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364B1 -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364B1
KR102029364B1 KR1020170181854A KR20170181854A KR102029364B1 KR 102029364 B1 KR102029364 B1 KR 102029364B1 KR 1020170181854 A KR1020170181854 A KR 1020170181854A KR 20170181854 A KR20170181854 A KR 20170181854A KR 102029364 B1 KR102029364 B1 KR 102029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groove
wiring
protective tube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842A (ko
Inventor
정인식
이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18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3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05Protec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B7/182 - H01B7/2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차량의 와이어링 하네스 보호를 위해 설치되는 와이어링 프로텍터에 있어서,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가지부가 형성된 와이어링; 상기 가지부를 감싸는 보호튜브;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보호튜브의 일 측을 수용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일 말단의 외경이 상기 연결홀의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프로텍터를 개시한다. 따라서 작업의 공수를 절감하고, 설계 변경 시에도 금형수정비 등을 절감하여 보다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WIRING PROTECTOR WITH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장부품으로 신호나 전원을 전달하는 와이어링을 보호하는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차량 내 각 시스템으로 전기 신호와 전력 전달을 목적으로 전선, 커넥터, 전원분배장치 등이 결속된 와이어링 하네스를 주변 장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와이어링 하네스는 차량의 전체부분에 위치하여 인체의 신경망 같은 역할을 하므로, 주변부품으로부터 보호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자동차 기술의 발전에 따라 센서, 모터,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의 전자부품 수가 급속도록 증가하면서 와이어링 하네스의 수도 증가하는 동시에 복잡해지고 있어, 와이어링 프로텍터에서 여러 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도록하여, 차량 설치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기 위함이다.
이때 외부로 분기되어 나가는 와이어링은 엔진룸의 미관 및 보호를 위해 콜게이트 튜브로 감싸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끼움부에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여러 분기점에서 콜게이트 튜브가 와이어링에 결합된 상태에서 와이어링 프로텍터에 가거치되어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콜게이트 튜브 고정을 위해 끼움부는 단일 사이즈의 콜게이트 튜브만이 적용할 수 있어, 설계변경 시에는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금형을 수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166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495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1340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거치가 필요하지 않아 조립이 용이한 동시에 설계변경 시에도 사용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가지부가 형성된 와이어링; 상기 가지부를 감싸는 보호튜브;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보호튜브의 일 측을 수용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일 말단의 외경이 상기 연결홀의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보호튜브는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외경은 상기 연결홀의 내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부의 내경은 상기 보호튜브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튜브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홈이 반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내부면에 상기 제1홈과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제2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제1 개방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제2 개방부가 맞물려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링의 가지부는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프로텍터의 외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튜브는 외부에 형성되는 상기 가지부를 감싸도록 상기 가지부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원통형상으로 일 측에 개폐가능한 개폐부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는 오목하게 형성된 락링홈 및 상기 락킹홈에 고정되는 락킹돌기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에는 내부면을 따라 요입되어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연결홈에 수용되는 연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홈은 사익 삽입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돌출되어 테이퍼지게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돌기는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모두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연결홀에 삽입되는 연결부재의 일 말단의 외경이 상기 연결홀의 내경과 동일하여 가지부가 연결홀에 가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부 케이스를 결합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조립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연결부의 내경은 보호튜브의 외경과 동일하여 보호튜브의 고정할 수 있으며, 보호튜브의 외경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삽입홀의 외경은 일정하게 유지되어 설계 변경되는 경우에도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금형수정비 등을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보호튜브는 외주면을 따라 제1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홈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제2홈이 형성되어 걸림 고정되어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연결홀은 제1 개방부와 제2 개방부가 맞물려 형성되어 가지부가 연결홀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연결부재는 외부로 배치되는 가지부를 감싸 주변부품으로 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가지며, 여러 와이어기 결속되어 형성된 가지부를 감싸 엔진룸이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연결부재는 개펴가능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보호튜브를 쉽게 수용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락킹홈 및 락킹돌기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개폐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연결홀에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연결부재는 연결홈에 수용되는 연결돌기가 형성되어 한번에 고정가능한 효과를 가지며, 접촉면 및 연결돌기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하나의 동작으로 용이하게 고정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공수가 절감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조립 시간이 절감되어 보다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상부 케이스가 결합되어 연결홀이 형성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연결부재와 보호튜브의 걸림고정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락킹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4의 연결부재의 다양한 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도 3의 연결홀에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작업순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상부 케이스가 결합되어 연결홀이 형성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 프로텍터(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10),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가지부(41)가 형성된 와이어링(40), 상기 가지부(41)를 감싸는 보호튜브(50), 상기 하부 케이스(10)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20) 및 상기 보호튜브(50)의 일 측을 수용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10)와 상기 상부 케이스(20)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홀(3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부재(6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60)는 상기 연결홀(31)에 삽입되는 일 말단의 외경이 상기 연결홀(31)의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가 구비된다.
