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531U - 절약형 용기 - Google Patents

절약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531U
KR20130004531U KR2020120000335U KR20120000335U KR20130004531U KR 20130004531 U KR20130004531 U KR 20130004531U KR 2020120000335 U KR2020120000335 U KR 2020120000335U KR 20120000335 U KR20120000335 U KR 20120000335U KR 20130004531 U KR20130004531 U KR 201300045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uction plate
discharge
receiving body
accommo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8191Y1 (ko
Inventor
박종후
안성민
이성주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20000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19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5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1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관을 구비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관의 단부가 관통되고,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가압하면서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상기 토출관의 단부로 토출시키는 흡입판; 및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서 하단의 방향으로 상기 흡입판 상면에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절약형 용기가 개시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수용본체 바닥에 남아있는 액체를 모두 토출하여 수용본체 내에 액체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절약형 용기{Serviceable case}
본 고안은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액체 또는 점성의 액체를 수용하는 절약형 용기 내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기 위한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개장착펌프를 이용하여 용기 내의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하는 방식의 용기는 그 편리성으로 세제, 로션 등의 생활 대부분의 용기로 대체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용기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다 바닥에 내용물이 잔재된 경우에는 펌핑 후에도 용기 내의 내용물을 토출시키지 못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용기에 남아 있는 내용물을 전부 사용하기 위해서 용기를 뒤집거나 잘라내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용기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점성이 높은 경우 내용물이 용기 내벽에서 떨어지지 않고 내벽에 남아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용기 내에 남아 있는 내용물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내용물이 남아 있는 용기를 그대로 버리게 되어 내용물을 과소비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펌프식으로 제공되는 액체 또는 점성의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본체 바닥에 남아있는 액체도 모두 토출시킬 수 있는 절약형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용본체 내벽에 남아 있는 내용물을 버리지 않고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절약형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절약형 용기는,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관을 구비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관의 단부가 관통되고,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가압하면서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상기 토출관의 단부로 토출시키는 흡입판; 및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서 하단의 방향으로 상기 흡입판 상면에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수용본체 바닥에 남아있는 액체를 모두 토출하여 수용본체 내에 액체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판은, 상기 토출관 단부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1 흡입판; 및 상기 제1 흡입판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상기 토출관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된 제2 흡입판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흡입판의 상면은 막혀있고, 저면에는 홀이 형성되어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사용하면서 생성되는 내부 공간으로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판은, 상기 흡입판 외주에 제공되며, 상기 흡입판이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가 상기 수용본체 상단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씰린부재에 의하여 흡입판이 수용본체 하단으로 이동할 때 수용본체 내벽에 남아있는 액체를 흡입판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밀어내리기 때문에 수용본체 액체나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관은, 상기 흡입판이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본체 하단으로 길이가 증가하도록 스프링(spring)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본체 내의 액체 량이 줄어들수록 흡입판은 수용본체 하단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남아있는 액체를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토출관의 길이가 증가해야 한다. 이때, 토출관을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흡입판이 하강하면서 토출관의 길이도 증가할 수 있고, 수용본체의 한정된 공간 내에 토출관을 수용하기도 용이해진다.
한편, 본 고안은,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를 구비하는 토출부; 상기 수용본체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가압하는 압축판; 및 상기 압축판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판을 상기 수용본체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수용본체 바닥에 남아있는 액체를 모두 토출하여 수용본체 내에 액체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판은, 상기 압축판 외주에 제공되며, 상기 흡입판이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가 상기 수용본체 상단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씰링부재에 의하여 흡입판이 수용본체 하단으로 이동할 때 수용본체 내벽에 남아있는 액체를 흡입판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밀어내리기 때문에 수용본체 액체나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판은, 상기 토출구와 대향된 위치가 오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본체 내의 액체가 토출관과 대향되게 취합시키면 수용본체 내에 액체를 남기지 않고 모두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토출관과 대향된 위치의 압축판이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주변의 액체를 상기 오목한 압축판에 취합시켜 수용본체 내에 액체가 잔재되지 않게 하고 액체 모두를 용이하게 토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절약형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펌프식으로 제공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본체 내에 구비되어 수용본체 하단으로 하강하며 액체를 가압하는 흡입판을 제공함으로써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사용할수록 수용본체 내의 빈 공간에 액체가 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펌프식으로 제공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본체 내에 구비되어 수용본체 상단으로 상승하며 액체를 밀어올리는 압축판을 제공함으로써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사용할수록 수용본체 내의 빈 공간에 액체가 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가압하거나 밀어올리는 흡입판 및 압축판 외주에 제공되어 수용본체 내벽에 남아있는 액체를 모두 토출부로 토출시켜 수용본체 내의 액체 