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116B1 -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116B1
KR102030116B1 KR1020190009304A KR20190009304A KR102030116B1 KR 102030116 B1 KR102030116 B1 KR 102030116B1 KR 1020190009304 A KR1020190009304 A KR 1020190009304A KR 20190009304 A KR20190009304 A KR 20190009304A KR 102030116 B1 KR102030116 B1 KR 102030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brake
dual
core cover
magne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호철
김인선
Original Assignee
(주)일광엔지니어링
(주)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광엔지니어링, (주)썬테크 filed Critical (주)일광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09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드럼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일측 끝단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 부위는 탄력 복귀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브레이크 드럼을 파지하여 제동하는 두 브레이크 아암; 서로 별개의 제품으로 구성됨과 더불어 서로 별개로 동작되는 두 솔레노이드부가 상기 두 브레이크 아암의 타측 끝단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솔레노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도 유지 보수 작업이 손쉽게 수행될 수 있고, 또한 동작 상태에 대한 확인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breaking device for dual solenoide type elevator}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도 유지 보수 작업이 손쉽게 수행될 수 있고, 또한 동작 상태에 대한 확인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감속 혹은, 정지를 위한 장치로써, 와이어로프를 직접적으로 파지하여 제동하는 방식과, 상기 와이어로프가 권취되는 권취드럼과 연결된 브레이크 드럼을 면접촉하여 제동하는 방식이 있으며, 주로 브레이크 드럼을 제동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솔레노이드의 동작 제어에 의한 브레이크 아암의 회동 동작으로써 라이닝슈가 브레이크 드럼의 외주면을 파지함에 따라 권취드럼의 추가적인 풀림이나 혹은, 감김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아암의 동작을 위한 솔레노이드가 하나만 제공되면서 두 브레이크 아암 중 어느 한 브레이크 아암을 회동시키는 솔로형 브레이크 장치와, 두 개의 솔레노이드가 제공되면서 두 브레이크 아암을 각각 회동시키는 듀얼형 브레이크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듀얼형 브레이크 장치는 각 브레이크 아암의 동작을 각각 개별 제어하기 때문에 어느 한 브레이크 아암의 동작 불능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다른 한 브레이크 아암의 동작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듀얼형 브레이크 장치에 관련하여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42425호, 등록특허 제10-1623519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하지만, 상기한 듀얼형 브레이크 장치는 전술된 솔로형 브레이크 장치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여 동작 불량 현상이 더욱 많이 야기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고, 또한 상기한 동작 불량 현상의 발생시 이를 보수하기 위하여는 해당 브레이크 장치의 전 부위를 분해하여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형 브레이크 장치는 솔레노이드가 플런저로드를 정전기력으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플런저로드에 의한 브레이크 아암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서는 솔레노이드의 크기가 충분히 커야만 하고, 이로써 제품을 소형화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형 브레이크 장치는 단일의 코일케이스가 두 솔레노이드 코일을 일괄적으로 감싸면서 전자기력이 형성될 수 있게 유도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실상 두 솔레노이드 코일 중 어느 한 솔레노이드 코일로만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측의 플런저로드만 동작시키는 작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이로써 어느 한 측의 솔레노이드 코일이나 플런저로드의 손상 발생시 다른 한 측의 솔레노이드 코일이나 플런저로드의 개별 동작은 수행될 수가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42425호 등록특허 제10-1623519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도 유지 보수 작업이 손쉽게 수행될 수 있고, 또한 동작 상태에 대한 확인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에 따르면 브레이크 드럼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일측 끝단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 부위는 탄력 복귀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브레이크 드럼을 파지하여 제동하는 두 브레이크 아암; 서로 별개의 제품으로 구성됨과 더불어 서로 별개로 동작되는 두 솔레노이드부가 상기 두 브레이크 아암의 타측 끝단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솔레노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를 이루는 각 솔레노이드부는 양단으로 개방된 링 구조로 형성되면서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마그넷튜브와, 상기 마그넷튜브의 개방된 양단 중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을 덮도록 형성되고, 중앙측 부위는 상기 마그넷튜브 내로 삽입되면서 솔레노이드 코일이 권취되도록 이루어진 코어커버와, 상기 마그넷튜브의 개방된 양단 중 타측을 덮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마그넷튜브 및 코어커버에 인접 또는, 접촉되도록 이동되는 평판플런저와, 일단은 상기 평판플런저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코어커버를 관통하여 브레이크 아암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푸시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커버 