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552B1 - 쿨 베개 - Google Patents

쿨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552B1
KR102026552B1 KR1020180002153A KR20180002153A KR102026552B1 KR 102026552 B1 KR102026552 B1 KR 102026552B1 KR 1020180002153 A KR1020180002153 A KR 1020180002153A KR 20180002153 A KR20180002153 A KR 20180002153A KR 102026552 B1 KR102026552 B1 KR 102026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illow
stopper
opening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416A (ko
Inventor
이한우
Original Assignee
이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우 filed Critical 이한우
Priority to KR102018000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552B1/ko
Priority to PCT/KR2019/000061 priority patent/WO2019135605A1/ko
Publication of KR2019008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Abstract

본 기술은 열 흡수 방식의 쿨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쿨 베개는 베개의 외부 형상을 정의하며, 원통형의 수용홈이 형성된 완충부; 상기 완충부를 감싸며, 상기 수용홈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에 부분적으로 채워져 상기 완충부를 함침하는 열전도 유체; 및 상기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를 밀봉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개부는,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부로 함몰된 제1 그루브와,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상부 표면을 향하여 입설된 손잡이부와, 상기 제1 그루브 아래에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쿨 베개{COOL PILLOW}
본 발명은 쿨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 흡수 방식의 쿨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통상적으로 솜과 같은 내부 충진재에 이를 감싸는 천 재질로 구성된다.
베개는 인체의 특정부분인 머리와 같은 부위가 닿았을 때 그 무게에 비례하여 꺼지도록 설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푹신하고 편안한 느낌을 전달하지만, 여름철 높은 온도에서는 사용자에게 불쾌함을 주기도 한다. 푹신할수록 베개와 인체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열이 쉽게 방출되지 못하고 사용자에게 덥고 불쾌한 느낌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에 대응하여 기존에 여러 방식의 쿨 베개가 존재한다.
베갯잇에 합성 섬유를 이용한 메쉬 구조를 도입하여 인체와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쉬 방식에서부터, 열흡수가 잘 되는 소프트 겔을 활용하여 베갯잇에 패치 형태로 붙이는 패치 방식, 그리고, 냉매를 직접 내부 충진재로 적용하는 방식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들은 여러 한계점을 갖는데, 메쉬 방식은 인체의 열이 잘 빠져나가도록 하는 통풍 구조에 지나지 않아 어디까지나 수동적인 냉각 방식으로서 인체의 열을 능동적으로 식혀주지 못한다. 이에 비해 패치 방식은 능동적인 냉각 방식이긴 하나, 쉽게 인체의 열에 의해 데워져 냉각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매우 짧다. 그리고, 냉매 충진 방식은 냉각 상태 유지 시간은 길지만, 사용이 끝난 후 재냉동이 필요하여 사용상 번거로움을 유발한다. 또한, 냉매 충진 방식은 일반적으로 내부 충진재가 유동성의 냉매로 대체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지 못하여 사용상 불편함을 수반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 흡수 방식으로서 냉매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장시간 이용에도 냉각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며 이용시 이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편안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쿨 베개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 베개는 베개의 외부 형상을 정의하며, 원통형의 수용홈이 형성된 완충부; 상기 완충부를 감싸며, 상기 수용홈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에 부분적으로 채워져 상기 완충부를 함침하는 열전도 유체; 및 상기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를 밀봉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개부는,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부로 함몰된 제1 그루브와,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상부 표면을 향하여 입설된 손잡이부와, 상기 제1 그루브 아래에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구에 구비되며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링형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그 외측 표면에 상기 제1 나사산에 상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의 나사 결합을 통하여 상기 개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제1 그루브의 반대쪽에서 하부 표면으로부터 상부로 함몰된 제2 그루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루브의 내측 표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물통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3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제1 그루브 및 제2 그루브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그루브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중공부 내부로 함몰된 제3 그루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그루브의 내측 표면에는 물통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4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은 열 흡수 방식으로서 냉매 교체가 매우 용이한 쿨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장시간 이용에도 냉각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쿨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이용시 사용자의 두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편안한 느낌을 전달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 베개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CC'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A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에 물통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에 결합된 물통이 개구를 통해 열전도 유체로 젖어 있는 완충부 내 수용홈으로 도입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에 결합된 물통이 개구를 통해 열전도 유체로 젖어 있는 완충부 내 수용홈으로 도입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 베개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CC'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 A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 베개(100)는 완충부(110), 커버부(120), 열전도 유체(130) 및 마개부(140)를 포함한다.
