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016A -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 Google Patents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016A
KR20200001016A KR1020180073418A KR20180073418A KR20200001016A KR 20200001016 A KR20200001016 A KR 20200001016A KR 1020180073418 A KR1020180073418 A KR 1020180073418A KR 20180073418 A KR20180073418 A KR 20180073418A KR 20200001016 A KR20200001016 A KR 20200001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smart device
wireless charger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운
어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to KR1020180073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016A/ko
Publication of KR20200001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는 스마트 기기가 안착되는 안착 영역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살균광을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또는 동시에 조사되도록 상기 살균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a 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과 같은 장치를 충전함과 아울러, 전면 및 후면을 선택적으로 살균광을 조사하여 살균을 실시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무선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폰 보급률은 점진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은 단문메시지와 같은 부가서비스와 게임과 카메라 등과 같은 부가기능을 갖는다.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잡고 사용한다. 외부 병원균은 사용자의 손에 존재한다.
상기 병원균은 사용자의 손을 통해 스마트 폰으로 전달된다. 다른 사람이 병원균이 옮겨진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병원균은 다른 사람에게 전달된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 폰을 조작하는 동안에, 사용자의 손에 잔존하는 각종 병원균들은 사용자의 손으로 전달된다. 이를 통해, 스마트 폰은 오염된다.
더하여, 사용자가 병원균에 의해 오염된 휴대폰을 사용하여 통화할 때, 병원균은 통화하는 사용자의 구강을 통해 인체의 내부로 침투한다. 그리고, 상기 병원균은 인체의 내부에서 질병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스마트 폰과 같은 장치는 병원균의 오염 및 전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요구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441193호(발명의 명칭: 휴대폰 보관함)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공간에 마련되고 다단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각 단에 설치되어 휴대폰을 지지하는 거치대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제20-441193호는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휴대폰을 살균한다.
그러나 상기 제20-441193호는 스마트 폰과 같은 장치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갖는다. 상기 거치대는 스마트 폰의 전면에 광을 조사하는 살균 수단을 갖는다. 살균 수단은 거치된 휴대폰에 광을 조사하여 휴대폰을 살균한다.
상기와 같은 살균을 위한 광은 휴대폰의 전면에만 조사되기 때문에, 휴대폰의 후면은 살균되지 않는다. 이에, 휴대폰을 후면을 살균하기 위해서, 휴대폰을 뒤집어서 재거치 해야한다.
또한, 종래의 살균 수단은 살균광을 조사하는 램프를 갖는다. 상기 램프는 설정된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살균 수단은 살균 영역이 한정된다. 특히, 종래의 살균 수단은 스마트 폰 또는 휴대폰의 전면 또는 후면 면적에 대응하는 살균 면적을 형성하지 못한다.
더하여, 종래의 살균 수단은 스마트 폰의 충전과 동시에 살균할 수 있는 구조를 갖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살균 수단은 스마트 폰의 살균 정도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를 갖는다. 즉, 종래의 살균 수단은 스마트 폰 거치 후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살균이 실시되는 방식을 갖는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113268호(공개 일자 : 2014년 09월 24일)가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살균용 UV LED를 구비한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충전을 함과 아울러 스마트 폰의 전면 및 후면을 각각 또는 동시에 살균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살균광을 스마트 폰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대응되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스마트 폰의 살균 정도를 확인하여 스마트 폰의 전면 또는 후면의 살균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는 스마트 기기가 안착되는 안착 영역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살균광을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또는 동시에 조사되도록 상기 살균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세워져 안착되는 상기 안착 영역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안착 영역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방 몸체와, 상기 안착 영역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방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몸체는 상기 안착 영역을 에워싸도록 일정의 곡률을 이룬다.
상기 지지 몸체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판 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살균부는 상기 전방 몸체에 설치되며 제 1살균광을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전면에 조사하는 제 1살균부와, 상기 지지 몸체를 통해 제 2살균광을 상기 스마트 기기 의 후면에 조사하는 제 2살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살균광의 조사 영역은 상기 제 1살균부의 조사 영역 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제 1살균부는 띠 형상을 이루어 일정의 곡률을 이루는 제 1광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 2살균부는 상기 안착 영역의 후방 측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홈 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살균광을 출사하는 제 2광 모듈과, 하단이 상기 홈 부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 몸체에 설치되고, 출사되는 상기 제 2살균광을 상기 스마트 기기의 후면에 조사되도록 안내하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지지 몸체에 사출 성형된다.
