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874B1 -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및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 Google Patents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및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874B1
KR102025874B1 KR1020180081783A KR20180081783A KR102025874B1 KR 102025874 B1 KR102025874 B1 KR 102025874B1 KR 1020180081783 A KR1020180081783 A KR 1020180081783A KR 20180081783 A KR20180081783 A KR 20180081783A KR 102025874 B1 KR102025874 B1 KR 102025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calandria
hole
cutting
heav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주
황영환
홍성훈
김천우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1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874B1/ko
Priority to PCT/KR2019/008146 priority patent/WO2020013516A1/ko
Priority to US17/259,655 priority patent/US11417436B2/en
Priority to CA3106386A priority patent/CA3106386C/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00Reactor types
    • G21C1/04Thermal reactors ; Epithermal reactors
    • G21C1/06Heterogeneous reactors, i.e. in which fuel and moderator are separated
    • G21C1/14Heterogeneous reactors, i.e. in which fuel and moderator are separated moderator being substantially not pressurised, e.g. swimming-pool reactor
    • G21C1/16Heterogeneous reactors, i.e. in which fuel and moderator are separated moderator being substantially not pressurised, e.g. swimming-pool reactor moderator and coolant being different or separated, e.g. sodium-graphite reactor, sodium-heavy water reactor or organic coolant-heavy water reactor
    • G21C1/18Heterogeneous reactors, i.e. in which fuel and moderator are separated moderator being substantially not pressurised, e.g. swimming-pool reactor moderator and coolant being different or separated, e.g. sodium-graphite reactor, sodium-heavy water reactor or organic coolant-heavy water reactor coolant being pressurised
    • G21C1/20Heterogeneous reactors, i.e. in which fuel and moderator are separated moderator being substantially not pressurised, e.g. swimming-pool reactor moderator and coolant being different or separated, e.g. sodium-graphite reactor, sodium-heavy water reactor or organic coolant-heavy water reactor coolant being pressurised moderator being liquid, e.g. pressure-tube reactor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handling objec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removing objects from the pressure vessel
    • G21C19/207Assembling, maintenance or repair of reactor compon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2Arrangements of auxiliary equipmen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는 반응도 장치 갑판 상에 장착되며, 일 관통홀과 연통하는 인출 공간을 포함하는 차폐 장치, 상기 인출 공간 및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일 가이드 튜브의 내부로 삽입되며,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단부를 절단하는 분리 장치, 및 상기 인출 공간 및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일 가이드 튜브를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인출 공간의 내부로 인출하는 인출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및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APPARATUS FOR DECOMMISSIONING PRESSURE HEAVY WATER REACTOR FACILITIES AND METHOD FOR DECOMMISSIONING PRESSURE HEAVY WATER REACTOR FACILITIES}
본 기재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및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에 이용되는 원자력 시설 중 칼란드리아(calandria)를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은 칼란드리아를 수납하는 칼란드리아 볼트(calandria vault) 및 칼란드리아 볼트에 지지되어 칼란드리아 상부에 위치하는 반응도 장치 갑판(reactivity mechanism deck), 그리고 반응도 장치 갑판에 포함된 관통홀들을 통해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가이드 튜브들을 더 포함한다.