와이어링 프로텍터(100)는 차량에 설치되어 각종 전장부품으로 신호나 전원 등을 전달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주변 부품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자동차의 기술 발달에 따라 증가하는 와이어링 하네스를 여러 방향으로 분기할 수 있도록 고정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하며, 복잡한 엔진룸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하부 케이스(10)는 오목하게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의 상측은 개방되어 형성된다. 외측면에는 돌출되어 제1 개방부(11)가 형성되고, 돌출되어 상부 케이스(20)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0)는 내부공간의 개방된 상측에 배치되고, 제1 개방부(11)의 위치에 대응하여 돌출된 제2 개방부(21)가 형성되며, 결합부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와 상부 케이스(20)는 결합부와 결합돌기의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외부와 구별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제1 개방부(11)와 제2 개방부(12)가 서로 맞물려 연결홀(31)을 형성한다.
연결홀(31)은 가지부(41)가 외부로 연장 형성되는 통로 역할을 하므로 하부 케이스(10)와 상부 케이스(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개방부(11)는 하부 케이스(10)의 일 측면을 관통하여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2 개방부(12)는 상부 케이스(20)의 일 측면을 관통하여 제1 개방부(11)와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하부 케이스(10)와 상부 케이스(20)가 결합에 의해 서로 맞물려 원통형상의 연결홀(31)을 형성한다.
와이어링(40)은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전장부품에 신호나 전원 등을 전달하는 와이어들이 결속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링(40)은 길게 형성되며, 각 전장부품의 위치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가지부(41)가 형성된다.
와이어링(40)은 가지부(41)가 형성되는 각 분기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지부(41)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힘이 발생된다. 따라서 와이어링 프로텍터(100)는 와이어링(40)에서 가지부(41)가 형성되는 부분을 내부공간에 수용하여 보호한다.
와이어링(40)은 하부 케이스(10)와 상부 케이스(20)에 의해 외부와 구별되는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엔진, 차체, 트림 등 주변부품으로부터 보호되어 각종 전장부품에 보다 안정적으로 신호나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가지부(41)는 연결홀(31)을 통해 외부로 연장 형성되고, 각 가지부(41)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유닛, 엑추에어터 등의 전장부품에 연결되어 신호나 전원들을 전달한다. 가지부(41)는 상부 케이스(20)가 하부 케이스(10)에 결합되기 전에 제1 개방부(11)에 배치되어 외부로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보호튜브(50)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된 긴 튜브 형상을 가져 가지부(41)를 내측으로 수용하여 가지부(41)를 주변부품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복잡한 엔진룸 등의 미관을 향상시킨다. 또한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홈(513)이 반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콜게이트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연결부재와 보호튜브의 걸림고정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락킹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연결부재의 다양한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3의 연결홀에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와이어링 프로텍터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연결홀 내측으로 보호튜브와 연결구조가 형성되어 가지부는 보호튜브로 감싸 연결구조에 맞춰 하부 케이스에 가거치되었다. 따라서 다수의 가지부가 형성되는 경우, 가지부들을 각 연결구조에 맞춘 후, 상부 케이스를 결합하여 조립하였으므로 작업의 공수가 증가하여 조립이 어려웠으며,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와이어링 프로텍터(100)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작업의 공수를 절감시키는 동시에 보호튜브(50)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한 연결부재(60)를 더 포함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연결부재(60)는 원통형상으로 일 측에 개폐가능한 개폐부(63)가 형성되고, 타 측은 연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재(60)는 연결된 타 측을 중심으로 개폐부(63)의 일 측이 회동하며 개폐된다. 개폐부(63)는 일 측부에 요입되어 락킹홈(631)이 형성되고, 타 측부에는 돌출되어 락킹돌기(632)가 형성되어, 개폐부(63)가 닫힌 상태에서 락킹돌기(632)가 락킹홈(631)에 수용되어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연결부재(60)는 닫힌 상태에서, 일 측으로 보호튜브(50)를 수용하고, 타 측은 연결홀(31)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가지부(41)의 가거치 없이 조립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홀(31)에 삽입되는 삽입부(61) 및 삽입부(61)에서 연장 형성되어 연결홀(31)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결부(62)를 포함한다.
