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552B1 -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552B1
KR102030552B1 KR1020190033530A KR20190033530A KR102030552B1 KR 102030552 B1 KR102030552 B1 KR 102030552B1 KR 1020190033530 A KR1020190033530 A KR 1020190033530A KR 20190033530 A KR20190033530 A KR 20190033530A KR 102030552 B1 KR102030552 B1 KR 102030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age
holographic
hologram
foi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효섭
Original Assignee
송효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효섭 filed Critical 송효섭
Priority to KR102019003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24Reflector; Mirr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관객의 시야 내에 배치되는 제1 무대의 배경 영상을 생성하는 배경 영상 생성부와, 홀로그램 영상을 방출하는 홀로그램 영상 생성부와,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홀로그램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반사하고, 배경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투과시키는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과, 관객의 시야 외에 배치되는 제2 무대의 영상을 제1 무대 측으로 반사하는 영상 전환부와, 영상 전환부에 의해 반사된 제2 무대의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반사하고, 배경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투과시키는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SYSTEM FOR INTERACTIVE THEATRICAL PERFORMANCE BASED ON HOLOGRAPHIC IMAGE}
본 발명은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객 및 배우와 상호작용 가능한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는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상 미디어 관련 기기에 대한 개발이 빠른 속도로 진행하고 있으며 기존의 평면 패널, 스크린을 통해 삼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양안 시차를 이용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 제공하는 전자 기기는 이미 상용화되었으나 빛의 간섭 현상을 이용해 가장 현실감 있는 삼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방식인 홀로그램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최근 홀로그램 기술의 일부 특징을 채용하여 공연 문화 컨텐츠에 접목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 특허 문헌 1과 같은 종래의 홀로그램 기반 극장 공연 시스템은 별도로 준비된 홀로그램 영상을 무대 전단에 배치된 홀로그램 포일에 투사하여 홀로그램 영상과 무대를 중첩시켜 보여주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배우의 동작에 의해 무대 영상, 홀로그램 영상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무대 후면 배경 영상과 홀로그램 영상의 변화를 다채롭게 이용하는데 반해 무대 위의 배우 또는 관객에 대한 효과를 적용하기는 곤란하다. 최근의 문화 컨텐츠의 주류를 이루는 작품과 관객 간 소통을 더욱 효과적으로 연출하기 위해 배우 또한 영상과 함께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관객 또한 작품에 참여할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는 개선된 극장 공연 시스템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 특허 공보 제10-156099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객 시야 외의 무대의 영상을 홀로그램 투사 방식으로 관객에게 제공함으로써 무대 위 배우의 동작을 극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관객의 이미지가 합성된 영상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은 관객의 시야 내에 배치되는 제1 무대의 배경 영상을 생성하는 배경 영상 생성부; 홀로그램 영상을 방출하는 홀로그램 영상 생성부;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홀로그램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반사하고, 상기 배경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투과시키는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 관객의 시야 외에 배치되는 제2 무대의 영상을 상기 제1 무대 측으로 반사하는 영상 전환부; 및 상기 영상 전환부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2 무대의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반사하고, 상기 배경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투과시키는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홀로그램 영상 생성부는 홀로그램 영상을 방출하는 빔 프로젝터와, 상기 빔 프로젝터로부터 방출된 영상을 상기 제1 무대의 바닥면 전단부로 반사하는 제1 홀로그램 영상 반사체와, 상기 제1 무대의 바닥면 전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홀로그램 영상 반사체로부터 반사된 영상을 상기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에 반사하는 제2 홀로그램 영상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전환부는 상기 제1 무대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2 무대의 영상을 상방으로 반사하며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무대에 연결되고 회전 