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855B1 -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855B1
KR102028855B1 KR1020190017227A KR20190017227A KR102028855B1 KR 102028855 B1 KR102028855 B1 KR 102028855B1 KR 1020190017227 A KR1020190017227 A KR 1020190017227A KR 20190017227 A KR20190017227 A KR 20190017227A KR 102028855 B1 KR102028855 B1 KR 102028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ayer
soil
straw
loess
green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균
Original Assignee
윤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균 filed Critical 윤석균
Priority to KR1020190017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8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 절개면 등에 일정크기로 절단하여서 된 볏짚 절단재와 황토를 배합하고 이를 물과 혼합하여서 된 반죽물로 기반층을 구축한 다음 그 기반층 위에 녹생토를 시공하는 수단으로 자연 친화적이고 녹생토의 안정화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건조된 상태의 볏짚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볏짚 절단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볏짚 절단재와 미세 입자로 된 황토를 배합하고 이를 물과 혼합하여 혼합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 반죽물을 절개면에 부착하여 기반층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기반층에 녹생토를 분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 {Construction method for plant soil composition}
본 발명은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로나 토목 공사시에 식물의 식생이 어려운 토양 절개면 등에 시공되는 녹생토의 부착력을 크게 높여 자연 친화적이고 안정된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개설하거나 택지를 조성하는 등의 토목 공사를 하는 경우에 토양 절개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토양 절개면은 암반층 등으로 되어 있어 게릴라성 집중호우, 태풍에 의한 집중강우 등에 의해 산사태, 사면 붕괴의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홍수 등의 천재지변에 의한 옹벽의 붕괴지역 및 토목공사 등으로 인하여 지형이 인위적으로 변하는 절개면은 무단 방치하는 경우에는 절개면의 토양 등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우천이나 풍수로 인하여 토사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지반이 붕괴 되어 많은 피해를 입게 되며 심지어는 인명피해도 발생되므로 이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절개지의 토사 유출을 방지시키기 위해 절개면에 일정한 두께의 토양층을 포설하여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절개면 녹화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토양 절개면에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기 위해 식물의 원활한 발아 및 생육이 가능한 녹생토 조성물을 토양 절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녹생토를 구성하는 조성물은 식물의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톱밥, 제지 슬러지, 축산 폐기물, 음식 폐기물을 발효시킨 각종 발효물과 토분, 미생물, 토양 안정제 등을 혼합하여 겔 상으로 된 녹생토를 만든다음 이를 절개면에 분무하여 녹생토를 시공하고 있다.
이렇게 겔 상으로 만들어져서 물성이 약한 녹생토를 토양 절개면에 분무하는 경우에 암반 등으로 이루어진 절개면에서 쉽게 흘러내리고 부착성이 떨어지는 등 녹생토의 초기 안착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녹생토가 부착된 상태에서도 우천이나 폭풍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강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녹생토와 암반 등으로 된 절개면과의 결합력이 좋지 않기 때문에 토사유출이 심하고, 붕괴의 위험이 존재하는 등 사면 안정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허공개문헌 0001) KR 제10-2010-0005495호 KR 제10-1018903호 KR 제10-1224632호 KR 제10-1273514호 KR 제10-1464370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토양 절개면 등에 일정크기로 절단하여서 된 볏짚 절단재와 황토를 배합하고 이를 물과 혼합하여서 된 반죽물로 기반층을 구축한 다음 이러한 기반층 위에 녹생토를 시공하는 수단으로 자연 친화적이고 녹생토의 안정화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반층에 볏짚과 황토를 배합하면서 석회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황토와 함께 배합되는 석회에 의해 기반층의 견고성과 