완충부(110)는 베개의 외부 형상을 정의한다. 완충부(110)는 스폰지, 솜, 라텍스 등 인체의 머리와 목 부위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가질 수 있다.
완충부(110)는 다공성 또는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전도 유체의 의해 함침되고, 열전도 유체는 완충부의 다공성 또는 메쉬 구조 곳곳으로 스며든 상태로서, 인체와 닿는 부위를 시원하게 유지하는 데에 유리한 구조를 갖는다.
완충부(110)에는 원통형의 수용홈(112)이 형성된다. 수용홈(112)으로는 물통(B)이 수용된다. 물통(B)은 냉매, 즉, 쿨 베개의 기본적인 냉각 기능을 제공하는 물과 같은 냉매를 담는 용도로 이용된다. 물통(B)은 외부에서 냉각된 후 차가워진 상태로 본 발명의 수용홈(112)으로 수용될 수 있다. 물통(B)은 베개 내로 삽입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물통(일례로, 생수통)과 유사한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은 쿨 베개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존재하는 완충부가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완충부는 인체의 머리나 목 부위를 안정적으로 받치기에 적합한 대략적으로 납작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러한 완충부를 둘러싸는 커버부(120)는 완충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외관을 갖는다.
커버부(120)는 수용홈(112)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OP)를 갖는다. 개구(OP)는 쿨 베개 안으로 열전도 유체가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역할을 하고, 주입된 열전도 유체가 개구를 통해 새어나가지 않도록 개구(OP)는 후술하는 마개부에 의해 막아진다.
커버부(120)는 내부에 채워진 유체를 밀봉하고, 베갯잇과 같은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는 방수원단이나 방수천일 수 있다. 또는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도 유체(130)가 커버부(120)에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쿨 베개(100)가 z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열전도 유체(130)가 커버부(120)에 채워져 z방향으로 중간 정도의 수위(L)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열전도 유체는 베개가 놓여지는 상태에 따라 커버부(120) 내에서 유동한다. 예를 들어, z방향을 따라 눕혀진 상태에서는 y방향으로 소정의 수위를 가질 수 있다.
열전도 유체(130)는 물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유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완충부(110)는 다공성 또는 메쉬 구조를 가지므로, 커버부(120) 내에 부분적으로 채워진 열전도 유체(130)는 완충부(110)를 함침할 수 있다. 즉, 완충부(110)는 커버부(120) 내에서 부분적으로 채워진 열전도 유체(130)에 의해 젖어 있는 상태로 존재한다. 다시 말해, 완충부는 커버부 내에서 열전도 유체에 부분적으로 잠겨있다.
완전히 잠겨있는 경우보다, 부분적으로 채워진 경우, 사용자의 머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베개 내에 물이 가득채워질수록 물이 직접 머리를 받치게 되어 물컹거리기만 할 뿐 사용자의 머리를 바로 잡아주기 어렵고, 물의 양이 적을수록 냉각 효과를 얻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 유체(130)는 다공성 또는 메쉬 구조의 완충부(110)를 적실 정도의 수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커버부(120)의 일측에는 수위 조절창(124)이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 베개를 z방향으로 세워준 상태에서 개구(OP)를 통해 열전도 유체(130)를 주입하면서, 일측에 마련된 수위 조절창(124)을 통해 일정 레벨까지만 유체를 채워주는 것이 가능하다.
마개부(140)는 개구(OP)에 결합되어 열전도 유체(130)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커버부(120)를 밀봉한다.
