보를 함께 표현하고, 개별 동작 조건이 존재하는 경우 동작의 정보(예를 들어, 에어컨의 경우 On 또는 Off)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화 제어부(220)는 IoT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대화 기능을 관리하는 것으로, 로직 관리부(221) 및 서비스 추론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직 관리부(221)는 IoT 장치 별 설정 정보 또는 복합 버디(composite buddy) 상에서 설정한 장치별/서비스별 서비스 로직을 기반으로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 추론부(222)는 IoT 장치와 외부 환경/서비스 정보를 이용한 시맨틱한 판단으로 사용자 입장에서의 스마트한 서비스 동작을 위한 관련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추론부(222)는 상황 추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온톨로지 정보를 이용해 해당 장치 및 해당 장치가 트리거링 된 메시지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IoT 장치의 정보와 관련된 주변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 추론부(222)는IoT 장치의 정보와 관련된 주변 정보에 대한 추론 기능을 바탕으로 최적의 어휘를 선택하여 추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디 제어부(230)는 버디 관리부(231), 버디 등록부(232) 및 서비스 관리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버디 관리부(231)는 개별 버디의 정보 관리를 목적으로 하며 메신저 서비스와의 인증 및 연결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버디 관리부(231)는 버디 생성 및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 메신저 서비스 사업자와의 연동을 통해 메신저 서비스 상에서 IoT 장치를 개별 버디로 인증하기 위한 가상 버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버디 관리부(231)는 비연동 사업자와의 연계를 위해서 가상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기반 정보를 이용하여 버디를 추가하는 서비스에 대한 연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버디 등록부(232)는 D2D(device to device) 형태 또는 매시업(Mashup) 형태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복수의 IoT 장치를 연결해 하나의 버디 형태로 서비스 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버디 등록부(232)는 복수의 IoT 장치에 대하여 디바이스 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복합 버디의 생성 가능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개별 버디 간의 메시지 라우팅 및 관계(relation)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은 템플릿(template) 형태로 버디 타입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쉬운 '스마트 서비스' 생성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버디 등록부(232)는 복수의 IoT 장치에 대하여 복합 버디로 생성된 신규 버디를 타 서비스 상에서 하나의 버디로 인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부(233)는 IoT 장치 연동형 서비스 이용 시의 사용자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개별 버디 간의 메시지 라우팅 및 관계를 설정할 수 있는 기 정의된 서비스 템플릿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서비스 관리부(233)는 IoT 장치 별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복합 버디 생성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복합 버디 생성 가능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IoT 장치의 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Web IDL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연동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때 인스턴스 호스팅(Instance Hosting) 기술의 매시업 인터페이스와 같은 구조를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관리부(233)는 서비스 우선 순위 및 제어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손쉬운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장치의 장치 메시지를 재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메시지 재구성 과정은 장치 제어부(21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01~S302)에서 장치 제어부(210)는 시스템 상에 등록된 IoT 장치로부터 장치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전에 등록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해당 장치 메시지를 전송한 IoT 장치를 인증할 수 있다. 이때, 장치 제어부(210)는 IoT 장치로부터 수신된 장치 메시지를 큐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단계(S303~S304)에서 장치 제어부(210)는 IoT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장치 메시지에 대한 유효성 체크를 수행한 후, 상기 인증을 통해 식별된 IoT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개별 IoT 장치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인터페이스 정보가 존재하며, 해당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해 개별 사용자가 공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IoT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해 미공개로 선택하는 경우 복합 버디의 생성이 불가능하다.
단계(S305~S306)에서 장치 제어부(210)는 온톨로지 상에서 단계(S304)에서 획득한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한 시맨틱 정보를 쿼리할 수 있으며, 쿼리를 통해 확인된 시맨틱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라 IoT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장치 메시지를 재구성하여 대화 제어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장치 제어부(210)는 IoT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장치 메시지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맞춰 해당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때 해당 정보는 양적인(Quantitative) 정보와 질적인(Qualitative)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대화 제어부(220)로 전달되는 메시지는 다음 표와 같은 스키마 구조를 따라 재구성될 수 있다.
