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928A -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 Google Patents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928A
KR20130014928A KR1020110076679A KR20110076679A KR20130014928A KR 20130014928 A KR20130014928 A KR 20130014928A KR 1020110076679 A KR1020110076679 A KR 1020110076679A KR 20110076679 A KR20110076679 A KR 20110076679A KR 20130014928 A KR20130014928 A KR 20130014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torage
kimchi
container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8933B1 (ko
Inventor
이순석
박승호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9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ckage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되고 평면상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싱, 및 이 케이싱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케이싱의 모서리에 단열성 발포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김치저장고의 저장실 중 상대적으로 냉기의 발산량이 많은 모서리부위와 접하는 저장용기의 모서리에 발포재를 충진함으로써 집중되는 냉기로 인한 음식물의 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KIMCH' CONTAINER AND 'KIMCH' REFRIGERATOR THEREWITH}
본 발명은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저장고의 저장실 중 상대적으로 냉기의 발산량이 많은 모서리부위와 접하는 저장용기의 모서리에 발포재를 충진함으로써 집중되는 냉기로 인한 음식물의 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냉매 발생원리 및 히터의 온열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김치 또는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이 요구되는 과일 등을 보관하거나, 사용자의 입맛에 맞도록 김치를 단시간 내에 숙성시키는 김치저장고(일명 김치냉장고)가 연구 개발되었으며 시중에 판매되는 양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한편, 김치저장고에 김치를 보관할 때에는 별도의 김치용기에 김치를 넣은 후, 이 김치용기를 김치저장고의 저장실 내에 보관하게 된다.
김치용기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와 덮개로 구성되는데, 김치용기는 몸체와 덮개로 구성되며 몸체 저면의 중앙부에는 저면의 가장자리에 비해 상승된 홈부가 형성된다. 이 홈부는 김치저장고로부터 김치용기를 외부에 꺼내 놓았을 때, 외부 바닥에 접촉되는 김치용기의 저면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냉기를 지닌 김치용기는 상온을 유지하는 외부 바닥과 열교환 되는 저면의 면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김치용기 내의 온도는 덜 상승되어 김치의 신선함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김치용기를 김치저장고의 저장실 내에 다시 넣었을 때, 김치저장고에 설치된 냉매공급장치의 에너지 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김치용기에 관해서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387366호(고안의 명칭:김치냉장고 내 저장용기)에 제안된 바 있다.
기존 김치저장고의 김치용기는 모서리부위가 저장실을 감싸고 있는 증발관과 최대한 근접되기 때문에 해당 부위에 냉기가 집중됨에 따라, 김치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국부적으로 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김치저장고의 저장실 중 상대적으로 냉기의 발산량이 많은 모서리부위에 접하는 저장용기의 모서리 내부에 발포재를 충진함으로써 더욱 단열시킴에 따라 집중되는 냉기로 인한 음식물의 어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음식물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되고 평면상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모서리에 단열성 발포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재는 상기 케이싱의 모서리를 따라 내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발포재는 상기 케이싱의 모서리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포재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충진되는 폴리우레탄폼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김치저장고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평면상 다각 형상인 저장실을 갖는 본체, 및 담겨진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저장되며 평면상 상기 저장실과 동일 형상인 저장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는, 음식물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되고 평면상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의 모서리에 단열성 발포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는 종래 기술과 달리 김치저장고의 저장실 중 상대적으로 냉기의 발산량이 많은 모서리부위에 접하는 저장용기의 모서리 내부에 발포재를 충진함으로써 더욱 단열시킴에 따라 집중되는 냉기로 인한 음식물의 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갖는 김치저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를 갖는 김치저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저장고(10)는 본체(20)에 의해 외형을 형성한다.
본체(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양문형을 포함한 스탠드형일 수도 있고, 상부 개폐식일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20)는 저장실(22)을 구비한다. 김치저장고(10)가 스탠드형일 경우, 저장실(22)은 서랍에 함몰 형성된다. 김치저장고(10)가 상부 개폐식일 경우, 저장실(22)은 본체(20)에 상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편의상, 김치저장고(10)는 상부 개폐식으로 도시하고, 저장실(22)은 본체(20)에 2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한다. 본체(20)는 저장실(22)을 개폐하기 위해 뚜껑(24)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한다.
아울러, 저장실(22)은 평면상 다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편의상, 저장실(22)은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도시한다. 이는, 제한된 평면적 내에 저장실(22)의 평면적을 최대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저장실(22)은 고내 케이스에 함몰 형성되고, 고내 케이스가 본체(20)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고내 케이스는, 저장실(22)과 동일한, 평면상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내 케이스는 외측 둘레면에 증발관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저장실(22)은 내부에 저장용기(30)를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용기(30)는 평면상 저장실(22)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저장용기(30)는 케이싱(32) 및 커버(34)를 포함한다.
케이싱(32)은 김치류와 같은 음식물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되고, 평면상 저장실(22)과 동일한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싱(32)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버(34)는 케이싱(32)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물론, 커버(34)는 케이싱(32)의 개방된 상측을 단순히 막을 수도 있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케이싱(32)에 구속될 수도 있다.
특히, 고내 케이스는 감겨진 증발관에 의해 저장용기(30)를 넣거나 빼는 방향에 해당되는 세로 방향의 모서리 부위에서 저장실(22) 내부로 냉기를 전달하는 양이 측면에서 저장실(22) 내부로 냉기를 전달하는 양보다 많게 된다. 이는, 고내 케이스의 모서리 부위와, 모서리 부위에 근접한 양쪽 측면에서 동시에 저장실(22) 내부로 냉기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저장실(22) 내부에 수납된 저장용기(30)는 저장실(22)의 모서리 부위에 대응되는 모서리로 냉기의 전달양이 측면보다 집중되어, 케이싱(32) 내부의 음식물은 국부적으로 얼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싱(32)은 모서리를 더 단열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즉, 케이싱(32)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냉기의 전달율이 낮아 일차적으로 단열처리되고, 모서리에 단열성 발포재(100)를 구비하여 이차적으로 단열처리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발포재(100)는 케이싱(32)의 모서리를 따라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부착되거나 부가 형성될 수 있으나, 케이싱(32)의 모서리를 따라 내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발포재(100)가 케이싱(32)의 외측이나 내측에 부착될 경우, 발포재(100)는 케이싱(32)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오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발포재(10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져 이중 사출될 수도 있으나, 폴리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져 케이싱(32) 내부에 충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발포재(10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케이싱(32)의 모서리에 충진될 수 있다.
특히, 발포재(100)가 케이싱(32)의 모서리 내부에 충진될 수 있도록, 케이싱(32)은 모서리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케이싱(32)의 모서리 내부가 꽉 차게 형성된 후, 발포재(100)가 케이싱(32) 내부의 조직을 파괴시키면서 강제 충진될 수도 있다.
한편, 발포재(100)는 케이싱(32)의 모서리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저장실(22)의 냉기 전달량이 모서리에서 측면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약해진다. 이는, 고내 케이스가 모서리에서 양쪽 측면으로 갈수록 양쪽 측면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발포재(100)는 평면상 전체적으로 고른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케이싱(32)의 모서리에서 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김치저장고 20: 본체
22: 저장실 24: 뚜껑
30: 저장용기 32: 케이싱
34: 커버 100: 발포재

