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866B1 -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 Google Patents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866B1
KR102028866B1 KR1020190071716A KR20190071716A KR102028866B1 KR 102028866 B1 KR102028866 B1 KR 102028866B1 KR 1020190071716 A KR1020190071716 A KR 1020190071716A KR 20190071716 A KR20190071716 A KR 20190071716A KR 102028866 B1 KR102028866 B1 KR 102028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sensor
stud hole
image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훈
김경섭
김동일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는, 베이스에 형성된 스터드홀의 나사산을 검사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홀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스터드홀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본체를 포함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거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스터드홀의 내부를 향하여 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나사산의 표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부가 결합되며, 상기 센서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복수의 나사산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스터드홀의 깊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산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Description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IMAGE ACQUISITION APPARATUS FOR INSPECTING SCREW THREAD OF STUD HOLE}
본 발명은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산 표면의 이미지를 단시간에 획득하여 나사산의 정밀한 검사를 수행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로의 대형 스터드홀의 경우 스터드볼트의 안정적인 체결을 위해 스터드홀의 나사산을 주기적으로 유지보수하여 관리하고 있다. 유지보수를 위해 나사산의 손상, 마모, 나사산 사이의 이물질 유무를 검사하여야 한다.
종래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방법은, 작업자가 직접 나사산을 육안으로 검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예를 들어 작업자가 반사거울을 이용하여 나사산 및 나사산 사이를 직접 확인하였다.
그런데 나사산 수가 많은 경우에 육안 검사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육안검사로 인해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경우 나사산의 이상 유무를 증빙할 데이터가 없으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이상 유무가 결정되고, 이상이 발생할 때 작업자가 수기로 위치 및 형성을 그려서 표기하고 있으므로 이상 유무에 대한 결과 전달 시에 상호 이해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터드홀의 깊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나사산 표면 이미지를 단시간에 획득하여 검사시간을 단축시키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나사산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미지를 획득 가능하여 스터드홀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이미지를 용이하게 획득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검사자 간의 결과 전달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나사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는, 베이스에 형성된 스터드홀의 나사산을 검사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홀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스터드홀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본체를 포함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거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스터드홀의 내부를 향하여 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나사산의 표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부가 결합되며, 상기 센서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복수의 나사산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스터드홀의 깊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산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contact imag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는 스터드홀의 깊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나사산 표면 이미지를 단시간에 획득하여 검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나사산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스터드홀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이미지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데이터로 활용하여 직접적으로 나사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검사자 간의 결과 전달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으며, 생성된 데이터를 표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나사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제1 마그네틱과 제2 마그네틱에 의해 센서가 나사산에 밀착된 상태로 수직,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검사하지 않을 때는 센서부를 커버부의 내부에 수용하여 보관함으로써 센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위치고정부재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를 하측에서 바라본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의 미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100)는, 베이스(10)에 형성된 스터드홀(20)의 나사산(21)을 검사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여기서 스터드홀(20)이 형성된 베이스(10)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원자력 발전소에 사용되는 스터드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원자로 헤드나 케이싱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10)는 스터드홀(20)이 형성된 부재이면 다양한 부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100)는 커버부(200)와 센서부(400)와 상하이동부(300)를 포함한다.
커버부(200)는 스터드홀(20)에 인접한 베이스(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스터드홀(20)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본체(2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00)는 스터드홀(2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일부가 베이스(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커버본체(210)는 커버부(200)의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스터드홀(20)을 향하는 면인 저면(213)의 일부가 개방되고, 스터드홀(20)의 중심축을 연장한 축을 향하는 면인 전면부가 개방될 수 있다.
