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487B1 - Large scale apparatus for growing soil life - Google Patents

Large scale apparatus for growing soil lif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487B1
KR102027487B1 KR1020150044510A KR20150044510A KR102027487B1 KR 102027487 B1 KR102027487 B1 KR 102027487B1 KR 1020150044510 A KR1020150044510 A KR 1020150044510A KR 20150044510 A KR20150044510 A KR 20150044510A KR 102027487 B1 KR102027487 B1 KR 102027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facility
scale
soil organisms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6588A (en
Inventor
임운영
임영서
Original Assignee
임운영
임영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운영, 임영서 filed Critical 임운영
Priority to KR1020150044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487B1/en
Priority to CN201510463252.2A priority patent/CN105994164A/en
Publication of KR2016011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5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4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01K67/0332Earthw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렁이, 곤충류, 균류, 조류 등 토양에서 생장하는 토양생물을 집약적으로 생육하기 위한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에 관한 것이다.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은, 토양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생육칸을 갖고, 각각의 생육칸은, 경사지를 따라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의 내력벽; 상기 내력벽 사이에서 상기 경사지를 따라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생육상 지지벽; 상기 내력벽과 상기 생육상 지지벽 사이 그리고 상기 생육상 지지벽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경사지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생육상 지지대; 판형으로 되어 각각의 생육상 지지대 위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생육상; 상기 내력벽의 상부를 따라 설치되어 승강시설이 이동 가능하게 하는 주행용 형강; 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생장관리와 수확 등이 용이하면서 저렴한 건설 비용으로 토양생물을 대단위로 생육할 수 있는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for intensively growing soil organisms that grow in soil such as earthworms, insects, fungi, and algae. The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includes a plurality of growth compartments arranged continuously in a transverse direction to allow soil organisms to grow, each growth compartment comprising two bearing walls arranged along a slope and spaced laterally; A plurality of growth support walls installed along the slope between the bearing walls and spaced apart laterally; A plurality of growth support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bearing wall and the growth support wall and between the growth support walls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lope; A plate-like growth that is fixed and seated on each growth support; A driving section steel installed along an upper portion of the bearing wall to move a lifting facility; It includes.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that can easily grow, manage and harvest, and grow soil organisms in large scale at low construction costs.

Description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 {Large scale apparatus for growing soil life}Large scale apparatus for growing soil life

본 발명은 지렁이, 곤충류, 균류, 조류 등 토양에서 생장하는 토양생물을 집약적으로 생육하기 위한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for intensively growing soil organisms that grow in soil such as earthworms, insects, fungi, and algae.

토양생물은 토양 표면에 밀접하거나 토양 내부에서 생장하는 생물들로, 지렁이, 곤충류, 균류, 조류 등이 있다. 토양생물의 생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온도, 습도, 암흑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Soil organisms are organisms that grow close to or within the soil surface, including earthworms, insects, fungi, and algae. Proper temperature, humidity, and dark environment are important for the growth of soil organisms.

예를 들어, 지렁이는 땅 속에 구멍을 파면서 그 밑바닥의 흙을 삼켜 흙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이용한다. 따라서, 지렁이는 통기나 수분 흡수가 잘 되도록 흙을 일구어주므로 이들이 지나 다닌 토지에서는 식물이 잘 자라게 된다. Earthworms, for example, dig holes in the ground and swallow the soil at the bottom to us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soil as nutrients. Therefore, the earthworms make soil for good ventilation and moisture absorption, so that the plants grow well in the land where they pass.

한편, 지렁이의 배설물은 항문으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배설물에는 칼슘과 그 밖의 영양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식물이 생장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되는 기름진 흙이다. 지렁이는 물고기, 새, 두더지의 중요한 먹이가 되어 먹이사슬 유지에 기여하며, 낚시의 미끼로도 이용되어 환경과 사람에게 매우 유용하다. 또한, 지렁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해주어 환경오염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Earthworms, on the other hand, are excreted in the anus, which contains calcium and other nutrients, which are oily soils that are very helpful for plant growth. Earthworms are important food for fish, birds, and moles, contributing to the maintenance of the food chain, and are used as bait for fishing, which is very useful for the environment and people. Earthworms also help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by breaking down food waste.

이와 같이, 지렁이는 환경에 매우 유익한 토양생물이고 그 분변토는 좋은 천연비료가 될 수 있어 대량 생육을 통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In this way, earthworms are very beneficial soil organisms and their feces can be good natural fertilizers and generate profit through mass growth.

