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766B1 - 차량 탁송 안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탁송 안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766B1
KR102027766B1 KR1020170167466A KR20170167466A KR102027766B1 KR 102027766 B1 KR102027766 B1 KR 102027766B1 KR 1020170167466 A KR1020170167466 A KR 1020170167466A KR 20170167466 A KR20170167466 A KR 20170167466A KR 102027766 B1 KR102027766 B1 KR 102027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rminal
information
destination
cons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7488A (ko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이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주 filed Critical 이승주
Priority to KR1020170167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7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06K2209/1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방법은 차량의 출발지 및 제1 도착지가 포함된 차량 정보를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를 복수의 제2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2 단계; 복수의 제2 단말기 중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탁송 승락을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탁송 승락이 승인되면,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 상기 차량 정보를 송신하는 제4 단계;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출발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상기 차량의 출발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제5 단계;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출발 시각 정보, 상기 출발지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 도착지의 도착 예상 시각을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탁송 안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CAR CONSIGNMENT}
본 발명은 현재 위치의 차량을 차주가 요청한 도착지까지 탁송하는 과정을 안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차량을 구매한 경우, 차량 입고지로부터 차주가 원하는 도착지까지 탁송자가 차량을 대신 운전해오는 탁송이 이루어진다.
또는, 공항에서 비행기 탑승을 기다리는 차주가 공항에 주차된 자신의 차량을 자신의 집까지 대신 탁송하기를 희망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탁송 과정은 차주를 옆에 태우고 대리 기사가 차량을 운행하는 대리 운전 시스템과 다른 양상을 갖는다. 왜냐하면, 각종 변수 상황을 실시간으로 문의할 차주가 옆에 없는 상태에서 탁송자가 홀로 차량을 운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각종 변수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차주가 안심하고 차량의 탁송을 의뢰하고,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차량을 홀로 운행하는 탁송자의 혼란을 방지하는 안내 시스템의 제공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39340호에는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리 운전 시스템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해당 기술에는 대리 기사가 차주의 현재 위치까지 이동하는 상황에 대한 안내 기술만 나타나고 있다. 왜냐하면, 차주와 만난 상황 이후에 대리 기사는 차주와 함께 차량에 동승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하게 되므로, 운행 과정에서 예상되는 각종 상황에 대한 안내가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139340호
본 발명은 차주의 탑승없이 차량이 탁송되는 과정을 안내하는 차량 탁송 안내 장치 및 차량 탁송 안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방법은 차량의 출발지 및 제1 도착지가 포함된 차량 정보를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를 복수의 제2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2 단계; 복수의 제2 단말기 중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탁송 승락을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탁송 승락이 승인되면,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 상기 차량 정보를 송신하는 제4 단계;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출발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상기 차량의 출발 시각 정보를 수신하는 제5 단계;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출발 시각 정보, 상기 출발지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 도착지의 도착 예상 시각을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장치는 제1 단말기를 통해 상기 차량의 출발지 및 제1 도착지가 포함된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를 복수의 제2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장치는 복수의 제2 단말기 중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탁송 승락을 수신하고, 상기 탁송 승락이 승인되면,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 상기 차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장치는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출발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상기 차량의 출발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출발 시각 정보, 상기 출발지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 도착지의 도착 예상 시각을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장치는 상기 차량의 탁송 중에 상기 특정 제2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도착 예상 시각 정보를 제1 설정 시간마다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도착 예상 시각이 초기값보다 제2 설정 시간 이상 지연되면,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탁송 중인 상기 차량의 지연 상황 설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지연 상황의 원인이 되는 교통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도착 예상 시각이 초기값보다 제3 설정 시간 이상 지연되거나, 상기 