센서부(400)는 커버부(2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커버본체(2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거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스터드홀(20)의 내부를 향하여 인출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센서부(400)는 나사산(21)의 표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센서(4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400)는 나사산(21)의 검사를 수행하지 않을 때는 커버본체(210)의 내부 공간이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검사를 수행할 때는 커버본체(2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스터드홀(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400)는 슬라이드 이동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스터드홀(20) 내부의 검사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하이동부(300)는 커버본체(210)에 장착되고 센서부(400)가 결합되며, 센서부(40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하이동부(300)는 센서부(400)를 스터드홀(20)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종류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410)는 복수의 나사산(21)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스터드홀(20)의 깊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나사산(21)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나사산(21)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도 1의 A 방향 참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커버부(200)에서 스터드홀(20)을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한다. 이때 스터드홀(20)의 깊이 방향은 제1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410)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410)(contact image sensor)일 수 있다. 밀착형 이미지 센서(410)(contact image sensor)는 복수의 광전 소자와 같은 배율의 렌즈에 의해 화상 정보를 1:1로 읽어 내는 광전 변환 판독 장치이다. 이러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410)는 감지 대상체(피사체)에 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종래 이미지 센서(410)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고성능 렌즈가 필요없게 되므로 광로의 길이가 짧게 되어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서(410)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410)를 이용한 것으로, 스터드홀(20)의 깊이 방향(제1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410)는 복수의 나사산(21)의 이미지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나사산(21) 표면 이미지를 단시간에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대형 스터드홀(20)의 경우에도 검사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410)가 밀착형 이미지 센서(410)(contact image sensor)로 적용되므로, 나사산(21)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스터드홀(20)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 이미지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센서(410)가 획득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상 유무를 증빙하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직접적인 나사산(21)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검사자 간의 결과 전달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생성된 데이터를 표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나사산(21)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검사하지 않을 때는 센서부(400)를 커버부(200)의 내부에 수용하여 보관함으로써 센서(410)를 보호할 수 있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하이동부(300)에 의해 센서(4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커버본체(210)의 스터드홀(20)을 향하는 방향의 면을 저면(213)이라 할 때, 저면(213)은 베이스(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214)와 스터드홀(20)의 내부와 연통되게 관통된 개구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215)를 통해서 센서부(400)가 유출입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200)는 베이스(1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스터드홀(2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도 1의 A 방향 참조).
구체적으로 커버부(200)는, 안착부(214)에 구비되는 구름부재(260)와 제1 마그네틱(25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름부재(260)는 안착부(214)에 장착되되 베이스(10)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을 할 수 있다. 구름부재(260)는 복수로 구비되어 커버본체(210)가 회전할 때, 커버본체(210)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구름부재(260)는 볼캐스터(ball cast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제1 마그네틱(250)은 안착부(214)에 구비되고 자성에 의해 커버본체(210)의 회전 시에 베이스(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마그네틱(250)에 의해 작업자가 커버본체(210)를 회전시킬 때, 커버본체(210)가 베이스(10)의 상면 상에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하이동부(300)는 가이드레일(31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310)은 커버본체(210)에 장착되되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센서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레일(310)은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310)은 커버본체(210)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커버부(200)에 의해 가이드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센서부(400)는 센서하우징(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하우징(430)은 가이드레일(310)의 제1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센서(410)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나사산(21)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도 2 및 도 5 참조). 여기서 센서하우징(430)은 센서(410)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1 방향(나사산(21)의 깊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410)는 센서하우징(4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센서하우징(430)의 나사산(21)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부분을 통해 나사산(21)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400)는 제2 마그네틱(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그네틱(450)은 센서(410)가 나사산(21)에 밀착시키기 위해 자성에 의해 센서하우징(430)을 나사산(21)에 접촉시키도록, 센서하우징(430)의 나사산(21)을 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틱(450)에 의해 센서하우징(430)이 나사산(21)에 접촉되고, 센서(410)는 나사산(2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커버본체(210)를 회전시켜서 센서(410)를 회전시킬때, 센서(410)가 나사산(2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마그네틱(250)과 제2 마그네틱(450)을 구비함으로써, 나사산(21)의 검사를 수행할 때 센서(410)의 수평과 수직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나사산(21)의 이미지를 원활하게 획득할 수 있고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200)는 가이드블록(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블록(230)은 가이드레일(31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커버본체(210)의 