그러나, 지렁이의 대량 생육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생장 관리, 분변토 수집 등의 작업이 수월할 수 있도록 고도로 집약된 시설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in order to make a profit through the mass growth of the earthworm, it is desirable to perform the operation in a highly concentrated facility to facilitate the management of the growth, the collection of fecal soil, and the like.

좁은 공간에 많은 수의 지렁이를 생육할 수 있도록 위로 층층이 쌓이면서 아파트 형태로 구획된 시설이 필요하나, 층수가 높아질수록 하부에서 받는 하중이 증가되어 시설을 위한 건설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grow a large number of earthworms in a narrow space, it is necessary to have a facility partitioned in the form of an apartment while the floors are stacked up.

따라서, 저렴한 건설 비용으로 토양생물을 대단위로 생육할 수 있고, 생장 관리와 수확 등이 용이한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이 요구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ow soil organisms in large units at low construction costs, and there is a need for large-scale growth facilities of soil organisms that are easy to manage and harvest.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9-0050198호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5019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생장 관리와 수확 등이 용이하면서 저렴한 건설 비용으로 토양생물을 대단위로 생육할 수 있는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rge-scale growth facility for soil organisms capable of growing soil organisms in large units at low construction costs with easy growth management and harvesting.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은, 토양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생육칸을 갖고, 각각의 생육칸은, 경사지를 따라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의 내력벽; 상기 내력벽 사이에서 상기 경사지를 따라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생육상 지지벽; 상기 내력벽과 상기 생육상 지지벽 사이 그리고 상기 생육상 지지벽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경사지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생육상 지지대; 판형으로 되어 각각의 생육상 지지대 위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생육상; 상기 내력벽의 상부를 따라 설치되어 승강시설이 이동 가능하게 하는 주행용 형강; 을 포함한다.The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has a plurality of growth compartments arranged in success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soil organisms can grow, each growth compartment is a slope Two bearing walls which are installed along and spaced apart laterally; A plurality of growth support walls installed along the slope between the bearing walls and spaced apart laterally; A plurality of growth support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bearing wall and the growth support wall and between the growth support walls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lope; A plate-like growth that is fixed and seated on each growth support; A driving section steel installed along an upper portion of the bearing wall to move a lifting facility; It includes.

또한, 상기 생육칸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동시설이 상기 생육칸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 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ail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top or bottom end of the growth compartment to move the movement facility between the growth compartment; It includes more.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내력벽에 설치된 상기 주행용 형강을 따라서 상기 생육간 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기; 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n elevator capable of lifting up and down within the growing section along the traveling section steel provided on two adjacent bearing walls; It further includes.

또한, 상기 레일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승강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의 상기 생육칸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대차; 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movable trolley capable of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rail and enabling movement between the growth compartments of the elevator in a state where the elevator is mounted; It further includes.

또한, 상기 내력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지지기둥; 상기 지붕지지기둥에 지지되어 상기 생육칸을 덮도록 설치되는 지붕; 상기 지붕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관형 유로; 상기 관형 유로의 상단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태양열의 의해 가열되어 상기 관형 유로를 따라 상승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제1 열교환 유로; 상기 제1 열교환 유로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관형 유로의 하단으로 보내는 송풍기; 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oof support pillar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earing wall; A roof supported by the roof support pillar and installed to cover the growth compartment; A plurality of tubular flow path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roof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heat exchange flow path installed adjacent to an upper end of the tubular flow path and heat-exchanged with air rising along the tubular flow path by solar heat; A blower for sending air heat-exchanged with the first heat exchange path to a lower end of the tubular flow path; It further includes.

또한, 상기 제1 열교환 유로 내부에서 순환되는 액체와 열교환하는 제2 열교환부; 상기 제1 열교환 유로 내에서 액체가 순환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펌프; 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second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e with the liquid circulated in the first heat exchange path; A pump for applying pressure to circulate the liquid in the first heat exchange passage; It further includes.