중수로 시설의 해체 시, 칼란드리아를 칼란드리아 볼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가이드 튜브들을 칼란드리아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는, 반응도 장치 갑판의 관통홀들을 통해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가이드 튜브들을 칼란드리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및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은 칼란드리아(calandria), 상기 칼란드리아를 수납하는 칼란드리아 볼트(calandria vault), 상기 칼란드리아 볼트에 지지되어 상기 칼란드리아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관통홀들을 포함하는 반응도 장치 갑판(reactivity mechanism deck), 및 상기 복수의 관통홀들을 통해 상기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복수의 가이드 튜브들을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도 장치 갑판 상에 장착되며, 복수의 관통홀들 중 일 관통홀과 연통하는 인출 공간을 포함하는 차폐 장치, 상기 인출 공간 및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복수의 가이드 튜브들 중 일 가이드 튜브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단부를 절단하는 분리 장치, 및 상기 인출 공간 및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상기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일 가이드 튜브를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인출 공간의 내부로 인출하는 인출 장치를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차폐 장치는 상기 분리 장치 및 상기 인출 장치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 장치는 상기 인출 공간의 내부로 인출된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일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 유닛은, 상기 일 가이드 튜브를 고정하는 튜브 고정부, 상기 튜브 고정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인출 공간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일 가이드 튜브와 접촉하는 무빙 트레이, 상기 무빙 트레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상기 일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일 가이드 튜브를 지지하는 마그네틱 그리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인출 공간 및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내부로 상하 이동하여 회전하는 제1 구동축, 상기 제1 구동축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구동축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슬라이딩하는 커팅 팁, 및 상기 제1 구동축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커팅 팁을 외부로 슬라이딩시키는 제1 푸시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 장치는, 상기 인출 공간 및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내부로 상하 이동하여 회전하는 제2 구동축, 상기 제2 구동축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구동축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슬라이딩하는 리깅 팁, 및 상기 제2 구동축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리깅 팁을 외부로 슬라이딩시키는 제2 푸시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은 칼란드리아(calandria), 상기 칼란드리아를 수납하는 칼란드리아 볼트(calandria vault), 상기 칼란드리아 볼트에 지지되어 상기 칼란드리아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관통홀들을 포함하는 반응도 장치 갑판(reactivity mechanism deck), 및 상기 복수의 관통홀들을 통해 상기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복수의 가이드 튜브들을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응도 장치 갑판 상에 복수의 관통홀들 중 일 관통홀과 연통하는 인출 공간을 포함하는 차폐 장치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인출 공간 및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복수의 가이드 튜브들 중 일 가이드 튜브의 내부로 분리 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단부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출 공간 및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내부로 인출 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상기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일 가이드 튜브를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인출 공간의 내부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을 제공한다.
절단 유닛을 이용해 상기 인출 공간의 내부로 인출된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일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가이드 튜브가 상기 인출 공간의 내부로 인출된 상기 차폐 장치를 상기 반응도 장치 갑판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차폐 장치를 밀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응도 장치 갑판의 관통홀들을 통해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가이드 튜브들을 칼란드리아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및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리 장치의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인출 장치의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중수로 시설로서 칼란드리아(calandria)를 포함하는 캔두형(CANDU)형 중수로 시설에 포함된 가이드 튜브들을 분리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를 일례로 설명하나,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수로 시설은 칼란드리아(calandria)(10), 칼란드리아(10)를 수납하는 칼란드리아 볼트(calandria vault)(20), 칼란드리아 볼트(20)에 지지되어 칼란드리아(10)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관통홀(31)들을 포함하는 반응도 장치 갑판(reactivity mechanism deck)(30), 복수의 관통홀(31)들을 통해 칼란드리아(10)와 연결된 복수의 가이드 튜브(40)들을 포함한다. 중수로 시설은 반응도 장치 갑판(30)에 지지되어 관통홀(31)을 통하는 가이드 튜브(40)들을 통해 칼란드리아(10)의 내부로 삽입된 조절봉 및 흡수봉 등의 제어 장치와 감시 장치, 그리고 반응도 장치 갑판(30)을 덮는 트레드 플레이트(tread plate)가 해체된 상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는 반응도 장치 갑판(30)의 관통홀(31)들을 통해 칼란드리아(10)와 연결된 가이드 튜브(40)들을 칼란드리아(10)로부터 분리한다.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는 차폐 장치(100), 분리 장치(200), 및 인출 장치(300)를 포함한다.
차폐 장치(100)는 반응도 장치 갑판(30)의 복수의 관통홀(31)들 중 일 관통홀(31)을 차폐하는 차폐 마개(shielding plug)가 제거된 일 관통홀(31)에 대응하여 반응도 장치 갑판(30) 상에 장착되어 일 관통홀(31)을 차폐한다.