상기 지지 몸체에는 설치홈이 형성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설치홈에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도광판은 하단에서 상단을 따라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광 모듈은 상기 제 2살균광을 출사하는 다수의 엘이디를 구비한다. 상기 도광판의 하단은, 상기 다수의 엘이디 각각을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전방 몸체에는 사용자 또는 사물의 동작을 감지하고, 동작을 감지함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감지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살균부의 구동을 중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는 충전을 함과 아울러 스마트 폰의 전면 및 후면을 각각 또는 동시에 살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광을 스마트 폰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대응되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의 살균 정도를 확인하여 스마트 폰의 전면 또는 후면의 살균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 및 제 1살균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 및 제 1살균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 영역에 스마트 기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 영역에 스마트 기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 영역에 스마트 기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또 다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 및 제 1살균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 및 제 1살균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 영역에 스마트 기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 영역에 스마트 기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 영역에 스마트 기기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는 크게 몸체부(100)와, 살균부(200)와, 충전부(미도시)와,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부(100)는 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베이스(110)와, 전방 몸체(120)와, 지지 몸체(130)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110)는 일정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110)의 상단에는 안착 영역(111)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110)의 하단에는 탄성 패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패드는 임의의 지지 영역에서의 마찰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110)의 일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방 몸체(120)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 몸체(120)는 안착 영역(111)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전방 몸체(120)는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정의 곡률(R)을 이룬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몸체(120)는 베이스(110)의 일단 둘레를 따르는 곡률(R)을 형성한다. 상기 전방 몸체(120)는 그 하단에서 상단을 따라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 몸체(130)는 베이스(110)의 상단에서 상방을 따라 돌출된다. 상기 지지 몸체(130)는 안착 영역(111)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 몸체(130)는 전방 몸체와 일정의 간격을 형성한다. 상기 간격은 상술한 안착 영역(111)의 폭이다. 상기 안착 영역(111)에는 스마트 기기(10)가 안착된다.
상기 지지 몸체(130)는 베이스(110)의 상단에서 설정된 경사도를 이루고, 세워지는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몸체(130)는 스마트 기기(10)의 후면을 지지한다. 이때, 스마트 기기(10)는 일정의 경사를 이루는 자세를 갖는다.
상기 지지 몸체(130)는 후술되는 도광판(222)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222)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을 통해 스마트 기기(10)는 전방 몸체(120)와 지지 몸체(130)의 사이 공간인 안착 영역(111)에 세워지는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몸체(130)는 스마트 기기(10)의 후면을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부(2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부(200)는 제 1살균부(210)와 제 2살균부(220)를 갖는다.
상기 제 1살균부(210)는 상술한 전방 몸체(120)의 내측 둘레에 설치된다. 상기 제 1살균부(210)는 UV광을 출사한다. 상기 UV광은 제 1살균광이다. 상기 제 1살균부는 전방 몸체의 내측 둘레에 띠 형상을 이루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 몸체(120)의 내측 둘레는 일정의 곡률(R)이 형성된다. 이에, 제 1살균부(210) 역시 상술한 곡률을 이루어 전방 몸체(120)의 내측 둘레에 설치된다.
상기 제 1살균부(210)는 제 1광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 1광 모듈은 다수의 엘이디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살균부(2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유연성의 엘이디 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방 몸체(120)는 안착 영역(111)의 전방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전방 몸체(120)에 구비되는 제 1광 모듈 역시 안착 영역(111)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광 모듈은 베이스(110)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전방 몸체(120)에 구비될 수 있다.
더하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 1살균부(210)는 전방 몸체(120)의 내측 둘레에서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다수를 이룰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 1살균부(210)로부터 출사되는 제 1살균광의 조사 영역은 상하를 따라 확장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살균부(220)는 지지 몸체(130)를 통해 제 2살균광을 상기 스마트 기기(10)의 후면에 조사한다.
상기 제 2살균부(220)는 제 2광 모듈(221)과, 도광판(222)을 구비한다.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제 2광 모듈(221)은 기판(221a)과, 기판(221a)에 실장되는 다수의 엘이디(221b)를 갖는다. 상기 기판(221a)은 베이스(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홈 부(110a)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기판(221a)은 홈 부(110a)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기판(221a)의 면적은 홈 부(110a)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222)은 일정의 면적을 갖는다. 상기 도광판(222)은 상술한 지지 몸체(130)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 몸체(130)에는 도광판(222)의 양측면이 지지되는 홈(1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광판(222)은 몸체부(100)와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를 이루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222)의 하단은 기판(221a)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 2광 모듈(221)의 다수의 엘이디(221b)는 상기 도광판(222)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엘이디들(221b) 각각은 도광판(222)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광판(222)의 하단에는 엘이디들(221b)이 수용되는 수용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222)은 지지 몸체(130)에 고정되기 때문에, 지지 몸체(130)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이룬다. 상기 도광판(222)의 면적은 안착 영역(111)에 거치되는 스마트 기기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222)의 상단은 지지 몸체(130)의 상단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도광판(222)의 상단은 라운드(r) 형상을 이룬다.