본 발명에 따르면, 생장관리와 수확 등이 용이하면서 저렴한 건설 비용으로 토양생물을 대단위로 생육할 수 있는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capable of growing soil organisms in large units at low construction costs while being easy to manage and harve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 내부에 배치되는 생육칸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 라인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육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지붕에 설치되는 열교환 시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육상 지지대와 생육상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깔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growth compartment disposed inside a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the soil organism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A ′ line in FIG. 2.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rowth compartment in a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heat exchange facility installed on the roof in a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growth support and growth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u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의 외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 내부에 배치되는 생육칸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 라인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육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지붕에 설치되는 열교환 시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육상 지지대와 생육상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깔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growth compartment disposed inside a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the soil organism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in FIG. 2.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rowth compartment in a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heat exchange facility installed on the roof in a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growth support and growth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u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이하, 대단위 생육 시설)은 토양 표면에 밀접하거나 토양 내부에 생장하는 지렁이, 곤충류, 균류, 조류 등과 같은 토양생물을 대단위로 집약적으로 생육하기 위한 시설이다. The large-scale growth facility (hereinafter,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cility for intensively growing soil organisms such as earthworms, insects, fungi, algae, etc. that grow close to or in the soil surfac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대단위 생육 시설(100)은 예를 들어, 남향의 산지형 경사지(1)에 설치되고, 토양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생육칸(S)을 갖는다. 이러한 경사지(1)는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지형을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지(1) 상에는 대단위 생육 시설(100)로 인해 고중압이 작용하므로, 경사지(1)는 강경 지반이 되어야 한다. 1 to 4, the large-scale growth facility 100 is installed on, for example, a mountain-like slope 1 facing south, and a plurality of growths that are continuously disposed in a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soil organisms can grow. Has a square (S). It is preferable that the slope 1 arranges the terrain to achieve the same inclination angle. In addition, since the high medium pressure acts on the slope 1 due to the large-scale growth facility 100, the slope 1 should be a hard ground.

생육칸(S)들은 도 1의 지붕(150)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각각의 생육칸(S)은 내력벽(110), 생육상 지지벽(115), 생육상 지지대(120), 생육상(125)을 포함한다.Growth compartments (S) is located under the roof 150 of FIG. Each growth compartment S includes a bearing wall 110, a growth support wall 115, a growth support 120, and a growth phase 125.

내력벽(110)은 경사지(1)를 따라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하나의 생육칸(S)에는 2개의 내력벽(110)이 설치될 수 있다. 내력벽(110) 위에는 지붕(150)을 지지하기 위한 지붕지지기둥(151)이 설치되므로, 내력벽(110)은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The bearing wall 110 is installed along the slope 1 and spaced apart in the lateral direction. Two growth walls 110 may be installed in one growth compartment S. Since the roof support pillar 151 for supporting the roof 150 is installed on the bearing wall 110, the bearing wall 110 should be a structure capable of withstanding the load.

생육상 지지벽(115)은 2개의 내력벽(110) 사이에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된다. 생육상 지지벽(115)은 내력벽(110)과 마찬가지로 경사지(1)를 따라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생육칸(S)에는 7개의 생육상 지지벽(115)이 설치되어, 전체 8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The growth support wall 115 is spaced apart in the lateral direction between the two bearing walls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The growth support wall 115 is installed along the slope 1 similarly to the bearing wall 110. In this embodiment, one growth compartment (S) is provided with seven growth support walls 115 are divided into a total of eight spaces.

생육상 지지대(120)는 내력벽(110)과 생육상 지지벽(115) 사이 그리고 생육상 지지벽(115)들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수평방향은 도 2에서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이 된다. 생육상 지지대(120)는 경사지(1)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체 생육상 지지대(120)는 60개 층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생육상 지지대(120) 사이의 높이는 0.8m가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나의 생육칸(S)의 수직 높이는 대략 48m가 될 수 있다. 도 3에서, 생육상 지지대(120)는 수평방향으로 수 m 정도 연장될 수 있다. The growth support 120 extends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bearing wall 110 and the growth support wall 115 and between the growth support walls 115. 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 direction entering the ground in FIG. Growth support 120 is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lope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In this embodiment, the entire growth support 120 is installed in 60 layers, the height between each growth support 120 may be 0.8m. Accordingly, the vertical height of one growth compartment S may be approximately 48m. In FIG. 3, the growth support 120 may extend several mete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6을 참조하면, 생육상(125)은 판형으로 되어 각각의 생육상 지지대(120) 위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생육상(125)은 예를 들어, 합성수지 판으로 형성되고 충분한 내력을 갖도록 돌출된 골형부(125a)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골형부(125a)는 횡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growth rod 125 is plate-shaped and seated and fixed on each growth supporter 120. The growth phase 125 may have, for example, a bone-shaped portion 125a formed of a synthetic resin plate and protruding to have a sufficient strength. The bone portion 125a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horizontal direction.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생육상(125) 위에는 깔개(128)가 안착될 수 있다. 도 7에서 위의 도면은 깔개(128)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아래의 도면은 깔개(128)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깔개(128)는 인장강도와 투수성이 우수한 매트 형태로 될 수 있다. 깔개(128)는 토양생물이 생장할 수 있으면서, 수확을 위해 생육상(125)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수확 후에는 다시 생육상(125) 위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깔개(128)의 전단에는 수확시에 견인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당김용 구멍(128a)이 형성되고, 깔개(128)의 후단에는 수확시에 수확물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된 형태의 가로막(128b)이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 rug 128 may be seated on each growth 125. In FIG. 7 the upper figure shows a front view of the rug 128 and the lower figure shows a top view of the rug 128. Rug 128 may be in the form of a mat excellent in tensile strength and water permeability. The rug 128 has a structure in which soil organisms can grow,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growth 125 for harvest, and can be rested on the growth 125 again after the harvest. Pulling holes 128a ar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rug 128 so as to be easily pulled by the traction device at the time of harvest, and at the rear end of the rug 128 to protrude to prevent the loss of the harvest during harvesting. The diaphragm 128b may be formed.