<SensorPayload>
<xs:element ref="QuantitativeSensorData" maxOccurs="unbounded" />
<xs:element ref="QualitativeSensorData" maxOccurs="unbounded" />
<xs:element name="SensorType" type="xs:string" />
<xs:element name="Manufacurer" type="string" />
<xs:element name="UUID" type="string" />
<xs:element name="timestamp" type="dateTime" />

</SensorPayloa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장치에 대한 대화 제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제어 과정은 대화 제어부(22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S401~S402)에서 대화 제어부(220)는 IoT 장치 별 서비스 로직을 기반으로 IoT 장치의 서비스 동작을 위한 제어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단계(S403~S405)에서 대화 제어부(220)는 IoT 장치 별로 온톨로지 정보를 탐색한 후 추론 정보 기반의 외부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여 IoT 장치 별 서비스 컨디션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대화 제어부(220)는 IoT 장치와 관련된 서비스 컨디션 정보를 탐색하기 위해 장치 제어부(210)에서 전달된 장치 메시지를 기반으로 관련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대화 제어부(220)는 정보 탐색을 통한 추론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서비스 정보(예컨대 날씨, 에너지(수요 반응형 가격책정 환경), 사용자의 인접 유무 등의 서비스를 포함함)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S406~S407)에서 대화 제어부(220)는 IoT 장치와 관련된 외부 서비스 API와의 연동을 통해 IoT 장치 별로 설정된 가중치를 기준으로 해당 서비스 컨디션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S408~S409)에서 대화 제어부(220)는 장치 제어부(210)에서 전달된 장치 메시지에 대해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기반의 판단 정보를 재구성한 후 IoT 장치의 시맨틱 인터페이스 정보 및 외부 서비스 컨디션에 대응되는 최적의 어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화 제어부(220)는 최종적으로 생성된 메시지에 대해 RDF 형태로 문장을 재구성할 수 있으며, 개별 IoT 장치의 시맨틱 뿐 만 아니라 외부 서비스 정보와의 협력을 통해 해당 상황에 맞는 최적의 어휘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S410)에서 대화 제어부(220)는 단계(S409)에서 선택된 어휘에 대응하여 IoT 장치의 서비스 동작을 위한 제어 인터페이스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대화 제어부(220)는 메신저 버디 및 목록 상에서 사용자가 빠르게 장치 또는 서비스 기능을 직접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노출 시 어떠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지에 대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IoT 장치를 개별 버디로 관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버디 관리 과정은 버디 제어부(23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S501~S502)에서 버디 제어부(230)는 IoT 장치에 대하여 메신저 서비스 상의 버디 등록 기능을 요청하고 해당 메신저 서비스 사업자를 선택 및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조회할 수 있다.
단계(S503~S505)에서 버디 제어부(230)는 메신저 서비스 사업자에 맞춘 임시 가상 식별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이메일, API 등)를 생성하여 임시 생성 식별 정보 상에서의 메시지 수신 기능을 활성화 한 후 메시지 파싱 및 등록(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버디 제어부(230)는 메시지 서비스 별 IoT 장치의 인증을 위해서 가상의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과 메시지 수신 및 정보 파싱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S506~S507)에서 버디 제어부(230)는 IoT 장치에 대한 버디 등록 정보를 저장하고 단계(S502)에서 선택된 메신저 서비스 사업자에 대하여 API 기반 호출 서비스로 메시지 수신 환경으로의 전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508~S510)에서 버디 제어부(230)는 메신저 사업자가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메신저 어댑터 상의 API와 연결하여 웹 기반 통신 호출로 전환하고 IoT 장치의 임시 가상 식별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버디 제어부(230)는 메신저 사업자가 메시지 수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를 종료하게 된다. 미지원 사업자의 경우 개별 번호 또는 아이디를 활용하는 서비스로, 본 서비스 사업자는 해당 기능을 이용하여 관련 특정 번호 또는 계정 정보에 대한 이용료를 부가적으로 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IoT 장치에 대한 복합 버디 생성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버디 생성 과정은 버디 제어부(23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S601~S602)에서 버디 제어부(230)는 복수의 IoT 장치에 대한 버디 생성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템플릿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때, 서비스 템플릿은 IoT 장치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의 사전 정의 셋(predefined set)을 의미하며, IoT 장치 별 개별 버디의 적합성 판단은 각 IoT 장치의 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 별 개별 버디의 경우 초기 등록 시 연결 서비스 생성에 대해 사용자의 동의가 반드시 있어야 복합 버디 생성이 가능하다.