마개부(140)는 개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한 개구를 안정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개부는 실리콘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또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에 고무 재질이 코팅된 것일 수도 있다.
도 3에서 마개부(140)와 커버부(120)의 결합 구조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140)는 외측 표면(SL)에 나사산(141)이 형성된다. 외측 표면(SL)으로부터 돌출 형태의 나사산(1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20)는 나사산(141)에 대응하는 형태의 나사산(123)을 갖는 링형 너트부(122)를 포함한다. 링형 너트부(122)는 개구(OP)에 구비된다.
즉, 마개부(140)는 나사산(141)과 나사산(123) 사이의 나사 결합을 통하여 커버부(120)의 개구(OP)에 결합될 수 있다.
마개부는 쿨 베개 내부의 열전도 유체가 새나가지 않도록 개구를 밀폐해야 하고 따라서 개구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링형 너트부(122)는 커버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커버부가 실리콘 재질인 경우 링형 너트부도 실리콘 재질로서 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실리콘 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링형 너트부를 먼저 구비시킨 후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실리콘 또는 방수천 재질의 커버부를 링형 너트부와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마개부(140)는 상부 표면(ST)으로부터 하부로 함몰된 제1 그루브(142)와, 제1 그루브의 바닥으로부터 상부 표면(ST)을 향하여 입설된 손잡이부(146), 그리고, 제1 그루브(142) 아래에 형성된 중공부(H)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46)는 바 형태로 제1 그루브에 입설되어 사용자가 마개를 열고 닫을 때 잡고 돌릴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손잡이부(146)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충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그루브(142)는 중앙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중공부(H)의 공간을 넓게 확보하기에 유리하므로, 넓은 중공부(H)를 통하여 외부와의 열손실 방지나 외부로부터의 열차단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손잡이부(146)를 제1 그루브(142) 내에 위치시킬 수 있어(즉, 손잡이부의 입설 높이를 마개부의 상부 표면(ST) 아래에 위치시킬 수 있어) 베개 밖으로 불필요하게 손잡이부를 돌출 형성시키지 않는 오프셋 공간을 제공한다.
중공부(H)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워진 상태일 수도 있으나, 열차단용 물질이 채워진 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중공부 내부가 열차단용 물질로 채워진 경우, 보다 우수한 열손실 방지 및 열차단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에서 냉각시킨 물통(B)을 개구(OP)를 통해 열전도 유체(130)로 젖어 있는 완충부(110) 내 수용홈으로 넣고, 마개부(140)를 막아줌으로써, 냉각 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고, 물컹거림 없이 사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여분의 물통(B)을 더욱 활용하여 교체 방식으로 식어버린 물통을 꺼내고 다시 차가운 물통을 넣어줌으로써 쿨 베개의 시원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물통(B)이 마개부(140)와 분리된 상태로 존재한다. 이에 따라, 수용홈(112) 내에 물통(B)이 수용되었을 때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그 공간 내에서 한쪽으로 쏠려있을 수 있다. 베개를 자주 뒤집지 않는 이상 이런 상태는 계속 유지되게 되는데, 이는 열전도 유체와 물통 사이에 접촉 면적을 줄여 냉각 효과를 떨어뜨리고, 또한, 베개 내에서 물통이 덜렁거리는 이질감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가적인 그루브 구조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20)의 개구(OP)를 밀봉하는 기본적인 역할은 동일하므로, 그루브 구조를 통한 물통 고정 역할과 보관시 뚜껑 역할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40')에 물통(B')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도 2와 같이 도 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40')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도 3과 유사하게 도 4에서 A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40')에 결합된 물통(B')이 개구(OP)를 통해 열전도 유체(130)로 젖어 있는 완충부(110) 내 수용홈(112)으로 도입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마개부(140')는 상술한 제1 그루브(142), 손잡이부(146) 및 중공부(H) 외에 추가적으로, 제1 그루브(142)의 반대쪽에서 하부 표면(SB)으로부터 상부로 함몰된 제2 그루브(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공부(H)는 제1 그루브(142)와 제2 그루브(144)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그루브(144)의 내측 표면(SG1)에는 물통(B')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145)이 형성된다.