차폐 장치(100)는 복수의 관통홀(31)들을 관통하여 칼란드리아(10)와 연결된 복수의 가이드 튜브(40)들 중 분리하고자 하는 일 가이드 튜브(40)가 관통하는 일 관통홀(31)에 대응하여 반응도 장치 갑판(3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차폐 장치(100)는 일 관통홀(31)과 연통하는 인출 공간(110), 분리 장치(200) 및 인출 장치(300)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120), 및 절단 유닛(130)을 포함한다.
인출 공간(110)은 일 관통홀(31)과 연통하며, 일 관통홀(31)의 직경 대비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인출 공간(110)을 통해 분리 장치(200) 및 인출 장치(300)가 상하 이동하여 일 관통홀(31)을 통하는 일 가이드 튜브(40)를 칼란드리아(10)로부터 분리하여 인출할 수 있다.
인출 공간(110)에는 분리 장치(200) 또는 인출 장치(300)가 삽입될 수 있다. 인출 공간(110) 및 일 관통홀(31)을 통한 분리 장치(200)는 상하 이동하여 칼란드리아(10)와 연결된 일 가이드 튜브(40)의 단부를 절단하며, 인출 공간(110) 및 일 관통홀(31)을 통한 인출 장치(300)는 상하 이동하여 칼란드리아(10)로부터 절단된 일 가이드 튜브(40)를 인출 공간(110)으로 인출한다.
구동부(120)는 분리 장치(200) 및 인출 장치(300)를 상하 이동한다. 구동부(120)는 서로 연결된 기어, 축,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분리 장치(200) 및 인출 장치(300)를 인출 공간(110) 및 일 관통홀(31) 내부를 통해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면 공지된 다양한 구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절단 유닛(130)은 인출 장치(300)에 의해 일 관통홀(31)을 통해 인출 공간(110)의 내부로 인출된 일 가이드 튜브(40)의 일 부분을 절단한다. 절단 유닛(130)에 의해 절단된 일 가이드 튜브(40)의 일 부분은 인출 공간(110)을 통해 차폐 장치(100)의 외부로 인출되어 드럼(drum) 등의 폐기물 용기에 밀폐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절단 유닛(130)은 튜브 고정부(131), 무빙 트레이(132), 절단부(133), 및 마그네틱 그리퍼(134)를 포함한다.
튜브 고정부(131)는 반응도 장치 갑판(30) 상에 위치하며, 인출 공간(110)을 통하는 인출 장치(300)에 의해 인출 공간(110)으로 인출된 일 가이드 튜브(40)의 하측 부분(43)을 고정한다. 튜브 고정부(131)는 인출 공간(110)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인출 공간(110)으로 슬라이딩하여 일 가이드 튜브(40)의 하측 부분(43)을 고정할 수 있다.
무빙 트레이(132)는 튜브 고정부(131) 상에 위치하며, 인출 공간(110)으로 슬라이딩하여 일 가이드 튜브(40)와 접촉한다. 무빙 트레이(132)는 절단부(133)에 의해 일 가이드 튜브(40)가 절단될 때 발생하는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무빙 트레이(132)는 일 가이드 튜브(40)의 절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이물질이 인출 공간(110) 및 일 관통홀(31)을 통해 반응도 장치 갑판(30) 하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무빙 트레이(132)는 튜브 고정부(131)와 절단부(133) 사이에 위치한다.
절단부(133)는 무빙 트레이(132) 상에 위치하며, 일 가이드 튜브(40)의 일 부분(41)을 절단한다. 일 가이드 튜브(40)의 일 부분(41)은 튜브 고정부(131)에 의해 고정되는 일 가이드 튜브(40)의 하측 부분(43)과 마그네틱 그리퍼(134)에 의해 지지되는 일 가이드 튜브(40)의 상측 부분(42) 사이에 위치한다. 절단부(133)는 인출 공간(110)으로 슬라이딩하여 일 가이드 튜브(40)의 일 부분(41)을 절단할 수 있다. 절단부(133)는 일 가이드 튜브(40)의 일 부분(41)을 절단할 수 있다면, 공지된 다양한 절단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133)는 무빙 트레이(132)와 마그네틱 그리퍼(134) 사이에 위치한다.
