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114B1 -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 - Google Patents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114B1
KR102029114B1 KR1020180044825A KR20180044825A KR102029114B1 KR 102029114 B1 KR102029114 B1 KR 102029114B1 KR 1020180044825 A KR1020180044825 A KR 1020180044825A KR 20180044825 A KR20180044825 A KR 20180044825A KR 102029114 B1 KR102029114 B1 KR 102029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sterile
handle
rail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진
손인수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8Wrapp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8Supporting web roll parallel roller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하면 프레임부 및 상기 하면 프레임부의 양 측면에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양 단부가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각각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와 폭 방향으로 이격되되, 양 단부가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각각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제2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의 하부에 위치되되, 양 단부가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각각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제3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의 전방에 위치되되, 양 단부가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각각 삽입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재단부;를 포함하고,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이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 사이에 위치되어 동시에 맞닿되, 상기 멸균소독비닐의 선단이 상기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3 회전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재단부에 의해 절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Cutting device of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vinyl}
본 발명은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이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와 맞닿게 하고, 멸균소독비닐의 선단이 제2 회전부 및 제3 회전수 사이를 통과하여, 멸균소독비닐의 선단을 슬라이딩 가능한 재단부를 통해 재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멸균소독비닐은 감염의 우려가 있는 물질을 밀폐하여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닐이다. 특히, 병원에서 주로 사용되고, 사용한 주사기, 수술 도구 등을 비닐 내에 삽입하고, 양 단을 접합하여 밀폐 한 후에 버리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멸균소독비닐은 최초로 롤 형태(roll type)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가위, 칼 등으로 멸균소독비닐의 선단을 재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멸균소독비닐을 일일이 재단하는데 노동력이 다수 소요되어,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사용이 편리하도록 개별적으로 셋팅된 멸균소독비닐이 개발되었으나,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에 비해 약 7배 이상 고가에 해당되어 보급되기가 어려웠다.
또한, 도 1과 같이, 폐기물(3)을 장치에 삽입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비닐(2)의 양단이 재단 및 접합되어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재단 장치(1)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또한 고가로 널리 보급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저가의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을 이용하되, 재단 편의성이 증대된 재단 장치의 발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6568호
본 발명은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이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와 맞닿게 하고, 멸균소독비닐의 선단이 제2 회전부 및 제3 회전수 사이를 통과하여, 멸균소독비닐의 선단을 재단부의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재단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재단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고가의 재단 장치를 대체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는하면 프레임부 및 상기 하면 프레임부의 양 측면에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양 단부가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각각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와 폭 방향으로 이격되되, 양 단부가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각각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제2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의 하부에 위치되되, 양 단부가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각각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제3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의 전방에 위치되되, 양 단부가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각각 삽입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재단부;를 포함하고,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이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 사이에 위치되어 동시에 맞닿되, 상기 멸균소독비닐의 선단이 상기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3 회전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재단부에 의해 절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상기 제1 회전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회전바; 상기 제1 회전바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1 걸림볼; 및 상기 제1 회전바의 단부와 상기 제1 걸림볼을 잇는 제1 볼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수용홈에 상기 제1 걸림볼이 안착되되, 상기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회전바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상기 제1 수용홈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되되,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하면 프레임부로부터 상기 제1 수용홈의 