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313B1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313B1
KR102029313B1 KR1020190103150A KR20190103150A KR102029313B1 KR 102029313 B1 KR102029313 B1 KR 102029313B1 KR 1020190103150 A KR1020190103150 A KR 1020190103150A KR 20190103150 A KR20190103150 A KR 20190103150A KR 102029313 B1 KR102029313 B1 KR 10202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efill pouch
support
housing
recei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제주클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제주클린산업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제주클린산업
Priority to KR102019010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05B11/3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샴푸, 린스, 세제, 세안제 등의 내용물을 별도의 전용용기에 담지 않고 리필파우치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리필파우치, 상기 리필파우치가 수용되는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의 외면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리필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펌핑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샴푸, 린스, 세제, 세안제 등의 내용물을 별도의 전용용기에 담지 않고 리필파우치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안제, 세제, 샴푸, 린스, 바디워시 등의 각종세제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용기에 담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플라스틱을 재료로 한 용기는 사용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용기 제작에 따른 생산비용의 증가로 세제의 소비자 가격이 상승되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물을 전량 사용한 후 재사용되어지지 않고 폐기되어짐으로써 자원낭비는 물론,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4087호(2017.12.0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샴푸, 린스, 세제, 세안제 등의 내용물을 별도의 전용용기에 담지 않고 리필파우치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된 리필파우치, 상기 리필파우치가 수용되는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의 외면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리필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펌핑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본체의 외주연과 덮개의 내주연에는 서로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덮개의 상단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버튼, 상기 누름버튼에 결합되어 덮개의 내부에 수용되고, 하단에 리필파우치의 상면을 관통하는 뾰족한 형상의 관통부가 형성된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내부에 형성되어 외기가 리필파우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리필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다수개의 통과홀이 형성된 역류방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덮개와 이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외측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고정되는 홀더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받침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본체는 하단에 상기 덮개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턱은,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저면이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밀폐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곡선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하우징의 천장면과 밀폐판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2 결합부재, 상기 제1,2결합부재를 연결하며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리필파우치에 담겨있는 내용물을 수용본체에 담을 필요 없이 리필파우치 자체를 수용본체와 덮개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세팅하고, 그 과정에서 디스펜서가 리필파우치에 적용됨에 따라 내용물을 옮겨 담는 불편함이 없어지고, 옮겨 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용물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리필파우치에서 내용물을 펌핑하여 사용할 때 마다 리필파우치가 수축되어 리필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이 부족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리필파우치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남김 없이 사용하도록 할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적용된 디스펜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적용된 받침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받침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완충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적용된 디스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는 샴푸, 린스, 세제, 화장품, 세안제 등의 내용물을 별도의 전용용기에 담지 않고 리필파우치(10)에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고, 내용물이 모두 소진 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1)는 리필파우치(10), 수용본체(20), 덮개(30), 디스펜서(4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필파우치(10)는 2겹 구조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가 열접착 등의 방식으로 부착된다.
리필파우치(10)는 바람직하게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가장자리를 부착하여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리필파우치(10)의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하면 되고, 이후 리필파우치(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개구부와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며 평판 형태의 마개(11)를 부착하여 마감하여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필파우치(10)는 일회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비닐, 합성수지 등 가격이 저렴하면서 후술되는 디스펜서(40)가 관통하기 용이한 재질로 형성된다.
수용본체(20)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리필파우치(10)가 수용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 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수용본체(20)는 내부에 이너 챔부를 구비한 용기 형상이다.
수용본체(20)는 원 형상,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리필파우치(10)는 개방된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수용본체(20)에 세워진 형태로 수용된다.
수용본체(20)의 저면에는 지지턱(21)이 구비되고, 수용본체(20)의 하측 외주연에는 후술되는 덮개(30)가 결합되는 나선(20a)이 형성된다.
지지턱(21)은 수용본체(20) 및 덮개(30) 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본체(20)에 덮개(30)를 결합하면 지지턱(21)이 덮개(30)의 저면을 지지한다.
덮개(30)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본체(20)가 수용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 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덮개(30)는 수용본체(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용본체(20)의 외면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덮개(30)의 상단 중앙부분에는 수용본체(2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장착부재(미도시)가 형성된다.
장착부재의 내부에는 덮개(30)의 내부공간과 수용본체(20)의 내부 이너 챔버와 연결되는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부재의 외주연에는 후술되는 디스펜서(40)가 결합되는 나선이 형성된다.
즉, 장착부재에 디스펜서(40)가 결합 또는 분리됨에 따라 홀이 개폐되는 것이다.