마그네틱 그리퍼(134)는 절단부(133) 상에 위치하며, 일 가이드 튜브(40)의 상측 부분(42)을 지지한다. 마그네틱 그리퍼(134)는 인출 공간(110)으로 슬라이딩하거나 또는 인출 공간(110)을 형성하는 차폐 장치(100)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마그네틱 그리퍼(134)는 자기력을 이용해 일 가이드 튜브(40)의 상측 부분(42)을 지지한다. 마그네틱 그리퍼(134)는, 절단부(133)에 의해 일 가이드 튜브(40)의 일 부분(41)이 절단될 때, 일 가이드 튜브(40)의 상측 부분(42)을 지지하여 상측 부분(42)이 인출 공간(110) 및 일 관통홀(31)을 통해 반응도 장치 갑판(30) 하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분리 장치(200)는 인출 공간(110) 및 일 관통홀(31)을 통해 복수의 가이드 튜브(40)들 중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삽입된다. 분리 장치(200)는 칼란드리아(10)와 연결된 일 가이드 튜브(40)의 단부를 절단한다. 여기서, 일 가이드 튜브(40)의 단부는 심블(thimbl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리 장치의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분리 장치(200)는 제1 구동축(210), 제1 엔드 이펙터(220), 제1 푸시 로드(230)를 포함한다.
제1 구동축(210)은 인출 공간(110) 및 일 관통홀(31)을 통해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상하 이동하며,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구동축(210)은 내부에 형성된 제1 푸시 공간(211)을 포함한다. 제1 푸시 공간(211)에는 제1 푸시 로드(230)가 삽입되어 제1 엔드 이펙터(220)의 커팅 팁(221)을 외부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제1 엔드 이펙터(220)는 제1 구동축(210)의 단부에 위치하며 제1 구동축(2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슬라이딩하는 커팅 팁(221)을 포함한다. 커팅 팁(221)은 4개의 커팅 날을 포함하며, 4개의 커팅 날은 제1 구동축(2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일 가이드 튜브(40)의 단부를 절단할 수 있다.
제1 푸시 로드(230)는 제1 구동축(2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커팅 팁(221)을 외부로 슬라이딩시킨다. 제1 푸시 로드(230)는 제1 엔드 이펙터(220)가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의 단부에 위치하면 제1 구동축(210)의 제1 푸시 공간(211)에 삽입되어 제1 엔드 이펙터(220)의 커팅 팁(221)을 외부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제1 푸시 로드(230) 및 제1 구동축(210)은 구동부(12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인출 장치(300)는 인출 공간(110) 및 일 관통홀(31)을 통해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인출 장치(300)는 분리 장치(200)에 의해 칼란드리아(10)로부터 분리된 일 가이드 튜브(40)의 단부를 지지하여 일 가이드 튜브(40)를 일 관통홀(31)을 통해 차폐 장치(100)의 인출 공간(110)의 내부로 인출한다. 이때, 차폐 장치(100)의 절단 유닛(130)에 의해 일 가이드 튜브(40)의 일 부분이 절단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인출 장치의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인출 장치(300)는 제2 구동축(310), 제2 엔드 이펙터(320), 제2 푸시 로드(330)를 포함한다.