Claims (5)

  1. 음식물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되고, 평면상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모서리에 단열성 발포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는 상기 케이싱의 모서리를 따라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는 상기 케이싱의 모서리에서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충진되는 폴리우레탄폼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5. 상측으로 개방되고, 평면상 다각 형상인 저장실을 갖는 본체; 및
    담겨진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저장되며, 평면상 상기 저장실과 동일 형상인 저장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용기는,
    음식물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되고, 평면상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저장실의 모서리에 집중되는 냉기로부터 음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모서리에 단열성 발포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저장고.
KR1020110076679A 2011-08-01 2011-08-01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KR101778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679A KR101778933B1 (ko) 2011-08-01 2011-08-01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679A KR101778933B1 (ko) 2011-08-01 2011-08-01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928A true KR20130014928A (ko) 2013-02-12
KR101778933B1 KR101778933B1 (ko) 2017-09-19

Family

ID=4789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679A KR101778933B1 (ko) 2011-08-01 2011-08-01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20Y1 (ko) 2019-07-23 2020-10-29 원진물산 주식회사 휴대가 간편한 본체 및 커프 일체형 무선 종아리 마사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933B1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249B1 (en) Ice cubes cooled container
EP2258995B1 (en) Refrigerator
US20130127322A1 (en) Refrigerator
KR20130014928A (ko) 저장용기 및 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CN205327807U (zh) 一种生鲜食品包装盒
CN107902199A (zh) 一种食品配送用保温箱
CN210455889U (zh) 保温盒
CN102538333A (zh) 冰箱
JP2004075188A (ja) 保温、保冷の蓄熱源用断熱二重容器
KR20120120662A (ko) 주류 및 음료용 보냉케이스
KR20090119510A (ko) 냉장고
KR200214927Y1 (ko) 농수산물 보관용 냉장용기
KR20020078644A (ko) 김치저장용기
KR200207003Y1 (ko) 농수산물 보관용 냉장용기
TWM541302U (zh) 幹細胞製劑保存運送裝置
JP6926698B2 (ja) 保冷庫
KR200236581Y1 (ko) 수산물 보관용 냉장용기
KR20110105093A (ko) 오크통 와인셀러
CN207450701U (zh) 一种低温抗菌便携式水果保鲜盒
KR20100106848A (ko) 보온용기
KR101167970B1 (ko) 냉각장치
JP3123006U (ja) 保冷弁当箱
KR101748501B1 (ko) 보냉 보온 장치
KR200176947Y1 (ko) 김치저장고용 김치통
JPS62461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