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498B1 -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498B1
KR102030498B1 KR1020170178027A KR20170178027A KR102030498B1 KR 102030498 B1 KR102030498 B1 KR 102030498B1 KR 1020170178027 A KR1020170178027 A KR 1020170178027A KR 20170178027 A KR20170178027 A KR 20170178027A KR 102030498 B1 KR102030498 B1 KR 102030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df
medium density
density fiberboard
medium
fibe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323A (ko
Inventor
박병대
홍민국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4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02Processes; Apparatus
    • B27K3/0207Pretreatment of wood before impregnation
    • B27K3/0214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34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7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using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85Thermal treatments, i.e. involving chemical modification of wood at temperatures well over 100°C
    • B27K5/009Thermal treatments, i.e. involving chemical modification of wood at temperatures well over 100°C using a well-defined temperature schedu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에 전처리 과정으로 햄머밀을 이용한 파쇄와 함수율만 조절하는 간단한 과정을 이용하므로, 실제 공정 라인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중밀도섬유판 제조공정에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최대10%까지 투입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medium density fiberboard by recycling dry waste medium density fiberboard}
본 발명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MDF란 Medium Density Fiberboard로 중간정도의 밀도를 가진 섬유판이라는 뜻이다. 목질재료를 주원료로 하여 고온에서 해섬하여 얻은 목섬유(Wood Fiber)를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시켜 성형, 열압하여 만든 밀도 0.4-0.8g/cm3의 목질판상 제품이며 3.0mm에서 30mm두께까지 생산이 가능하다. 즉 원목을 갈은것에 아교를 섞어 뭉쳐 편평하게 압축시켜 합판처럼 만든것을 말한다. 전 두께에 걸쳐 섬유분배가 균일하고 조직이 치밀하여 복잡한 기계가공 작업에서도 측면의 파열없이 수행할 수 있다.
MDF는 원목에 대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MDF의 활용도가 광범위함과 더불어 폐기 처리되는 MDF의 물량도 상당히 많다. 그러나 폐MDF는 미립 섬유성상으로 산업용 자재로 재활용하기가 힘들어 전량 폐기물로 분류되어 소각처리되고 있다. MDF를 소각하는 소각로는 소각되면서 분출되는 유해가스와 고열로 인해 쉽게 산화되어 그 수명이 짧고 소각로의 잦은 유지보수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매립방법의 경우 자연분해되는 기간이 너무 길어 금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원목 수입대체 효과와 환경오염 방지 및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볼 때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MDF원료로 재사용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 파쇄 및 함수율만 맞추는 간단한 과정으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 재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042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을 재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을 햄머밀을 이용하여, 두께 0.5-7.5 mm 및 길이 16-60 mm로 파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의 함수율을 30-50%로 조절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함수율 조절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 1-20 중량부 및 원료 목재 80-99 중량부를 혼합한 복합원료를 140-160℃의 예열기(pre-heater)에 함께 투입하여 예열처리하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3에서 예열처리된 복합원료를 170-190℃, 6-8 bar의 연화처리장치(digester)에 투입하여 연화처리하는 단계(단계 4);
상기 단계 4에서 연화처리된 복합원료를 리파이너(refiner)에 투입하여 섬유화하는 단계(단계 5);
상기 단계 5에서 섬유화된 복합원료에 수지를 공급하여 혼합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단계 6에서 수지가 혼합된 복합원료를 성형기(mat former), 예압처리기(precompressor) 및 열압처리기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7);를 포함하는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을 햄머밀을 이용하여, 두께 0.5-7.5 mm 및 길이 16-60 mm로 파쇄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의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의 함수율을 30-50%로 조절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을 재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에 전처리 과정으로 햄머밀을 이용한 파쇄와 함수율만 조절하는 간단한 과정을 이용하므로, 실제 공정 라인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중밀도섬유판 제조공정에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최대10%까지 투입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함수율 조절 시, 첨가제로서 1%의 옥살산 또는 1%의 황산을 사용하면 더욱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햄머밀로 