하단까지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상기 제2 회전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회전바; 상기 제2 회전바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걸림볼; 및 상기 제2 회전바의 단부와 상기 제2 걸림볼을 잇는 제2 볼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걸림볼 중 어느 하나의 제2 걸림볼은,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부에 형성되되, 상면이 개방된 제2 수용홈에 안착되고, 상기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회전바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상기 제3 회전부는 상기 멸균소독비닐의 선단과 맞닿고, 상기 멸균소독비닐의 선단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상기 재단부는 폭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레일부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레일부와 맞닿는 제1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손잡이와 소정의 경사를 지니면서 연장 형성되는 제2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손잡이와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상기 커터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터 하우징 내부에 커터가 삽입되되, 상기 커터 하우징의 양 단부에 커터가 일부 노출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상기 레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부 본체; 및 상기 레일부 본체 상부에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부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제1 손잡이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레일부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암수 결합이 가능한 형상을 지닌 레일부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 돌출부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는 상기 제1 회전바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내측면이 상기 제1 회전바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되어, 상기 제1 회전바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한 쌍의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가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을 지지함과 동시에 함께 회전하고, 멸균소독비닐의 선단과 제2 회전부 및 제3 회전부가 맞닿음과 동시에 회전하여 선단이 사용자에 의해 손쉽게 잡아 당겨지고, 회전부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부가 상,하 방향으로 틸팅 동작이 가능하여,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의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제1 수용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일부 상에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재단부로 인해, 슬라이딩 동작만으로 멸균소독비닐의 선단을 절단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커터 하우징의 양 단부에 커터가 노출되는 형상으로 인해, 장치 안전성이 증대되고,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터부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재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측면 프레임부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제1 회전부 내지 제3 회전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제2 회전부의 작동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재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재단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레일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롤러부의 작동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상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이란, 재단부가 위치한 쪽이며, 후방이란 그 반대 쪽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측면 프레임부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제1 회전부 내지 제3 회전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제2 회전부의 작동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재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재단부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레일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롤러부의 작동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는 프레임부(100), 제1 회전부(200), 제2 회전부(300), 제3 회전부(400), 레일부(500), 재단부(600), 베리어부(7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0)는 하면 프레임부(110) 및 측면 프레임부(120)를 구비한다. 또한, 측면 프레임부(120)는 제1 측면 프레임(121) 및 제2 측면 프레임(122)을 구비한다.
하면 프레임부(11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판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프레임부(120)는 하면 프레임부(110)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제1 측면 프레임(121) 및 제2 측면 프레임(122)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이때, 제1 측면 프레임(121) 및 제2 측면 프레임(122)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제1 회전부(200)는 제1 회전바(210), 한 쌍의 제1 걸림볼(220), 한 쌍의 제1 볼 조인트(230)를 구비한다.
제1 회전바(2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bar)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바(210)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제1 걸림볼(220)이 각각 위치된다. 제1 걸림볼(220)은 도 4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후술할 제1 수용홈(1221)과 반복적으로 맞닿을 때, 마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장치의 수명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제1 회전바(210)의 단부와 제1 걸림볼(220)은 제1 볼 조인트(230)가 잇는다. 볼 조인트(ball joint)는 케이싱 내에서 볼 부분이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부품을 말하는 것이다.
프레임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상의 축이 있다고 가정하면, 축을 중심으로 제1 볼 조인트(230)에 연결된 제1 회전바(210)가 360도 회전이 가능한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걸림볼(220)은 제1 수용홈(1221)에 각각 안착되고, 한 쌍의 제1 걸림볼(220) 사이에 위치되는 제1 회전바(210)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제2 회전부(300)는 제2 회전바(310), 한 쌍의 제2 걸림볼(320, 330) 및 한 쌍의 제2 볼 조인트(340)를 구비한다.