구동부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은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무대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반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은 상기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경 영상 생성부 및 상기 홀로그램 영상 생성부 중 하나 이상은 관객의 이미지가 합성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에 의하면, 투과된 배경 영상과 반사된 홀로그램 영상이 중첩되어 관객에게 보임으로써, 관객은 각각의 영상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생성된 것으로 인지하고 공연 영상으로부터 더욱 개선된 입체감과 현실감을 체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우와 홀로그램 영상이 중첩됨에 따라 배우가 화면에서 사라지는 상황과 같이 중첩을 이용한 다양한 극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안용 배경 영상과 우안용 배경 영상을 동시에 방출함으로써 관객은 배경 영상의 각 부분에 대해 형성된 거리감을 통해 더욱 실감나는 공연 영상을 체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전에 저장되거나 실시간으로 촬영된 관객의 이미지가 합성된 배경 영상 또는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함으써 관객으로 하여금 예상치 못한 참여로 인한 즐거움을 체험케 할 수 있으며, 관객과 작품이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관객의 반응을 더욱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 전환부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며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배경 영상, 홀로그램 영상에 대해 제2 무대의 영상을 상대적으로 확대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연 영상 중 소리가 발생하는 일 위치로부터 각각의 스피커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각각의 대응하는 스피커에 의해 소리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공연 대상의 공간감을 청각적으로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100)은 배경 영상 생성부(110)와, 홀로그램 영상 생성부(120)와,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과, 영상 전환부(140)와,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극장 공연 시스템(100)은 사전에 준비된 배경 영상, 홀로그램 영상 등과 배우의 동작을 포함하는 뮤지컬 공연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극장 공연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배경 영상 생성부(110)는 관객의 시야 내에 배치되는 제1 무대(10)의 배경 영상을 생성한다. 배경 영상 생성부(110)는 제1 무대(10)의 후단부에 고정식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별도로 구비된 배경 영상용 빔 프로젝터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스크린 패널 또는 자체적으로 빛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홀로그램 영상 생성부(120)는 홀로그램 영상을 방출한다. 홀로그램 영상은 배경 영상과 함께 관객이 보게 되는 공연 작품의 화면을 구성한다. 홀로그램 영상 생성부(120)는 홀로그램 영상 생성용 빔 프로젝터(121)를 포함할 수 있다. 빔 프로젝터(121)로부터 방출된 빛은 제1 홀로그램 영상 반사체(122)를 통해 제1 무대(10)의 바닥면 전단부에 배치된 제2 홀로그램 영상 반사체(123)에 반사되어 후술할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에 투사될 수 있다. 빔 프로젝터(121)의 방출 방향, 반사체(122, 123)의 배치 및 각도 등은 작품의 공연에 수반되는 다양한 조건들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와 다른 방식으로 적절하게 선정될 수 있다.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은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은 제1 무대(10)의 바닥면에 대해 대략 45도의 각도로 전방을 향해 기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된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을 통해 제1 무대(10) 바닥면에 배치된 제2 홀로그램 영상 반사체(123)로부터 반사된 홀로그램 영상이 무대 전방으로 반사되어 관객에게 보일 수 있게 된다.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은 배경 영상 생성부(110)보다 제1 무대(10)의 전방 부분에 배치된다. 이때,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은 배경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투과시킨다. 투과된 배경 영상과 반사된 홀로그램 영상이 중첩되어 관객에게 보임으로써, 관객은 각각의 영상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생성된 것으로 인지하고 공연 영상으로부터 더욱 개선된 입체감과 현실감을 체험할 수 있다.
배경 영상 생성부(110)와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 사이의 제1 무대(10) 공간 상에서 배우가 공연하는 경우 배우의 모습 또한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을 투과하여 관객에게 보일 수 있다. 이때 배우와 홀로그램 영상이 중첩되어 보이므로 이를 이용한 다양한 극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별도의 조명으로부터 빛을 받아야 배우가 관객에게 뚜렷하게 보이는데, 배우를 향하는 조명을 소등할 경우 배우 앞의 홀로그램 영상으로 인해 배우가 화면에서 사라진 것과 같은 느낌을 연출할 수 있다.
한편, 배경 영상 생성부(110) 및 홀로그램 영상 생성부(120)는 좌안용 배경 영상과 우안용 배경 영상을 동시에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객은 배경 영상의 각 부분에 대해 형성된 거리감을 통해 더욱 실감나는 공연 영상을 체험할 수 있다.
