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279B1 -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279B1
KR102030279B1 KR1020180077419A KR20180077419A KR102030279B1 KR 102030279 B1 KR102030279 B1 KR 102030279B1 KR 1020180077419 A KR1020180077419 A KR 1020180077419A KR 20180077419 A KR20180077419 A KR 20180077419A KR 102030279 B1 KR102030279 B1 KR 10203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door
door latch
center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태일
이시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피씨엠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피씨엠엠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 G01M11/081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by using a contact-less detection method, i.e. with a camera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9Monitoring bolt 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간에 정렬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체에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와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래치 간에 위치편심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간에 정렬(alignment) 상태를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alignment of vehicle door latch and striker}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체의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간에 정렬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도어를 닫을 때 도어 잠김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는 차체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도어래치는 도어의 일측에 상기 스트라이커와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고정되며, 도어를 닫을 때 상기 도어래치가 스트라이커에 체결되면서 도어 잠김이 가능하게 된다.
도어의 잠금력을 결정하는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상태가 큰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상태가 불량한 경우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지 못하며 사용자가 느끼는 도어 개폐감이 크게 저하된다.
이에 차량 제조 시에는 차량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차체에 장착되어 있는 스트라이커와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래치 간에 정렬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의 정렬 상태는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확인해야 하는데, 도어가 닫혀 있는 경우 육안으로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도어를 열고 닫는 작업자의 감각(feeling)에 의존하여 주관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검열 과정을 거치더라도 균일한 개폐 품질을 확보할 수 없으며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정렬 상태를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조립 위치를 수정하게 되므로 도어의 균일한 개폐 품질을 확보하는 시간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2002-00317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차체에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와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래치 간에 위치편심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간에 정렬(alignment) 상태를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체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와 도어 닫음 시 상기 스트라이커에 체결되는 도어래치 간에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정렬 확인 장치로서,
상기 도어래치를 내장한 도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셋팅지그; 상기 셋팅지그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촬영하기 위한 소형 카메라; 상기 도어래치에 대한 상기 스트라이커의 위치편심량을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위치확인눈금을 상기 소형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위에 중복시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소형 카메라는 카메라 가이드를 매개로 셋팅지그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가이드의 단부는 도어 닫음 시 상기 스트라이커의 차체고정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도어의 닫힘량을 제한하고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한 소형 카메라의 최소 초점거리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소형 카메라의 영상 위에 상기 위치확인눈금을 표시할 수 있는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상기 위치확인눈금의 센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센터위치조정키가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렬 확인 장치는 상기 셋팅지그를 도어에 고정시키기 전에 상기 소형 카메라의 영상 센터를 상기 위치확인눈금의 센터와 일치시키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캘리브레이션 블록은 상기 셋팅지그가 안착되는 안착홀과 상기 안착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셋팅지그에 설치된 소형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센터셋팅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센터셋팅돌기의 표면에는 상기 위치확인눈금의 센터와 일치되기 위한 중심을 갖는 센터라인이 표시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셋팅지그는 지그몸체와 상기 지그몸체를 도어 표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은 자성에 의해 도어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고정 마그네틱과 상기 도어의 도어래치 마운팅홀에 조립된 볼트부재의 헤드에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고정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마운트는 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상기 지그몸체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체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와 도어 닫음 시 상기 스트라이커에 체결되는 도어래치 간에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방법으로서,
상기 도어래치를 내장한 도어의 소정 위치에 소형 카메라가 설치된 셋팅지그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한 상기 소형 카메라의 최소 초점거리를 유지하는 위치까지 상기 도어를 닫는 단계; 상기 소형 카메라가 촬영한 스트라이커 영상을 디스플레이 기기에 송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설치된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 영상 위에 위치확인눈금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트라이커 영상의 기준점과 상기 위치확인눈금의 센터 사이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래치에 대한 상기 스트라이커의 위치편심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라이커의 위치편심량을 기준으로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 간에 정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방법도 제공한다.