제2 회전바(3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bar)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회전바(310)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제2 걸림볼(320, 330)이 각각 위치된다. 제2 걸림볼(320, 330)은 도 4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후술할 제2 수용홈(1222)과 반복적으로 맞닿을 때, 마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장치의 수명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프레임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상의 축이 있다고 가정하면, 축을 중심으로 제2 볼 조인트(340)에 연결된 제2 회전바(310)가 360도 회전이 가능한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제2 수용홈(1222)은 제1 수용홈(1221)과 달리,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1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부(120)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기준으로 하면, 제2 측면 프레임(122)에만 제2 수용홈(1222)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수용홈(1222)은 상면이 개방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한 쌍의 제2 걸림볼(320, 330) 중 어느 하나의 제2 걸림볼(320)이 제2 수용홈(1222)에 수용되고, 다른 하나의 제2 걸림볼(330)은 제1 측면 프레임(12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제2 회전부(300)는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른 하나의 제2 걸림볼(330)을 기준으로, 볼 조인트 구조로 인해 제2 회전바(310)가 하면 프레임부(110)의 표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지니면서 상, 하방으로 틸팅 운동이 가능한 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제2 수용홈(1222)은 상면이 개방되되, 하단은 다른 하나의 제2 걸림볼(330)이 위치한 지점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상의 선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2 회전바(310)가 틸팅 동작 시 최대로 내려갈 수 있는 부분이제2 수용홈(1222)의 하단의 단턱 구조로 인해 제한된다. 따라서, 제2 회전바(310)의 양 단부에 위치된 제2 걸림볼(320)이 동일한 선 상에 위치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2 회전바(310)가 안정적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으로 소정의 각도를 지니면서 상, 하방으로 틸팅 가능한 구조가 형성되게 된다. 이에 관한 효과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3 회전부(400)는 바(bar) 형상이다. 일 예로,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제2 회전부(300)의 하부에 위치되고, 양 단부가 측면 프레임부(120)에 각각 삽입된다. 즉, 일단부는 제1 측면 프레임(121)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제2 측면 프레임(122)에 삽입된다.
제3 회전부(400)의 각 단부는 측면 프레임부(120)에 각각 형성되는 제3 수용홈(1223)에 삽입된다. 또한, 제3 수용홈(1223)은 제3 회전부(4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원통 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3 회전부(400)는 양 단부가 제3 수용홈(1223)에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제1 회전부(200) 및 제2 회전부(300)와는 달리 최초로 삽입된 위치에서 회전만 가능하여, 사용자가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잡아당길 때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은 제1 회전부(200) 및 제2 회전부(300) 사이에 위치되어 동시에 맞닿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회전바(210) 및 제2 회전바(310)와 동시에 맞닿게 된다.
또한,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은 제2 회전부(300)와 제3 회전부(400) 사이를 맞닿아 통과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2 회전바(310)와 제3 회전부(400) 사이를 맞닿아 통과한다.
이때,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사용자가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 도 5를 기준으로 제2 회전부(30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3 회전부(4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와 맞닿은 제1 회전부(20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멸균소독비닐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회전부(200) 내지 제3 회전부(400)가 회전하게 된다.
사용자가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을 제1 회전부(200) 및 제2 회전부(300) 사이에 위치시켜 올려놓고,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제2 회전부(300)와 제3 회전부(400) 사이로 통과시켜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사용자가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은 해당 위치에서 공회전하므로,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지속적으로 잡아 당길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멸균소독비닐의 길이를 잡아 당기고, 후술할 재단부(600)를 통해 커팅하므로, 종래와는 달리 원하는 양의 멸균소독비닐을 손쉽게 재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 없이 전방으로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전방으로 잡아 당기는 작업과 재단부(600)의 슬라이딩 동작만으로 재단이 가능하므로, 작업 속도가 증대되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회전부(300)는 상,하 방향으로 틸팅 동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제2 회전부(300)와 제3 회전부(400) 사이에 통과시키고자 할 때, 제2 회전부(300)의 단부를 들어 올려 제3 회전부(400) 위에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놓고, 다시 제2 회전부(300)의 단부를 내려 제2 걸림볼(320)을 제2 수용홈(1222)에 안착시키면, 제2 회전부(300)와 제3 회전부(400) 사이에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회전부(300)와 제3 회전부(400) 사이의 좁은 틈으로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삽입하는 사용자의 작업이 생략되어 작업 속도가 증대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1 수용홈(1221)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수용홈(1221)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기준으로 3개가 형성되나, 이는 일 예로 반드시 3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제1 수용홈(1221)은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각 제1 수용홈(1221)은 상호 연결된다. 제1 수용홈(1221)의 하단은 제1 걸림볼(22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반구 형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걸림볼(220)이 제1 수용홈(1221)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롤의 지름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만약 제1 수용홈(1221)에 1개 형성되어 해당 위치에 제1 회전부(200)가 고정되면, 제1 회전부(200)와 제2 회전부(300) 사이의 길이보다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의 지름이 작아지는 시점부터는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은 하면 프레임부(110)로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재단 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제1 수용홈(1221)이 복수 개 형성되면,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의 지름이 줄어들수록 제1 회전부(20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의 지름보다 제1 회전부(200)와 제2 회전부(300) 사이의 길이를 짧게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재단 장치의 사용 지속성이 증대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하면 프레임부(110)로부터 복수 개의 제1 수용홈(1221)의 하단까지의 높이는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의 지름이 줄어들수록 제1 회전부(200)가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하여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의 이탈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도록 한다.