접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된 상태의 볏짚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볏짚 절단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볏짚 절단재와 미세 입자로 된 황토를 배합하고 이를 물과 혼합하여 혼합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혼합 반죽물을 절개면에 부착하여 기반층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기반층에 녹생토를 분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볏짚 절단재는 볏짚을 3 내지 6mm의 크기로 절단하여 볏짚 절단재와 미세 입자로 된 황토를 배합하고 이를 물과 혼합하여 만든 혼합 반죽물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 반죽물은 전체 체적에 대하여 볏짚 30 내지 60%, 황토는 40 내지 70%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혼합 반죽물은 전체 체적에 대하여 볏짚 30 내지 60%, 황토 30 내지 60%, 석회 10 내지 20%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녹생토를 시공하기 위한 절개면에 볏짚과 황토가 배합된 혼합 반죽물로 이루어진 기반층을 구축함으로써 높은 강도와 충분한 인장력을 가지면서 보습, 통기성으로 녹생토의 식생환경이 좋아지게 되고, 기반층에 과도하게 물이 스며드는 경우에도 볏짚을 따라 물이 배수되어 붕괴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시킨 다음 물성이 약한 녹생토를 견고하게 부착 시공할 수 있도록 하므로 자연 친화적이면서 녹생토의 시공환경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기반층을 구성하는 볏집 절단재의 끝단부에 생성되는 요철 부분에 의해 절개면과의 접착력을 높여되고, 기반층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 부분 및 다공 부분으로 기반층에 시공되는 녹생토가 쉽게 흘러내리지 않고 지지되게 하므로 물성이 약한 녹생토의 부착력을 크게 높여 안정된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반층에 포함되는 황토 및 석회는 절개면을 중화시켜 주게 되므로 녹생토에서 식생되는 식물뿌리의 천이 및 식물 뿌리의 활착이 용이하면서 식물생장에 좋은 식물생장에 좋은 식생기반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녹생토가 절개면에 부착된 기반층에 시공된 것을 나타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녹생토(10)는 표토가 없거나 식물 생육에 부적합한 급경사의 암반지나 척박지 등의 절개면(20)을 보호하기 위해 시공되는 것으로서, 다량의 유기물과 건조시 토양수분을 확보할 수 있는 비료성분이 함유된 토양을 절개면에 분무하여 식물이 생육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여 지속적으로 안정된 식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녹화공법에 해당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절개면(20)에 시공되는 녹생토(10)의 시공이 용이하면서 시공 안정화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물성이 약한 녹생토(10)의 부착력을 크게 높이며, 우수한 통기성과 배수성으로 식물이 생장하는 식생환경이 크게 개선되고 자연 친화적으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층(30)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볏짚과 미세 입자로 된 황토를 구비한 다음 볏짚을 일정길이로 절단한 볏짚 절단재(32)와 미세 입자로 된 황토(34)를 배합하고, 이렇게 볏짚 절단재(32)와 황토(34)가 배합된 상태에서 물과 혼합하여 혼합 반죽물을 만들게 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만들어진 혼합 반죽물을 절개면(20)의 표면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기반층(30)을 구축한 다음 절개면(20)에 부착된 기반층(30) 위에 녹생토를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볏집과 미세 입자로 된 황토를 각각 구비한 다음 건조된 상태의 볏짚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볏짚 절단재를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볏짚 절단재와 미세 입자로 된 황토를 배합하고 이를 물과 혼합하여 혼합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S2); 상기 혼합 반죽물을 절개면에 부착하여 기반층을 구축하는 단계(S3); 상기 기반층에 녹생토를 분무하는 단계(S4);로 녹생토 시공을 완료한다.
상기 볏짚 절단재를 준비하는 단계(S1)에서는; 건조된 상태의 볏짚을 절단하되 볏짚의 절단 길이는 기반층(30)의 두께를 감안하여 그 길이를 설정하되 가장 바람직한 볏짚의 절단 길이는 3 내지 6mm의 크기로 절단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반층(30)에 포함되는 볏짚의 절단길이가 3mm 이하가 되면 볏짚 상호간의 응착력이 감소되어 강도저하를 초래할 수 있고, 볏짚의 절단길이가 6mm 이상이 되면 황토의 침투성이 용이하지 못하여 기반층(30)의 결합력이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본 발명의 기반층(30)에 적용되는 볏짚은 그 자체로서 내구성이나 강도에 매우 취약한 섬유조직을 갖고 있는 재료이지만 황토와 함께 결합되어 고형화 됨으로써 높은 강도를 발휘하게 되고, 각각의 볏짚이 서로 얽힌 상태로 황토와 결합되게 하므로 기반층(30)에 포함되는 황토의 인장력을 크게 강화하게 된다.
