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004B1 - 휴대용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004B1
KR102030004B1 KR1020170158661A KR20170158661A KR102030004B1 KR 102030004 B1 KR102030004 B1 KR 102030004B1 KR 1020170158661 A KR1020170158661 A KR 1020170158661A KR 20170158661 A KR20170158661 A KR 20170158661A KR 102030004 B1 KR102030004 B1 KR 102030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control body
body portion
extension plate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0450A (ko
Inventor
전정현
Original Assignee
(주)한국전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전자기술 filed Critical (주)한국전자기술
Priority to KR1020170158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004B1/ko
Priority to CN201880069144.9A priority patent/CN111263644A/zh
Priority to PCT/KR2018/009981 priority patent/WO2019103286A1/ko
Publication of KR2019006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면에 전원버튼(12)이 설치되고,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컨트롤몸체부(10)와;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3방향 외주연으로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3쌍의 다리부(40)와; 상기 다리부(40)의 내부면에 설치되며, 자외선을 상기 다리부(40)의 중앙 하단 측으로 조사하여 상기 다리부(40)의 중앙 하단에 위치한 물품(S)을 살균하는 살균램프(46);를 포함하는 휴대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컨트롤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3개의 다리부가 삼각대 형태로 확장되어 거치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물품에 대한 살균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3개의 다리부가 삼각대 형태로 확장된 상태에서 각각의 다리부에 설치된 살균램프가 3방향에서 하단 중앙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에 따라, 물품에 대한 균일할 살균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살균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살균장치{Portable Sterilizer}
본 발명은 휴대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컨트롤몸체부의 하부에 3개의 다리부가 삼각대 형태로 확장되어 살균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물품에 대한 살균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휴대용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남여노소 모든 국민들이 손으로 항상 휴대하고 사용하는 것으로, 식사 중에는 물론 화장실과 잠자기 전에도 휴대하면서 각종 정보나 검색 등을 위하여 항상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전염성이 강한 각종 전염병들이 손이 청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염되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스마트폰을 만지고 통화하는 과정에서 침이 튀기게 되고 또한 얼굴과 밀착되면서 피부의 지방성분이 묻어나게 되는 등의 각종 오염에 의하여 스마트폰에서는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아무리 손을 청결하게 유지할 경우에도 스마트폰의 오염에 의한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 조사한 바에 의하면 스마트폰에는 중이염, 식중독,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 상구균 등이 서식하게 된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고, 특히 이러한 사실은 손을 씻지 않은 상태에서의 사람의 손의 오염도가 5000RLU이라는 점이고 손을 잘 세척하였을 경우에는 거의 제로에 가깝게 떨어지지만 손으로 항상 만지고 있는 스마트폰의 오염도가 301RLU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스마트폰의 오염도가 건강에 치명적이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살균을 위한 장치는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80162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마트폰 살균장치는 일방향에서 UV살균램프를 조사하여 스마트폰을 살균하도록 구성되어, UV살균램프의 조사빔이 약하게 조사되는 부위에서는 살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살균장치는 케이스의 크기보다 더 큰 스마트폰의 살균작업이 불가능하며, 스마트폰 외에 다른 물품의 살균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8016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트롤몸체부의 하부에 3개의 다리부가 삼각대 형태로 확장되어 살균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물품에 대한 살균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면에 전원버튼이 설치되고,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컨트롤몸체부와, 상기 컨트롤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컨트롤몸체부의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3방향 외주연으로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3쌍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내부면에 설치되며, 자외선을 상기 다리부의 중앙 하단 측으로 조사하여 상기 다리부의 중앙 하단에 위치한 물품(S)을 살균하는 살균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다리부의 측면에는, 상기 다리부의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3쌍의 다리부 사이에 위치하는 물품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다리부의 길이를 확장하는 길이연장플레이트가 더 구비된다.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다리부의 외주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의 상부면 상측에는 원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의 연장시 내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걸림홀을 더 포함한다.