중 평판플런저와의 대향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각 장착홈에는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상기 평판플런저에 복귀 이동력을 제공하는 탄성 복귀부재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 브레이크 아암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두 솔레노이드부를 이루는 각 마그넷튜브 및 코어커버가 각각 얹혀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양단으로는 상기 각 브레이크 아암의 타측 부위를 관통하는 스터드볼트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스터드볼트에는 브레이크 아암의 제동 해제를 위해 복귀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가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커버 중 평판플런저와의 대향면 중앙측 부위에는 안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평판플런저에는 상기 안착홈 내로 삽입되는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안착홈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는 솔레노이드 어셈블리를 이루는 두 솔레노이드부가 서로 개별적인 구성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각 솔레노이드부에 대한 선택적인 동작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필요시 어느 한 솔레노이드부 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에 유리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는 두 솔레노이드부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과 더불어 서로 마주보는 측에 위치되는 평판플런저가 이동되면서 푸시로드를 동작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 솔레노이드부에 대한 동작 불능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여 어느 측의 솔레노이드부가 고장인지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는 어느 한 솔레노이드의 동작 불량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전체 솔레노이드 어셈블리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동작 불량의 솔레노이드부만 고정브라켓으로부터 장착 해제한 후 새로운 솔레노이드부를 교체함으로써 빠른 유지 보수가 가능함과 더불어 유지 보수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 중 솔레노이드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 중 솔레노이드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는 크게 브레이크 드럼(10)과, 두 브레이크 아암(20)과,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는 두 평판플런저(130,230)가 동작되면서 푸시로드(140,240)를 이동시켜 상기 두 브레이크 아암(200)을 조작하도록 구성하여 제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도 큰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어느 한 솔레노이드부(100,200)만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브레이크 드럼(10)은 와이어로프(도시는 생략됨)가 권취되는 권취드럼(도시는 생략됨)의 제동을 위해 제공되는 부위이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로프는 엘리베이터카에 연결되면서 이 엘리베이터카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이며, 상기 브레이크 드럼(10)은 상기 권취드럼과 함께 회전되거나 혹은, 상기 브레이크 드럼(10)의 제동에 의해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이 구속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두 브레이크 아암(20)은 상기 브레이크 드럼(10)의 제동을 위해 동작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두 브레이크 아암(20)은 상기 브레이크 드럼(10)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위치되며, 하측 끝단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두 브레이크 아암(20)의 상측 끝단 사이에는 후술될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가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1)이 위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21)은 엘리베이터카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브레이크 장치가 엘리베이터카의 상면이 아닌 여타 부위에 설치되는 구조의 경우 해당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는 부위에 상기 고정브라켓(21)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고정브라켓(21)의 양 끝단은 상향 절곡되게 형성되면서 후술될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의 각 솔레노이드부(100,200)를 이루는 코어커버(120,220)를 받쳐주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해당 솔레노이드부(100,200)를 고정브라켓(21)에 볼팅 결합하는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가 원치않게 유동됨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두 브레이크 아암(20)의 내측 벽면(브레이크 드럼과의 대향측 벽면)에는 상기 브레이크 드럼(10)의 파지를 위한 브레이크 슈(2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기 고정브라켓(21)의 양단으로는 상기 각 브레이크 아암(20)의 타측 부위를 관통하는 스터드볼트(23)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스터드볼트(23)에는 복원부재(24)가 각각 구비된다. 