상기 정렬 확인 방법은, 상기 셋팅지그를 고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소형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기기를 연결하고 상기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표시된 센터위치조정키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확인눈금의 센터를 상기 소형 카메라의 영상 센터와 일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셋팅지그를 고정하는 단계에서는 도어래치를 내장한 도어의 가이드홀에 상기 셋팅지그의 카메라 가이드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정렬 확인 방법은, 상기 도어를 닫는 단계에서는, 상기 소형 카메라가 설치된 셋팅지그의 카메라 가이드가 스트라이커의 차체고정부에 닿을 때까지 상기 도어는 닫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간에 정렬 상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측정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상태를 정량적으로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양산 단계에서 도어의 균일한 개폐 품질을 확보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도어의 균일한 개폐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3.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상태를 검열하는 과정을 거쳐 외관 품질 및 기능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4.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전문가가 불필요하다.
5.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가능한 범용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상태를 어디에서나 측정하고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용 셋팅지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셋팅지그의 소형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기기의 위치확인눈금 간에 센터 정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를 이용하여 스트라이커의 위치편심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래치는 도어를 닫을 때 도어 잠김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어 닫음 시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와 체결되면서 도어 잠김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도어래치는 도어의 가장자리부에 내장되고, 상기 스트라이커는 도어래치의 위치에 대응하여 차체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도어래치가 내장된 위치에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도어 닫음 시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도어래치와 체결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상태가 불량한 경우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지 못하며 사용자가 느끼는 도어 개폐감이 크게 저하된다. 이에 차량 제조 시에는 차체에 장착되어 있는 스트라이커와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래치 간에 정렬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그런데,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의 정렬 상태는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상기 정렬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작업자가 도어를 열고 닫으면서 감각(feeling)에 의존하여 상기 정렬 상태를 주관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상태를 검열하는 과정을 거치더라도 도어의 균일한 개폐 품질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체에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와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래치 간에 위치편심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간에 정렬(alignment)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어 닫음 시 상기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간에 정렬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정렬 확인 장치를 적용하여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 사이의 위치편심량을 측정한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렬 확인 장치는 도어에 설치되는 셋팅지그(100)와 상기 셋팅지그(100)에 장착되는 소형 카메라(120)와 상기 소형 카메라(120)의 영상을 기초로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 간에 정렬 상태를 보여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2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셋팅지그(100)는 도어래치를 내장한 도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의 표면에 밀착가능하게 형성된 지그몸체(110)와 상기 지그몸체(110)에 설치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셋팅지그(100)의 지그몸체(110)를 도어의 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 마그네틱(112)과 고정 마운트(11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마그네틱(112)은 금속 재질의 도어 표면에 지그몸체(110)를 부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자성을 갖는 복수의 마그네틱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지그몸체(110)의 표면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지그몸체(11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마운트(114)는 상기 도어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도어래치 마운팅홀(도 4a의 302 참조)에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스프링부재(116)를 매개로 상기 지그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래치가 내장된 상기 도어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도어래치를 도어 내측에 설치할 때 사용하는 도어래치 마운팅홀(302)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래치 마운팅홀(302)을 관통하는 볼트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래치가 도어 내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마운트(114)는 상기 도어래치 마운팅홀(302)에 조립된 볼트부재의 헤드(도 4a의 304 참조)가 삽입될 수 있는 홈(114a)이 형성되고, 상기 홈(114a)은 지그몸체(110)가 상기 도어의 표면에 부착될 때 상기 볼트부재의 헤드(304)를 감싸게 된다. 