상기 다리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더 구비되며, 상기 수용홈의 양측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후크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의 하부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의 양측면에 각각 후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습동가이드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몸체부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면에 스마트 기기 또는 촬영장비가 장착되는 촬영장비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컨트롤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3개의 다리부가 삼각대 형태로 확장되어 거치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물품에 대한 살균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3개의 다리부가 삼각대 형태로 확장된 상태에서 각각의 다리부에 설치된 살균램프가 3방향에서 하단 중앙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함에 따라, 물품에 대한 균일할 살균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살균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컨트롤몸체부의 상측에 별도의 촬영장비고정부재가 설치되어 물품에 대한 살균작업 뿐만 아니라 촬영을 위한 삼각대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장비의 기능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살균장치의 다리부가 3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의한 휴대폰 살균장치의 다리부가 3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다리부에 길이연장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길이연장플레이트가 연장되어 다리부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트롤몸체부에 다리부가 힌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살균장치로 물품을 살균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트롤몸체부의 외측에 촬영장비고정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찰영장비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살균장치의 다리부가 3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의한 휴대폰 살균장치의 다리부가 3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다리부에 길이연장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길이연장플레이트가 연장되어 다리부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트롤몸체부에 다리부가 힌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살균장치로 물품을 살균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살균장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면에 전원버튼(12)이 설치되고,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컨트롤몸체부(10)와,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3방향 외주연으로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3쌍의 다리부(40)와, 상기 다리부(40)의 내부면에 설치되며, 자외선을 상기 다리부(40)의 중앙 하단 측으로 조사하여 상기 다리부(40)의 중앙 하단에 위치한 물품(S)을 살균하는 살균램프(4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몸체부(1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내부에는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되어 휴대용 살균장치의 각종 제어 및 컨트롤이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상부면에는 전원버튼(12)이 설치된다. 상기 전원버튼(12)은 일반적인 ON/OFF 버튼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원버튼(12)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 전원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후술할 살균램프(46)가 작동되어 자외선이 조사된다.
또한, 상기 전원버튼(12)이 사용자에 의해 재차 눌러지는 경우 전원 공급이 중단되고, 이에 따라 후술할 살균램프(46)의 자외선 조사가 중단된다.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측면 상단에는 충전단자홈(14)이 형성된다. 상기 충전단자홈(14)은 일반적인 충전단자홈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충전단자홈(14)은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배터리(16)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연결되는 충전단자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충전단자홈(14)에 외부의 충전단자(미도시)가 삽입되어 상기 충전배터리(16)에 의해 외부의 전자기기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하부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다리회동몸체부(2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다리회동몸체부(20)는 원판 형상의 베이스판(22)과, 상기 베이스판(22)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4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안내프레임(24)과, 상기 베이스판(22)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링(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22)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판(22)은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다리부(40)를 상기 컨트롤몸체부(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판(22)의 상부면에는 회동안내프레임(24)이 설치된다. 상기 회동안내프레임(24)은 "ㅅ"자 형상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 형성된다. 상기 회동안내프레임(24)은 상기 베이스판(22)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다리부(40)의 회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동안내프레임(24)의 상부면에는 회동안내홀(26)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안내홀(26)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22)의 중심축으로 기준으로 120°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안내홀(26)의 내부에는 후술할 다리연결부(42)가 삽입되어, 상기 회동안내프레임(24)을 기준으로 후술할 다리연결부(42)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동안내프레임(24)의 끝단에는 다리부장착홈(28)이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장착홈(28)은 도 6과 같이, 상기 회동안내프레임(24)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120°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안내프레임(24)의 3방향 끝단에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장착홈(28)의 내부에는 후술할 다리부회동안내바(44)가 설치되어, 상기 다리회동몸체부(20)를 기준으로 후술할 다리부(40)의 소정 각도 회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다리회동몸체부(2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다리부(40)가 설치된다. 상기 다리부(40)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40)는 상기 다리회동몸체부(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120° 간격으로 3개가 설치된다.
즉, 상기 다리부(40)는 도 1과 같이,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중심축 방향으로 모여진 상태에서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2와 같이 상기 컨트롤몸체부(10)를 기준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삼각대 형태로 상기 컨트롤몸체부(10)를 지지한다.
상기 다리부(40)의 상부면에는 다리연결부(4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다리연결부(42)는 상기 다리부(40)이 상부면 중앙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상기 다리연결부(42)는 상기 회동안내홀(26)에 삽입되어, 상기 3개의 다리부(40)가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도 2와 같이, 3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회동된다.