즉, 후술될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두 브레이크 아암(20)의 타측 끝단이 서로 벌어지도록 동작될 경우에는 상기 복원부재(24)가 압축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의 동작 해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복원부재(24)가 복원되면서 브레이크 아암(20)을 복귀 이동시켜 브레이크 드럼(10)에 대한 제동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는 전원 인가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두 브레이크 아암(20)을 선택 동작시키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는 상기 두 브레이크 아암(20)의 상단 사이에 위치된 고정브라켓(21)에 얹히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가 서로 별개의 제품으로 제공됨과 더불어 서로 별개로 동작되는 두 솔레노이드부(100,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듀얼형 솔레노이드 어셈블리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두 솔레노이드부(100,200)가 상기 고정브라켓(21)의 양측에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면서 각 브레이크 아암(20)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물론, 등록실용신안 제20-0342425호 및 등록특허 제10-1623519호의 경우에도 2개의 솔레노이드 코일 및 2개의 플런저로드가 제공되는 듀얼형의 솔레노이드 어셈블리로 볼 수 있지만,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두 솔레노이드 코일이 단일의 하우징 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두 솔레노이드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각 플런저로드가 반응하여 동작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큰 힘(브레이크 아암의 동작을 위한 힘)을 얻기에는 부족할 뿐 아니라 어느 한 솔레노이드 코일의 손상이 발생되더라도 솔레노이드 어셈블리를 이루는 모든 구성요소를 완전히 분해하여야만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 솔레노이드부(100,200)가 각각 개별 제품을 이루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어느 한 솔레노이드부(100,200)의 손상 발생시 해당 솔레노이드부(100,200)만 고정브라켓(21)으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함이 가능하여 빠른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의 각 솔레노이드부(100,200)는 마그넷튜브(110,210)와, 코어커버(120,220)와, 평판플런저(130,230) 및 푸시로드(140,2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넷튜브(110,210)는 양단으로 개방된 링 구조로 형성되며, 해당 솔레노이드부(100,200)의 외관 몸체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코어커버(120,220)는 상기 마그넷튜브(110,210)의 개방된 양단 중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을 덮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중앙측 부위는 상기 마그넷튜브(110,210) 내로 삽입되면서 솔레노이드 코일(150,250)이 권취되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50,250)로의 전원 공급시 상기 마그넷튜브(110,210)와 함께 전자기력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코어커버(120,220)의 둘레측 부위는 상기 마그넷튜브(110,210)의 끝단면에 밀착된 상태로 볼팅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커버(120,220)의 저면 및 마그넷튜브(110,210)의 저면은 고정브라켓(21)에 얹힌 상태로 볼팅 체결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평판플런저(130,230)는 상기 마그넷튜브(110,210)의 개방된 양단 중 타측을 덮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150,250)로의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마그넷튜브(110,210) 및 코어커버(120,220)에 인접 또는, 접촉되도록 이동되는 구성이다. 즉, 솔레노이드 코일(150,250)로의 전원 공급으로 동작되는 부위가 로드(rod) 구조가 아닌 평판(plate) 구조로 형성되면서 마그넷튜브(110,210)의 타측을 덮도록 형성함으로써 작은 크기로도 큰 동작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푸시로드(140,240)는 상기 평판플런저(130,230)에 의해 동작되면서 브레이크 아암(20)을 동작시키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푸시로드(140,240)는 그 일단이 상기 평판플런저(130,230)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코어커버(120,220)를 관통하여 브레이크 아암(20)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푸시로드(140,240)는 상기 브레이크 아암(20)에 직접 맞닿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브레이크 아암(20)을 동작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브레이크 아암(2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거리조절 볼트(25)에 맞닿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브레이크 아암(20)을 동작시키도록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어커버(120,220) 중 평판플런저(130,230)와의 대향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착홈(121,221)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각 장착홈(121,221)에는 탄성 복귀부재(122,222)가 각각 구비되며, 이를 통해 솔레노이드 코일(150,250)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상기 평판플런저(130,230)의 복귀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코어커버(120,220) 중 평판플런저(130,230)와의 대향면 중앙측 부위에는 안착홈(123,223)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평판플런저(130,230)에는 상기 안착홈(123,223) 내로 삽입되는 돌출단(133,233)이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안착홈(123,223)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두 평판플런저(130,230) 간의 대향면 사이에는 각 평판플런저(130,230)의 동작 테스트 혹은, 비상시 브레이킹 해제 등을 위한 개방로드(300)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개방로드(300)는 핸들(31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각 평판플런저(130,230)를 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방로드(300)는 상기 각 평판플런저(130,230)의 후퇴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엘리베이터카가 정지된 상태일 때에는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로 전원이 공급이 차단되며, 이로써 복원부재(24)의 복원력에 의해 두 브레이크 아암(20)은 브레이크슈(22)가 브레이크 드럼(10)을 파지하도록 유지된다.