제2 구동축(310)은 인출 공간(110) 및 일 관통홀(31)을 통해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상하 이동하며,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구동축(310)은 내부에 형성된 제2 푸시 공간(311)을 포함한다. 제2 푸시 공간(311)에는 제2 푸시 로드(330)가 삽입되어 제2 엔드 이펙터(320)의 리깅 팁(321)을 외부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제2 엔드 이펙터(320)는 제2 구동축(310)의 단부에 위치하며 제2 구동축(3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슬라이딩하는 리깅 팁(321)을 포함한다. 리깅 팁(321)은 4개의 리깅부를 포함하며, 4개의 리깅부는 일 가이드 튜브(40)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푸시 로드(330)는 제2 구동축(310)의 내부로 삽입되며 리깅 팁(321)을 외부로 슬라이딩시킨다. 제2 푸시 로드(330)는 제2 엔드 이펙터(320)가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의 단부에 위치하면 제2 구동축(310)의 제2 푸시 공간(311)에 삽입되어 제2 엔드 이펙터(320)의 리깅 팁(321)을 외부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제2 푸시 로드(330) 및 제2 구동축(310)은 구동부(12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인출 장치(300)의 제2 구동축(310) 및 제2 푸시 로드(330)는 분리 장치(200)의 제1 구동축(210) 및 제1 푸시 로드(23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분리 장치(200)는 커팅 팁(221)을 포함하는 제1 엔드 이펙터(220)를 제1 구동축(210)으로부터 제거하고 리깅 팁(321)을 포함하는 제2 엔드 이펙터(320)를 제1 구동축(210)에 장착하여 인출 장치(300)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는 차폐 장치(100)를 반응도 장치 갑판(30)에 장착하고, 분리 장치(200)를 일 관통홀(31) 및 인출 공간(110)을 통해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삽입하여 칼란드리아(10)와 연결된 일 가이드 튜브(40)의 단부를 절단하고, 인출 장치(300)를 일 관통홀(31) 및 인출 공간(110)을 통해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삽입하여 일 가이드 튜브(40)를 인출 공간(110)으로 인출함으로써, 가이드 튜브(40)들을 칼란드리아(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한다.
즉, 반응도 장치 갑판(30)의 관통홀(31)들을 통해 칼란드리아(10)와 연결된 가이드 튜브(40)들을 칼란드리아(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을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반응도 장치 갑판(30) 상에 일 관통홀(31)과 연통하는 인출 공간(110)을 포함하는 차폐 장치(100)를 장착한다(S110).
구체적으로, 칼란드리아(10), 칼란드리아 볼트(20), 반응도 장치 갑판(30)을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반응도 장치 갑판(30) 상에 복수의 관통홀(31)들 중 일 관통홀(31)과 연통하는 인출 공간(110)을 포함하는 차폐 장치를 장착한다.
다음,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분리 장치(200)를 삽입하여, 칼란드리아(10)와 연결된 일 가이드 튜브(40)의 단부를 절단한다(S120).
구체적으로, 인출 공간(110) 및 일 관통홀(31)을 통해 복수의 가이드 튜브(40)들 중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구동부(120)를 이용해 분리 장치(200)를 삽입하여, 칼란드리아(10)와 연결된 일 가이드 튜브(40)의 단부를 절단한다.
다음,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인출 장치(300)를 삽입하여, 일 가이드 튜브(40)의 인출 공간(110)의 내부로 인출한다(S130).
구체적으로, 인출 공간(110) 및 일 관통홀(31)을 통해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인출 장치(300)를 삽입하여, 일 가이드 튜브(40)의 단부를 지지하여 일 가이드 튜브(40)를 일 관통홀(31)을 통해 인출 공간(110)의 내부로 인출한다.
다음, 절단 유닛(130)을 이용해 인출 공간(110)의 내부로 인출된 일 가이드 튜브(40)의 일 부분을 절단한다(S140).
구체적으로, 절단 유닛(130)을 이용해 인출 공간(110)의 내부로 인출된 일 가이드 튜브(40)의 일 부분을 절단한다. 이때, 가이드 튜브(40)는 드럼 등의 폐기물 용기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단될 수 있다.
다음, 일 가이드 튜브(40)의 절단된 부분들을 폐기물 용기에 수납하여 다른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은 차폐 장치(100)를 반응도 장치 갑판(30)에 장착하고, 분리 장치(200)를 일 관통홀(31) 및 인출 공간(110)을 통해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삽입하여 칼란드리아(10)와 연결된 일 가이드 튜브(40)의 단부를 절단하고, 인출 장치(300)를 일 관통홀(31) 및 인출 공간(110)을 통해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삽입하여 일 가이드 튜브(40)를 인출 공간(110)으로 인출하면서 폐기물 용기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가이드 튜브(40)들을 칼란드리아(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한다.