단계(S603~S605)에서 버디 제어부(230)는 서비스를 위한 대화방에 참여할 개별 버디를 선택한 후 선택된 개별 버디의 인터페이스 타입을 요청하고 서비스 템플릿 로직에 대한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606~S607)에서 버디 제어부(230)는 서비스 템플릿 로직에 매칭되는 개별 버디에 대하여 대화 레벨(conversation)과 제어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대화 레벨은 사용자가 설정하는 해당 버디의 메시지 송수신 주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별로 자신이 중요하게 여기는 서비스(IoT 장치)의 대상이 다르므로 이를 반영해서 서비스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대화 레벨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식 설정은 사용자가 모든 서비스(IoT 장치)에 대해 대화체 형태로의 동작도 가능하나 보다 직관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대화창에 기본적인 정보 및 컨트롤러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S608~S609)에서 버디 제어부(230)는 개별 IoT 장치의 버디 타입을 확인한 후 복합 버디 생성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버디 제어부(230)는 개별 버디 간의 메시지 라우팅 및 관계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템플릿 형태로 버디 타입을 제공하여 복수의 IoT 장치에 대해 하나의 버디로 인지할 수 있는 복합 버디 생성을 완료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와 IoT 장치 간의 대화 기능을 위한 대화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버디 제어부(230)는 대화방에 참여하는 IoT 장치 별로 각 장치의 상태 정보(701)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버디 제어부(230)는 메신저의 친구 목록이나 대화 목록에 포함된 개별 버디에 해당 장치의 상태 또는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701)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태 정보는 IoT 장치의 상태나 동작 여부에 따라 동작중, 정지, 경고 등의 문구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버디 제어부(230)는 대화방 환경에서 IoT 장치의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 장치와의 대화 페이지까지 들어가지 않아도 IoT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친구 목록이나 대화 목록의 개별 버디에 IoT 장치의 제어 기능(702)을 제공할 수 있으며, IoT 장치 별로 제어 인터페이스가 다르므로 이에 맞춰 제어 기능(702)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IoT 장치 별 제어 인터페이스는 해당 장치의 등록 시 결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버디 제어부(230)는 개별 버디 또는 복합 버디를 대상으로 한 개별 대화방에서 IoT 장치의 상태 및 설정 정보, 그리고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개별 페이지에서는 IoT 장치의 제어 기능(801)이 상단에 표시될 수 있고, IoT 장치의 설정 및 상태에 대한 정보가 메시지 형식으로 대화 영역(802)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대화 영역(802)에는 메시지 속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정보가 구분될 수 있으며, 로그성 메시지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필요한 메시지는 별도로 처리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디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특정 메시지(901)를 이용하여 IoT 장치의 동작을 취소 또는 정지시킨 경우 IoT 장치에서 사용자 명령을 인지하였음을 확인하고 재동작을 위한 메시지 정보(902)를 추천할 수 있다. 그리고, 버디 제어부(230)는 IoT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직접 제어 시 조작의 불편함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IoT 장치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IoT 장치를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능(903)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IoT 장치가 동작 중에는 인터페이스 기능(903)이 중지 기능의 인터페이스로, IoT 장치가 중지 중에는 인터페이스 기능(903)이 동작 또는 설정 기능의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IoT 장치가 동작 중에는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와 함께 설정을 위한 연결 링크(904)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버디 제어부(230)는 IoT 장치의 동작 시 해당 동작 조건에 대해 사용자가 손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링크(904)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010), 메모리(memory)(102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03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040), 전력 회로(1050) 및 통신 회로(106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02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20)는 컴퓨터 시스템(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01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3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02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0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30)는 컴퓨터 시스템(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010) 및 메모리(10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터 시스템(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04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04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04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0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05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05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06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06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0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터 