즉,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를 이루는 각 솔레노이드부(100,20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각 솔레노이드부(100,200)를 이루는 평판플런저(130,230)가 탄성 복귀부재(122,222)의 복원력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되고, 이와 동시에 브레이크 아암(20)을 탄력 지지하던 복원부재(24)가 복원되면서 해당 브레이크 아암(20)은 브레이크슈(22)가 브레이크 드럼(10)을 파지하여 제동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드럼(10)과 연결된 권취드럼이 제동되면서 와이어로프가 원치않게 풀림이 방지된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카의 정지 상태에서 탑승객의 필요에 의한 엘리베이터카의 승강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권취모터의 구동에 따른 권취드럼의 정역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해당 권취드럼에 권취된 와이어로프가 풀리거나 혹은, 추가로 감기도록 동작된다.
특히, 이때에는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를 이루는 두 솔레노이드부(100,200)의 솔레노이드 코일(150,250)로 전원이 공급되고, 이러한 전원 공급에 의해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각 솔레노이드부(100,200)의 평판플런저(130,230)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각각 이동된다.
계속해서, 상기 평판플런저(130,230)의 이동으로 인해 해당 평판플런저(130,230)에 고정된 푸시로드(140,240) 역시 이동되면서 각 브레이크 아암(20)을 각각 외측으로 밀게 되며, 이로써 브레이크 아암(20)의 브레이크 슈(22)가 브레이크 드럼(10)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브레이크 드럼(10)의 제동이 해제된다. 이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드럼(10)과 연결된 권취드럼의 원활한 정역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권취모터의 구동에 따른 정역 회전으로 와이어로프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엘리베이터카는 상승 이동 혹은, 하강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상승 이동 혹은, 하강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각 솔레노이드 코일(150,25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며, 이로써 평판플런저(13,23)의 원위치 복귀와 브레이크 아암(20)의 원위치 복귀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브레이크 드럼(10)이 제동되어 더 이상 엘리베이터카의 상승 이동이나 하강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는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되거나 혹은, 구성 요소 중 어느 한 부품의 손상으로 인한 동작 불량이 발생될 수가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어느 한 부품의 손상 발생이 이루어지더라도 두 솔레노이드부(100,200) 중 손상되지 않은 부품을 가지는 솔레노이드부(100,200)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비상시 임시적인 브레이킹의 해제가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는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를 이루는 두 솔레노이드부(100,200)가 서로 개별적인 구성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각 솔레노이드부(100,200)에 대한 선택적인 동작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필요시 어느 한 솔레노이드부(100,200) 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에 유리하다.
특히,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는 두 솔레노이드부(100,200)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됨과 더불어 서로 마주보는 측에 위치되는 평판플런저(130,230)가 이동되면서 푸시로드(140,240)를 동작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 솔레노이드부(100,200)에 대한 동작 불능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여 어느 측의 솔레노이드부(100,200)가 고장인지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는 어느 한 솔레노이드(100,200)의 동작 불량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전체 솔레노이드 어셈블리(30)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동작 불량의 솔레노이드부(100,200)만 고정브라켓(21)으로부터 장착 해제한 후 새로운 솔레노이드부(100,200)를 교체함으로써 빠른 유지 보수가 가능함과 더불어 유지 보수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10. 브레이크 드럼 20. 브레이크 아암
21. 고정브라켓 22. 브레이크 슈
23. 스터드볼트 24. 복원부재
25. 거리조절볼트 30. 솔레노이드 어셈블리
100,200. 솔레노이드부 110,210. 마그넷튜브
120,220. 코어커버 121,221. 장착홈
122,222. 탄성 복귀부재 123,223. 안착홈
130,230. 평판플런저 133,233. 돌출단
140,240. 푸시로드 150,250. 솔레노이드 코일
300. 개방로드 310. 핸들

Claims (5)

  1. 브레이크 드럼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며, 일측 끝단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 부위는 탄력 복귀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브레이크 드럼을 파지하여 제동하는 두 브레이크 아암;
    서로 별개의 제품으로 구성됨과 더불어 서로 별개로 동작되는 두 솔레노이드부가 상기 두 브레이크 아암의 타측 끝단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솔레노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를 이루는 각 솔레노이드부는
    양단으로 개방된 링 구조로 형성되면서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마그넷튜브와,
    상기 마그넷튜브의 개방된 양단 중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을 덮도록 형성되고, 중앙측 부위는 상기 마그넷튜브 내로 삽입되면서 솔레노이드 코일이 권취되도록 이루어진 코어커버와,