즉, 반응도 장치 갑판(30)의 관통홀(31)들을 통해 칼란드리아(10)와 연결된 가이드 튜브(40)들을 칼란드리아(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을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에서 절단 유닛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반응도 장치 갑판(30) 상에 일 관통홀(31)과 연통하는 인출 공간(110)을 포함하는 차폐 장치(100)를 장착한다(S210).
다음,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분리 장치를 삽입하여,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일 가이드 튜브(40)의 단부를 절단한다(S220).
다음,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인출 장치를 삽입하여, 일 가이드 튜브(40)의 인출 공간(110)의 내부로 인출한다(S230).
다음, 일 가이드 튜브(40)가 인출 공간(110)의 내부로 인출된 차폐 장치(100)를 반응도 장치 갑판(30)으로부터 분리하고, 차폐 장치(100)를 밀폐한다(S240).
구체적으로, 일 가이드 튜브(40)가 인출 공간(110)의 내부로 인출된 차폐 장치(100)를 절단 수단을 이용해 일부 절단하여 반응도 장치 갑판(30)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차폐 마개(70)를 이용해 인출 공간(110)의 내부에 일 가이드 튜브(40)가 위치하는 차폐 장치(100)를 밀폐한다.
다음, 이송 수단(60)을 이용해 일 가이드 튜브(40)가 밀폐된 차폐 장치(100)를 폐기물 용기로서 이용하여 다른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은 차폐 장치(100)를 반응도 장치 갑판(30)에 장착하고, 분리 장치를 일 관통홀(31) 및 인출 공간(110)을 통해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삽입하여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일 가이드 튜브(40)의 단부를 절단하고, 인출 장치를 일 관통홀(31) 및 인출 공간(110)을 통해 일 가이드 튜브(40)의 내부로 삽입하여 일 가이드 튜브(40)를 인출 공간(110)으로 인출하고, 일 가이드 튜브(40)가 인출 공간(110)의 내부로 인출된 차폐 장치(100)를 반응도 장치 갑판(30)으로부터 분리하고, 차폐 마개(70)를 이용해 차폐 장치(100)를 밀폐하여 폐기물 용기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폐기물 용기를 사용할 필요 없이 가이드 튜브(40)들을 칼란드리아(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는 동시에 가이드 튜브(40)들을 다음 공정으로 용이하게 이송한다.
즉, 반응도 장치 갑판(30)의 관통홀(31)들을 통해 칼란드리아(10)와 연결된 가이드 튜브(40)들을 칼란드리아(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는 동시에 가이드 튜브(40)들을 다음 공정으로 용이하게 이송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칼란드리아(10), 칼란드리아 볼트(20), 반응도 장치 갑판(30), 가이드 튜브(40), 차폐 장치(100), 분리 장치(200), 인출 장치(300)

Claims (9)

  1. 칼란드리아(calandria), 상기 칼란드리아를 수납하는 칼란드리아 볼트(calandria vault), 상기 칼란드리아 볼트에 지지되어 상기 칼란드리아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관통홀들을 포함하는 반응도 장치 갑판(reactivity mechanism deck), 및 상기 복수의 관통홀들을 통해 상기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복수의 가이드 튜브들을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도 장치 갑판 상에 장착되며, 복수의 관통홀들 중 일 관통홀과 연통하는 인출 공간을 포함하는 차폐 장치;
    상기 인출 공간 및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복수의 가이드 튜브들 중 일 가이드 튜브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단부를 절단하는 분리 장치; 및
    상기 인출 공간 및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상기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일 가이드 튜브를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인출 공간의 내부로 인출하는 인출 장치
    를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차폐 장치는 상기 분리 장치 및 상기 인출 장치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차폐 장치는 상기 인출 공간의 내부로 인출된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일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 유닛을 더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절단 유닛은,
    상기 일 가이드 튜브를 고정하는 튜브 고정부;
    상기 튜브 고정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인출 공간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일 가이드 튜브와 접촉하는 무빙 트레이;
    상기 무빙 트레이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상기 일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일 가이드 튜브를 지지하는 마그네틱 그리퍼
    를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인출 공간 및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내부로 상하 이동하여 회전하는 제1 구동축;
    상기 제1 구동축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구동축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슬라이딩하는 커팅 팁; 및
    상기 제1 구동축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커팅 팁을 외부로 슬라이딩시키는 제1 푸시 로드
    를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인출 장치는,
    상기 인출 공간 및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내부로 상하 이동하여 회전하는 제2 구동축;
    상기 제2 구동축의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구동축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슬라이딩하는 리깅 팁; 및
    상기 제2 구동축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리깅 팁을 외부로 슬라이딩시키는 제2 푸시 로드