물통(B')은 별도의 뚜껑 없이 바로 마개부(140')에 결합한다는 점에서 상술한 물통(B)과 차이가 있다. 물통(B')의 상단 개구 부분이 제2 그루브(144)에 형성된 나사산(145)을 통하여 제2 그루브 내부로 직접 결합 고정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뚜껑은 불필요하다.
이와 같이, 쿨 베개 내부에서 물통(B')이 마개부(14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됨으로써, 베개 내에서 물통이 분리된 상태에서 존재했을 때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들이 해소될 수 있다.
마개부(140')는 이러한 물통 고정 역할 뿐만 아니라, 물통(B')의 뚜껑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보관시(냉동 또는 냉장) 뚜껑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통(B')에 물을 넣고 마개부(140')를 닫아 물이 새지 않도록 하고, 이 상태 그대로 냉동실에 넣어 냉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할 때 꺼내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OP)를 통해 열전도 유체(130)로 젖어 있는 완충부(110) 내 수용홈으로 도면에 도시된 D방향으로 넣고, 마개부(140')를 돌려 개구(OP)를 막음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쿨 베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분의 물통(B')을 더욱 확보하면 교체 방식으로 시원한 상태의 지속 유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뚜껑 역할의 수행을 위해 마개부(140')의 제2 그루브(144)는 상술한 제1 그루브(142)와는 다르게, 평평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평평한 그루브 바닥에 물통의 상단 개구 부분이 밀착됨으로써 내부 물질이 새지 않도록 하는 뚜껑 본연의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그루브 바닥에는 원형 리브(미도시)가 돌설될 수 있고, 이러한 원형 리브는 물통(B)의 상단 개구 부분 안쪽으로 삽입됨으로써 방수 기능은 보다 완벽하게 보장될 수 있다.
한편, 마개부(140')와 커버부(120) 사이의 결합 구조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40'')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40'')에 결합된 물통(B'')이 개구(OP)를 통해 열전도 유체(130)로 젖어 있는 완충부(110) 내 수용홈(112)으로 도입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마개부(140'')는 상술한 제1 그루브(142), 제2 그루브(144), 손잡이부(146) 및 중공부(H) 외에 추가적으로, 제2 그루브(144)의 바닥으로부터 중공부(H) 내부로 함몰된 제3 그루브(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그루브(148)의 내측 표면(SG2)에는 물통(B'')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149)이 형성된다.
제3 그루브(148)는 상술한 제2 그루브(144)와 유사하게, 별도의 뚜껑 없이도 물통(B'')이 바로 마개부(14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마개부(140'')는 제3 그루브(148)를 통하여 물통(B'') 고정 역할 및 보관시 물통(B'')을 위한 뚜껑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 마개부(140'')는 물통(B'')의 상단 개구 부분이 제3 그루브(148)에 형성된 나사산(149)을 통하여 제3 그루브 내부로 직접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물통 고정 역할을 할 수 있고, 물통(B'')에 물을 넣고 마개부(140'')를 닫아 물이 새지 않도록 냉동 및 보관시 사용할 수 있는 뚜껑 역할을 할 수 있다.