생육상 지지대(120)와 생육상(125)은 하나의 부품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생육상 지지대(120)와 생육상(125)은 액체가 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깔개(128)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생육상(125) 및 생육상 지지대(120)를 통과하여 경사지(1)를 따라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Growth support 120 and growth 125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The growth support 120 and the growth phase 125 are configured to allow the liquid to pass through, and the discharged water discharged from the rug 128 passes through the growth 125 and the growth support 120 to the lower side along the slope 1. May be discharged.

내력벽(110)에 인접하여 슬라이딩 슈트(138)가 위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슈트(138)는 내력벽(110)을 따라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딩 슈트(138)는 생육상(125)에서 수확한 수확물을 중력에 의해 미끄러지게 하여 생육칸(S)의 하부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생육칸(S)의 하부에는 컨베이어(139)가 배치되어, 슬라이딩 슈트(138)에서 낙하된 수확물을 다른 곳으로 이송할 수 있다. A sliding chute 138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bearing wall 110. The sliding chute 138 may extend up and down along the bearing wall 110. The sliding chute 138 slides the harvest harvested from the growth phase 125 by gravity to serve as a lower portion of the growth compartment S. The conveyor 139 is disposed below the growth compartment S, and the harvested drops falling from the sliding chute 138 may be transferred to another place.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내력벽(110)과 비슷한 형태로 경사지(1)를 따라 설치되는 생육상 지지벽(115)에는 60층의 생육상 지지대(120) 및 생육상(125)이 위치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growth support wall 120 and the growth 125 of 60 layers are positioned on the growth support wall 115 installed along the slope 1 in a similar manner to the bearing wall 110.

생육상 지지벽(115)이 경사지는 형태가 아니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태가 된다면, 하나의 생육상 지지벽(115)의 높이는 60층의 생육상 지지대(120)가 형성될 경우 수직으로 48m가 되어야 되고, 이러한 48m 높이의 생육상 지지벽(115)은 60층의 생육상 지지대(120) 및 생육상(125)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이 경우, 대단위 생육 시설(100)을 건설하기 위한 비용은 엄청나게 증가하게 된다. If the growth support wall 115 is not inclined but vertically extending, the height of one growth support wall 115 should be vertically 48m when the 60-layer growth support 120 is formed. The growth support wall 115 having a height of 48 m should be a structure capable of withstanding the load acting from the growth support 120 and the growth 125 of 60 layers. In this case, the cost for constructing the large-scale growth facility 100 is enormously increased.

대단위 생육 시설(100)을 저비용으로 건설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내력벽(110)과 생육상 지지벽(115)이 경사지(1)를 따라서 설치되므로, 내력벽(110)과 생육상 지지벽(115)의 수직방향(종방향) 높이는 화살표 P로 표시된 것처럼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생육상 지지벽(115)에 작용하는 하중도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는 생육상 지지대(120)와 생육상(125)의 수만큼만 작용하므로, 생육상 지지대(120)의 전체 층수는 60층이지만 실제로 작용하는 하중은 10층 미만의 하중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생육상 지지벽(115)은 10층 미만의 생육상 지지대(120)와 생육상(125)의 하중만 견딜 수 있으면 되므로, 그에 맞게 구조를 선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대단위 생육 시설(100)을 집약적으로 건설할 수 있으면서 건설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construct the large-scale growth facility 100 at low co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ring wall 110 and the growth support wall 115 are installed along the slope 1, so that the bearing wall 110 and the growth support wall 115 are separated. The vertical (longitudinal) height can be reduced as indicated by arrow P. In addition, since the load acting on the growth support wall 115 also acts only as much as the number of growth supports 120 and 125 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otal number of layers of the growth support 120 is 60 layers, but the actual working load Only loads less than 10 floors. Therefore, the growth support wall 115 only needs to bear the load of the growth support 120 and the growth 125 of less than 10 layers,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selected accordingly. As a result, the large-scale growth facility 100 can be built intensively, and construction cos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한편, 내력벽(110)의 상부에는 주행용 형강(135)이 설치되어, 주행용 형강(135)을 따라 승강시설이 승강 가능하게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인접하는 2개의 내력벽(110)에 설치된 주행용 형강(135)을 따라서 승강기(130)가 생육칸(S) 내에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승강기(130)에는 작업용 대차가 탑재되어, 생육칸(S)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section steel 135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earing wall 110, the lifting facility can be lifted along the driving section steel (135).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elevator 130 may move up and down in the growth compartment S along the driving form steel 135 installed in two adjacent bearing walls 110. The elevator 130 is equipped with a work cart, and can work while lifting up and down in the growth compartment S. FIG.