시스템(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도 10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060)에 다양한 통신 방식(WiFi, 3G, LET,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메신저 앱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oT 환경의 다양한 장치들을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 개별 장치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인지할 필요 없이 대화 기반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oT 장치를 대화 상대로 인식하기 위한 기능과, 복합 서비스(두 개 이상의 IoT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시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일반적인 키워드로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Non-UI 환경에서 사용자의 보다 편리하게 IoT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
210: 장치 제어부
220: 대화 제어부
230: 버디 제어부

Claims (14)

  1. 컴퓨터로 구현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메신저 서비스 플랫폼(messenger service platform)을 통해 상기 IoT 장치를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버디(buddy)로 인식하여 상기 IoT 장치와의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IoT 장치에 대해 상기 선택된 메신저 서비스의 포맷으로 임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화 기능을 활성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의 식별 정보와 인터페이스 정보 및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정보를 등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가 포함된 버디 목록 및 상기 IoT 장치가 참여하는 대화방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IoT 장치의 제어 기능을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
  5. 컴퓨터로 구현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메신저 서비스 플랫폼(messenger service platform)을 통해 상기 IoT 장치를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버디(buddy)로 인식하여 상기 IoT 장치와의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장치 메시지의 유효성 검사 및 상기 장치 메시지의 수신 주기를 통해 상기 IoT 장치의 이상 상황을 파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가 포함된 버디 목록 및 상기 IoT 장치가 참여하는 대화방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IoT 장치의 이상 상황을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
  6. 컴퓨터로 구현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메신저 서비스 플랫폼(messenger service platform)을 통해 상기 IoT 장치를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버디(buddy)로 인식하여 상기 IoT 장치와의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IoT 장치로부터 장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장치 메시지를 상기 IoT 장치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기준으로 재구성 하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휘 및 상기 IoT 장치의 제어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가 포함된 버디 목록 및 상기 IoT 장치가 참여하는 대화방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어휘와 함께 상기 IoT 장치의 제어 기능을 노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IoT 장치의 온톨로지 정보를 통해 추론된 서비스 컨디션에 대응되는 어휘를 선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
  8. 컴퓨터로 구현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메신저 서비스 플랫폼(messenger service platform)을 통해 상기 IoT 장치를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버디(buddy)로 인식하여 상기 IoT 장치와의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복수의 IoT 장치를 하나의 버디인 통합 버디(composite buddy)로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통합 버디를 이용하여 D2D(device to device) 형태 또는 매시업(Mashup) 형태의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서비스 템플릿(service template)으로 IoT 장치 간의 메시지 라우팅 및 관계를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에 대하여 IoT 장치의 IDL(Interface Definition Language)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버디의 생성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IoT 장치에 대하여 IoT 장치 별 대화 레벨과 제어 기능을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 기반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로딩된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를 사용자와 연관하여 등록하는 과정; 및
    메신저 서비스 플랫폼(messenger service platform)을 통해 상기 IoT 장치를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버디(buddy)로 인식하여 상기 IoT 장치와의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
    을 처리하고,
    상기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대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IoT 장치에 대해 상기 선택된 메신저 서비스의 포맷으로 임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임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화 기능을 활성화 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대화 기반 제어 시스템.