재단부(600)는 손잡이부(610) 및 커터부(620)를 구비한다. 손잡이부(610)는 후술할 레일부(500)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며, 커터부(620)는 손잡이부(61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재단한다.
손잡이부(610)는 제1 손잡이(611), 제2 손잡이(612) 및 제3 손잡이(613)를 구비한다.
제1 손잡이(611)는 레일부(500)와 맞닿고,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손잡이(611)와 레일부(500)는 상부에서 볼 때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손잡이(612)는 제1 손잡이(611)의 선단에서 제1 손잡이(611)와 소정의 경사를 지니면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3 손잡이(613)는 제2 손잡이(612)의 선단에서 제1 손잡이(611)와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제3 손잡이(613)를 파지하고, 손잡이부(610) 전체를 레일부(5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게 하여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커팅하게 된다.
손잡이부(610)에는 날카로운 커터부(62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를 잡고 슬라이딩 동작을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커터부(620)에 손이 베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커터부(620)가 결합된 제1 손잡이(611)와 제3 손잡이(613)가 폭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격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3 손잡이(613)를 파지할 때, 제1 손잡이(611)로부터 사용자의 손이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재단 장치의 사용 안정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커터부(620)는 제1 손잡이(611)의 상면에 형성된 그루브(6111)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커터부(620)와 제1 손잡이(611)는 끼워 맞춤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커터부(620)의 지속적 사용으로 커터부(620) 내의 커터(623)가 마모되면, 커터부(620)를 손잡이부(610)로부터 분리시켜 새로운 커터부(620)를 교체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도록 한다.
커터부(620)는 그루브 결합부(621), 커터 하우징(622) 및 커터(623)를 구비한다. 그루브 결합부(621)는 전술한 그루브(6111)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커터 하우징(622)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양 단부에 커터 하우징(622)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오목하게 홈이 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터(623)는 커터 하우징(622) 내에 삽입되되, 커터(623)의 양 단부가 홈에 노출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커터(623) 중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절단할 수 있도록 노출된 부분은 커터(623)의 양 단부가 유일하게 된다. 커터(623)의 상부, 하부는 커터 하우징(622)에 의해 감싸지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커터부(620)를 레일부(5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시키는 과정에서, 커터(623)에 베일 확률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재단 장치의 사용 안정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9를 참조하도록 한다.