생육칸(S)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는 레일(141, 142)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동시설이 레일(141, 142)을 따라 생육칸(S)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Rails 141 and 142 are installed at the top or bottom end of the growth compartment S in a transverse direction, such that a moving facility may move between the growth compartments S along the rails 141 and 14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대차(140)는 레일(141, 142)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승강기(130)는 하나의 생육칸(S) 내에서 상하로 승강되므로, 이동 대차(140)는 승강기(130)를 탑재한 상태에서 승강기(130)의 생육칸(S)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2 and 3, the moving cart 140 may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rails 141 and 142. Since the elevator 130 is moved up and down in one growth compartment S, the moving cart 140 enables the movement between the growth compartments S of the elevator 130 in the state where the elevator 130 is mounted. .

승강기(130)를 하나의 생육칸(S)에서 다른 생육칸(S)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하는 생육칸(S)의 하단에 이동 대차(140)를 위치시킨다. 다음에, 승강기(130)를 주행용 형강(135)을 따라 하부로 이동시켜 이동 대차(140)에 탑재한다. 다음에, 이동 대차(140)를 레일(141)을 따라 다른 생육칸(S)으로 이동시킨 후, 승강기(130)를 다른 생육칸(S)의 내력벽(110)에 설치된 주행용 형강(135)을 따라 승강시키면 된다. In order to move the elevator 130 from one growth compartment S to another growth compartment S, first, the moving cart 140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corresponding growth compartment S. FIG. Next, the elevator 130 is moved downward along the traveling shaped steel 135 and mounted on the moving trolley 140. Next, after moving the moving cart 140 along the rail 141 to another growth compartment S, the lifting section 135 is installed on the bearing wall 110 of the other growth compartment S. You can go up and down along.

승강기(130)가 주행용 형강(135)을 따라 이동 대차(140)에 탑재될 수 있도록 이동 대차(140)에는 주행용 형강(135)과 동일한 형태의 탑재용 레일(145)이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승강기(130)는 주행용 형강(135)과 연속하여 위치되는 탑재용 레일(145)을 따라서 이동 대차(140)에 탑재될 수 있다. The mounting rail 145 having the same form as the driving section steel 135 may be installed in the moving carriage 140 so that the elevator 130 may be mounted on the moving carriage 140 along the driving section 135. . Accordingly, the elevator 130 may be mounted on the moving trolley 140 along the mounting rail 145 that is continuously positioned with the traveling section steel 135.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대단위 생육 시설(100)에 따르면, 생육상(125)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이 경사지(1)를 따라서 설치되므로, 내력벽(110)과 생육상 지지벽(115) 등이 하중을 적게 받으면서 종방향으로 다층의 집약적 구조를 달성하여 생장관리의 편리성을 도모하면서 건설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rge-scale growth facilit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growth phase 125 is installed along the slope 1, the load bearing wall 110 and the growth support wall 115 and the like load the loa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while achieving the convenience of growth management by achieving a multi-layered intensive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receiving less.

또한, 대단위 생육 시설(100)에서 하나의 승강기(130)와 하나의 이동 대차(140)만 구비하면, 승강기(130)를 다수의 생육칸(S)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작업이 가능하여 생장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면서 필요한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f there is only one elevator 130 and one moving cart 140 in the large-scale growth facility 100, it is possible to work while moving the elevator 130 between a plurality of growth compartments (S) growth management Being efficient can dramatically reduce the cost required.