내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230)은 가이드홈(231)을 포함하고, 가이드홈(231)은 가이드레일(3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게 제1 방향으로 길게 요입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레일(310)은 가이드홈(231)에 삽입되게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3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블록(230)은 커버본체(210)의 내측면 중 전면부에 인접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고, 도시된 일례와 같이 커버본체(210)의 제1 방향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가이드블록(230)은 커버본체(210)에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310)의 삽입돌기(311)는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가이드레일(310)은 삽입돌기(311)가 가이드홈(231)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커버본체(210)의 내측면에는 지지턱(211)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턱(211)은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가이드레일(310)의 슬라이드 이동 시에 삽입돌기(31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200)는 가이드블록(230)과 커버본체(210)의 지지턱(211)을 구비함으로써 가이드레일(3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블록(230)의 위치와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버부(200)는 위치고정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재(270)는 센서(410)를 나사산(21)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높이에 고정하도록, 가이드레일(310)을 커버본체(210)에 고정할 수 있다. 위치고정부재(270)에 의해 가이드레일(310)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310)과 센서(410)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작업자는 나사산(21)의 검사가 필요한 위치에 센서(410)를 위치시킨 후, 위치고정부재(270)에 의해 가이드레일(31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서 센서(4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고정부재(270)는 고정블록(271)과 고정볼트(27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록(271)은 가이드블록(230)에 결합되고, 가이드블록(230)에 형성된 제1 체결공(미도시)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가이드홈(231)과 연통되는 제2 체결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블록(230)은 가이드홈(231)에 연통되게 관통된 제1 체결공을 포함하고, 고정블록(271)은 제1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제2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볼트(273)는 제1 체결공과 제2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가이드레일(310)을 가압하여 가이드레일(310)을 커버본체(210)에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볼트(273)를 제1 체결공과 제2 체결공에 관통되게 체결한 상태에서 회전하면(도 4의 B 방향 참조), 고정볼트(273)의 단부가 가이드레일(310)을 가압함으로써 가이드레일(310)이 가이드블록(230)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23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검사를 완료한 경우 고정볼트(273)를 반대방향(B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블록(23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이동부(300)는 스토퍼(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30)는 가이드레일(310)의 제2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고, 가이드블록(230)에 걸리게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310)의 제1 방향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330)의 위치는, 센서(410)의 제1 방향 단부가 최하단의 나사산(21)에 위치한 상태에서, 가이드블록(230)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330)에 의해 가이드블록(230) 및 센서부(400)가 커버본체(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하이동부(300)는 손잡이(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본체(210)는 스터드홀(20)의 중심축을 연장한 축을 향하는 방향에 구비된 전면부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340)는 가이드레일(310)의 제2 방향의 단부에 구비되고, 전면부에서 돌출되며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돌출된 손잡이(340)를 잡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레일(310)과 센서(4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손잡이(340)는 스토퍼(3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손잡이(340)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가 파지하여 가이드레일(310)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센서부(400)와 상하이동부(300)가 커버본체(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미지 획득장치(100)를 스터드홀(2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커버본체(210)의 개구부(215)가 스터드홀(20)의 내부와 연통되게 배치한 후 안착부(214)가 베이스(10)의 상면에 안착되게 설치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후 작업자가 손잡이(340)를 잡고 가이드레일(310)과 센서(410)를 제1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도 1 참조), 센서(410)가 검사위치에 도달하면 위치고정부재(270)를 회전하여 가이드레일(310)을 고정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작업자가 커버본체(210)를 회전시키면서 센서(410)가 나사산(21)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도 1 참조). 검사를 완료하면 다시 작업자가 손잡이(340)를 잡고 가이드레일(410)과 센서(410)를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커버본체(210)의 내부에 센서(410)를 보관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와 같은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는 스터드홀의 깊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나사산 표면 이미지를 단시간에 획득하여 검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나사산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스터드홀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이미지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데이터로 활용하여 직접적으로 나사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검사자 간의 결과 전달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으며, 생성된 데이터를 표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나사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제1 마그네틱과 제2 마그네틱에 의해 센서가 나사산에 밀착된 상태로 수직,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검사하지 않을 때는 센서부를 커버부의 내부에 수용하여 보관함으로써 센서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베이스 20: 스터드홀
21: 나사산 100: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200: 커버부 210: 커버본체
211: 지지턱 213: 저면
214: 안착부 215: 개구부
230: 가이드블록 231: 가이드홈
250: 제1 마그네틱 260: 구름부재
270: 위치고정부재 271: 고정블록
273: 고정볼트 300: 상하이동부
310: 가이드레일 311: 삽입돌기
330: 스토퍼 340: 손잡이
400: 센서부 410: 센서
430: 센서하우징 450: 제2 마그네틱
A: 커버본체의 회전 방향
B: 고정볼트의 회전 방향

Claims (12)