초기값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상기 차량이 제1 도착지에 도착하지 못하면, 도착지 변경을 문의하는 문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장치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도착지 변경이 요청되면,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제2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도착지를 기초로 새로운 도착 예정 시간과 변경된 탁송 요금을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도착지 변경이 승인되면, 상기 제2 도착지 정보를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네비게이션에 상기 제2 도착지 정보를 반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장치는 상기 제1 도착지 또는 상기 제2 도착지에 상기 차량이 도착하면,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도착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장치 및 방법은 차주의 동승없이 탁송자가 도착지까지 차량을 차주 대신 운행하는 탁송 과정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단말기로부터 서버로 전송된 차량 정보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사이에서 빈번하게 오고갈 수 있다.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사이에서 빈번하게 오고가는 차량 정보를 통해, 탁송자와 탁송 의뢰 차량 간의 매칭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심지어 차주가 자리를 떠난 후에 탁송자가 차량에 도착한 상황에서도 엉뚱하게 다른 차량이 탁송될 우려가 적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출발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번호판의 차량 번호와 제1 단말기를 통해 획득된 차량 정보의 차량 번호 간의 비교 결과가 제2 단말기로 전송되므로, 탁송자가 다른 차량을 탁송할 염려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주의 제1 단말기로 차량 정보, 출발 시각 정보, 도착 예상 시각이 주기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시스템에 따르면, 차량의 탁송 도중에 발생되는 각종 돌발 상황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차주가 동승하지 않고 탁송자가 홀로 차량을 운행하는 탁송 시스템의 경우 각종 돌발 상황에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도로 공사 등으로 인해 기설정된 제1 도착지로 진입이 불가능하거나, 교통 체증으로 인해 예상 시간 내에 제1 도착지 도착이 불가능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차주가 동승한 대리 운전 시스템의 경우 대리 기사는 동승한 차주에게 대응 방안을 직접 문의하고 차주의 요구대로 차량을 운행하면 된다.
그러나, 차주가 동승하지 않는 탁송 시스템의 경우,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 방안을 차주에게 문의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교통 상황 등으로 인해 차주의 요청 시간 내에 제1 도착지에 차량이 도착하지 못하면, 자동으로 현재의 상황을 차주에게 안내하고 도착지의 변경을 유도할 수 있다.
제1 단말기를 통해 도착지의 변경을 유도받은 차주가 새로운 제2 도착지를 결정하면, 변경된 제2 도착지는 제2 단말기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단말기를 사용하는 탁송자는 제1 도착지 대신 제2 도착지로 차량을 탁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르면, 출발지에서 촬영한 차량의 외관 사진과 도착지에서 촬영한 차량의 외관 사진 간의 비교 결과가 제1 단말기로 전달될 수 있다. 차주는 둘 간의 비교 결과를 통해 탁송 중 차량에 발생된 이상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차량 탁송 안내 장치는 차량 탁송을 안내하는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에는 수신부, 송신부, 처리부, 저장부가 마련될 수 있다.
수신부와 송신부는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20)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는 차량(90)의 차주(10)가 소유한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에는 서버(130)에서 배포한 차량 탁송 차주용 앱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단말기(120)는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차량을 탁송, 다시 말해 차주(10)를 대신해서 차량(90)을 운전하는 탁송자(20)의 휴대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기(120)에는 서버(130)에서 배포한 차량 탁송 탁송자용 앱이 설치될 수 있다. 탁송자용 앱은 차주용 앱과 겸용일 수 있다.
차주용 앱 및 탁송자용 앱은 서버(130)를 통해 사전에 각 단말기(110, 120)에 배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장치 및 차량 탁송 안내 방법에 따르면, 차주가 차량에 탑승하지 않는 상태에서, 탁송자에 의한 차량의 탁송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탁송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차량의 탁송은 차주가 요청한 현재 위치의 차량을 특정 도착지까지 운행하고 특정 도착지에 주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탁송자에 의한 차량의 탁송 과정은 차주가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부는 제1 단말기(110)를 통해 차량의 현재 차량 위치에 해당하는 출발지 정보 및 제1 도착지 정보가 포함된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 정보에는 차량 번호, 차량 사진, 제1 도착지에 차량이 도착하기를 희망하는 도착 요청 시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부로 수신된 차량 사진은 제1 단말기(110)의 촬영 모듈을 통해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차주용 앱을 통해 제1 단말기(110)에는 각종 차량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메뉴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 메뉴를 통해 입력된 차량 정보는 서버(130)의 수신부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송신부는 제1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를 복수의 제2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를 통해 복수의 제2 단말기(120)에는 해당 차주의 차량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차량 정보를 확인한 복수의 탁송자 중 특정 탁송자가 탁송자용 앱을 통해 해당 차량의 탁송을 승락하면, 제2 단말기(120) 중 특정 제2 단말기(120)로부터 차량의 탁송 승락이 수신부로 수신될 수 있다. 특정 탁송자 및 특정 제2 단말기(120)가 복수인 경우, 수신부는 가장 먼저 수신된 특정 제2 단말기(120)의 탁송 승락을 승인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수신부는 설정 시간 내에 수신된 복수의 탁송 승락에 동일한 순위를 부여하고, 동일한 순위가 부여된 복수의 탁송 승락 제2 단말기(120) 중 차량의 현재 위치에 가장 가까운 제2 단말기(120)의 탁송 승락을 승인할 수 있다.