파쇄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햄머밀로 파쇄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두께분포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햄머밀로 파쇄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길이분포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5는 박리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 첨가량에 따른 3층 중밀도섬유판의 박리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 10% 첨가에 따른 단층 중밀도섬유판의 박리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8은 1%의 옥살산을 첨가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 10% 첨가에 따른 단층 중밀도섬유판의 박리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9는 1%의 황산을 첨가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 10% 첨가에 따른 단층 중밀도섬유판의 박리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의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전체 제조공정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햄머밀을 이용하여, 두께 0.5-7.5 mm 및 길이 16-60 mm로 파쇄하는 단계(단계1); 상기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함수율을 30-50%로 조절하는 단계(단계 2); 상기 함수율 조절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 1-20 중량부 및 원료 목재 80-99 중량부를 혼합한 복합원료를 140-160℃의 예열기(101)에 함께 투입하여 예열처리하는 단계(단계); 상기 예열처리된 복합원료를 170-190℃, 6-8 bar의 연화처리장치(102)에 투입하여 연화처리하는 단계(단계4); 상기 연화처리된 복합원료를 리파이너(103)에 투입하여 섬유화하는 단계(단계5); 상기 섬유화된 복합원료에 수지를 공급하여 수지 혼합 장치(104)로 혼합하는 단계(단계6); 및 상기 단계 6에서 수지가 혼합된 복합원료를 건조기(105)로 건조 후 사일로(106)에 저장 후, 성형기(107), 예압처리기(108) 및 열압처리기(109)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단계(단계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햄머밀을 이용하여, 두께 1.0-6.0 mm 및 길이 18-50 mm로 파쇄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두께 1.5-5.0 mm 및 길이 20-40 mm로 파쇄할 수 있다. 햄머밀을 사용하여 파쇄할 경우 분진이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만들 경우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과정에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함수율을 30-45%로 조절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40%로 함수율을 조절할 수가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35%로 조절할 수 있다. 만약, 함수율 30% 미만일 경우 리파이너(103)의 칼날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함수율 45%초과일 경우, 건조공정에서 함수율 조절에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MDF의 기계적 물성이 약화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함수율이 조절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에 첨가제로서 옥살산 또는 황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 100 중량부 기준 0.5 내지 1.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옥살산 또는 1% 황산을 추가로 더 사용하여 함수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에 첨가제로서 옥살산 또는 황산을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써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요소수지접착제가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함수율 조절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 1-15 중량부 및 원료 목재 85-99 중량부를 혼합한 복합원료를 140-160℃의 예열기(pre-heater)에 함께 투입하여 예열처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함수율 조절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 1-10 중량부 및 원료 목재 90-99 중량부를 혼합한 복합원료를 140-160℃의 예열기(pre-heater)에 함께 투입하여 예열처리할 수 있다. 중밀도섬유판 제조공정 과정에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10% 중량비 이상으로 첨가할 경우, 제조된 중밀도섬유판의 박리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에 전처리 과정으로 햄머밀을 이용한 파쇄와 함수율만 조절하는 간단한 과정을 이용하므로, 실제 공정 라인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는 방법
본 발명은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을 햄머밀을 이용하여, 두께 0.5-7.5 mm 및 길이 16-60 mm로 파쇄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의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의 함수율을 30-50%로 조절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을 재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함수율을 30-45%로 조절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40%로 함수율을 조절할 수가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35%로 조절할 수 있다. 만약, 함수율 30% 미만일 경우 리파이너의 칼날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함수율 45%초과일 경우, 함수율 조절에 걸리는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 햄머밀 이용하여 파쇄 및 함수율 조절
<실시예1-1>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햄머밀을 이용하여, 파쇄한 뒤(도 2참조),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함수율을 30%로 조절하였다.