덮개(30)의 내부 하측에는 수용본체(20)의 나선(20a)에 체결되는 나선(3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본체(20)에 덮개(30)를 씌운 다음, 덮개(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20a,30a)이 서로 체결되어 덮개(30)가 수용본체(20)에 결합되며, 이로 인해 덮개(30)는 수용본체(20)의 지지턱(21)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가린다.
그리고, 수용본체(20) 내의 리필파우치(10)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덮개(30)를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용본체(20)에서 분리하면 된다.
디스펜서(40)는 리필파우치(10) 내의 내용물을 펌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덮개(30)의 상단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버튼(41), 누름버튼(41)에 결합되어 덮개(30)의 내부에 수용되고, 하단에 리필파우치(10)의 상면을 관통하는 뾰족한 형상의 관통부(421)가 형성된 배출관(42), 배출관(42)의 내부에 형성되는 역류방지부(43)를 포함한다.
즉, 누름버튼(41)은 스프링(미도시)에 지지되어, 사용자가 누를 때 마다 자동으로 상승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며, 그 과정에서 리필파우치(10)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42)을 거쳐 누름버튼(41)에 구비된 배출구(411)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역류방지부(43)는 차단막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통과홀(431)이 형성된다.
따라서, 리필파우치(10) 내의 내용물은 통과홀(431)을 통과하여 배출구(411)로 배출되고, 역류방지부(43)는 누름버튼(41)을 누를 때 마다 발생되는 압력 차에 의해 외기가 배출관(42)으로 유입될 경우, 리필파우치(10)로 들어가는 현상을 억제한다.
리필파우치(10)의 내부에 수용되어 내용물에 잠기는 배출관(42), 배출관(42)과 연결되며 덮개(30)의 장착부재에 장착되고, 배출관(42)과 연결되는 토출구를 갖는 누름버튼(41)을 포함한다.
따라서, 누름버튼(41)을 누르면 리필파우치(10) 내의 내용물이 배출관(42)을 거쳐 배출구(411)로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디스펜서(40)는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사용방법 및 용기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내용물이 수용된 리필파우치(10)를 수용본체(20)의 내부공간에 수용한다.
이때, 리필파우치(10)는 수용본체(20)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마개(11)가 위치된 상측 일부분이 수용본체(20)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후, 수용본체(20)의 상부에서 덮개(30)를 하 방향으로 가압하여 수용본체(20)를 덮는다. 이때, 배출관(42)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부(421)가 마개(11)를 관통하게 되어, 배출관(42)의 일부분이 내용물에 잠기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배출관(42)은 리필파우치(10) 내의 내용물을 모두 흡입할 수 있도록 리필파우치(10)의 바닥면과 이격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그 하단이 리필파우치(10)의 내부 중앙 또는 그 아랫부분에 위치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후에, 수용본체(20)와 덮개(30)의 나선(20a,30a)이 만나면 덮개(30) 또는 수용본체(20)를 회전시켜 덮개(30)와 수용본체(20)를 결합한 다음 필요할 때 마다 누름버튼(41)을 눌러 사용하면 된다.
이때, 누름버튼(41)을 누를 때 마다 누름버튼(41)의 외부와 리필파우치(10) 내부의 압력차에 의해 리필파우치(10) 내의 내용물이 배출구(411)로 배출되고, 누름버튼(41)이 작동할 때 마다 외기가 배출구(411)를 통해 배출관(42)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경우, 리필파우치(10)는 내용물이 배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축되지 못하고 외기에 의해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리필파우치(10)에 내용물이 조금 남았을 경우 흡입력 부족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잔여 내용물을 펌핑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부(43)가 외기를 차단하여 리필파우치(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을 최소화시켜 리필파우치(10)가 자연적으로 점점 수축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리필파우치(10)의 내부공간 면적이 축소시킬 수 있어 흡기력 부족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 부족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리필파우치(10)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남김 없이 사용하도록 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한편, 리필파우치(10) 내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경우에는 수용본체(20) 또는 덮개(30)를 회전시켜 수용본체(20)와 덮개(30)를 분리하여 리필파우치(10)를 제거하고, 수용본체(20)의 내부에 새로운 리필파우치(10)를 수용한 다음, 전술한 방식으로 수용본체(20)와 덮개(30)를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1)는 리필파우치(10)에 담겨있는 내용물을 수용본체(20)에 담을 필요가 없이 리필파우치(10) 자체를 수용본체(20)와 덮개(30)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세팅하고, 그 과정에서 디스펜서(40)가 리필파우치(10)에 적용됨에 따라 내용물을 옮겨 담는 불편함이 없어지고, 옮겨 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용물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로 제작된 수용본체(20)와 덮개(30)를 버리지 않고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즉,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는 상당기간 동안 분해되지 않고 자연 생태계를 파과시키는데, 본 발명에 따른 용기(1)를 사용하게 되면, 전술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적용된 받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받침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구성들 이외에도 각종 물품을 받치는 받침부(50)를 더 포함한다.