또, 볏짚은 다공조직으로서 경량성을 갖도록 하면서 기반층(30)의 보습 및 통기성을 좋게 하여 녹생토(10)의 식생환경을 크게 높여주게 되고, 폭우 등으로 인하여 기반층(30)에 많은 물이 스며들게 되는 경우에는 기반층(30)을 구성하는 볏짚을 따라 물이 흘러내리는 배수기능으로 물 빠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으로 기반층(30)이 급격하게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볏짚 절단재와 황토를 배합하여 혼합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S2)에서는; 상기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 볏짚 절단재와 미세 입자로 구비된 황토를 골고루 배합한 다음 이를 물과 혼합하여 혼합 반죽물을 만든다.
상기 혼합 반죽물에 포함되는 황토는 다공성과 결합성을 가지면서 강한 접착력을 갖도록 하는 황토의 특성을 수행하게 되며, 황토의 또 다른 특성으로는 물에 젖으면 수막현상으로 방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황토를 포함하는 기반층(30)이 무너지지 않고 안정된 구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혼합 반죽물에 포함되는 볏짚의 배합비는 볏짚의 함량이 높을 수록 황토의 함량은 낮아지면서 기반층(30)의 결합력은 떨어지는 반면에 통기성은 크게 높아지게 되며, 반대로 기반층(30)에 구성되는 볏짚의 함량을 낮추게 되면 상대적으로 황토의 함량이 증가됨으로써 기반층(30)의 결합력은 증가하고 통기성은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요소를 고려하였을 때 본 발명의 혼합 반죽물에 포함되는 볏짚은 전체 체적에 대하여 30 내지 60% 범위로 사용하고, 황토는 40 내지 70%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기반층(30)에 함유되는 볏짚 및 황토의 함량은 상기 범위내에서 자유로이 조절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어 기반층을 구축하기 위한 절개면(20)에 요철부분이 많은 경우에는 볏짚의 함량을 다소 높게 배합하고, 기반층을 구축하기 위한 절개면(20)에 요철부분이 적은 경우에는 황토의 함량을 늘려 줌으로써 절개면(20)에 부착되어 구축이 되는 기반층(30)의 결합력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볏짚과 황토로 이루어진 기반층(30)에 석회를 더 포함한 혼합 반죽물로 기반층(30)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기반층(30)에 석회를 포함으로써 황토의 식생기반은 저하될 수 있지만, 석회에 의해 기반층(30)을 보다 단단하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접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만, 기반층(30)에 석회가 과다하게 포함되는 경우에 황토의 기능을 크게 저하시키게 되므로 본 발명의 기반층(30)에 포함되는 석회의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율은 기반층 구성부재의 전체 체적에 대하여 볏짚은 30 내지 60%, 황토는 30 내지 60%, 석회는 10 내지 20%로 배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기반층(30)에 포함되는 석회의 주성분은 탄산칼슘으로 물과 만나면 굳어지는 특성이 있고. 황토중의 Fe 철, Al 알루미늄, SiO2 규사 등과의 복합적반응인 포졸란 반응을 통하여 더욱 강하게 굳어지는 특성으로 기반층(30)의 견고성과 결합력을 높여주게 된다.
상기 혼합 반죽물을 절개면에 부착하여 기반층을 구축하는 단계(S3)에서는; 볏짚 절단재와 황토가 포함된 혼합 반죽물을 녹생토를 시공하기 위한 절개면(20)에 부착하는데, 이 때의 부착은 도 2의 원내 확대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건조된 볏짚 절단시에 발생한 볏짚의 요철부분이 기반층(30)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부착하고 이를 안정화시킨 기반층(30)을 구축한 다음 후 공정의 녹생토 시공을 진행한다.