<실시예1-2>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햄머밀을 이용하여, 파쇄한 뒤,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함수율을 35%로 조절하였다.
<실시예1-3>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햄머밀을 이용하여, 파쇄한 뒤,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함수율을 40%로 조절하였다.
<실시예1-4>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햄머밀을 이용하여, 파쇄한 뒤,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에 첨가제로서 1%의 옥살산을 이용하여 함수율을 30%로 조절하였다.
<실시예1-5>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햄머밀을 이용하여, 파쇄한 뒤,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에 첨가제로서 1%의 황산을 이용하여 함수율을 30%로 조절하였다.
<비교예1-1>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햄머밀을 이용하여, 파쇄한 뒤,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함수율을 25%로 조절하였다.
<비교예1-2>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햄머밀을 이용하여, 파쇄한 뒤,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함수율을 29%로 조절하였다.
<실시예 2>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
<실시예 2-1>
상기 실시예 1-1의 건식 폐 중밀도 섬유판 1 중량부 및 원료 목재 99 중량부를 혼합한 복합원료를 140-160℃의 예열기(pre-heater)에 함께 투입하여 예열처리하였다. 상기 예열처리된 복합원료를 170-190℃, 6-8 bar의 연화처리장치(digester)에 투입하여 연화처리 후 리파이너(refiner)에 투입하여 섬유화하였다. 상기 섬유화된 복합원료에 수지를 공급하여 혼합 후 성형기(mat former), 예압처리기(precompressor) 및 열압처리기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상기 실시예 1-1의 건식 폐 중밀도 섬유판 5 중량부 및 원료 목재 95 중량부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상기 실시예 1-1의 건식 폐 중밀도 섬유판 10 중량부 및 원료 목재 90 중량부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상기 실시예 1-2의 건식 폐 중밀도 섬유판 10 중량부 및 원료 목재 90 중량부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상기 실시예 1-3의 건식 폐 중밀도 섬유판 10 중량부 및 원료 목재 90 중량부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상기 실시예 1-4의 건식 폐 중밀도 섬유판 10 중량부 및 원료 목재 90 중량부를 사용하고 1% 옥살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상기 실시예 1-5의 건식 폐 중밀도 섬유판 10 중량부 및 원료 목재 90 중량부를 사용하고 1% 황산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상기 실시예 1-1의 건식 폐 중밀도 섬유판 21 중량부 및 원료 목재 79 중량부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상기 실시예 1-1의 건식 폐 중밀도 섬유판 25 중량부 및 원료 목재 75 중량부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1>
상기 비교예 1-1의 건식 폐 중밀도 섬유판 10 중량부 및 원료 목재 90 중량부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2>
상기 비교예 1-2의 건식 폐 중밀도 섬유판 10 중량부 및 원료 목재 90 중량부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햄머밀로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두께 및 길이 분포 측정
햄머밀로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두께 및 크기 분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와 같이 0.5-7.5 mm의 두께범위 분포를 가지며, 1.5-2.0의 두께가 가장 높은 비율로 포함되어 있고, 1.0-1.5의 두께가 그다음으로 높았다.
또한, 길이분포의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16-60 mm의 범위이며, 20-22mm의 길이가 가장 높은 비율로 포함되어 있다.
<실험예 2> MDF의 박리강도 측정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상기 실시예 2,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중밀도섬유판의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박리강도 시험은 KS규격(KS F 3200)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만능시험기(H50K-S, Hounsfield, UK)를 사용하였다. 도 5처럼 강 또는 알루미늄 블록에 시험편을 접착하고, 시험편의 표면에 수직으로 인장하중을 가하여 박리 파괴 시의 최대 하중(P)을 측정하여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하였으며, 인장 하중 속도는 2 mm/min로 하였다.
박리강도(MPa) = P/(b×L)
P : 박리 파괴 시의 최대 하중(N)
b : 시료의 너비(mm)
L : 시료의 길이(mm)
그 결과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함수율을 30%이하로 조절할 경우 박리강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함수율 30%로 조절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10%이상 첨가하여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할 경우 박리강도가 0.4MPa이하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할 수 있다.