이하에서는,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단위 생육 시설(100)의 지붕(150)에 설치되는 태양열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 4, and 5, an energy saving structure using solar heat installed on the roof 150 of the large-scale growth facilit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내력벽(110)의 상부에는 지붕(150)을 지지하기 위한 지붕지지기둥(151)이 설치된다. 지붕(150)은 지붕지지기둥(151)에 지지되어 전체 생육칸(S)들을 덮도록 설치된다. The roof support pillar 151 for supporting the roof 150 is installed on the bearing wall 110. The roof 150 is supported by the roof support pillar 151 and is installed to cover the entire growth compartments S.

지붕(150)을 따라서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관형 유로(152)가 설치된다. Along the roof 150, a plurality of tubular flow paths 152 are installe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관형 유로(152)의 상단에 인접하여 제1 열교환 유로(160)가 설치된다. 그에 따라, 관형 유로(152) 내의 공기는 낮 동안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어 관형 유로(152) 내에서 위로 상승하게 된다. 관형 유로(152)를 따라 상승하는 공기는 다수의 제1 열교환 유로(160)와 열교환되어, 제1 열교환 유로(160) 내의 액체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 The first heat exchange passage 16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tubular passage 152. As a result, the air in the tubular flow path 152 is heated by solar heat during the day to rise up in the tubular flow path 152. The air rising along the tubular flow path 152 is heat-exchang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heat exchange paths 160 to transfer heat to the liquid in the first heat exchange paths 160.

제1 열교환 유로(160)와 열교환되어 열을 잃은 공기는 다시 무거워지게 되고, 관형 유로(152)와 연결된 다른 유로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송풍기(165)는 제1 열교환 유로(160)와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관형 유로(152)의 하단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송풍기(165)는 제1 열교환 유로(160)와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관형 유로(152)로 보낼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설치된다. The air that loses heat due to heat exchange with the first heat exchange passage 160 becomes heavy again, and moves downward along the other passage connected to the tubular passage 152. The blower 165 serves to send the air heat-exchanged with the first heat exchange path 160 back to the bottom of the tubular flow path 152. The blower 165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so that the air heat-exchanged with the first heat exchange path 160 can be sent back to the tubular flow path 152.

제1 열교환 유로(160) 내부에는 액체가 순환되고 있고, 공기와 열교환되어 가열된 액체는 다시 제2 열교환부(170)와 열교환될 수 있다. 제2 열교환부(170)는 저장조(180) 내에 위치되고, 저장조(180) 내에는 제2 열교환부(170)로부터 열을 얻기 위한 다른 매체가 위치될 수 있다. 펌프(175)는 제1 열교환 유로(160) 내에서 액체가 순환되도록 압력을 가한다. The liquid is circulated in the first heat exchange path 160, and the liquid heated by heat exchange with air may be heat-exchanged with the second heat exchange unit 170. The second heat exchanger 170 may be located in the reservoir 180, and another medium for obtaining heat from the second heat exchanger 170 may be located in the reservoir 180. The pump 175 applies pressure to circulate the liquid in the first heat exchange passage 160.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대단위 생육 시설(100)의 지붕(150)에는 태양열을 흡수할 수 있는 관형 유로(152)가 위치되고, 관형 유로(152) 내에서 가열된 공기는 상승하여 제1 열교환 유로(160) 내의 액체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태양열을 활용하여 대단위 생육 시설(100)에서 필요한 열을 조달하여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tubular flow path 152 capable of absorbing solar heat is positioned on the roof 150 of the large-scale growth facility 100, and the air heated in the tubular flow path 152 rises to form a first heat exchange path ( Heat can be transferred to the liquid in 16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energy by procuring the heat required by the large-scale growth facility 100 using solar heat.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practic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00 : 대단위 생육 시설
110 : 내력벽
115 : 생육상 지지벽
120 : 생육상 지지대
125 : 생육상
125a : 골형부
128 : 깔개
128a : 당김용 구멍
128b : 가로막
130 : 승강기
135 : 주행용 형강
140 : 이동 대차
141, 142 : 레일
145 : 탑재용 레일
150 : 지붕
151 : 지붕지지기둥
152 : 관형 유로
160 : 제1 열교환 유로
165 : 송풍기
170 : 제2 열교환 유로
175 : 펌프
180 : 저장조
100: large-scale growth facility
110: bearing wall
115: growth support wall
120: growth support
125: growth
125a: bone
128: Rug
128a: pulling hole
128b: barrier
130: lift
135: driving section steel
140: moving bogie
141, 142: rail
145: mounting rail
150: roof
151: roof support pillar
152: tubular flow path
160: first heat exchange path
165: blower
170: second heat exchange path
175: Pump
180: reservoir