모두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절약형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약형 용기의 흡착판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절약형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절약형 용기의 흡착판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100)는 수용본체(120), 토출부(140), 흡입판(160) 및 가압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본체(120)는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125)에 수용되는 액체는 세제류, 화장품류 등과 같은 액체류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125)에 수용되는 액체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수용본체(120)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뤄질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수용본체(120)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원형을 예를 들지만, 수용본체(120)는 원형 이외에 다각형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토출부(140)는 수용본체(120) 상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수용본체(120) 내의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토출부(140)는 수용본체(120) 내의 액체가 토출되는 분출구(146), 상기 수용본체(120)와 토출부(140)를 결합 및 고정하기 위한 마개(142)와 상기 마개(142)가 장착되되 분출구(146)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액체를 펌핑할 수 있는 마개장착펌프(144) 및 상기 마개장착펌프(144)에서 펌프되면 수용본체(120) 내의 액체를 분출구(146)로 토출시키는 토출관(145)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을 통하여 수용본체(120) 내의 액체를 토출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분출구(146)를 수용본체(120) 하단 방향으로 누르면 마개장착펌프(144)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토출관(145)으로 액체가 흡입되어 분출구(146)로 액체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판(160)은 상기 수용본체(120) 내에 구비되되 상기 토출관(145)의 단부가 관통되고, 수용본체(120)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하면서 수용본체(120) 내의 액체를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180)는 수용본체(120)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흡입판(160)에 압력을 제공하여 흡입판(16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가압부(180)는 토출부(140) 저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분출구(146)로 액체가 토출될 때, 흡입판(160) 상면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18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184)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184)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흡입판(160) 상면에 전달하기 위한 가압부재(186)가 제공된다.
즉, 수용본체(120) 내의 액체를 사용할수록 그 양이 줄어들게 되는데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분출구(146)를 수용본체(120) 하단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스프링(184)이 가압부재(186)를 흡입판(160) 상면에 압력을 전달한다. 흡입판(160) 상면에 전달된 압력은 수용본체(120) 내의 액체를 수용본체(120) 바닥부로 밀착시키게 된다. 그 결과 수용본체(120) 내의 액체를 밀집시킴으로써 토출될 수 있는 최소의 토출량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수용본체(120) 바닥에 남아있는 액체를 사용하기 위하여 수용본체(120)를 가르거나 뒤집지 아니하고 액체 사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입판(160)의 막혀있는 제1 흡입판(164)과 상기 제1 흡입판(164) 저면에 제공되며,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홀(165)이 형성된 제2 흡입판(16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흡입판(164)에는 토출관(145)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과 토출관(145) 단부는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흡입판(166)에 형성된 배출홀(165)은 액체가 관통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며, 바람직하게는 관통홀과 대향된 위치에 배출홀(165)이 형성되어 액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흡입판(160)은 흡입판(160) 외주에 제공되며, 흡입판(160)이 수용본체(120)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할 때, 수용본체(120) 내의 액체가 수용공간(125)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씰링부재(168)를 포함한다.
상기 씰링부재(168)는 흡입판(160)의 테두리에 제공되어 수용본체(120) 내벽에 남아 있는 액체를 수용본체(120) 하단 방향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수용공간(125) 및 수용본체(120) 내벽에 액체가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씰링부재(168)는 수용본체(120) 내벽과 마찰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고무패킹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고무패킹 이외에도 수용본체(120) 내벽과 마찰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관(145)은 흡입판(160)이 수용본체(120) 하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길이도 증가해야 수용본체(120)에 남아있는 액체를 모두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토출관(145)은 수용본체(120) 하단으로 길이가 증가할 수 있는 스프링(spring)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토출관(145)이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길이가 긴 토출관(145)은 내부 공간이 한정적인 수용본체(120) 내에 수용하기 용이해질 뿐 아니라 최적의 길이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수용본체(120) 바닥에 남아 있는 액체를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설명에 앞서, 동일 부재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약형 용기(100)는 수용본체(120) 토출부(140), 압축판(150) 및 탄성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본체(120)는 액체를 수용할 수 있으며, 토출부(140)는 수용본체(120) 내의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14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판(150)은 수용본체(120)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수용본체(120) 내의 액체를 토출구(147)로 토출되도록 수용본체(120) 내의 액체를 액체 저면에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압축판(150) 저면에는 압축판(150)을 수용본체(120)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탄성부(190)가 제공되어 수용본체(120) 내의 액체량이 줄어들면서 상기 압축판(150)을 상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수용본체(120) 내에 액체가 가득 제공되면, 액체의 중량에 의하여 압축판(150)은 탄성부(190)를 누르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액체를 사용하게 되면 액체의 중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탄성부(190)는 복원력에 의하여 그 길이가 증가하게 되고, 탄성부(190)의 복원력으로 압축판(150)이 수용본체(120) 상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190)는 압축판(150)을 충분히 토출구(147)와 근접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토출구(147)는 수용본체(120)의 중심에 위치한다. 이때, 압축판(150) 위에 위치한 액체가 보다 쉽게 토출구(147)로 토출되기 위해서는 액체가 밀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압축판(150)을 토출구(147)와 대향된 위치가 오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압축판(150)이 상단으로 이동할수록 액체가 압축판(150)의 오목한 부분에 취합되어 액체의 양이 줄어들어도 토출구(147)에서 남아 있는 액체 모두를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절약형 용기 120: 수용본체
140: 토출부 160: 흡입판
180: 가압부