송신부는 탁송 승락이 승인되면, 승인된 특정 제2 단말기(120)로 차량 정보를 재전송할 수 있다. 차량 전송의 재전송을 통해 탁송자는 자신이 승인받은 사실 및 탁송 대상 차량을 재차 확인할 수 있다.
승인받은 특정 제2 단말기(120)의 탁송자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탁송은 차주가 자리를 비운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차량이 주차된 현장에 탁송자가 도착했을 때, 차주는 주변에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탁송자는 스스로 알아서 탁송 대상 차량을 찾은 후 탁송을 실시해야 한다. 설사, 차주가 해당 위치에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차주가 없는 상황과 동일한 절차가 진행되는 것이 좋다.
현장에 도착한 탁송자는 특정 제2 단말기(120)를 이용해서 차량의 외관 사진, 차량의 출발 시각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 과정에서 특정 제2 단말기(120)는 수신부로 차량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수신부는 특정 제2 단말기(120)로부터 차량 정보, 출발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차량의 출발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는 제2 단말기(120)로부터 출발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번호판 사진을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처리부는 차량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와 번호판 사진에 포함된 차량 번호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를 특정 제2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비교 결과는 제2 단말기(120)를 통해 표시되며, 탁송자는 제2 단말기(120)에 표시된 비교 결과를 통해 탁송 대상으로 인지한 차량이 차주가 요청한 차량과 동일한지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처리부는 차량의 출발지(차량의 현재 위치)와 제1 도착지 사이의 교통 정보를 분석해서, 해당 차량이 제1 도착지에 도착하는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송신부는 차량 정보, 출발 시각 정보, 출발지를 기준으로 하는 제1 도착지의 도착 예상 시간을 제1 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에 따르면, 탁송자가 선별되고, 차량의 현재 위치(출발지)에 도착한 탁송자가 탁송할 차량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며, 차주에게 도착 예상 시각이 안내될 수 있다.
이후, 차주의 동승없이 탁송자에 의한 차량의 운행이 개시될 수 있다.
송신부는 차량의 탁송 중에 특정 제2 단말기(120)의 위치 정보와, 차량의 운행에 따라 변화되는 도착 예상 시각 정보를 제1 설정 시간마다 제1 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차주는 주기적으로 차량의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도착지에 대한 차량의 도착 예상 시각이 설정값 이상 지연될 수 있다.
차주가 동승한 상태라면, 탁송자는 도착 예상 시각의 지연에 대한 대처 방안을 차주에게 직접 문의할 수 있다. 또는 동승한 차주가 탁송자에게 대처 방안을 문의하거나, 대처 방안을 알려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탁송 시스템에 따르면, 차량은 차주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탁송자에 운행되는 중이다. 따라서, 도착 예상 시각의 지연에 대한 대처 방안을 실시간으로 차주에게 문의하기 어렵다.
도착 예상 시각이 초기값보다 제2 설정 시간 이상 지연되면, 수신부는 제1 단말기(110)로부터 탁송 중인 차량의 지연 상황 설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처리부는 차량의 지연 상황의 원인이 되는 교통 정보를 탐색 수집한 후, 송신부를 통해 해당 교통 정보를 제1 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착지로 진입로의 공사로 인해 사실상 제1 도착지의 도달이 불가능할 수 있다. 공사로 인해 도착 예상 시각이 제2 설정 시간 이상 지연되면, 차주는 제1 단말기(110)를 통해 도착 지연의 이유를 문의하는 지연 상황 설명 요청을 서버(130)로 송신할 수 있다.