  1. 베이스에 형성된 스터드홀의 나사산을 검사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홀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스터드홀의 둘레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본체를 포함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거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스터드홀의 내부를 향하여 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나사산의 표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부가 결합되며, 상기 센서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복수의 나사산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스터드홀의 깊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산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커버본체의 상기 스터드홀을 향하는 저면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스터드홀의 내부와 연통되게 관통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구름부재; 및
    상기 안착부에 구비되고 자성에 의해 상기 커버본체의 회전 시에 상기 베이스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마그네틱을 포함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contact image sensor)를 포함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서 상기 스터드홀을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할 때,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커버본체에 장착되되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센서부가 결합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센서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나사산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센서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가 상기 나사산에 밀착시키기 위해 자성에 의해 상기 센서하우징을 상기 나사산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센서하우징의 상기 나사산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는 제2 마그네틱을 더 포함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게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요입 형성된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가이드블록을 더 포함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게 구비된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본체의 내측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슬라이드 이동 시에 상기 삽입돌기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센서를 상기 나사산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높이에 고정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블록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된 제1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제2 체결공을 포함하는 고정블록; 및
    상기 제1 체결공과 상기 제2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을 가압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커버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에 걸리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기 제1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상기 스터드홀의 중심축을 연장한 축을 향하는 방향에 구비된 전면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면부에서 돌출되며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KR1020190071716A 2019-06-17 2019-06-17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KR102028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716A KR102028866B1 (ko) 2019-06-17 2019-06-17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716A KR102028866B1 (ko) 2019-06-17 2019-06-17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866B1 true KR102028866B1 (ko) 2019-10-04

Family

ID=6820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716A KR102028866B1 (ko) 2019-06-17 2019-06-17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8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185B1 (ko) * 2020-07-21 2021-03-3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스터드 홀 검사장치
KR102487522B1 (ko) * 2021-11-30 2023-01-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스터드 홀 검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835A (ja) * 1993-03-17 1994-11-25 Nissan Motor Co Ltd ねじ孔計測装置
KR20010068158A (ko) * 2001-04-30 2001-07-13 이태규 나사구멍 검사장치
JP2004085514A (ja) * 2002-07-03 2004-03-18 Isuzu Motors Ltd ねじリード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007248295A (ja) * 2006-03-16 2007-09-27 Mitsutoyo Corp ねじ測定方法、ねじ測定用プローブ及びそれを用いたねじ測定装置
JP2009244108A (ja) * 2008-03-31 2009-10-22 Toyota Motor Corp ねじを検査する方法と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3835A (ja) * 1993-03-17 1994-11-25 Nissan Motor Co Ltd ねじ孔計測装置
KR20010068158A (ko) * 2001-04-30 2001-07-13 이태규 나사구멍 검사장치
JP2004085514A (ja) * 2002-07-03 2004-03-18 Isuzu Motors Ltd ねじリード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007248295A (ja) * 2006-03-16 2007-09-27 Mitsutoyo Corp ねじ測定方法、ねじ測定用プローブ及びそれを用いたねじ測定装置
JP2009244108A (ja) * 2008-03-31 2009-10-22 Toyota Motor Corp ねじを検査する方法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185B1 (ko) * 2020-07-21 2021-03-3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스터드 홀 검사장치
KR102487522B1 (ko) * 2021-11-30 2023-01-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스터드 홀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866B1 (ko)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용 이미지 획득장치
KR100361962B1 (ko) 웨이퍼 테두리 결함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N100354070C (zh) 一种工具转换装置
CN104567750A (zh) 一种高精度陶瓷插芯同轴度检测仪
US6624891B2 (en) Interferometric-based external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KR101245098B1 (ko) 박막 두께 측정장치
KR101631193B1 (ko)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US51401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leave end angle of an optical fiber
KR102064131B1 (ko) 스터드홀의 나사산 검사장치
US8711999B2 (en) Inspection tool for top guides of a boiling water reactor
KR20180038705A (ko) 광 통신 모듈을 위한 페룰 단면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N116087222A (zh) 晶圆暗场检测装置及检测方法
US6178285B1 (en) Vision system for inspecting interconnections of optical cards mounted in a rack and associated methods
CN210834103U (zh) 一种振镜头精度检测装置
JP2018189475A (ja) レンズチェッカー
KR200188365Y1 (ko) 웨이퍼 테두리 결함 검사장치
KR102343905B1 (ko) 양방향 주행성을 가지는 트래블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장치
CN214792988U (zh) 摄像头光学成像检测定位装置
CN212622303U (zh) 一种用于多芯光纤连接器端面检测的接口
KR20080106697A (ko) 반도체 소자 영상 검사용 클램핑 장치
US6736361B2 (en) Semiconductor wafer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KR102328926B1 (ko) 인덱스 비장착형 공작기계용 공구 마모도 측정장치
CN109270073A (zh) 一种基于瑕疵检测系统和蓝光测量系统的加持装置
CN110554043A (zh) 一种混料视觉检测设备
JPH0694771A (ja) 回路基板検査機のプローブピン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