Claims (6)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에 있어서,
토양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생육칸(S)을 갖고,
각각의 생육칸(S)은,
경사지(1)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의 내력벽(110);
상기 내력벽(110) 사이에서 상기 경사지(1)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생육상 지지벽(115);
상기 내력벽(110)과 상기 생육상 지지벽(115)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내력벽(110)과 상기 생육상 지지벽(115) 사이 그리고 상기 생육상 지지벽(115)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경사지(1)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여러 층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생육상 지지대(120);
판형으로 되어 각각의 생육상 지지대(120) 위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생육상(125);
상기 내력벽(110)의 상부를 따라 설치되어 승강시설이 이동 가능하게 하는 주행용 형강(135);
을 포함하는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
In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
It has a plurality of growth compartments (S) arranged in success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soil organisms grow,
Each growth compartment (S),
Two bearing walls 110 installed at predetermined heights along the slope 1 and spaced apart in the lateral direction;
A plurality of growth support walls 115 installed at predetermined heights along the slope 1 between the bearing walls 110 and spaced apart in the lateral direction;
Supported by the bearing wall 110 and the growth support wall 115, extending horizontally between the bearing wall 110 and the growth support wall 115 and between the growth support wall 115, the slope A plurality of growth supports 120 installed in multiple layers spaced longitudinally along (1);
Plate-like growth 125 is seated and fixed on each growth support (120);
A driving section steel 135 installed along an upper portion of the bearing wall 110 to move a lifting facility;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육칸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동시설이 상기 생육칸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레일;
을 더 포함하는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
The method of claim 1,
A rail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top or the bottom of the growth compartment to allow movement between the growth compartments;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내력벽에 설치된 상기 주행용 형강을 따라서 상기 생육칸 내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기;
를 더 포함하는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
The method of claim 2,
An elevator capable of elevating up and down in the growth compartment along the traveling section steel provided at two adjacent bearing walls;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further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승강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의 상기 생육칸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대차;
를 더 포함하는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
The method of claim 3,
A moving trolley capable of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rail and enabling movement between the growth compartments of the elevator in a state where the elevator is mounted;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력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지지기둥;
상기 지붕지지기둥에 지지되어 상기 생육칸을 덮도록 설치되는 지붕;
상기 지붕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관형 유로;
상기 관형 유로의 상단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태양열의 의해 가열되어 상기 관형 유로를 따라 상승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제1 열교환 유로;
상기 제1 열교환 유로와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관형 유로의 하단으로 보내는 송풍기;
를 더 포함하는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
The method of claim 1,
A roof support column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earing wall;
A roof supported by the roof support pillar and installed to cover the growth compartment;
A plurality of tubular flow path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roof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heat exchange flow path installed adjacent to an upper end of the tubular flow path and heat-exchanged with air rising along the tubular flow path by solar heat;
A blower for sending air heat-exchanged with the first heat exchange path to a lower end of the tubular flow path;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further compri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 유로 내부에서 순환되는 액체와 열교환하는 제2 열교환부;
상기 제1 열교환 유로 내에서 액체가 순환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펌프;
를 더 포함하는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
The method of claim 5,
A second heat exchanger configured to exchange heat with the liquid circulated in the first heat exchange path;
A pump for applying pressure to circulate the liquid in the first heat exchange passage;
Large-scale growth facility of soil organisms further comprising.
KR1020150044510A 2015-03-30 2015-03-30 Large scale apparatus for growing soil life KR1020274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510A KR102027487B1 (en) 2015-03-30 2015-03-30 Large scale apparatus for growing soil life
CN201510463252.2A CN105994164A (en) 2015-03-30 2015-07-31 Large scale apparatus for growing soil organis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510A KR102027487B1 (en) 2015-03-30 2015-03-30 Large scale apparatus for growing soil lif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196A Division KR20170036674A (en) 2017-03-27 2017-03-27 Large scale apparatus for growing soil lif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588A KR20160116588A (en) 2016-10-10
KR102027487B1 true KR102027487B1 (en) 2019-11-04