지연 상황 설명 요청을 수신한 처리부는 현재 제2 단말기(120) 위치를 이용해서 근처의 교통 정보를 수집하여, 제1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처리부는 도착 예상 시각이 초기값보다 제3 설정 시간 이상 지연되거나, 초기값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제1 도착지에 도착하지 못하면, 도착지 변경을 문의하는 문의 정보를 송신부를 통해 제1 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
문의 정보를 확인한 차주는 제1 단말기(110)를 통해 도착지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도착지 변경이 요청되면, 수신부는 제1 단말기(110)로부터 변경된 제2 도착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처리부는 제2 도착지를 기초로 새로운 도착 예정 시간과 변경된 탁송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송신부는 새로운 도착 예정 시간과 변경된 탁송 요금을 제1 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로부터 도착지 변경이 승인되면, 송신부는 제2 도착지 정보를 특정 제2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는 제2 단말기(120)의 네비게이션에 제2 도착지 정보를 반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입력없이 제2 도착지 정보가 자동으로 네비게이션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도착지 또는 제2 도착지에 차량이 도착하면, 수신부는 특정 제2 단말기(120)로부터 도착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부는 차량 정보와 함께, 제2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제1 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를 통해 차량 정보, 차량 번호,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확인한 차주에 의해 탁송 완료가 승인되면, 해당 승인 정보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고, 송신부는 승인 정보를 탁송자의 특정 제2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승인 정보의 송신이 완료되면, 처리부는 해당 차량에 대한 탁송 모니터링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차주가 요청하는 경우, 탁송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차주용 앱, 탁송자용 앱 및 사용 방법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 탁송 안내 방법은 서버(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차량 탁송을 희망하는 차주가 차주용 앱이 설치된 제1 단말기(110)를 통해 서버(130)에 차량의 탁송을 의뢰할 수 있다. 이때의 차량 탁송은 차주가 동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단말기(110)에서 차량 탁송 차주용 앱이 구동되면, 차량 번호, 차량 사진, 현재 차량 위치 정보, 목적지(제1 도착지) 주차장 정보, 도착 요청 시간 등의 차량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제1 단말기(110)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의 입력창을 통해 탁송을 희망하는 차량 정보가 입력되면, 제1 단말기(110)는 해당 차량 정보를 서버(13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단계로, 서버(130)는 차량의 출발지 및 제1 도착지가 포함된 차량 정보를 제1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 501). 해당 차량 정보에는 차량 번호, 차량 사진, 현재 차량 위치 정보(출발지에 해당), 제1 도착지 정보, 도착 요청 시각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을 탁송할 수 있는 복수의 탁송자가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탁송자에게 차량 정보를 알려주어 탁송을 의뢰받고자 하는 탁송자를 선별할 필요가 있다.
제2 단계로, 서버(130)는 제1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를 복수의 제2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S 502). 제2 단계의 실행에 의해 복수의 제2 단말기(120)에 차량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제2 단말기(120)를 통해 차량 정보를 확인한 복수의 탁송자 중 적어도 일부가 차량 탁송을 의뢰받고자 할 수 있다. 탁송 의뢰를 받고자 하는 탁송자는 차량 탁송 탁송자용 앱이 설치된 제2 단말기(120)를 통해 탁송 의뢰를 승락할 수 있다.
제3 단계로, 서버(130)는 복수의 제2 단말기(120) 중 특정 제2 단말기(120)로부터 차량의 탁송 승락을 수신할 수 있다(S 503).
서버(130)는 탁송 승락한 제2 단말기(120)가 복수인 경우, 현재 차량과 각 단말기 간의 거리 등을 고려해서 하나의 특정 제2 단말기(120)의 탁송 승락만을 승인할 수 있다.
제4 단계로, 탁송 승락이 승인되면, 서버(130)는 특정 제2 단말기(120)로 차량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 504).