상기 다리연결부(42)의 상측에는 다리부회동안내바(44)가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회동안내바(44)는 도 6과 같이, 원통 형상을 가지며,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회동안내바(44)의 양단은 각각 상기 다리부장착홈(28)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다리부(4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상기 다리부회동안내바(44)가 상기 다리부장착홈(28)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다리부(40)가 도 2와 같이, 방사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3개의 상기 다리부(40)는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도 1과 같이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중심측으로 모아진 상태로 보관되며, 사용시에는 도 2와 같이 3개의 상기 다리부(40)를 방사상으로 회동시켜 삼각대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다리부(40)의 내부면에는 살균램프(46)가 설치된다. 상기 살균램프(46)는 일반적인 UV램프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살균램프(46)는 상기 다리부(40)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다리부(40) 사이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물품(S)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물품(S)에 대한 살균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다리부(40)의 외주면에는 도 4와 같이 수용홈(48)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48)은 곡면을 가지는 판 형태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40)의 외주면에 상하로 길게 함몰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48)의 내부에는 후술할 길이연장플레이트(60)가 장착되어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용홈(48)의 양측 내부에는 가이드홈(5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50)은 단면이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50)의 내부에는 후술할 습동가이드(64)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용홈(48)의 중앙 하측에 걸림돌기(5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2)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48)의 내부에 형성된 탄성절개부(54)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 걸림돌기(52)는 상기 수용홈(48)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길이연장플레이트(6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후술할 걸림홀(62)에 삽입되어 후술할 길이연장플레이트(6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용홈(48)의 상부면에는 길이연장플레이트(60)가 설치된다.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60)는 도 4와 같이, 곡면을 가지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홈(48)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60)는 상기 수용홈(48)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품(S)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다리부(40)의 길이를 연장하여 상기 살균램프(46)의 자외선 조사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60)의 외주면 상측에는 걸림홀(6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홀(62)은 상기 걸림돌기(5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걸림홀(62)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돌기(5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60)의 양측에는 습동가이드(64)가 형성된다. 상기 습동가이드(64)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60)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습동가이드(64)는 상기 가이드홈(50)의 내부에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60)가 상기 다리부(40)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경우, 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물품(S)에 대한 살균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물품(S)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다리부(4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기 다리부(40)를 도 7과 같이 삼각대 형태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전원버튼(12)을 눌려주어 살균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상측에는 도 8과 같이, 촬영장비고정부재(70)가 설치된다. 상기 촬영장비고정부재(70)는 캡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상부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촬영장비고정부재(70)의 상부면 중앙에는 체결나사(7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촬영장비고정부재(70)는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상부면에 장착되며,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를 촬영용 삼각대로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체결나사(72)에 스마트 기기 또는 카메라 등의 촬영장비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용 살균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전자장치의 충전기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충전단자홈(14)에 충전단자(미도시)를 삽입하여 전자장치에 대한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물품(S)에 대한 살균작업을 실시하여 경우,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하부에 위치한 3개의 다리부(40)를 삼각대 형태로 확장시킨다.
3개의 상기 다리부(40)를 도 7과 같이 삼각대 형태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바닥면에 휴대용 살균장치를 거치한다. 사용자는 3개의 상기 다리부(40) 중앙에 살균할 물품(S)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전원버튼(12)을 눌러준다.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전원버튼(12)이 ON상태가 되면, 상기 다리부(40)의 내부면에 설치된 살균램프(46)에 전원이 공급되어 자외선이 물품(S)에 조사되어 살균작업이 실시된다.