Family

ID=5708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510A KR102027487B1 (en) 2015-03-30 2015-03-30 Large scale apparatus for growing soil lif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7487B1 (en)
CN (1) CN105994164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9454A (en) * 2016-12-21 2017-05-31 成都华氏农业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ig manure production fly maggot coordinates the special equipment of substraturn approach
PL435063A1 (en) * 2020-08-24 2022-02-28 Hipromine Spółka Akcyjna Production line for breeding insects with a system of flowing feed heating, use of a system of flowing heating and method of breeding insects using th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400Y1 (en) 2002-06-12 2002-11-02 배영오 Earthworm Culture Apparatus
KR200294434Y1 (en) 2002-07-15 2002-11-13 임상근 Earthworm breeding device for casting production
KR100664574B1 (en) 2006-01-09 2007-01-04 서인석 Many item circulation mushroom cultivation system
KR101022025B1 (en) 2010-08-17 2011-03-16 조장은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101331623B1 (en) * 2012-11-16 2013-11-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tructure of combined solar thermal and solar photovoltaic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2330A1 (en) * 1983-04-06 1984-10-11 Adalbert Cholewa Device for mechanising pot gardening
KR960004967B1 (en) * 1993-08-17 1996-04-18 정한택 Apparatus for watering in greenhouses
JP2000209970A (en) * 1999-01-26 2000-08-02 Shin Meiwa Ind Co Ltd Three-dimensional hydroponics facility
KR100671469B1 (en) * 2004-02-19 2007-01-18 주식회사 바이오쏜 Cultivation equipment
CN1653880A (en) * 2005-04-07 2005-08-17 杨崇杰 Facility sited sun-facing garden
KR100928478B1 (en) 2007-11-15 2009-11-25 (주)티이에스 Pod storage device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KR20090124475A (en) * 2008-05-30 2009-12-03 고상수 Vinyl house for agricultural and there of establishing method
KR20110085223A (en) * 2010-01-19 2011-07-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rtificial block for aquatic organisms
KR101190814B1 (en) * 2010-11-10 2012-10-12 현영열 apparatus for cleaning abalone breed tank
JP6219294B2 (en) * 2011-11-02 2017-10-25 プランタゴ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ーベー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130071093A (en) * 2011-12-20 2013-06-28 신영선 Liquid sprayer apparatus for house crops disease controlling
CN103818850B (en) * 2014-03-12 2016-02-03 洛阳佳嘉乐农产品开发股份有限公司 A kind of hanging basket jacking system of crop-planting
CN103818851B (en) * 2014-03-12 2015-12-30 洛阳佳嘉乐农产品开发股份有限公司 A kind of transmission jacking system for long-term cropping
CN103818854B (en) * 2014-03-12 2016-02-03 洛阳佳嘉乐农产品开发股份有限公司 A kind of lifting protection mechanism of crop-plant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400Y1 (en) 2002-06-12 2002-11-02 배영오 Earthworm Culture Apparatus
KR200294434Y1 (en) 2002-07-15 2002-11-13 임상근 Earthworm breeding device for casting production
KR100664574B1 (en) 2006-01-09 2007-01-04 서인석 Many item circulation mushroom cultivation system
KR101022025B1 (en) 2010-08-17 2011-03-16 조장은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101331623B1 (en) * 2012-11-16 2013-11-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tructure of combined solar thermal and solar photovoltaic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588A (en) 2016-10-10
CN105994164A (en)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4665A (en) High density horticulture grow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20160002227U (en) Integrated Aquaculture System
ES2841405T3 (en) Plant for growing plants
CN203884370U (en) Three-dimensional industrialized livestock raising park
KR102167684B1 (en) Multistage type floating oxygen supply plant factory machine
KR102027487B1 (en) Large scale apparatus for growing soil life
JP2012182998A (en) Hydroponic system
EP3484271A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performing same, for industrially growing, cultivating, harvesting, washing, packaging, labeling, and cold-storing plants, in particular lettuces, vegetables, or field crops
CN202285819U (en) Dry-raising duck shed building structure
KR20170036674A (en) Large scale apparatus for growing soil life
WO2007012313A1 (en) Unit for cultivation of plants
KR20180020812A (en) Earthworm breed structure
KR101604699B1 (en) Factory type aquaculture
DE10214760B4 (en) Greenhouse System
CN103039372A (en) Duck shed
CN109006585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aquaculture platform
KR101699481B1 (en) Apparatus for harvesting and reimplanting life in large scale growth facilities
KR101713542B1 (en) Apparatus for managing growth of life in large scale growth facilities
CN105379641A (en) Shed for raising breeding ducks
DE102014011642B3 (en) Plants for cultivating plants
ES2257122B2 (en) PISCIFACTORY THAT USES WATER CURRENTS SOMERAS.
CN205161509U (en) Plant duck and breed cage house
CN212813567U (en) Under-forest breeding and perching frame for local chickens
CN203290055U (en) Multiplayer combined duck cage
CN207383203U (en) A kind of glass sunlight house for ecologic bree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4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27

Effective date: 201809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1008012;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1008012;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15

Effective date: 2019072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3100002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821

Effective date: 2019090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