상기 도광판(222)의 전면은 전방 몸체 측을 따라 개방된 면을 형성한다. 상기 도광판(222)의 후면은 지지 몸체(13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몸체(130)의 후면부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몸체(130)의 후면부에는 상하 또는 좌우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슬라이딩 커버의 개폐 동작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222)의 후면은 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 또는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광 모듈(221)로부터 출사되는 제 2살균광은 상방으로 출사된다. 출사된 제 2살균광은 그 상부에 배치되는 도광판(222)을 통해 상방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이동이 안내되는 제 2살균광은 도광판(222)의 전면 및 상단을 통해 외부로 출사된다. 이에, 안착 영역(111)에 거치된 스마트 기기(10)의 후면은 도광판(222)을 통해 이동 및 외부로 출사되는 제 2살균광을 통해 살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222)의 두께는 그 하단에서 상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된다(t1>t2).
따라서, 도광판(222)(LGP)의 입광부의 두께는 상방을 따라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이루어 UV 확산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도광판의 상단은 하단의 두께 보다 얇은 두께를 이룬다. 따라서, 도광판은 무선충전 부위에서 충전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무선충전은 거리에 따른 전송 효율이 달라 지기 때문에, 전력 손실은 도광판의 상단에서 줄어 들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의 상단은 발열 부위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222)의 배면에 V-CUT형상이나 사출 또는 압출로 구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광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방 몸체(120)에는 센서(410)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410)는 사용자 또는 사물의 동작을 감지하고, 동작을 감지함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동작 감지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살균부(200)의 구동을 중지한다.
이의 구동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10)를 사용하고자 안착 영역(111)에 거치된 스마트 기기(10)를 잡는 동작을 하는 경우, 센서(410)는 이의 동작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제 1,2살균부(210, 220)의 구동을 중지한다. 보통, 살균광은 푸른빛을 발광하고, 이는 사용자의 시력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센서(410)를 통해 감지될 정도의 동작을 하면 살균부(400)의 구동을 중지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방 몸체(120)는 베이스(110)의 전단에서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광 모듈이 구비된 전방 몸체(120)의 양단에는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의 전단에는 U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 몸체(120)는 상기 홈에 위치된다. 상기 홈의 내측 양벽에는 회전축이 회전 지지되는 회전 지지홀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전방 몸체(120)는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를 따라 회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 1광 모듈은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전방 몸체(120)에는 제 1살균부(210)가 배치되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살균부(210)의 양측부에는 회전축이 형성된다. 상기 홈에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지지되는 회전 지지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살균부(210)는 전방 몸체의 홈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하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회전축은 모터의 축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제어부(4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술한 전방 몸체 또는 제 1살균부(210)는 상하를 따라 회전된다. 따라서 제 1광 모듈의 상하로의 조사 위치는 가변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모터를 구동시켜 제 1살균부(210)를 상하 회전각 범위 이내에서 반복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제 1살균부(210)는 스마트 기기(10)의 상하 길이에 대응 할 수 있도록 제 1살균광의 조사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살균 정도를 확인하여 스마트 기기의 전면 또는 후면의 살균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0)는 저장부를 갖는다. 상기 저장부에는 살균 대상인 스마트 기기들의 고유 정보가 설정된다. 상기 고유 정보는 스마트 기기의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0)에는 스마트 기기의 종류, 즉 크기에 따라 살균 시간이 설정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선택부와 연결된다. 상기 선택부는 스마트 기기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타이머와 연결된다. 상기 타이머는 제 1,2살균부(210, 220)의 구동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을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측정된 시간을 실시간으로 저장부에 저장한다. 제어부(400)는 측정된 시간이 살균 시간에 이르면 제 1,2살균부(210, 220)의 구동을 중지한다.