즉, 상기 고정 마운트(114)는 도어래치 마운팅홀(302)에 조립된 볼트부재의 헤드(304)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그몸체(110)는 고정 마그네틱(112)에 의해 도어의 표면에 부착 고정될 때 상기 고정 마운트(114)에 의해 도어의 소정 위치(도어래치가 내장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즉, 상기 고정 마운트(114)에 의해 도어 표면에 부착되는 지그몸체(110)의 부착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몸체(110)가 고정 마그네틱(112)에 의해 도어 표면에 부착될 때 고정 마운트(114)가 상기 스프링부재(116)를 압축하면서 지그몸체(110)측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부재(116)가 상기 볼트부재의 산포 등을 흡수하고 댐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소형 카메라(120)는 도어 닫힘 시에 도어 가이드홀(도 4a의 306 참조)과 마주하게 되는 스트라이커(도 4b의 402 참조)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가이드(118)를 통해 지그몸체(110)에 조립 고정된다. 상기 소형 카메라(120)는 산업용 내시경 카메라나 스마트폰용 내시경 카메라와 같이 케이블의 끝단에 카메라가 구비된 것으로서 카메라 가이드(118)를 관통하여 끼워진 형태로 카메라 가이드(118)에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 가이드(118)는 지그몸체(11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가능한 블록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지그몸체(110)에는 카메라 가이드(118)를 조립하기 위한 가이드조립라인(1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가이드(118)는 상기 가이드조립라인(119)에 압입식으로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으며 표면마찰 등에 의해 가이드조립라인(119)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가이드(118)는 셋팅지그(100)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를 닫고 스트라이커(402)를 촬영할 때 소형 카메라(120)의 최소 초점거리(예를 들어, 25mm)를 확보하고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가이드(118)는 도어 닫음 시 카메라 가이드(118)의 선단이 스트라이커(402)의 차체고정부(402b)에 닿음으로써 도어 닫힘량을 제한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스트라이커(402)의 보스부(402a)에 대한 소형 카메라(120)의 최소 초점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도 4b 참조). 상기 스트라이커(402)는 도어래치와 체결되는 보스부(402a)와 차체(400)에 고정되는 차체고정부(402b)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200)는 도어래치에 대한 스트라이커(402)의 위치편심량을 측정할 수 있는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범용 디지털 디스플레이 기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방식으로 사용자 입력 및 조작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은 소형 카메라(120)의 영상 위에 거리(위치편심량) 측정이 가능한 위치확인눈금(202)을 표시하여 육안으로 스트라이커(402)의 위치편심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소형 카메라(120)의 영상과 디스플레이 기기(200)의 영상 간에 센터 정렬을 위한 센터위치조정키(204)를 디스플레이 기기(200)의 화면에 출력 제공한다. 상기 위치확인눈금(202)은 스트라이커(402)에 대한 소형 카메라(120)의 최소 초점거리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예를 들어, 0.5mm)마다 등간격으로 눈금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200)는 상기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도어래치에 대한 스트라이커(402)의 위치편심량을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상기 위치확인눈금(202)을 소형 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스트라이커의 영상) 위에 중복시켜 출력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2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에 화면에 표시되는 센터위치조정키(204)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확인눈금(202)의 센터를 소형 카메라(120)의 영상 센터와 일치시킨다.
상기 소형 카메라(120)의 영상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200)에 설치된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의 위치확인눈금(202) 간에 센터 맞춤을 위해 캘리브레이션 블록(130)이 사용된다(도 3 참조). 상기 캘리브레이션 블록(130)은 셋팅지그(10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홀(132)과 상기 안착홀(132)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구비되는 센터셋팅돌기(134) 및 캘리브레이션 블록(130)에 대한 상기 셋팅지그(100)의 안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마운트가이드(136)를 구비한다. 상기 센터셋팅돌기(134)는 상기 안착홀(132)에 셋팅지그(100)를 배치할 때 상기 셋팅지그(100)에 설치된 소형 카메라(120)와 마주하게 되는 표면(센터셋팅돌기의 표면)에 센터라인(134a)이 표시된 것으로서, 상기 소형 카메라(120)가 촬영한 센터셋팅돌기(134) 영상의 센터(센터라인의 중심)와 상기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 디스플레이 기기(200)의 화면에 출력되는 위치확인눈금(202)의 센터를 일치시킨 상태로 상기 위치확인눈금(202)을 디스플레이 기기(200)의 화면에 셋팅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래치에 대한 스트라이커의 위치편심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셋팅지그(100)의 고정 마운트(114)가 캘리브레이션 블록(130)의 표면에 형성된 마운트가이드(136)에 각각 놓이도록 셋팅지그(100)를 캘리브레이션 블록(130)의 안착홀(132)상에 위치시킨다. 다음, 상기 셋팅지그(100)에 설치되어 있는 소형 카메라(120)를 디스플레이 기기(200)와 연결시켜 소형 카메라(120)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기기(200)에 송출될 수 있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기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킨 뒤, 디스플레이 기기(2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위치확인눈금(202)의 센터(영점)를 소형 카메라(120)의 영상에 포함된 센터셋팅돌기(134)의 센터라인(134a) 중심에 일치시킨다. 이때 디스플레이 기기(200)의 화면에 출력되는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의 센터위치조정키(204)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확인눈금(202)을 이동시켜 위치확인눈금(202)의 센터를 센터셋팅돌기(134)의 센터라인(134a) 중심과 일치시킨다.