레일부(500)는 레일부 본체(510) 및 레일부 돌출부(520)를 구비한다. 레일부 본체(5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부 돌출부(520)는 레일부 본체(510)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손잡이(611)의 하부에는 레일부 가이드 홈(6112)이 형성되되, 레일부 가이드 홈(6112)은 레일부 돌출부(5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암수 결합이 가능한 형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재단부(600)는 레일부(50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즉, 레일부(500)와 재단부(600)는 LM가이드 형식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는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이 재단부(600)의 커터(623)와 맞닿게 하여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커터(623)가 재단부(600)의 양 단부에 형성된 바, 가령, 좌측 방향으로 재단부(600)를 슬라이딩 시켜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절단한 뒤에, 곧바로 우측 방향으로 재단부(600)를 슬라이딩 시켜 다음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절단할 수 있어 절단 속도 및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베리어부(700)는 제1 회전부(200) 내지 제3 회전부(400)의 하부에 위치되고, 양 단부가 측면 프레임부(120)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을 전부 사용하면, 하면 프레임부(110)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베리어부(700)가 부재하다면, 재단 장치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굴러 재단 장치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베리어부(700)가 존재하면, 사용한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베리어부(700)는 하면 프레임부(110)와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구르고 있는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이 베리어부(700)의 외주면을 타고 재단 장치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는 롤러부(800)를 더 포함한다. 롤러부(800)는 중공부가 형성된 튜브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롤러부(800)는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제3 회전부(400)가 복수 개의 롤러부(800)의 중공부를 관통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재단 장치에는 복수 개의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은 모두 하나의 제3 회전부(400)와 맞닿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의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잡아 당길 때, 제3 회전부(400)가 회전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다른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이 잡아당겨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이 제3 회전부(400)가 아닌 롤러부(800)와 맞닿는 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각 롤러부(800)는 독립적으로 제3 회전부(40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사용 중인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과 맞닿는 롤러부(800)만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재단 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1을 참조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는 조정부(9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조정부(900)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정부(900)는 조정부 결합부(910) 및 조정부 손잡이(920)를 구비한다. 조정부 결합부(910)는 제1 회전바(210)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 회전바(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며,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조정부 손잡이(920)는 조정부 결합부(910)의 상면에 결합된다.
멸균소독비닐의 선단(11)을 잡아 당기는 과정에서,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이 길이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조정부(900) 사이에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10)을 배치시키면, 조정부(900)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어 작업 안정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정부 결합부(910)가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바, 조정부(900)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롤 크기의 다양성에 대응하여 가변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프레임부, 110:하면 프레임부,
120:측면 프레임부, 121:제1 측면 프레임,
122:제2 측면 프레임, 1221:제1 수용홈,
1222:제2 수용홈, 1223:제3 수용홈,
200:제1 회전부, 210:제1 회전바,
220:제1 걸림볼, 230:제1 볼 조인트,
300:제2 회전부, 310:제2 회전바,
320, 330:제2 걸림볼, 340:제2 볼 조인트,
400:제3 회전부, 500:레일부,
510:레일부 본체, 520:레일부 돌출부,
600:재단부, 610:손잡이부,
611:제1 손잡이, 6111:그루브,
6112:레일부 가이드 홈, 612:제2 손잡이
613:제3 손잡이, 620:커터부,
621:그루브 결합부, 622:커터 하우징,
623:커터, 700:베리어부,
800:롤러부, 900:조정부,
910:조정부 결합부, 920:조정부 손잡이.

Claims (10)

  1. 하면 프레임부 및 상기 하면 프레임부의 양 측면에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양 단부가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각각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와 폭 방향으로 이격되되, 양 단부가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각각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제2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의 하부에 위치되되, 양 단부가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각각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제3 회전부;
    상기 제2 회전부의 전방에 위치되되, 양 단부가 상기 측면 프레임부에 각각 삽입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재단부;를 포함하고,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이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 사이에 위치되어 동시에 맞닿되, 상기 멸균소독비닐의 선단이 상기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3 회전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재단부에 의해 절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회전바;
    상기 제1 회전바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1 걸림볼; 및
    상기 제1 회전바의 단부와 상기 제1 걸림볼을 잇는 제1 볼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수용홈에 상기 제1 걸림볼이 안착되되,