    를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7. 칼란드리아(calandria), 상기 칼란드리아를 수납하는 칼란드리아 볼트(calandria vault), 상기 칼란드리아 볼트에 지지되어 상기 칼란드리아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관통홀들을 포함하는 반응도 장치 갑판(reactivity mechanism deck), 및 상기 복수의 관통홀들을 통해 상기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복수의 가이드 튜브들을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반응도 장치 갑판 상에 복수의 관통홀들 중 일 관통홀과 연통하는 인출 공간을 포함하는 차폐 장치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인출 공간 및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복수의 가이드 튜브들 중 일 가이드 튜브의 내부로 분리 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칼란드리아와 연결된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단부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출 공간 및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내부로 인출 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상기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일 가이드 튜브를 상기 일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인출 공간의 내부로 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8. 제7항에서,
    절단 유닛을 이용해 상기 인출 공간의 내부로 인출된 상기 일 가이드 튜브의 일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일 가이드 튜브가 상기 인출 공간의 내부로 인출된 상기 차폐 장치를 상기 반응도 장치 갑판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차폐 장치를 밀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KR1020180081783A 2018-07-13 2018-07-13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및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KR102025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783A KR102025874B1 (ko) 2018-07-13 2018-07-13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및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PCT/KR2019/008146 WO2020013516A1 (ko) 2018-07-13 2019-07-03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및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US17/259,655 US11417436B2 (en) 2018-07-13 2019-07-03 Apparatus for decommissioning heavy-water reactor facilities and method for decommissioning heavy-water reactor facilities
CA3106386A CA3106386C (en) 2018-07-13 2019-07-03 Apparatus for decommissioning heavy-water reactor facilities and method for decommissioning heavy-water reactor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783A KR102025874B1 (ko) 2018-07-13 2018-07-13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및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874B1 true KR102025874B1 (ko) 2019-09-26

Family

ID=6806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783A KR102025874B1 (ko) 2018-07-13 2018-07-13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및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17436B2 (ko)
KR (1) KR102025874B1 (ko)
CA (1) CA3106386C (ko)
WO (1) WO202001351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892A (ko) * 2020-04-06 2021-10-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KR20210123897A (ko) * 2020-04-06 2021-10-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시설의 칼란드리아의 해체 방법
KR20230118254A (ko) * 2022-02-04 2023-08-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및 해체방법
KR20230118244A (ko) 2022-02-04 2023-08-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구조물의 취급시스템 및 취급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9299A1 (en) * 2022-02-28 2023-08-31 Ats Corporation Systems, tools and methods for disassembling and segmenting a calandria nuclear reactor
WO2024050631A1 (en) * 2022-09-07 2024-03-14 Ats Corporation Tools and methods for segmenting a calandria tube she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1710A (ja) * 2004-03-31 2005-10-20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原子炉本体の解体方法
KR101390889B1 (ko) * 2012-09-26 2014-05-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원자로 원격육안검사 시스템 및 중수로 원자로 원격육안검사 방법
KR101776102B1 (ko) * 2016-10-28 2017-09-1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칼란드리아 내부 구조물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3815A (en) * 1953-07-23 1958-12-09 Moore Richard Valentine Nuclear reactor
NL124298C (ko) * 1959-01-29
US4070239A (en) * 1976-04-23 1978-01-24 Combustion Engineering, Inc. Ball check valve