받침부(50)는 덮개(30)와 이격되는 베이스부재(511), 베이스부재(511)의 양측에서 덮개(30)를 향해 뻗어 서로 평행하는 형태이며, 각각이 덮개(3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홀더부재(512), 베이스부재(51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베이스부재(511)를 사이에 두고 덮개(30)와 마주하는 받침판(513)으로 구성된다.
홀더부재(512)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벌어질 수 있으며, 덮개(30)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반원형 형상의 감쌈부(5121)를 구비한다.
따라서, 홀더부재(512)를 벌린 다음 덮개(30)의 양측 외면에 각각 위치시키면, 홀더부재(512)가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덮개(30)를 가압하는 형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받침판(513)에는 소지품이나 각종 도구를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재(51)는 다양한 종류의 소지품이나 도구를 구획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으로 적용되며, 이와 같은 경우 덮개(30)에 양측에 상,하 간격 배치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1)에서 리필파우치(10)에 저장되는 내용물이 주방세제로 적용되는 경우, 하부에 위치된 받침판(513)에는 수세미와 같은 식기 세척용 도구를 보관하면 되고, 상부에 위치된 받침판(513)에는 휴대폰과 같이 물에 젖으면 안되는 것들을 보관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리필파우치(10)에 저장되는 내용물이 세안제, 샴푸, 린스, 바디워시와 같이 세면용으로 적용되는 경우, 하부에 위치된 받침판(513)에는 비누, 샤워 타올 같은 것들을 보관하면 되고, 상부에 제1받침판(513)에는 속옷, 휴대폰과 같이 물에 젖으면 안되는 것들을 보관하면 될 것이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완충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구성들 이외에도 지지턱(21)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완충부(60a,60b)를 더 포함한다.
완충부(60a,60b)를 포함하는 경우, 지지턱(21)은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덮개(30)의 저면이 안착되는 하우징(211), 하우징(211)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판(2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완충부(60a,60b)는 하우징(211)의 내부공간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지지턱(21)을 보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완충부(60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61a)와 보강부재(62a)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61a)는 하우징(211)의 천장면과 밀폐판(212)의 사이에 고정되어, 하우징(211)과 밀폐판(212)을 일체로 연결한다.
지지부재(61a)는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제작되고,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팽창되도록 중공이 형성된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재(61a)는 수직방향으로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지거나 또는 바닥으로 낙하되었을 때, 해당방향으로 일정 수준 압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부재(61a)는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질 경우,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하중이나 충격을 완충시켜 지지턱(21)이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보강부재(62a)는 지지부재(61a)의 내부공간에 고정된다.
보강부재(62a)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로 설치될 경우 지지부재(61a)의 중앙에 배치되고, 복수개로 설치될 경우에는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보강부재(62a)가 2개로 적용되어 지지부재(61a)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보강부재(62a)는 지지부재(61a)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곡선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대략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보강부재(62a)는 지지부재(61a)에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지지부재(61a)와 함께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하중이나 충격을 완충시켜 지지턱(21)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한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완충부(60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211)의 천장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61b), 대략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면이 밀폐판(212)의 상면에 결합되어 제1결합부재(61b)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결합부재(62b), 제1결합부재(61b)와 제2결합부재(62b)를 연결하며 하중이나 충격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6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재(61b)와 제2결합부재(62b)와 탄성부재(63b)는 합성수지나 금속 사출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결합부재(61b)의 상면과 제2결합부재(62b)의 저면에는 삽입돌기(미도시)가 각각 형성되고, 하우징(211)의 천장면과 밀폐판(212)의 상면에는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재(61b)와 제2결합부재(62b)는 하우징(211)과 밀폐판(212)에 암수 결합 될 수 있다.