그 다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셋팅지그(100)를 측정하고자 하는 도어래치가 내장되어 있는 도어(300)의 외측에 부착시켜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 마운트(114)가 도어(300)에 설치되어 있는 볼트부재의 헤드(304) 위에 적층되고 소형 카메라(120)가 삽입된 카메라 가이드(118)가 상기 도어(300)의 가이드홀(306)에 삽입되도록 상기 셋팅지그(100)를 도어(300) 표면에 배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셋팅지그(100)를 도어(300)의 표면에 고정시킨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0)의 가이드홀(306) 연장선상에 돌출되어 있는 카메라 가이드(118)의 단부가 스트라이커(402)의 차체고정부(402b)에 닿아서 걸릴 때까지 상기 도어(300)를 최대로 닫는다. 이때, 소형 카메라(120)는 스트라이커(402)의 보스부(402a)에 대해 최소 초점거리를 확보하게 된다.
이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카메라(120)가 촬영한 스트라이커(402)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기기(200)로 송출되고, 디스플레이 기기(200)는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위치확인눈금(202)이 표시된 출력화면상에 상기 소형 카메라(120)의 영상을 겹쳐서 표시하게 된다. 작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200)의 출력화면상에 표시된 영상과 위치확인눈금(202)을 기초로 스트라이커(402)의 위치편심량을 산출하게 된다. 상기 스트라이커(402)의 위치편심량은 스트라이커(402)의 사전 설정된 기준점과 위치확인눈금(202)의 센터 사이에 거리로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기준점과 위치확인눈금(202)의 센터 사이에 거리는 상기 기준점과 위치확인눈금(202)의 센터 사이에 존재하는 눈금 개수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점은 스트라이커(402)의 보스부(402a) 상에 한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측정한 위치편심량을 기준으로 상기 스트라이커(402)가 도어래치에 대해 편심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차체(400)에 조립되는 스트라이커(402)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 스트라이커(402)의 위치편심량을 재측정하는 과정을 거쳐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를 재정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형 카메라(120)에서 디스플레이 기기(200)로 송출되는 영상 위에 객관적 측정지표로서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의 위치확인눈금(202)이 중복되어 표시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200)에서 출력되는 화면만 보고 도어래치에 대한 스트라이커(402)의 위치편심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스트라이커(402)의 정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래치에 대한 스트라이커의 위치편심량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스트라이커를 재정렬함으로써, 상기 위치편심량의 측정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도어의 균일한 개폐 품질을 확보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또한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전문가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셋팅지그 110 : 지그몸체
112 : 고정 마그네틱 114 : 고정 마운트
114a : 홈 116 : 스프링부재
118 : 카메라 가이드 119 : 가이드조립라인
120 : 소형 카메라 130 : 캘리브레이션 블록
132 : 안착홀 134 : 센터셋팅돌기
134a : 센터라인 136 : 마운트가이드
200 : 디스플레이 기기 202 : 위치확인눈금
204 : 센터위치조정키 300 : 도어
302 : 도어래치 마운팅홀 304 : 볼트부재의 헤드
306 : 가이드홀 400 : 차체
402 : 스트라이커 402a : 보스부
402b : 차체고정부

Claims (12)

  1. 차체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와 도어 닫음 시 상기 스트라이커에 체결되는 도어래치 간에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정렬 확인 장치로서,
    상기 도어래치를 내장한 도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셋팅지그;
    상기 셋팅지그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촬영하기 위한 소형 카메라;
    상기 도어래치에 대한 상기 스트라이커의 위치편심량을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위치확인눈금을 상기 소형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위에 중복시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소형 카메라는 카메라 가이드를 매개로 셋팅지그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가이드의 단부는 도어 닫음 시 상기 스트라이커의 차체고정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도어의 닫힘량을 제한하고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한 소형 카메라의 최소 초점거리를 유지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소형 카메라의 영상 위에 상기 위치확인눈금을 표시할 수 있는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상기 위치확인눈금의 센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센터위치조정키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셋팅지그를 도어에 고정시키기 전에 상기 소형 카메라의 영상 센터를 상기 위치확인눈금의 센터와 일치시키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캘리브레이션 블록은 상기 셋팅지그가 안착되는 안착홀과 상기 안착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셋팅지그에 설치된 소형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센터셋팅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센터셋팅돌기의 표면에는 상기 위치확인눈금의 센터와 일치되기 위한 중심을 갖는 센터라인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셋팅지그는 지그몸체와 상기 지그몸체를 도어 표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자성에 의해 도어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고정 마그네틱과 상기 도어의 도어래치 마운팅홀에 조립된 볼트부재의 헤드에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고정 마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마운트는 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상기 지그몸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8. 차체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와 도어 닫음 시 상기 스트라이커에 체결되는 도어래치 간에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방법으로서,