제2 단말기(120)의 탁송자는 차량 정보의 재수신을 통해 자신의 탁송 승락이 승인된 사실을 확인하고, 차량 정보에 포함된 출발지(차량의 현재 위치)를 참조해서 차량에 도달할 수 있다.
차량에 도달한 탁송자는 차량의 외관 사진을 촬영하고, 차량의 출발 시각 정보 및 외관 사진을 특정 제2 단말기(120)의 탁송자용 앱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탁송자용 앱을 통해 입력된 외관 사진 및 출발 시각 정보는 제2 단말기(120)에 기수신된 차량 정보와 함께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제5 단계로, 서버(130)는 특정 제2 단말기(120)로부터 차량 정보, 출발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차량의 출발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 505).
제5 단계는 제2 단말기(120)로부터 출발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번호판 사진을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와 상기 번호판 사진에 포함된 차량 번호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를 상기 특정 제2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S 537).
특정 제2 단말기(120)를 통해 비교 결과를 확인한 탁송자는 자신이 탁송을 의뢰받은 차량과 현장의 차량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실하게 체크할 수 있다.
서버(130)의 저장부는 제2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 출발 시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6 단계로, 서버(130)는 출발지를 기준으로 하는 제1 도착지의 도착 예상 시각, 제2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 출발 시각 정보를 제1 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S 506).
제6단계 후에 제7 단계로, 서버(130)는 차량의 탁송 중에 특정 제2 단말기(120)의 위치 정보와 차량의 운행에 따라 새롭게 갱신되는 도착 예상 시각 정보를 제1 설정 시간, 예를 들어 10분마다 제1 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 차량의 탁송 중 제2 단말기(120)의 위치 정보는 탁송자의 위치 및 탁송자가 운전하는 탁송 의뢰 차량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S 507).
제7 단계 후에 제8 단계로, 도착 예상 시각이 초기값(제6 단계에서 출발지를 기준으로 산정된 도착 예상 시각)보다 제2 설정 시간, 예를 들어 30분 이상 지연되면, 서버(130)는 제1 단말기(110)로부터 탁송 중인 상기 차량의 지연 상황 설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 508).
지연 상황 설명 요청은 차주가 탁송자에게 문의하는 것으로, 차량 운전 중인 차주의 집중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서버(130)가 탁송자를 대신해서 지연 상황을 차주에게 설명할 수 있다.
제9 단계로, 서버(130)는 차량의 지연 상황의 원인이 되는 교통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교통 정보를 제1 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S 509).
제10 단계로, 서버(130)는 도착 예상 시각이 초기값보다 제3 설정 시간, 예를 들어 60분 이상 지연되거나, 초기값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제1 도착지에 도착하지 못하면, 도착지 변경을 문의하는 문의 정보를 제1 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S 510).
제1 단말기(110)의 차주용 앱을 통해 문의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제1 도착지를 제2 도착지로 변경하면 제2 도착지의 변경 정보가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S 531).
제11 단계로, 제1 단말기(110)로부터 도착지 변경이 요청되면(S 531), 서버(130)는 제1 단말기(110)로부터 변경된 제2 도착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30)는 제2 도착지를 기초로 새로운 도착 예정 시간과 변경된 탁송 요금을 산출할 수 있다. 서버(130)는 새로운 도착 예정 시각과 탁송 요금을 제1 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S 511).
제12 단계로, 제1 단말기(110)로부터 도착지 변경이 승인되면(S 532), 서버(130)는 제2 도착지 정보를 특정 제2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130)는 제2 단말기(120)의 네비게이션에 제2 도착지 정보를 반영시킬 수 있다(S 512).
탁송자는 제2 단말기(120)의 네비게이션에 반영된 제2 도착지를 목표로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제1 도착지 또는 제2 도착지에 도착한 후, 탁송자는 도착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제2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8 단계 내지 제10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새롭게 갱신되는 도착 예상 시각을 제1 단말기를 통해 확인한 차주가 서버의 별도 문의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도착지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차주에 의해 도착지 변경이 제한없이 이루어지면, 차주의 상황을 알 수 없는 탁송자의 혼선이 가중될 수 있다.