사용자는 일정시간 동안 물품(S)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살균작업을 완료한 후 상기 전원버튼(12)을 다시 한번 눌러주어 상기 살균램프(46)를 OFF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물품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다리부(40)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다리부(40)의 외주면에 설치된 길이연장플레이트(60)를 하부방향으로 당겨주어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60)의 하부방향으로 확장하여 도 8과 같이 상기 다리부(40)의 길이를 연장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품(S)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다리부(4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높이의 물품(S)에 대한 살균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컨트롤몸체부 12. 전원버튼
14. 충전단자홈 20. 다리회동몸체부
22. 베이스판 24. 회동안내프레임
30. 지지링 40. 다리부
50. 가이드홈 60. 길이연장플레이트
70. 촬영장비고정부재

Claims (5)

  1.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면에 전원버튼(12)이 설치되고,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컨트롤몸체부(10)와;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3방향 외주연으로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되는 3쌍의 다리부(40)와;
    상기 다리부(40)의 내부면에 설치되며, 자외선을 상기 다리부(40)의 중앙 하단 측으로 조사하여 상기 다리부(40)의 중앙 하단에 위치한 물품(S)을 살균하는 살균램프(46)와;
    상기 다리부(40)의 측면에 설치되며,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3쌍의 다리부(40) 사이에 위치하는 물품(S)의 높낮이에 따라 상기 다리부(40)의 길이를 확장하는 길이연장플레이트(60)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다리부(40)의 외주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52)와;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60)의 상단에 원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60)의 연장시 내부에 상기 걸림돌기(52)가 삽입 고정되는 걸림홀(62)과;
    캡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체결나사(72)에 스마트 기기 또는 촬영장비가 장착되는 촬영장비고정부재(70)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부(40)의 외주면에는,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6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60)를 수용하는 수용홈(48)이 더 구비되며;
    상기 수용홈(48)의 양측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후크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60)의 하부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60)의 양측면에 각각 후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길이연장플레이트(6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습동가이드(64)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내부에는,
    전기가 충전되는 배터리 형태의 충전배터리(16)가 구비되어, 외부기기의 전원 충전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몸체부(10)의 측면에는,
    전원 단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충전배터리(16)과 연결되어 외부기기의 전기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단자홈(14)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균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70158661A 2017-11-24 2017-11-24 휴대용 살균장치 KR102030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661A KR102030004B1 (ko) 2017-11-24 2017-11-24 휴대용 살균장치
CN201880069144.9A CN111263644A (zh) 2017-11-24 2018-08-29 便携式杀菌装置
PCT/KR2018/009981 WO2019103286A1 (ko) 2017-11-24 2018-08-29 휴대용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661A KR102030004B1 (ko) 2017-11-24 2017-11-24 휴대용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450A KR20190060450A (ko) 2019-06-03
KR102030004B1 true KR102030004B1 (ko) 2019-11-08

Family

ID=6663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661A KR102030004B1 (ko) 2017-11-24 2017-11-24 휴대용 살균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30004B1 (ko)
CN (1) CN111263644A (ko)
WO (1) WO20191032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015A (ko) * 2020-10-29 2022-05-09 (주)파워링크 휴대용 uv 살균장치
WO2022177047A1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테이크케어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108A (ko) * 2020-07-30 2022-02-08 (주)클리어윈코리아 펜타입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
CN112013241B (zh) * 2020-09-19 2022-02-15 湖北天命圈品牌策划有限公司 一种可折脚户外摄影支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891Y1 (ko) * 2005-07-15 2005-09-27 (주)유브이플러스 자외선 살균기 과열 방지 장치