    상기 도어래치를 내장한 도어의 소정 위치에 소형 카메라가 설치된 셋팅지그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스트라이커에 대한 상기 소형 카메라의 최소 초점거리를 유지하는 위치까지 상기 도어를 닫는 단계;
    상기 소형 카메라가 촬영한 스트라이커 영상을 디스플레이 기기에 송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설치된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 영상 위에 위치확인눈금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트라이커 영상의 기준점과 상기 위치확인눈금의 센터 사이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래치에 대한 상기 스트라이커의 위치편심량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의 위치편심량을 기준으로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 간에 정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셋팅지그를 고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소형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기기를 연결하고 상기 편심량 측정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에 표시된 센터위치조정키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확인눈금의 센터를 상기 소형 카메라의 영상 센터와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셋팅지그를 고정하는 단계에서는, 도어래치를 내장한 도어의 가이드홀에 상기 셋팅지그의 카메라 가이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닫는 단계에서는, 상기 소형 카메라가 설치된 셋팅지그의 카메라 가이드가 스트라이커의 차체고정부에 닿을 때까지 상기 도어는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방법.
KR1020180077419A 2018-07-04 2018-07-04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203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419A KR102030279B1 (ko) 2018-07-04 2018-07-04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419A KR102030279B1 (ko) 2018-07-04 2018-07-04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279B1 true KR102030279B1 (ko) 2019-10-08

Family

ID=6820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419A KR102030279B1 (ko) 2018-07-04 2018-07-04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2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0632B2 (ja) * 1990-08-01 1998-05-13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開閉部の自動耐久試験方法
KR20020031790A (ko) 2000-10-24 2002-05-03 이계안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의 정조립위치 확인방법 및 그 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0632B2 (ja) * 1990-08-01 1998-05-13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開閉部の自動耐久試験方法
KR20020031790A (ko) 2000-10-24 2002-05-03 이계안 스트라이커와 도어래치의 정조립위치 확인방법 및 그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1634A3 (en) Display device of operation limit angle and distance in iris recognition system
JPWO2009087974A1 (ja) 複眼カメラモジュール
US69566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optical transceivers
WO2015088792A2 (en) Laser receiver using a smart device
US9400289B2 (en) Clamp sensor and measurement apparatus
KR102030279B1 (ko) 차량용 도어래치와 스트라이커의 정렬 확인 장치 및 방법
US10010925B2 (en) Swage apparatus and swage method
JP4339290B2 (ja) 変位測定装置
TW200502524A (en) Acquiring method of film thickness
TWI631313B (zh) 間隙測定裝置
JP5217046B2 (ja) 光学特性測定装置および光学特性測定方法
US9746368B2 (en) Communication light detection adapter and light communication detection structure for checking an optical communication line
KR101612322B1 (ko) 카메라모듈의 렌즈 위치 측정장치
US6646730B2 (en) Apparatus for inspecting collimator
JPWO2019189293A1 (ja) フランジ間計測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KR101564026B1 (ko) 계측타겟 고정 지그
CN107040307B (zh) 用于智能检查的测试探针
KR100750567B1 (ko) 동공 중심 확인기록장치
JP4545723B2 (ja) ヘイズ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Reu Calibration: Care and Feeding of a Stereo-rig
WO2020175694A1 (ja) 分光測定装置
TWI615597B (zh) 測距裝置以及測距方法
KR100905441B1 (ko) 영상획득 장비와 레이저 장치의 시선정렬 측정 장치
CN109060208A (zh) 力学检测设备及采用该力学检测设备的检测方法
CN109202412B (zh) 工装治具及零件断差调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