탁송자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서버는 도착 예상 시각이 초기값보다 제3 설정 시간 이상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태에 한해서만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도착지 변경 요청을 허용하고, 제3 설정 시간 이전에 수신된 도착지 변경 요청은 무시할 수 있다.
서버는 도착 예상 시각이 초기값보다 제3 설정 시간 이상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태에서 제1 단말기로부터 도착지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제2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도착지를 기초로 새로운 도착 예정 시각과 변경된 탁송 요금을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11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제12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제12 단계 후에 제13 단계로, 제1 도착지 또는 제2 도착지에 차량이 도착하면, 서버(130)는 특정 제2 단말기(120)로부터 도착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 513).
제14 단계로, 서버(130)는 차량 정보와 함께, 제2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제1 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S 514).
서버(130)는 출발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및 도착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을 비교하고(S 535), 비교 결과를 제1 단말기(110)로 송신할 수 있다(S 514)
차주는 비교 결과의 확인을 통해 탁송 중 발생한 차량의 훼손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차량 정보와 함께, 서버(130)를 거쳐 제2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받은 제1 단말기(110)는 탁송 완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탁송 완료 메뉴의 선택으로 인해 탁송 완료 정보가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제14 단계 후에 제15 단계로, 차량 정보와 함께 제2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받은 제1 단말기(110)로부터 탁송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S 533), 서버(130)는 차량에 대한 탁송 모니터링을 완료할 수 있다(S 515).
서버(130)는 탁송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S 533), 제2 단말기(120)로 탁송 완료 사실을 송신할 수 있다(S 539).
서버(130)의 저장부는 제1 단말기(11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차량 정보, 출발지에서 제2 단말기(12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차량의 출발 시각 정보, 문의 정보, 도착지에서 제2 단말기(12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제2 단말기(120)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제4 설정 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다(S 515).
다음의 표 1은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를 나타낸다.
저장부에 저장되는 내용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출발지 정보, 제1 도착지 정보, 차량 번호, 차량 사진, 도착 요청 시각)
도 2의 S 501 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복수의 제2 단말기 중 차량의 탁송을 승락한 제2 단말기의 식별 코드
도 2의 S 503 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탁송 승락이 승인된 특정 제2 단말기의 식별 코드
도 2의 S 503 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 출발지에서 제2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차량의 번호판 사진, 차량의 출발 시각 정보
도 2의 S 505 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의 차량 번호,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차량 번호의 차량 번호,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번호판 사진의 분석을 통해 획득된 차량 번호 3개의 비교 결과
도 2의 S 505 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출발지를 기준으로 하는 제1 도착지의 도착 예상 시각
도 2의 S 505 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제1 설정 시간마다 파악된 제2 단말기의 위치 정보, 차량의 운행에 따라 새롭게 갱신되는 도착 예상 시각 정보
도 2의 S 505 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지연 상황 설명 요청,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도착지 변경 요청
도 2의 S 507 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지연 상황 설명 요청에 따라 파악한 교통 정보
도 2의 S 509 이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제1 단말기로 전송된 도착지 변경 문의 정보
도 2의 S 510 이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도착지 정보
도 2의 S 531 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제2 도착지를 기초로 산출된 새로운 도착 예정 시각과 탁송 요금
도 2의 S 511 이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도착지 변경 승인 정보
도 2의 S 532 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도착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
도 2의 S 513 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차량 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외관 사진, 출발지에서 촬영된 차량이 외관 사진 및 도착지에서 촬영된 차량의 외관 사진 3개의 비교 결과
도 2의 S 513 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탁송 완료 정보
도 2의 S 533 후에 저장부에 저장 가능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탁송시, 탁송 전후의 차량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 위치, 시간 정보가 서버(130)에 저장되므로, 서버에 저장된 각종 외관 사진 등의 자료를 이용해서 차주와 탁송자 간에 발생될 수 있는 각종 분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차주 20...탁송자
90...차량 110...제1 단말기
120...제2 단말기 130...서버

Claims (10)

  1.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차량의 출발지 및 제1 도착지가 포함된 차량 정보를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를 복수의 제2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2 단계;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복수의 제2 단말기 중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탁송 승락을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탁송 승락이 승인되면,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 상기 차량 정보를 송신하는 제4 단계;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출발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상기 차량의 출발 시각 정보를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수신하는 제5 단계;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출발지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 도착지의 도착 예상 시각,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출발 시각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6 단계;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탁송 중에 상기 특정 제2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새롭게 갱신되는 도착 예상 시각 정보를 제1 설정 시간마다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7 단계;
    상기 도착 예상 시각이 초기값보다 제3 설정 시간 이상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도착지 변경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제2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도착지를 기초로 새로운 도착 예정 시각과 변경된 탁송 요금을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11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도착지 변경이 승인되면,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제2 도착지 정보를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네비게이션에 상기 제2 도착지 정보를 반영시키는 제12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탁송 안내 방법.