삽입부(61)는 연결홀(3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삽입부(61)의 외경은 연결홀(31)의 내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부(61)는 내측으로 가지부(41)를 수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홀(31)에는 내부면을 따라 요입되어 연결홈(314)이 형성되고, 삽입부(61)에는 외주면을 따라 연결홈(314)에 수용되는 연결돌기(61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연결홈(314)은 연결홀(3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삽입부(61)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점차 돌출되어 테이퍼지게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돌기(614) 또한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돌기(614)가 연결홀(31)의 내측으로 삽입 시에는 서로 같은 방향의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삽입 후에는 접촉면(315)과 상기 연결돌기(614)가 접하여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결구조는 와이어링 프로텍터(100)에 용이하게 조립 가능하면서도, 일정 이상의 고정력 확보가 가능한 연결구조를 갖는다.
연결부(62)는 삽입부(61)에서 연장 형성되고, 내측으로 보호튜브(50)가 수용 고정된다. 따라서 연결부(62)의 내경은 보호튜브(5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부면에는 제1홈(513)과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제2홈(6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홈(513)과 제2홈(623)은 서로 번갈아가며 형성되어 제1홈(513)과 제1홈(513) 사이에 제2홈(623)이 배치되어 연결부(62)와 보호튜브(50)는 걸림 고정된다.
다시 말해, 연결부재(60)는 내부에 가지부(41)와 보호튜브(50)를 동시에 수용하고, 삽입부(61)가 연결홀(31)에 삽입 고정되어 보호튜브(50)가 와이어링 프로텍터(100)의 외측에 형성되는 가지부(41)를 감싸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연결부재(60)의 삽입부(61)의 외경은 연결홀(31)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연결부(62)의 내경은 보호튜브(5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연결부(62)의 크기는 보호튜브(50)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나, 삽입부(61)의 크기는 일정하게 형성된다.
예에 따르면, 보호튜브(50)의 외경이 Φ12와 Φ10로 서로 다른 경우 연결부(62)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지만, 삽입부(61)의 크기는 Φ12로 일정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설계가 변경되어 필요한 보호튜브(50)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연결부재(60)만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링 프로텍터(100)의 금형 수정비용 등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11은 도 1의 작업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와이어링 프로텍터(100)의 작업순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와이어링 프로텍터(100)의 하부 케이스(10)를 구비하고 내부공간에 와이어링(40)은 배치한다. 이때 와이어링(40)에 분기되어 형성되는 가지부(41)는 제1 개방부(11)의 상측으로 배치한다. 와이어링(40)에는 복수 개의 가지부(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게 따라 제1 개방부(11)도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링(40)의 배치된 상태에서 보호튜브(50)를 가지부(41)를 감싸도록 배치시키고, 상부 케이스(20)를 하부 케이스(10)의 개방된 상측에 배치한 후 고정시킨다. 이때 상부 케이스(20)에 형성된 제2 개방부(21)는 제1 개방부(11)와 맞물려 연결홀(31)이 형성된다.
보호튜브(50)를 배치시키는 작업은 상부 케이스(20)를 하부 케이스(10)에 결합시킨 후에도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달리 본 발명은 보호튜브(50)의 하부 케이스(10)의 가거치를 필요로하지 않아 작업의 공수를 절감시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연결홀(31)이 형성되면, 연결부재(6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홈(513)과 제2홈(623)이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부(62)의 내측으로 보호튜브(50)를 배치한 후, 개방부를 닫고 락킹홈(631)에 락킹돌기(632)를 수용하여 연결부(62)를 고정한다. 보호튜브(50)는 연결부재(60)가 닫힌 상태에서 제2홈(623) 사이에 제1홈(513)이 배치되어 1차 걸림 고정되고, 개방부가 고정되면서 2차 고정된다.
연결부(62)의 내부에 보호튜브(50)가 수용 고정된 상태에서, 삽입부(61)를 연결홀(31)에 삽입하여 연결부재(60)를 와이어링 프로텍터(100)에 고정한다. 이때 연결홀(31)에 형성된 연결홈(314)에 삽입부(61)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연결돌기(614)가 억지 끼움 방식에 의해 수용되며 고정된다.