상기 녹생토를 분무하는 단계(S4)에서는; 절개면(20)에 기반층(30)의 구축이 완료되면 다량의 유기물과 비료성분이 함유된 토양으로 이루어진 녹생토(10)를 기반층(30)의 표면에 분무하여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조성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암반지나 척박지 등으로 되어 있는 절개면(20)에 볏짚과 황토가 배합되고 이를 물로 혼합시킨 혼합 반죽물이 부착되는 구성으로 기반층(30)을 구축하게 되는바, 이러한 기반층(30)은 보다 높은 강도와 충분한 인장력을 가지면서 보습 및 통기성으로 녹생토의 식생환경이 좋아지게 되고, 기반층(30)에 과도하게 물이 스며드는 경우에는 볏짚을 따라 물이 흘러내리는 배수기능으로 기반층(30)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기반층(30)의 요철부 및 기공 부분 등에 의해 물성이 약한 녹생토(10)를 안정적으로 부착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기반층(30)에 포함되는 볏집 절단재의 끝단부에 생성되는 요철 부분에 의해 절개면과의 접착력을 높여주게 됨과 아울러 기반층(30)의 표면에 노출되는 볏짚 절단재의 요철 부분으로는 절개면(20)에 부착되는 녹생토(10)가 쉽게 흘러내리지 않고 견고한 지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볏짚 및 황토의 다공 부분으로 물성이 약한 녹생토 조성물이 스며들면서 일체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반층(30)의 표면에 시공되는 녹생토(10)의 부착력을 크게 높여 안정된 식물의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되며, 절개면(20)이 산성성분을 가진 경우에 절개면(20)을 따라 흐르게 되는 산성성분이 함유된 물은 기반층(30)에 포함되어 있는 황토 및 석회에 의해 산성성분을 중화시켜 주므로 녹생토(10)에서 식물뿌리의 천이 및 활착이 용이하면서 식물생장에 좋고 자연 친화적인 식생기반을 조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자연 친화적이고 안정된 식생공간을 갖도록 하는 녹생토의 시공방법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조된 상태의 볏짚을 절단기로 이용하여 5mm의 크기로 절단하여서 된 볏짚 절단재를 준비한다.
상기 볏짚 절단재와 미세 입자로 된 황토를 배합하고 이를 물과 혼합하여 혼합 반죽물을 만들되 상기 볏짚과 황토의 배합비율은 전체 체적비에 대하여 볏짚 40%, 황토 60%의 비율로 배합된 혼합 반죽물을 만든다.
상기 혼합 반죽물을 절개면에 볏짚과 황토가 배합된 혼합 반죽물을 3cm의 두께로 부착하여 기반층을 구축한다.
상기 기반층에 녹생토를 10cm의 두께로 이루어지도록 분무하는 수단으로 녹생토를 부착하여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녹생토 시공을 완료한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녹생토 시공이 이루어지되 혼합 반죽물은 전체 체적비에 대하여 볏짚 40%, 황토 50%, 석회 10%의 비율로 배합된 혼합 반죽물을 만든 다음 이러한 혼합 반죽물로 기반층을 구축하고 녹생토를 부착하여 녹생토 시공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녹생토
20 : 절개면
30 : 기반층
32 : 볏짚 절단재
34 : 황토

Claims (4)


  1. 건조된 상태의 볏짚을 3 내지 6mm의 크기로 절단하여 끝단부에 요철부분이 생성되는 볏짚 절단재를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볏짚 절단재에 미세 입자 황토, 물을 혼합하여 혼합반죽물을 만들되,
    상기 볏짚 절단재와 미세 입자로 된 황토를 먼저 골고루 배합한 다음 이를 물과 혼합하여 혼합 반죽물을 만들며, 상기 혼합 반죽물은 전체 체적에 대하여 볏짚 30 내지 60%, 황토는 40 내지 70%로 배합하는 단계(S2);
    상기 혼합 반죽물을 이용하여 기반층을 구축하되, 혼합 반죽물은 기반층의 표면에 볏짚 절단재의 요철부분이 노출되도록 부착하여 기반층을 구축하는 단계(S3);
    상기 기반층에 녹생토를 분무하는 단계(S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17227A 2019-02-14 2019-02-14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 KR102028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227A KR102028855B1 (ko) 2019-02-14 2019-02-14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227A KR102028855B1 (ko) 2019-02-14 2019-02-14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855B1 true KR102028855B1 (ko) 2019-10-04