Claims (7)

  1.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관을 구비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관의 단부가 관통되고,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하며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가압하면서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상기 토출관의 단부로 토출시키는 흡입판; 및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서 하단의 방향으로 상기 흡입판 상면에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절약형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은,
    상기 토출관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1 흡입판; 및
    상기 제1 흡입판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상기 토출관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된 제2 흡입판을 포함하는 절약형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은,
    상기 흡입판 외주에 제공되며, 상기 흡입판이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가 상기 수용본체 상단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절약형 용기.
  4.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은,
    상기 흡입판이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본체 하단으로 길이가 증가하도록 스프링(spring)형상으로 형성된 절약형 용기.
  5.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용본체;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를 구비하는 토출부;
    상기 수용본체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를 가압하는 압축판; 및
    상기 압축판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판을 상기 수용본체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절약형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압축판은,
    상기 압축판 외주에 제공되며, 상기 흡입판이 상기 수용본체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할 때 상기 수용본체 내의 액체가 상기 수용본체 상단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씰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절약형 용기.
  7. 청구항 5항 및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판은,
    상기 토출구와 대향된 위치가 오목하도록 형성된 절약형 용기.
KR2020120000335U 2012-01-13 2012-01-13 절약형 용기 KR200468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335U KR200468191Y1 (ko) 2012-01-13 2012-01-13 절약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335U KR200468191Y1 (ko) 2012-01-13 2012-01-13 절약형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531U true KR20130004531U (ko) 2013-07-23
KR200468191Y1 KR200468191Y1 (ko) 2013-08-07

Family

ID=51357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335U KR200468191Y1 (ko) 2012-01-13 2012-01-13 절약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1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606A (ko) 2015-11-21 2016-01-08 박현수 내용물 표면에 접하는 부압이동부 및 이를 이용한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850A (ko) 2018-11-27 2020-06-04 김명범 세제 용기
KR20220168898A (ko) 2021-06-17 2022-12-26 이순정 알뜰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684U (ko) * 1989-06-19 1991-02-05
JP2898444B2 (ja) * 1991-08-14 1999-06-0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圧力容器
JPH07187259A (ja) * 1993-12-27 1995-07-25 Kikkoman Corp 液体注出容器
KR200186781Y1 (ko) * 2000-02-03 2000-06-15 이종혁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606A (ko) 2015-11-21 2016-01-08 박현수 내용물 표면에 접하는 부압이동부 및 이를 이용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191Y1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8073B2 (en) Pump for discharging contents
KR101928640B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EP2995570B1 (en) Dropper distributor of telescopic liquid suction tube
KR200453458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KR200468191Y1 (ko) 절약형 용기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KR101337069B1 (ko) 화장품 용기의 에어리스 펌프
KR101405056B1 (ko) 펌핑 용기
KR101038011B1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프
KR20090007715U (ko) 튜브 내장형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EP3616796A1 (en) Eco-friendly pumping device using the vacuum principle
KR20070112629A (ko) 접이식 노즐이 구비된 펌핑 장치
CN217885342U (zh) 化妆品容器
KR100766797B1 (ko) 유체 토출 장치
KR200394424Y1 (ko) 내용물의 소진인지수단이 구비된 디스펜서 용기
KR101026270B1 (ko) 펌핑 잠금장치
KR101570199B1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486012B1 (ko) 가압식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090008477U (ko) 접시형 디스펜서 용기
KR20140069868A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의 흡입튜브
JP6019584B2 (ja) チューブ容器
US9228583B2 (en) Liquid pump device
KR101978682B1 (ko) 내용물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는 하단 펌핑기
AU2019330440A1 (en) Environment-friendly sucking device applying vacuum principle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