박리강도 측정 결과
함수율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 원료목재 박리강도
실시예 2-1 30% 1% 99% 0.425 MPa
실시예 2-2 30% 5% 95% 0.42 MPa
실시예 2-3 30% 10% 90% 0.4 MPa
실시예 2-4 35% 10% 90% 0.41 MPa
실시예 2-5 40% 10% 90% 0.42 MPa
실시예 2-6 30% 10% 90% 0.43 MPa
실시예 2-7 30% 10% 90% 0.36 MPa
비교예 2-1 30% 21% 79% 0.3 MPa
비교예 2-2 30% 25% 75% 0.25 MPa
비교예 3-1 25% 10% 90% 0.3 MPa
비교예 3-2 29% 10% 90% 0.35 MPa
도 6에서와 같이 햄머밀로 분쇄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3층 섬유판 제조공정의 중층에 최대 10%까지 첨가할 수 있으며, 박리강도가 0.4MPa정도로 양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실시예2-2 및 실시예 2-3).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함수율을 30%로 조절하고 10%중량부를 사용한 단층 섬유판을 실험군으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사용하지 않은 단층 섬유판을 대조군으로 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박리강도는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와 같이 두 경우 모두 박리강도가 0.4MPa로 대조군대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7에서의 case#1과 case#2는 MDF공장 A와 B에서 공장 실연시험 한 결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함수율을 30%로 조절하고 10%중량부를 사용한 것과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에 첨가제로서 1%의 옥살산을 사용하여 함수율을 30%로 조절하고 10%중량부를 사용한 단층 섬유판을 실험군으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사용하지 않은 단층 섬유판을 대조군으로 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박리강도는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에서와 같이 두 경우 모두 박리강도가 0.4MPa로 대조군대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의 함수율을 30%로 조절하고 10%중량부를 사용한 것과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에 첨가제로서 1%의 황산을 사용하여 함수율을 30%로 조절하고 10%중량부를 사용한 단층 섬유판을 실험군으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사용하지 않은 단층 섬유판을 대조군으로 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박리강도는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9에서와 같이 두 경우 모두 박리강도가 0.3MPa로 대조군대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첨가제로서 1%의 옥살산과 1%의 황산을 사용하여 함수율을 30%로 조절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10%이상 첨가하여 중밀도섬유판을 제조할 경우 박리강도가 0.3MPa 이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예열기
102 : 연화처리장치
103 : 리파이너
104 : 수지 혼합 장치
105 : 건조기
106 : 사일로(원료저장소)
107 : 성형기
108 : 예압처리기
109 : 열압처리기

Claims (14)

  1.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을 햄머밀을 이용하여, 두께 0.5-7.5 mm 및 길이 16-60 mm로 파쇄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파쇄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의 함수율을 30-40%로 조절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함수율 조절된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 1-10 중량부 및 원료 목재 90-99 중량부를 혼합한 복합원료를 140-160℃의 예열기(pre-heater)에 함께 투입하여 예열처리하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3에서 예열처리된 복합원료를 170-190℃, 6-8 bar의 연화처리장치(digester)에 투입하여 연화처리하는 단계(단계 4);
    상기 단계 4에서 연화처리된 복합원료를 리파이너(refiner)에 투입하여 섬유화하는 단계(단계 5);
    상기 단계 5에서 섬유화된 복합원료에 수지를 공급하여 혼합하는 단계(단계 6); 및
    상기 단계 6에서 수지가 혼합된 복합원료를 성형기(mat former), 예압처리기(precompressor) 및 열압처리기에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7);를 포함하는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햄머밀을 이용하여, 두께 1.0-6.0 mm 및 길이 18-50 mm로 파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햄머밀을 이용하여, 두께 1.5-5.0 mm 및 길이 20-40 mm로 파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함수율 조절은 물 또는 0.9-1.1 중량% 농도의 옥살산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함수율 조절은 0.9-1.1 중량% 농도의 옥살산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MDF)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9. 삭제