US4756656A (en) * 1986-03-03 1988-07-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Sectional device handling tool
DE4236005C2 (de) * 1992-10-24 1994-08-25 Bbc Reaktor Gmbh Verfahren zum Austausch eines einen Deckel eines Kernreaktordruckbehälters durchsetzenden Stutzens
JP3373102B2 (ja) * 1996-01-31 2003-02-04 株式会社東芝 移動式炉心内計装系の切断弁
JP4256349B2 (ja) 2005-01-07 2009-04-22 株式会社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アンド・サービス 原子炉の解体および撤去装置、並びに解体および撤去方法
KR100712702B1 (ko) * 2006-03-08 2007-05-02 한국원자력연구소 사용후핵연료봉 이송관에서 연료봉 인출을 위한 인출공구지그
CA2727492C (en) * 2011-01-14 2014-09-09 Ge-Hitachi Nuclear Energy Canada Inc. Method for removal of pressure tubes and calandria tubes from a nuclear reactor
KR101364618B1 (ko) * 2012-04-25 2014-02-20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 후 핵연료봉 저장튜브로부터 핵연료봉을 인출하기 위한 범용 인출가이드
WO2018098003A1 (en) * 2016-11-28 2018-05-31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Pressure boundary bolted anti-ej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1710A (ja) * 2004-03-31 2005-10-20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原子炉本体の解体方法
KR101390889B1 (ko) * 2012-09-26 2014-05-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원자로 원격육안검사 시스템 및 중수로 원자로 원격육안검사 방법
KR101776102B1 (ko) * 2016-10-28 2017-09-1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칼란드리아 내부 구조물 검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892A (ko) * 2020-04-06 2021-10-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KR20210123897A (ko) * 2020-04-06 2021-10-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시설의 칼란드리아의 해체 방법
KR102414758B1 (ko) * 2020-04-06 2022-06-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시설의 칼란드리아의 해체 방법
KR102414757B1 (ko) * 2020-04-06 2022-06-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KR20230118254A (ko) * 2022-02-04 2023-08-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및 해체방법
KR20230118244A (ko) 2022-02-04 2023-08-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구조물의 취급시스템 및 취급방법
KR102643938B1 (ko) * 2022-02-04 2024-03-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및 해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87817A1 (en) 2021-09-16
CA3106386C (en) 2023-08-15
WO2020013516A1 (ko) 2020-01-16
CA3106386A1 (en) 2020-01-16
US11417436B2 (en)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874B1 (ko)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및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US4336103A (en) Method of repairing partly burnt-off fuel elements in the fuel-element pit pressurized water reactors and device therefor
US4056435A (en) Loading and unloading of a nuclear reactor core
KR102524908B1 (ko) 방사선조사 표적 취급 장치
JP4256349B2 (ja) 原子炉の解体および撤去装置、並びに解体および撤去方法
GB84476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nuclear reactors
US4313793A (en) Machine for removing in-core instrument assemblies from a nuclear reactor
US7965807B2 (en) Instrument removal system
KR101700801B1 (ko) 관내에 배치되어 있는 기다란 요소를 수중에서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장치 및 하나의 이러한 요소를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것을 도와 주는 방법
US3947318A (en) Liquid-metal-cooled reactor
US4095495A (en)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 a bundle of irradiated nuclear fuel tubes
CN102600920A (zh) 试管加盖机
US3143231A (en) Machine for the extraction of nuclear fuel cartridges
CN110998747B (zh) 用于把反应堆长形元件分解成短段的方法
CN112407261A (zh) 一种具有防坠落结构的环境检测无人机
US3344033A (en) Handling apparatus for nuclear reactor refueling facility
KR102573873B1 (ko) 노내계측기 처리장치
CN113735037B (zh) 用于从样本管去除盖的密闭去盖装置及方法
RU2785999C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го обследования шахты внутрикорпусной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3378448A (en) Irradiation apparatus
JPH0882694A (ja) 制御棒位置検出装置
Freedman et al. CUTTING AND WEDGING JACKET REMOVER
GB898895A (en) Improvements in nuclear reactor charging arrangements
US4482343A (en) Apparatus for dissolving a powder in a liquid solvent
GB934221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nuclear reactor refuelling arrang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