  2. 삭제
  3.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차량의 출발지 및 제1 도착지가 포함된 차량 정보를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를 복수의 제2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2 단계;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복수의 제2 단말기 중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탁송 승락을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탁송 승락이 승인되면,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 상기 차량 정보를 송신하는 제4 단계;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출발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상기 차량의 출발 시각 정보를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수신하는 제5 단계;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출발지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 도착지의 도착 예상 시각,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출발 시각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6 단계;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탁송 중에 상기 특정 제2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새롭게 갱신되는 도착 예상 시각 정보를 제1 설정 시간마다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7 단계;
    상기 도착 예상 시각이 초기값보다 제2 설정 시간 이상 지연되면,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탁송 중인 상기 차량의 지연 상황 설명 요청을 수신하는 제8 단계;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차량의 지연 상황의 원인이 되는 교통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9 단계;
    상기 도착 예상 시각이 초기값보다 제3 설정 시간 이상 지연되거나, 상기 초기값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상기 차량이 제1 도착지에 도착하지 못하면,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도착지 변경을 문의하는 문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10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도착지 변경이 요청되면,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제2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도착지를 기초로 새로운 도착 예정 시각과 변경된 탁송 요금을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11 단계;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도착지 변경이 승인되면,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제2 도착지 정보를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네비게이션에 상기 제2 도착지 정보를 반영시키는 제12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탁송 안내 방법.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단계 후에,
    상기 제1 도착지 또는 상기 제2 도착지에 상기 차량이 도착하면,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도착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수신하는 제13 단계;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차량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14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탁송 안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4 단계 후에,
    상기 차량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받은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탁송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탁송 모니터링을 완료하고,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출발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상기 차량의 출발 시각 정보, 상기 문의 정보, 도착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제4 설정 시간 동안 저장하는 차량 탁송 안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4 단계는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출발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및 도착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차량 탁송 안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차량의 차주가 소유한 휴대 단말기이고,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는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상기 차량을 탁송하는 탁송자의 휴대 단말기이며,
    상기 탁송자에 의한 상기 차량의 탁송 과정은 상기 차주가 상기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차량 탁송 안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차량 탁송 안내 장치에서,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출발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번호판 사진을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정보에 포함된 차량 번호와 상기 번호판 사진에 포함된 차량 번호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를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 송신하는 차량 탁송 안내 방법.
  10. 제1 단말기를 통해 차량의 출발지 및 제1 도착지가 포함된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를 복수의 제2 단말기로 송신하며,
    복수의 제2 단말기 중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의 탁송 승락을 수신하고,
    상기 탁송 승락이 승인되면,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 상기 차량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출발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상기 차량의 출발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출발 시각 정보, 상기 출발지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제1 도착지의 도착 예상 시각을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차량의 탁송 중에 상기 특정 제2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차량의 운행 중에 변화되는 상기 도착 예상 시각 정보를 제1 설정 시간마다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도착 예상 시각이 초기값보다 제2 설정 시간 이상 지연되면,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탁송 중인 상기 차량의 지연 상황 설명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차량의 지연 상황의 원인이 되는 교통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도착 예상 시각이 초기값보다 제3 설정 시간 이상 지연되거나, 상기 초기값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상기 차량이 제1 도착지에 도착하지 못하면, 도착지 변경을 문의하는 문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도착지 변경이 요청되면,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변경된 제2 도착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도착지를 기초로 새로운 도착 예정 시각과 변경된 탁송 요금을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도착지 변경이 승인되면, 상기 제2 도착지 정보를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네비게이션에 상기 제2 도착지 정보를 반영시키며,
    상기 제1 도착지 또는 상기 제2 도착지에 상기 차량이 도착하면, 상기 특정 제2 단말기로부터 도착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 도착지에서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관 사진, 도착지 정보, 도착 시각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 차량 탁송 안내 장치.