또한, 배경 영상 생성부(110) 및 홀로그램 영상 생성부(120)는 사전에 저장되거나 실시간으로 촬영된 관객의 이미지가 합성된 배경 영상 또는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관객의 이미지가 합성된 배경 영상 또는 홀로그램 영상과 후술할 제2 무대(20)의 영상이 절묘하게 중첩됨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예상치 못한 참여로 인한 즐거움을 체험케 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관객의 이미지를 반영하는 경우 관객과 작품이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관객의 반응을 더욱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은 홀로그램 영상의 방출 여부, 배우가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의 전방 및 후방 공간 중 공연하는 공간의 위치를 고려하여 무대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1 무대(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은 리프트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무대 화면 밖으로 이동하거나, 무대 하부로 권취되어 무대 화면 밖으로 해제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의 상하단이 각각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1 무대(10)에 연결되어 포일 스크린(130) 전후방의 제1 무대(10) 공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도 있다.
관객의 시야 내에 제1 무대(10)가 배치되는 것과 달리, 제2 무대(20)는 제1 무대(10)의 하부에 위치되어 관객의 시야 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무대의 위치는 공연장 공간 구성, 공연 연출 상황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관객의 시야 외에 둘 이상의 무대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무대(20)에서는 별도의 제2 무대 배경 영상 또는 배우의 연기 동작이 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무대(20)의 영상은 영상 전환부(140)를 통해 제1 무대(10) 측으로 반사된 후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150)에 의해 반사되어 관객에게 보일 수 있다. 영상 전환부(140)는 제2 무대(20)의 영상을 상방으로 반사시키도록 배치된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체를 통해 제2 무대(20) 상에서 별도의 조명에 비춰진 배우의 모습, 또는 제2 무대(20) 후방에 배치 가능한 제2 무대 배경 영상 등이 제1 무대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영상 전환부(140)에 의해 제1 무대(10) 측으로 반사된 제2 무대(20)의 영상은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150)에 반사됨에 따라 무대 전방의 관객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150)은 배경 영상 생성부(110) 및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의 전방에 배치되어, 후방에서 조사되는 홀로그램 영상, 배경 영상 및 제1 무대(10) 상의 배우의 동작을 무대 전방으로 투과시킨다.
한편, 도 1에서는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150)이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130)이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15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 전환부(140)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2 무대(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무대(20)의 영상을 확대할 경우 영상 전환부(140)는 무대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2 무대(20)의 영상을 축소하는 경우 무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경 영상, 홀로그램 영상에 대해 제2 무대(20)의 영상을 상대적으로 확대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이때, 영상 전환부(140)는 각도 조절 가능하게 틸팅 모터 등의 회전 구동부에 연결됨으로써 위치 이동에 따른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150)과의 각도 고려하여 적절하게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공연의 화면을 이루는 사각 프레임(101)의 각각의 모서리에 네 쌍의 스피커(1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공연 영상 중 소리가 발생하는 일 위치로부터 각각의 스피커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각각의 대응하는 스피커에 의해 소리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상단과 가까운 위치에서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 가장 가까운 좌측 상단 스피커가 가장 크게 소리를 출력하고 나머지 스피커는 상대적으로 작게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공연 영상 중 소리를 내는 대상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소리를 내는 경우, 처음에는 좌측 상하단 스피커만 크게 소리를 출력한 후, 좌측 스피커들의 출력을 점점 줄이고 우측 스피커들의 출력을 점점 올려 관객으로 하여금 대상의 이동을 청각적으로도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배경 영상 생성부
120: 홀로그램 영상 생성부
121: 빔 프로젝터
122: 제1 홀로그램 영상 반사체
123: 제2 홀로그램 영상 반사체
130: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
140: 영상 전환부
150: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
160: 스피커
100: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
10: 제1 무대
20: 제2 무대

Claims (5)

  1. 관객의 시야 내에 배치되며 배우의 연기 동작이 연출되는 제1 무대의 배경 영상을 생성하는 배경 영상 생성부;
    홀로그램 영상을 방출하는 홀로그램 영상 생성부;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홀로그램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반사하고, 상기 배경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투과시키는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
    관객의 시야 외에 배치되며 배우의 연기 동작이 연출되는 제2 무대의 영상을 상기 제1 무대 측으로 반사하는 영상 전환부; 및