마개부가 닫힌 상태로 냉동된 물통(B'')은 필요할 때 냉동고로부터 꺼내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OP)를 통해 열전도 유체(130)에 의해 젖어 있는 완충부(110) 내 수용홈으로 도면에 도시된 D방향으로 넣고, 마개부(140'')를 돌려 개구(OP)를 막음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쿨 베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여분의 물통(B'')을 확보하면 교체 방식으로 시원한 상태의 지속 유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뚜껑 역할을 위해, 제3 그루브(148) 또한 제2 그루브와 유사하게, 평평한 바닥 구조와 원형 리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 그루브(148)는 500ml 생수병과 같이 규격화된 뚜껑을 갖는 물통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물통(B'')은 500ml 생수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그루브(148)는 500ml 생수병의 뚜껑과 같은 내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500ml 생수병 뚜껑의 그루브 구조가 제3 그루브 구조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500ml 생수병이 결합되는 특성상 제3 그루브(148)는 상술한 제2 그루브(144)보다는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즉, 제3 그루브와 제2 그루브는 모두 상부로 함몰된 구조를 갖고, 내측 표면에 카운터파트(물통의 상단 개구 부분)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는 공통되지만, 규격화된 뚜껑을 갖는 물통을 수용하는 제3 그루브는 그에 맞게 제2 그루브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제3 그루브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제3 그루브가 제2 그루브의 바닥으로부터 중공부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도록) 제2 그루브는 제3 그루브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총 3개의 나사산들(141, 145, 159)이 개시된다. 마개부의 외측 표면(SL)에 나사산(141)은 커버부(12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고, 마개부의 제2 그루브 내측 표면(SG1)에 나사산(145)은 본 발명의 쿨 베개와 함께 제공될 수 있는 번들 물통(B')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것이며, 마개부의 제3 그루브 내측 표면(SG2)에 나사산(149)은 번들 물통 대신에 보다 쉽게 사용자가 접할 수 있는 500ml 생수통(B'')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번들로 제공된 물통(B')을 사용하여
여기서, 나사산들(141, 145, 149)은 각각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나사산들의 형성 크기(예를 들어, 돌출 높이)는 나사산(141) > 나사산(145) > 나사산(149)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각각의 나사산과 결합하는 카운터파트의 크기와 관련된다. 상대적으로 큰 개구(OP)를 막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산(141)은 가장 큰 높이를 갖고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보다 작은 크기의 물통(B')의 상단 개구 부분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산(145)은 중간 높이를 갖고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더 작은 크기의 500ml 생수통(B'')의 상단 개구 부분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나사산(149)은 가장 작은 높이를 갖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카운터파트의 크기에 비례하여 나사산의 형성 크기를 정의하는 것은 불필요한 회전 수를 줄여 쉽고 빠른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마개부(140'')와 커버부(120) 사이의 결합 구조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140''')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마개부(140'')에서 플랜지부(F)와 단차부(S)가 더 도시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140''')는 도 7에서 상술한 마개부(140'')의 구성들 외에 추가적으로, 마개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플랜지부(F)와 플랜지부를 안착시키는 단차부(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S)는 플랜지부(F)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 구조이다. 플랜지부(F)는 마개부의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므로, 이에 의해 상부 표면(ST)은 실질적으로 넓어질 수 있다.
플랜지부(F)와 단차부(S)는 커버부(120)의 밀봉 구조를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한다. 플랜지부와 단차부 사이에는 고무 패킹이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커버부의 밀봉 구조를 더욱 완전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 베개에 의하면, 쿨 베개(100)에 적용되는 냉매인 물통(B, B', B'')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고, 쿨 베개와 함께 번들로 제공될 수 있는 물통(B, B')뿐만 아니라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물통(B'')도 사용할 수 있어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또한, 완충부(110) 곳곳으로 스며든 열전도 유체(130)를 통해 냉각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열전도 유체(130)는 커버부(120)에 완전히 채워지는 것이 아닌 부분적으로만 채워져 완충부(110)를 통해 인체의 두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마개부를 잡기 위한 손잡이부(146)가 베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계가 가능하여 쿨 베개의 외관 우수성을 높일 수 있고, 손잡이부 아래로 마련되는 중공부(H)를 통해 열손실 또는 열차단 효과를 높여 쿨 베개의 냉각 지속 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쿨 베개