만일, 제어부(400)는 측정된 시간이 설정 시간 이하를 이루는 시점에서 스마트 기기(10)의 충전 및 살균이 중지되는 경우, 이때까지의 측정된 시간을 임시 살균 시간으로 저장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설정된 임시 시간 내에 해당 스마트 기기(10)가 재충전되는 경우, 임시 살균 시간을 포함하여 살균 시간을 이루도록 살균 과정을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살균 과정은 제 1,2살균부(210, 220)를 구동시키는 과정이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는 충전을 함과 아울러 스마트 폰의 전면 및 후면을 각각 또는 동시에 살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살균광을 스마트 폰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대응되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의 살균 정도를 확인하여 스마트 폰의 전면 또는 후면의 살균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몸체부
110 : 베이스
111 : 안착 영역
120 : 전방 몸체
130 : 지지 몸체
200 : 살균부
210 : 제 1살균부
220 : 제 2살균부
221 : 제 2광모듈
222 : 도광판
400 : 제어부
410 : 센서

Claims (10)

  1. 스마트 기기가 안착되는 안착 영역을 갖는 몸체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기기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살균광을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또는 동시에 조사되도록 상기 살균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세워져 안착되는 상기 안착 영역을 갖는 베이스와,
    상기 안착 영역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방 몸체와,
    상기 안착 영역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방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 몸체는,
    상기 안착 영역을 에워싸도록 일정의 곡률을 이루고,
    상기 지지 몸체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판 상으로 형성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전방 몸체에 설치되며, 제 1살균광을 상기 스마트 기기의 전면에 조사하는 제 1살균부와,
    상기 지지 몸체를 통해 제 2살균광을 상기 스마트 기기 의 후면에 조사하는 제 2살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살균광의 조사 영역은,
    상기 제 1살균부의 조사 영역 보다 넓게 형성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살균부는,
    띠 형상을 이루어 일정의 곡률을 이루는 제 1광 모듈을 포함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살균부는,
    상기 안착 영역의 후방 측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홈 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살균광을 출사하는 제 2광 모듈과,
    하단이 상기 홈 부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 몸체에 설치되고, 출사되는 상기 제 2살균광을 상기 스마트 기기의 후면에 조사되도록 안내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상기 지지 몸체에 설치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지지 몸체에 사출 성형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몸체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설치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하단에서 상단을 따라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광 모듈은,
    상기 제 2살균광을 출사하는 다수의 엘이디를 구비하되,
    상기 도광판의 하단은, 상기 다수의 엘이디 각각을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몸체에는,
    사용자 또는 사물의 동작을 감지하고, 동작을 감지함에 따른 동작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센서가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감지 신호를 전송 받으면, 상기 살균부의 구동을 중지하는,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KR1020180073418A 2018-06-26 2018-06-26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KR20200001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418A KR20200001016A (ko) 2018-06-26 2018-06-26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418A KR20200001016A (ko) 2018-06-26 2018-06-26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16A true KR20200001016A (ko) 2020-01-06

Family

ID=69159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418A KR20200001016A (ko) 2018-06-26 2018-06-26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0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774B1 (ko) * 2021-02-17 2021-05-04 (주)피에이치원 살균 각도 조절형 유무선 충전 크래들
KR102302268B1 (ko) * 2020-09-15 2021-09-15 유현일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
KR20210129345A (ko) * 2020-04-20 2021-10-28 유일평 살균기능이 겸비된 차량용 휴대폰 무선충전기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345A (ko) * 2020-04-20 2021-10-28 유일평 살균기능이 겸비된 차량용 휴대폰 무선충전기 거치대
KR102302268B1 (ko) * 2020-09-15 2021-09-15 유현일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
WO2022059962A1 (ko) * 2020-09-15 2022-03-24 유현일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
KR102247774B1 (ko) * 2021-02-17 2021-05-04 (주)피에이치원 살균 각도 조절형 유무선 충전 크래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1970B2 (en) Sanitiz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787113B2 (en)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nd multi-station 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200001016A (ko)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 충전기
JP7346652B2 (ja) 携帯型装置の消毒
KR102492184B1 (ko) 멀티 충전기 및 살균기
TWI634913B (zh) 可攜式電子元件用的消毒裝置
US11457722B2 (en) Skin care device
KR101857944B1 (ko)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표면 소독
KR102020582B1 (ko) 구강 센서 자동 살균 및 포장 시스템
JP7270838B2 (ja) 照明システムを備えたハンドヘルド型パーソナルケア装置
KR2011008307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살균 및 충전 장치
KR101466886B1 (ko) 전자제품 무선충전 및 살균 장치
KR102030004B1 (ko) 휴대용 살균장치
KR20170003860A (ko)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KR20150050334A (ko) 멀티 충전기 및 살균기
KR101326689B1 (ko) 거치대 겸용 휴대폰 살균장치
KR20210044421A (ko) Uv램프가 구비된 휴대폰 충전기
KR102302268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무선충전기
KR101973374B1 (ko) 근적외선 휴대폰 케이스
CN214284803U (zh) 杀菌组件、基站及清洁设备
KR20220094164A (ko) 출입용 키패드 uv 살균장치
KR20160150245A (ko) 모바일 기기 살균 케이스
KR20150028165A (ko) Uv led를 이용한 휴대폰 살균 거치대
KR102278106B1 (ko) 스마트폰 살균소독장치
KR102287606B1 (ko) 모바일 기기의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스테이션 충전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