    상기 영상 전환부에 의해 반사된 상기 제2 무대의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반사하고, 상기 배경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투과시키는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홀로그램 영상 생성부는 홀로그램 영상을 방출하는 빔 프로젝터와, 상기 빔 프로젝터로부터 방출된 영상을 상기 제1 무대의 바닥면 전단부로 반사하는 제1 홀로그램 영상 반사체와, 상기 제1 무대의 바닥면 전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홀로그램 영상 반사체로부터 반사된 영상을 상기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에 반사하는 제2 홀로그램 영상 반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전환부는 상기 제1 무대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2 무대의 영상을 상방으로 반사하며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무대에 연결되고 회전 구동부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며,
    상기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은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무대 영상을 무대 전방으로 반사하고,
    상기 전환 영상 포일 스크린은 상기 홀로그램 포일 스크린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배경 영상 생성부 및 상기 홀로그램 영상 생성부 중 하나 이상은 관객의 이미지가 합성된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무대의 전방에 배치되고 공연의 화면을 이루는 사각 프레임의 각각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영상 중 소리가 발생하는 일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소리가 출력되도록 제어되는 네 쌍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33530A 2019-03-25 2019-03-25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 KR102030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530A KR102030552B1 (ko) 2019-03-25 2019-03-25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3530A KR102030552B1 (ko) 2019-03-25 2019-03-25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552B1 true KR102030552B1 (ko) 2019-10-10

Family

ID=6820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530A KR102030552B1 (ko) 2019-03-25 2019-03-25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5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3999A (zh) * 2021-07-21 2021-11-12 强视传媒有限公司 一种全息影像舞台控制系统
KR20230164836A (ko) 2022-05-26 2023-12-05 하상호 오토마타와 연동하는 인터렉티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3124A (ja) * 1999-06-25 2003-01-28 ベルハーン−ブンダーリッヒ、ペーター 映写システムの映写スペース内で三次元物体を動かすための装置
KR20030061569A (ko) * 2002-01-15 2003-07-22 주식회사 아이젠텍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560991B1 (ko) 2014-12-18 2015-10-16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홀로그램 재생이 가능한 극장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3124A (ja) * 1999-06-25 2003-01-28 ベルハーン−ブンダーリッヒ、ペーター 映写システムの映写スペース内で三次元物体を動かすための装置
KR20030061569A (ko) * 2002-01-15 2003-07-22 주식회사 아이젠텍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560991B1 (ko) 2014-12-18 2015-10-16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홀로그램 재생이 가능한 극장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3999A (zh) * 2021-07-21 2021-11-12 强视传媒有限公司 一种全息影像舞台控制系统
KR20230164836A (ko) 2022-05-26 2023-12-05 하상호 오토마타와 연동하는 인터렉티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6076B2 (en) Multi-projection system for extending visual element of main image
US5964064A (en) Theater with multiple screen three dimensional film projection system
US7938540B2 (en) Autostereoscopic projection system
US9849399B2 (en) Background imagery for enhanced pepper's ghost illusion
US20140192281A1 (en) Switching dual layer display with independent layer content and a dynamic mask
KR102030552B1 (ko) 홀로그램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극장 공연 시스템
EP2666531A2 (en) Three dimensional cinema system
TW201715883A (zh) 影像投影裝置、舞臺裝置以及影像投影方法
WO201715461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1997046912A1 (en) Multiple viewer system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JP5069360B2 (ja) 3次元表示装置
EP3268780A1 (en) Three-dimensional image source for enhanced pepper's ghost illusion
JP2023175742A (ja) 遊技機
JP2007304248A (ja) 3次元表示装置
WO201715460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2923139A1 (en) Dual-sided pepper's ghost illusion
JP5031909B2 (ja) 3次元表示装置
CN111312118A (zh) 一种沉浸式互动显示系统
JP2013171252A (ja) 情報提示装置
KR102051959B1 (ko) 몰입감을 향상시킨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장치
CN203490454U (zh) 一种环幕立体影院系统
KR20230059739A (ko) 플로팅 홀로그램 기반 로봇 공연 시스템
KR101308653B1 (ko) 멀티 레이어 스크린을 이용한 가상 체험 시스템
JP2005175644A (ja) 映像合成装置および映像合成装置を駆動する映像駆動装置並びに映像合成装置の映像を投影する透過性パネル並びに映像合成装置と映像駆動装置と透過性パネルとを有する立体映像システム
US202300364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ulti-layer hologram proj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