탄성부재(63b)는 길이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었을 때 수직방향으로 일정 수준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63b)는 하중이나 충격력이 가해질 경우,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하중이나 충격력을 완하시켜 지지턱(21)을 보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용기 10 : 리필파우치
11 : 마개 20 : 수용본체
20a,30a : 나선 21 : 지지턱
211 : 하우징 212 : 밀폐판
30 : 덮개 40 : 디스펜서
41 : 누름버튼 411 : 배출구
42 : 배출관 421 : 관통부
43 : 역류방지부 431 : 통과홀
50 : 받침부 51 : 받침부재
511 : 베이스부재 512 : 홀더부재
5121 : 감쌈부 513 : 받침판
60a, 60b : 완충부 61a : 지지부재
62a : 보강부재 61b : 제1결합부재
62b : 제2결합부재 63b : 탄성부재

Claims (4)

  1. 리필파우치,
    상기 리필파우치가 수용되는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의 외면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리필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펌핑하는 디스펜서,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본체의 외주연과 덮개의 내주연에는 서로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덮개의 상단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버튼,
    상기 누름버튼에 결합되어 덮개의 내부에 수용되고, 하단에 리필파우치의 상면을 관통하는 뾰족한 형상의 관통부가 형성된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내부에 형성되어 외기가 리필파우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리필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다수개의 통과홀이 형성된 역류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덮개와 이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외측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고정되는 홀더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받침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본체의 하단에는 상기 덮개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은,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저면이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밀폐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곡선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2. 리필파우치,
    상기 리필파우치가 수용되는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의 외면을 덮는 덮개,
    상기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리필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펌핑하는 디스펜서,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본체의 외주연과 덮개의 내주연에는 서로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덮개의 상단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버튼,
    상기 누름버튼에 결합되어 덮개의 내부에 수용되고, 하단에 리필파우치의 상면을 관통하는 뾰족한 형상의 관통부가 형성된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내부에 형성되어 외기가 리필파우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리필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통과시키는 다수개의 통과홀이 형성된 역류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덮개와 이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외측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고정되는 홀더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받침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본체의 하단에는 상기 덮개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은,
    저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저면이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하우징의 천장면과 밀폐판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2 결합부재, 상기 제1,2결합부재를 연결하며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3. 삭제
  4. 삭제
KR1020190103150A 2019-08-22 2019-08-22 용기 KR102029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50A KR102029313B1 (ko) 2019-08-22 2019-08-22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50A KR102029313B1 (ko) 2019-08-22 2019-08-22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313B1 true KR102029313B1 (ko) 2019-10-07

Family

ID=6842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150A KR102029313B1 (ko) 2019-08-22 2019-08-22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2362A4 (en) * 2018-08-21 2022-06-15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REFILLABLE TAN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7496A (ko) * 2007-02-16 2008-04-30 시 텅 툴링 컴퍼니 리미티드 액체용기의 누름식 추출펌프 구조
JP2009269651A (ja) * 2008-05-08 2009-11-19 Tatsue Seiko Kk ポンプ付き液体容器
JP2017007706A (ja) * 2015-06-22 2017-01-12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容器
KR20170134087A (ko)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리필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7496A (ko) * 2007-02-16 2008-04-30 시 텅 툴링 컴퍼니 리미티드 액체용기의 누름식 추출펌프 구조
JP2009269651A (ja) * 2008-05-08 2009-11-19 Tatsue Seiko Kk ポンプ付き液体容器
JP2017007706A (ja) * 2015-06-22 2017-01-12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容器
KR20170134087A (ko)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리필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2362A4 (en) * 2018-08-21 2022-06-15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REFILLABLE TA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364B1 (ko) 공기 펌프식 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활용품용 용기
KR101446612B1 (ko) 화장품 용기
KR102062001B1 (ko) 펌프 용기
KR102029313B1 (ko) 용기
JP4545601B2 (ja) 複合容器
KR101405056B1 (ko) 펌핑 용기
CN215045228U (zh) 一种按压式出液容器
KR200282764Y1 (ko) 리필용 화장품 용기
CN211002374U (zh) 一种装清洁剂的可折叠环保塑料容器
CN212423966U (zh) 一种便携式洁衣净容器
KR102037707B1 (ko) 자립형 파우치
KR20120007393U (ko) 펌프식 용기
CN201977677U (zh) 一种新型皂液器
KR20130004531U (ko) 절약형 용기
CN101665162A (zh) 流体取用装置
KR200461051Y1 (ko) 세면대용 빨래판
KR102050048B1 (ko) 이중 튜브 뚜껑
CN201664249U (zh) 新型皂液器
KR200442798Y1 (ko) 세정액 공급기
KR100668697B1 (ko) 세제 용기
JP6074090B1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付き液体容器
KR200235790Y1 (ko) 용기의 상단이나 측면을 누르면 내용물이 분출되는 용기.
KR102060780B1 (ko) 세제 일체형 청소솔
KR102527875B1 (ko) 화장품용 디스펜서
KR20200001908A (ko) 잔량 토출용 액체 용기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