KR1020170167466A 2017-12-07 2017-12-07 차량 탁송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02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466A KR102027766B1 (ko) 2017-12-07 2017-12-07 차량 탁송 안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466A KR102027766B1 (ko) 2017-12-07 2017-12-07 차량 탁송 안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488A KR20190067488A (ko) 2019-06-17
KR102027766B1 true KR102027766B1 (ko) 2019-10-02

Family

ID=6706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466A KR102027766B1 (ko) 2017-12-07 2017-12-07 차량 탁송 안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7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661A (ko) 2021-10-28 2023-05-08 오픈마일 주식회사 주문정보의 누락 방지를 위한 다중 백업 수단이 구비된 탁송 시스템
KR20230060654A (ko) 2021-10-28 2023-05-08 오픈마일 주식회사 지연탁송에 따른 보상포인트가 지급되는 탁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5195A (ko) 2022-03-15 2023-09-25 차란차 주식회사 차량 탁송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988B1 (ko) * 2020-04-06 2021-09-09 이지섭 발렛파킹 서비스 제공방법
WO2022050504A1 (ko) * 2020-09-02 2022-03-10 디우스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340B1 (ko) * 2010-09-06 2012-04-26 원영주 스마트폰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KR20150087456A (ko) * 2014-01-20 2015-07-30 정종기 운전 대행 서비스 제공자 대상의 보험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20170122927A (ko) *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 한국이쓰리시험연구소 물품 배송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661A (ko) 2021-10-28 2023-05-08 오픈마일 주식회사 주문정보의 누락 방지를 위한 다중 백업 수단이 구비된 탁송 시스템
KR20230060654A (ko) 2021-10-28 2023-05-08 오픈마일 주식회사 지연탁송에 따른 보상포인트가 지급되는 탁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5195A (ko) 2022-03-15 2023-09-25 차란차 주식회사 차량 탁송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04985B1 (ko) * 2022-03-15 2023-11-24 차란차 주식회사 차량 탁송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488A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766B1 (ko) 차량 탁송 안내 장치 및 방법
US20220017046A1 (en) Vehicle dispatch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dispatch management server
US11954625B2 (en) Vehicle dispatch system, vehicle dispatch method, server, user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105518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parking area
US20190012625A1 (en) Autonomous vehicle/drive-through synchronization system and synchronization method
CN108027615B (zh) 用于运行车辆的方法和设备
US9482761B2 (en) GPS gate system
US11468775B2 (en) Technique for communication between a parked vehicle bounding a parking space and a vehicle to be parked
US20200242521A1 (en) Vehicle allocation system and vehicle allocation control server
US1001989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pickup position from multiple pickup positions for a vehicle incorporated by a parking facility
US20210019699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delivery with drop beacon
US11427317B2 (en) Vehicle having drone landing functionality
US20180240343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traveling driverlessly within a parking area
US20200363825A1 (en) Pickup system
JP2019121040A (ja) 駐車制御装置、車両制御装置および駐車制御方法
US20190318625A1 (en)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method
US20190027044A1 (en) Automated secured-area access system for an automated vehicle
CN111861301B (zh) 自动驾驶配送系统
US1051549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whether a motor vehicle is instantaneously driven manually or automatically
US20200324793A1 (en) Autonomous driving delivery system
CN113830104B (zh) 控制自动驾驶车辆的方法、装置、设备和自动驾驶车辆
KR102470255B1 (ko)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CN113720339A (zh) 一种自动代客泊车召唤车辆取消方法、电子设备及汽车
KR20150068680A (ko) 스마트 주차 안내 단말기 및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주차 안내 방법
US20200034942A1 (en) Vehicle dispatc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