110 : 완충부
112 : 수용홈
120 : 커버부
122 : 링형 너트부
123, 141, 145, 149 : 나사산
OP : 개구
130 : 열전도 유체
140 : 마개부
142 : 제1 그루브
144 : 제2 그루브
146 : 손잡이부
H : 중공부
148 : 제3 그루브
ST : 상부 표면
SB : 하부 표면
SL : 외측 표면
SG1 : 제2 그루브의 내측 표면
SG2 : 제3 그루브의 내측 표면
B, B', B'' : 물통

Claims (4)

  1. 베개의 외부 형상을 정의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물통의 수용을 위한 원통형의 수용홈이 형성된 완충부;
    상기 완충부를 감싸며, 상기 수용홈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에 부분적으로 채워져 상기 완충부를 함침하는 열전도 유체; 및
    상기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가 외부로 새나가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를 밀봉하는 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개부는,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부로 함몰된 제1 그루브와,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상부 표면을 향하여 입설된 손잡이부와, 상기 제1 그루브 아래에 형성된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제1 그루브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물통과의 결합을 위한 제2 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쿨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구에 구비되며 제1 나사산이 형성된 링형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그 외측 표면에 상기 제1 나사산에 상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의 나사 결합을 통하여 상기 개구에 결합되는 쿨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루브는 상기 제1 그루브의 반대쪽에서 하부 표면으로부터 상부로 함몰된 구조를 갖고,
    상기 제2 그루브의 내측 표면에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물통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3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제1 그루브 및 제2 그루브 사이에서 형성되는 쿨 베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루브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중공부 내부로 함몰된 제3 그루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그루브의 내측 표면에는 물통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4 나사산이 형성되는 쿨 베개.
KR1020180002153A 2018-01-08 2018-01-08 쿨 베개 KR102026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153A KR102026552B1 (ko) 2018-01-08 2018-01-08 쿨 베개
PCT/KR2019/000061 WO2019135605A1 (ko) 2018-01-08 2019-01-03 쿨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153A KR102026552B1 (ko) 2018-01-08 2018-01-08 쿨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416A KR20190084416A (ko) 2019-07-17
KR102026552B1 true KR102026552B1 (ko) 2019-09-27

Family

ID=67143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153A KR102026552B1 (ko) 2018-01-08 2018-01-08 쿨 베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6552B1 (ko)
WO (1) WO201913560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868Y1 (ko) * 2004-07-09 2005-01-21 김병철 기능성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3488A (ja) * 2005-02-16 2006-08-31 Koritsu Kasei Kogyo Kk 保温具
DK176304B1 (da) * 2005-08-30 2007-07-09 Jens Harder Hoejbjerg Varmepude
KR20080006414U (ko) * 2008-11-06 2008-12-22 이성철 핫팩
KR200461834Y1 (ko) * 2010-10-13 2012-08-13 이장익 베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868Y1 (ko) * 2004-07-09 2005-01-21 김병철 기능성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5605A1 (ko) 2019-07-11
KR20190084416A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7151B2 (en) Storage container with insulation effect
US5555746A (en) Two liter insulated cooler containers
US20120024896A1 (en) Beverage containment and thermal management
KR100828147B1 (ko) 생수병 단열 케이스
KR100758655B1 (ko) 아이스 팩
TWI608977B (zh) Insulation container
US20160031630A1 (en) Insulating Vessel
KR102026552B1 (ko) 쿨 베개
KR200466705Y1 (ko) 보냉용 이중 용기를 구비한 컵
CN103482203B (zh) 一种瓶口密封件
US11414259B2 (en) Beverage insulating device
KR100814783B1 (ko) 보온보냉 도시락
KR200456968Y1 (ko) 다중 결합 용기
KR101187880B1 (ko) 팩 내장형 보온용기
CN206207831U (zh) 蔬果保鲜存储箱
KR200401581Y1 (ko) 스폰지 보냉용기
KR200463859Y1 (ko) 결합형 기능용기
KR200493844Y1 (ko) 휴대용 아이스컵
CN210285339U (zh) 一种可添加冰块的保鲜泡沫箱
JP3146052U (ja)
CN213405650U (zh) 一种具有长效保温功能的双层厚壁塑料水杯
KR100624778B1 (ko) 컵 뚜껑
KR200321267Y1 (ko) 마이크로웨이브파로 축열이 가능한 피씨엠팩을 이용한보온 보냉 가방
KR20130014928A (ko)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KR200349023Y1 (ko) 김치저장고용 김치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