  10. 제 1항에 따라 제조된 중밀도섬유판(MDF).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0178027A 2017-12-22 2017-12-22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30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027A KR102030498B1 (ko) 2017-12-22 2017-12-22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027A KR102030498B1 (ko) 2017-12-22 2017-12-22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323A KR20190076323A (ko) 2019-07-02
KR102030498B1 true KR102030498B1 (ko) 2019-10-10

Family

ID=6725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027A KR102030498B1 (ko) 2017-12-22 2017-12-22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395B1 (ko) * 2020-07-06 2021-04-12 대한민국 목섬유를 이용한 난연 섬유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18469A1 (en) * 2020-05-13 2023-04-20 Valmet Technologies Oy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Recycled Fibers for MDF or HDF Produ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9308A (ja) * 2003-08-08 2005-03-10 Sekisui Chem Co Ltd リサイクル木質系複合材、そ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581B1 (ko) * 1988-11-09 1991-09-28 이영식 제지 폐기물에서 단층 섬유판을 제조하는 방법
KR101000192B1 (ko) 2008-07-03 2010-12-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폐가구 재활용 방법
KR20100135565A (ko) * 2009-06-17 2010-12-27 박정동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
KR101266151B1 (ko) * 2010-05-04 2013-05-22 김충신 팜 부산물과 팜 슬러지를 이용한 보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9308A (ja) * 2003-08-08 2005-03-10 Sekisui Chem Co Ltd リサイクル木質系複合材、そ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395B1 (ko) * 2020-07-06 2021-04-12 대한민국 목섬유를 이용한 난연 섬유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323A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4707C2 (ru) Плита, синтезированная из порошка из негодных печатных плат,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ES2221862T3 (es) Fabricacion de productos de alto valor añadido a base de desperdicios.
JP2003311717A (ja) 木質繊維板
JP2003311718A (ja) 木質繊維板の製造方法
KR102030498B1 (ko)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EP2722142A1 (en) Circuit-board powder made eco-friendly panel free from aldehyde and carbon emission and production method
CN103061199B (zh) 利用中密度纤维板边角料生产箱板纸的装置及其方法
US7858005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ire-resistant wood fiber moldings
CN102304280B (zh) 利用电路板粉合成的无醛零碳环保板材及其制造工艺
RU275531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ревесноволокнистой панели
KR100272668B1 (ko) 폐기지폐를 이용한 친환경성 플라스틱 성형체의 제조방법
CN202989676U (zh) 利用中密度纤维板边角料生产箱板纸的装置
CN106426497A (zh) 一种纤维板及其制备方法
Lopez et al.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technological processes on the physical-mechanical properties and flammability of wood plastic composite
CN108818874B (zh) 一种利用三聚氰胺浸渍纸制备的防火夹心体
JP4997067B2 (ja) 木質繊維板とその製造方法
KR100279858B1 (ko) 폐섬유와 제지슬러지를 이용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보드 및 그 제조방법
GB2395162A (en) A method of producing moulded products from waste paper`
Sözen Determination of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aste Paper Boards Supported by Wood Chips and Chopped E-glass Fiber
Bartoszuk et al. Influence of the content of recycled artificial leather waste particles in particleboards on their selected properties
Jaber Study and evaluation of the medium density fiberboard made from old newspaper
KR100797801B1 (ko) 폐 면섬유를 이용한 난연성 팔레트 및 그 제조방법
TW499330B (en) Method for preparing material for plasticized fiber board from pulp sludge and method for producing plasticized fiber board
JP2003001611A (ja) 木材・プラスチック複合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89902B1 (ko) 광물질이 함유된 친환경 불연성 종이보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