KR100689794B1 (ko) * 2005-10-17 2007-03-08 (주) 유니티엔씨 도료 자동 도포장치
WO2010115183A1 (en) * 2009-04-03 2010-10-07 Virwall Systems, Inc. Flexible ultraviolet led sanitizing apparatus
CN202015360U (zh) 2011-01-29 2011-10-26 袁媛 一种家用轻便消毒架
KR101451031B1 (ko) * 2013-10-04 2014-10-14 허우성 정보통신기술이 접목된 섬유 살균 건조기
KR101635593B1 (ko) 2015-03-17 2016-07-01 김정곤 소독 및 살균로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78151A (ko) * 1996-05-31 1997-12-12 배순훈 위성방송수신장치의 카드삽탈장치
KR101156677B1 (ko) * 2005-09-28 2012-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니 삼각대 겸용 크래들
KR20080041890A (ko) * 2006-11-08 200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외력감지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이를이용한 로봇 청소기
KR200457354Y1 (ko) * 2009-12-18 2011-12-15 방옥길 다목적 uv램프모듈 및 이 uv램프모듈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로봇청소기
KR101201415B1 (ko) * 2010-02-23 2012-11-1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가동풀리를 이용한 액추에이터
CN201851861U (zh) * 2010-08-30 2011-06-01 陈绍军 一种便携式相机三脚架
KR101226907B1 (ko) * 2010-09-09 2013-01-28 주식회사 이시스 대인 소독용 구조물
KR20120037057A (ko) * 2010-10-11 2012-04-19 채연지 다목적 살균장치
KR101299524B1 (ko) * 2011-02-23 2013-08-23 박인정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1452375B1 (ko) * 2012-11-30 2014-10-22 (주)엔퓨텍 이동형 살균기
CN203001698U (zh) * 2013-01-04 2013-06-19 李叶红 一种创伤外科护理理疗器
KR20150028154A (ko) * 2013-09-05 2015-03-1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 장치
KR101608496B1 (ko) * 2014-04-03 2016-04-01 씨엠바이오메드 주식회사 휴대용 자외선 이단살균기
KR101852571B1 (ko) 2015-12-31 2018-04-27 (주)한보이앤씨 살균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768469B1 (ko) * 2016-04-06 2017-08-22 주식회사 세스코 이동식 자외선 살균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1801804B1 (ko) * 2016-04-06 2017-11-28 주식회사 세스코 Uv 살균기
KR101767055B1 (ko) * 2016-04-06 2017-08-11 주식회사 세스코 매트리스 측면을 살균하기 위한 가능한 살균기
CN106439441A (zh) * 2016-11-11 2017-02-22 协创数据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全景相机折叠式组装机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891Y1 (ko) * 2005-07-15 2005-09-27 (주)유브이플러스 자외선 살균기 과열 방지 장치
KR100689794B1 (ko) * 2005-10-17 2007-03-08 (주) 유니티엔씨 도료 자동 도포장치
WO2010115183A1 (en) * 2009-04-03 2010-10-07 Virwall Systems, Inc. Flexible ultraviolet led sanitizing apparatus
CN202015360U (zh) 2011-01-29 2011-10-26 袁媛 一种家用轻便消毒架
KR101451031B1 (ko) * 2013-10-04 2014-10-14 허우성 정보통신기술이 접목된 섬유 살균 건조기
KR101635593B1 (ko) 2015-03-17 2016-07-01 김정곤 소독 및 살균로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015A (ko) * 2020-10-29 2022-05-09 (주)파워링크 휴대용 uv 살균장치
KR102551347B1 (ko) * 2020-10-29 2023-07-05 (주)파워링크 휴대용 uv 살균장치
WO2022177047A1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테이크케어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450A (ko) 2019-06-03
CN111263644A (zh) 2020-06-09
WO2019103286A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0004B1 (ko) 휴대용 살균장치
US20240100207A1 (en) System and device for sanitizing personal use items
US9433694B1 (en) Toothbrush sterilization cabinet
KR200488200Y1 (ko) 소독박스
US20170071332A1 (en) Height Adjustable Desks with Ultraviolet Light Irradiation of Keyboard Tray
KR101390705B1 (ko) 다기능 책 소독기
WO2016176168A1 (en) Stethoscope sanitizing device
KR101582044B1 (ko) 휴대폰 살균기
KR20110000668U (ko) 살균 소독 기능을 갖는 이미용기구 보관대
KR101326689B1 (ko) 거치대 겸용 휴대폰 살균장치
KR20190087924A (ko) 자외선 살균 소독기
KR20200001016A (ko)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KR20110109357A (ko) 변기 살균 장치
KR101852571B1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150142163A (ko) 고효율 휴대폰 살균장치
CN214284803U (zh) 杀菌组件、基站及清洁设备
KR101874090B1 (ko) 휴대용 살균장치
KR101553349B1 (ko) 여성용 성 보조기구 살균 및 건조 장치
KR200391451Y1 (ko) 고정용 및 휴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살균기
KR200371154Y1 (ko) 휴대폰 살균기 겸용 칫솔 살균장치
KR20220143454A (ko) 무선 충전이 가능한 접이식 자외선 살균기
CN211382870U (zh) 一种可调节的医用器械消毒灭菌柜
KR20190001723U (ko) 칫솔 거치대
CN112353965A (zh) 一种紫外线杀菌装置
CN213608443U (zh) 一种方便收纳的手持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