    상기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회전바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수용홈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되되,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하면 프레임부로부터 상기 제1 수용홈의 하단까지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회전바;
    상기 제2 회전바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걸림볼; 및
    상기 제2 회전바의 단부와 상기 제2 걸림볼을 잇는 제2 볼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걸림볼 중 어느 하나의 제2 걸림볼은,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부에 형성되되, 상면이 개방된 제2 수용홈에 안착되고,
    상기 롤 형태의 멸균소독비닐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회전바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 회전부는 상기 멸균소독비닐의 선단과 맞닿고,
    상기 멸균소독비닐의 선단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재단부는 폭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레일부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레일부와 맞닿는 제1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손잡이와 소정의 경사를 지니면서 연장 형성되는 제2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손잡이와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커터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터 하우징 내부에 커터가 삽입되되, 상기 커터 하우징의 양 단부에 커터가 일부 노출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레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부 본체; 및
    상기 레일부 본체 상부에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부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제1 손잡이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레일부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암수 결합이 가능한 형상을 지닌 레일부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부 돌출부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회전바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내측면이 상기 제1 회전바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되어, 상기 제1 회전바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한 쌍의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중공부가 형성된 튜브 형상의 복수 개의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멸균소독비닐은 상기 롤러부에 맞닿아 회전하고, 복수 개의 상기 멸균소독비닐 중 사용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멸균소독비닐의 선단과 맞닿아 있는 상기 롤러부만을 이용하여 상기 멸균소독비닐의 선단의 개별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44825A 2018-04-18 2018-04-18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 KR102029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25A KR102029114B1 (ko) 2018-04-18 2018-04-18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25A KR102029114B1 (ko) 2018-04-18 2018-04-18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114B1 true KR102029114B1 (ko) 2019-10-07

Family

ID=6842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825A KR102029114B1 (ko) 2018-04-18 2018-04-18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1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307B1 (ko) * 2003-04-14 2005-08-09 태양쓰리시 주식회사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KR200405586Y1 (ko) * 2005-10-31 2006-01-11 (주)탐스텍 랩 포장기의 열판 슬라이딩 장치
KR101203515B1 (ko) * 2012-07-19 2012-11-21 부흥산업(주) 도장공사용 마스킹 테이프 절단장치
KR101396568B1 (ko) 2013-11-01 2014-05-20 정수현 의료기기 포장롤의 제조장치
US20180079612A1 (en) * 2016-09-20 2018-03-22 Phillip M. Guerin Coil hold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307B1 (ko) * 2003-04-14 2005-08-09 태양쓰리시 주식회사 접착테이프 절단장치
KR200405586Y1 (ko) * 2005-10-31 2006-01-11 (주)탐스텍 랩 포장기의 열판 슬라이딩 장치
KR101203515B1 (ko) * 2012-07-19 2012-11-21 부흥산업(주) 도장공사용 마스킹 테이프 절단장치
KR101396568B1 (ko) 2013-11-01 2014-05-20 정수현 의료기기 포장롤의 제조장치
US20180079612A1 (en) * 2016-09-20 2018-03-22 Phillip M. Guerin Coil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8813B2 (en) Bone graft delivery system for a vertebral interbody device
US5833692A (en) Surgical instrument
US20040243163A1 (en) Surgical instrument
US201503278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Disorders of the Ear, Nose and Throat
US11376016B2 (en) Surgical blade cartridge with a guide bar
KR20200044043A (ko) 역행 드릴 의료 디바이스용 제어 시스템
AU2012216552B2 (en) Tissue shavers
US20100005630A1 (en) Handle for surgical and dental tools
US20100184000A1 (en) Periodontal scaler
US20040147909A1 (en) Surgical instrument
US2854981A (en) Surgical instrument
JP5189633B2 (ja) 配置方向ガイド付きのダーマトーム
US11154317B2 (en) Rongeur with cutting implement that is selectively driven by a motor so the cutting implement performs either power assisted or manual cutting of tissue
KR102029114B1 (ko)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
US20080103514A1 (en) Ophthalmic surgical system and method
US20200345386A1 (en) Tissue Resection Device
US67162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neal surgery
ES2310788T3 (es) Maquina manual para labrar la tierra, especialmente cortacesped.
FR2942126A1 (fr) Dispositif pour faciliter la mise en place de vis dans les tissus osseux et instrumentation en faisant application, en particulier pour realiser l'osteosynthese de fragments d'os
KR102029115B1 (ko) 벽걸이형 멸균소독비닐 재단 장치
JP2016086886A (ja) 前嚢切開カッター
CN210354842U (zh) 一种伸缩式手术刀柄
CN202342142U (zh) 组合式手术刀
CN213606716U (zh) 一种烧伤科用取皮机
CN209916129U (zh) 一种用于微创手术的腱鞘切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