Family

ID=6820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227A KR102028855B1 (ko) 2019-02-14 2019-02-14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85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495A (ko) 2008-07-07 2010-01-15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법면 녹화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 녹화공법
KR100983453B1 (ko) * 2009-10-01 2010-09-20 윤정배 지속적인 영양 공급을 위한 사면의 녹화 공법
KR101018903B1 (ko) 2010-07-16 2011-03-02 재 술 나 사면의 토사 흐름 방지 및 녹화를 위한 안정화 조립체
KR101201999B1 (ko) * 2012-04-19 2012-11-15 이정희 법면 녹화용 토종 기반토
KR101224632B1 (ko) 2012-09-05 2013-01-24 김점식 친환경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73514B1 (ko) 2012-09-25 2013-06-17 안상은 암비탈면의 녹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64370B1 (ko) 2014-03-13 2014-11-25 유충선 녹생토 흘러내림 방지용 거치대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495A (ko) 2008-07-07 2010-01-15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법면 녹화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법면 녹화공법
KR100983453B1 (ko) * 2009-10-01 2010-09-20 윤정배 지속적인 영양 공급을 위한 사면의 녹화 공법
KR101018903B1 (ko) 2010-07-16 2011-03-02 재 술 나 사면의 토사 흐름 방지 및 녹화를 위한 안정화 조립체
KR101201999B1 (ko) * 2012-04-19 2012-11-15 이정희 법면 녹화용 토종 기반토
KR101224632B1 (ko) 2012-09-05 2013-01-24 김점식 친환경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73514B1 (ko) 2012-09-25 2013-06-17 안상은 암비탈면의 녹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64370B1 (ko) 2014-03-13 2014-11-25 유충선 녹생토 흘러내림 방지용 거치대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4012286C2 (de) Verfahren zur ingenieurbiologischen Sicherung und Begrünung, insbesondere von Böschungen und Hängen, im Garten-, Landschafts- und Sportplatzbau und zur Dachbegrünung
JP2009033985A (ja) 植物栽培用培地
KR102028855B1 (ko) 자연 친화적인 녹생토의 시공방법
JP2987568B2 (ja) 乾燥地または沙漠地における緑化方法
AU688078B2 (en) Pourable vegetation soil substrate,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 use thereof
JP2002013146A (ja) 法面安定化工法
CN105830738A (zh) 适用于地下车库顶板绿化种植的种植土层和地基
KR101203934B1 (ko) 사면 녹화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22632A (ko) 수목의 뿌리 돌출 방지를 위한 식재용 조성물
KR101201999B1 (ko) 법면 녹화용 토종 기반토
JP3780266B2 (ja) 雑草抑制構造と雑草抑制透水施工方法
JP2008271857A (ja) 天然芝植生構造
JP3939305B2 (ja) 斜面緑化工法
KR100471670B1 (ko) 식생기반이 구비된 호안블록
JP2005054477A (ja) 埋設固化層緑化工法
CN206928404U (zh) 一种高透水耐冲击的生态排水沟
CN107129181A (zh) 净化水质的透水混凝土专用添加剂
KR102061844B1 (ko) 법면녹화토 및 그 제조방법
JP3107526U (ja) 緑化基盤
JPH0880123A (ja) 土壌改良方法および改良土
JP2010166908A (ja) 植物育成基盤材、植物育成基盤土壌及び多層式培養土
JP2002345327A (ja) 固化性植生培土及び植生方法
JP4192270B2 (ja) 緑化構造並びに緑化施工方法
JP2003125644A (ja) 表面緑化パネル
KR20000014509A (ko) 식물의 생육이 가능한 보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