    상기 마그넷튜브의 개방된 양단 중 타측을 덮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마그넷튜브 및 코어커버에 인접 또는, 접촉되도록 이동되는 평판플런저와,
    일단은 상기 평판플런저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코어커버를 관통하여 브레이크 아암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푸시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어커버 중 평판플런저와의 대향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착홈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각 장착홈에는 솔레노이드 코일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상기 평판플런저에 복귀 이동력을 제공하는 탄성 복귀부재가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브레이크 아암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두 솔레노이드부를 이루는 각 마그넷튜브 및 코어커버가 각각 얹혀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양단으로는 상기 각 브레이크 아암의 타측 부위를 관통하는 스터드볼트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스터드볼트에는 브레이크 아암의 제동 해제를 위해 복귀 이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가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커버 중 평판플런저와의 대향면 중앙측 부위에는 안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평판플런저에는 상기 안착홈 내로 삽입되는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안착홈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
KR1020190009304A 2019-01-24 2019-01-24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 KR102030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304A KR102030116B1 (ko) 2019-01-24 2019-01-24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304A KR102030116B1 (ko) 2019-01-24 2019-01-24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116B1 true KR102030116B1 (ko) 2019-10-08

Family

ID=6820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304A KR102030116B1 (ko) 2019-01-24 2019-01-24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3371B2 (ja) 2022-07-06 2024-02-19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巻上機ブレーキ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425Y1 (ko) 2003-12-04 2004-02-21 한국기계부품(주) 엘리베이터용 전자브레이크의 전자석부재
KR101226500B1 (ko) * 2012-01-03 2013-02-12 한국고벨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드럼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자동보상장치
KR101623519B1 (ko) 2014-12-11 2016-05-23 주식회사 해성굿쓰리 에스컬레이터용 헤리컬기어 감속구동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425Y1 (ko) 2003-12-04 2004-02-21 한국기계부품(주) 엘리베이터용 전자브레이크의 전자석부재
KR101226500B1 (ko) * 2012-01-03 2013-02-12 한국고벨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드럼브레이크의 라이닝 마모자동보상장치
KR101623519B1 (ko) 2014-12-11 2016-05-23 주식회사 해성굿쓰리 에스컬레이터용 헤리컬기어 감속구동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3371B2 (ja) 2022-07-06 2024-02-19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巻上機ブレー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1939A (en) Disk brake for elevator
US5253738A (en) Safety disc brake for lifts
JP5213963B2 (ja) エレベータ
WO2021166318A1 (ja) 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JP2008308337A (ja) ブレーキ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駆動装置および駆動方法
KR102030116B1 (ko) 엘리베이터용 듀얼 솔레노이드형 브레이크 장치
AU624039B2 (en) Disk brake for elevator
KR101933495B1 (ko)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JP6789389B2 (ja) エレベータ用ブレーキ開放装置
KR102128334B1 (ko)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스프로킷 샤프트용의 추가 제동 장치
JP200231677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952296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用ブレーキの解放装置及びそのブレーキの解放方法
EP3216735A1 (en) Pulsed opening of elevator brake enabling passenger evacuation
JP4184774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WO2015133023A1 (ja) エレベーター
CN110831883B (zh) 电梯用曳引机
US11591185B2 (en) Remote triggering device, overspeed governor assembly and elevator system
JP6520790B2 (ja) ブレーキ装置
JP6220475B1 (ja) シャッター開閉機のシャッター巻上方法、着脱式保持具及び足踏み式保持具
CN216272558U (zh) 用于电梯制动器的电磁装置、电梯制动器和电梯系统
JP6747472B2 (ja) エレベータ用のブレーキ及びエレベータ
JP6540574B2 (ja) ブレーキ装置
KR200342425Y1 (ko) 엘리베이터용 전자브레이크의 전자석부재
EP4201866A1 (en) A mechanical winch with a mechanical switch for terminating winding of a rope on the winch drum
AU1151700A (en) Elevator dr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