  14. 삭제
KR1020140065800A 2014-05-30 2014-05-30 IoT 장치 및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553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800A KR101553478B1 (ko) 2014-05-30 2014-05-30 IoT 장치 및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800A KR101553478B1 (ko) 2014-05-30 2014-05-30 IoT 장치 및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478B1 true KR101553478B1 (ko) 2015-09-17

Family

ID=5424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800A KR101553478B1 (ko) 2014-05-30 2014-05-30 IoT 장치 및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47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361B1 (ko) 2016-03-14 2016-09-23 지투파워 (주) 데이터 보정을 이용한 IoT 기반의 원격 자동제어 시스템
KR101721004B1 (ko) 2016-01-15 2017-04-10 (주) 글루시스 컨테이너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729062B1 (ko) * 2016-02-05 2017-04-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스마트 사물 인터넷 하드웨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27739B1 (ko) * 2015-11-30 2017-05-02 달리웍스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서 이메일 또는 메시지을 이용해서 룰 트리거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077926A (ko) * 2017-12-26 2019-07-0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포그 컴퓨팅 시스템
JP2021056615A (ja) * 2019-09-27 2021-04-08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Snsを利用した顧客サポートシステムにおけるトークルーム管理サーバ、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162272A1 (ko) * 2020-02-11 2021-08-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2m 시스템에서 개인 데이터를 취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60797A (ko)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에니트 데이터 보정을 통한 IoT 기반의 원격 에너지 분산제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4935A1 (en) 2011-08-22 2013-08-22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WO2013127191A1 (zh) 2012-02-28 2013-09-06 重庆和航科技股份有限公司 物联网协议转换系统及转换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4935A1 (en) 2011-08-22 2013-08-22 Lg Electronics In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me appliance
WO2013127191A1 (zh) 2012-02-28 2013-09-06 重庆和航科技股份有限公司 物联网协议转换系统及转换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739B1 (ko) * 2015-11-30 2017-05-02 달리웍스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서 이메일 또는 메시지을 이용해서 룰 트리거를 제어하는 방법
KR101721004B1 (ko) 2016-01-15 2017-04-10 (주) 글루시스 컨테이너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729062B1 (ko) * 2016-02-05 2017-04-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스마트 사물 인터넷 하드웨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59361B1 (ko) 2016-03-14 2016-09-23 지투파워 (주) 데이터 보정을 이용한 IoT 기반의 원격 자동제어 시스템
KR20190077926A (ko) * 2017-12-26 2019-07-0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포그 컴퓨팅 시스템
KR102030907B1 (ko) * 2017-12-26 2019-10-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이를 탑재한 포그 서버 및 포그 컴퓨팅 시스템
JP2021056615A (ja) * 2019-09-27 2021-04-08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Snsを利用した顧客サポートシステムにおけるトークルーム管理サーバ、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60344B2 (ja) 2019-09-27 2024-04-02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Snsを利用した顧客サポートシステムにおけるトークルーム管理サーバ、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162272A1 (ko) * 2020-02-11 2021-08-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2m 시스템에서 개인 데이터를 취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936746B2 (en) 2020-02-11 2024-03-19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personal data in M2M system
KR20230060797A (ko)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에니트 데이터 보정을 통한 IoT 기반의 원격 에너지 분산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478B1 (ko) IoT 장치 및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662396B1 (ko) IoT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222230B2 (en) Grouping digital images based on detected objects
EP3019969B1 (en) Data consolidation mechanisms for internet of things integration platform
US20160020804A1 (en)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70221011A1 (en) System, method, and machine-readable medium for managing network-connected industrial assets
EP3726376A1 (en) Program orchest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440651B1 (ko) 자연어 표현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652384B1 (ko) 메신저 봇을 이용하여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60600B1 (ko) 사용자 반응 향상을 위한 해시태그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기록매체
US97231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 based on interest information
EP3652899B1 (en) Event tracking for messaging platform
JP2018200687A (ja) メッセンジャーを利用した勤怠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JP6100832B2 (ja) メッセンジャの対話内容に基づいて推薦検索語を提供する方法と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WO2020174737A1 (ja) デバイス管理システム
KR102100990B1 (ko) 서비스 연계를 통한 범용 예약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075381B1 (ko) 사물 협업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그 모델링 도구
US10659593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etting alarm
KR101283170B1 (ko) 이종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종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784057B1 (ko)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KR102047510B1 (ko)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50631A (ko) 메신저 대화 관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20190278836A1 (en) Assisted review creation
EP3561698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ly processing application event
KR102369569B1 (ko) 업무컨테이너를 기반으로 하는 협업플랫폼에서 업무에 대한 웹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