작업자는 연결부재(60)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원모션에 의해 보호튜브(50)를 와이어링 프로텍터(10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와이어링 프로텍터(100)는 연결구조를 구비하여, 작업의 공수를 절감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조립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이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0 와이어링 프로텍터
10 하부 케이스 11 제1 개방부 20 상부 케이스
21 제2 개방부 31 연결홀 314 연결홈
315 접촉면 40 와이어링 41 가지부
50 보호튜브 513 제1홈
60 연결부재 61 삽입부 614 연결돌기
62 연결부 623 제2홈 63 개폐부
631 락킹홈 632 락킹돌기

Claims (8)

  1.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가지부가 형성된 와이어링;
    상기 가지부를 감싸는 보호튜브;
    상기 하부 케이스에 결합되어 연결홀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및
    개폐 가능하도록 일 측에 개폐부가 형성되어 상기 보호튜브를 수용하고, 일 말단의 외경이 상기 연결홀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홀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결합 부위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일 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락킹홈과, 타 측에 상기 락킹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돌출된 락킹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일 말단에 상기 연결홀의 내부면을 따라 요입 형성된 연결홈에 걸림 고정되는 연결돌기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연결홈과 연결돌기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외부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외경이 상기 연결홀의 내경과 동일하며,
    상기 연결부는 내경이 상기 보호튜브의 외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튜브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내부면에 상기 제1홈과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제2홈;이 형성되어 상기 보호튜브가 상기 연결부재의 내측으로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제1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제2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락킹홈과 상기 락킹돌기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2 개방부는 상기 제1 개방부와 서로 맞물려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상기 연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부는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와이어링 프로텍터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보호튜브는 외부에 형성된 상기 가지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6. 삭제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에는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돌출되어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기는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연결홈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접촉면과 상기 연결돌기의 일 측면이 접하여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20170181854A 2017-12-28 2017-12-28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2029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854A KR102029364B1 (ko) 2017-12-28 2017-12-28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854A KR102029364B1 (ko) 2017-12-28 2017-12-28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842A KR20190079842A (ko) 2019-07-08
KR102029364B1 true KR102029364B1 (ko) 2019-10-07

Family

ID=6725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854A KR102029364B1 (ko) 2017-12-28 2017-12-28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3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433A (ja) * 2002-12-11 2004-07-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ケーブルチューブ材固定継手
JP2009071932A (ja) * 2007-09-11 2009-04-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ホルダ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951Y1 (ko) 2001-03-28 2001-10-18 이주형 콜게이트관 연결구조
KR101371665B1 (ko) 2012-08-08 2014-03-07 주식회사 경신 콜게이트튜브 삽입 부재
KR101711340B1 (ko) 2016-07-26 2017-03-02 주식회사 세림인더스트리 튜브 고정 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433A (ja) * 2002-12-11 2004-07-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ケーブルチューブ材固定継手
JP2009071932A (ja) * 2007-09-11 2009-04-02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ホル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842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18150B (zh) 保护器以及线束
JP4306692B2 (ja) ワイヤハーネス分岐部へのプロテクタの外装方法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分岐構造
US10350959B2 (en) Active roll stabilizer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y
CN108292834B (zh) 电缆的保持结构
US6027679A (en) Method for securing a wire harness to a surface
EP3057182A1 (en) Connector with pre-assembled conduit adapter
EP3422509B1 (en) Cable-assembly for robotic installation
JP2020188609A (ja) 電気接続箱
CN103636088B (zh) 带有路径维持构件的波纹管以及线束
KR102029364B1 (ko) 연결구조가 구비된 와이어링 프로텍터
CN105940570A (zh) 插接连接器装置
US20210296814A1 (en) Waterproof structure of connector
JP5221081B2 (ja) 線状物の固定構造
JP6878105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US6682360B2 (en) Coupling element for mounting to a shielded electrical cabl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to a cable
JP2007179931A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
CN107611882A (zh) 用于紧固电线的保持件和方法以及车辆中的布线装置
KR200446541Y1 (ko) 배가름형 튜브
KR20110016625A (ko) 차량 공조기의 온도센서용 하우징
KR102019934B1 (ko) 자동차용 밴드케이블
US7772490B2 (en)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a connecting cab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device
CN107112094B (zh) 电线束的组装方法以及电线束模块
KR100767082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용 클립 구조
JP5916594B2 (ja) 電線のジョイント部の防水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200417022Y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용 클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