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938B1 -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및 해체방법 - Google Patents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및 해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938B1
KR102643938B1 KR1020220014579A KR20220014579A KR102643938B1 KR 102643938 B1 KR102643938 B1 KR 102643938B1 KR 1020220014579 A KR1020220014579 A KR 1020220014579A KR 20220014579 A KR20220014579 A KR 20220014579A KR 102643938 B1 KR102643938 B1 KR 102643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
fuel assembly
nuclear fuel
end eff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8254A (ko
Inventor
김민철
김현민
권근만
이충규
박선규
박성준
조성민
박광수
장규호
김창규
김해웅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4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938B1/ko
Publication of KR2023011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34Apparatus or processes for dismantling nuclear fuel, e.g. before reprocessing ; Apparatus or processes for dismantling strings of spent fuel elements
    • G21C19/36Mechanical means only
    • G21C19/365Removing cannings or casings from fuel
    • G21C19/37Removing cannings or casings from fuel by separating into pieces both the canning or the casing and the fuel element, e.g. by cutting or sh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5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 B25J15/006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with different types of end effectors, e.g. gripper and welding gu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및 해체방법을 제공한다.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은 대상물과 인접하는 연료핸들링유닛; 연료핸들링유닛과 연계되는 적재유닛; 및 상기 적재유닛에 연계되며, 엔드이펙터를 통해 대상물에 대한 가공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적재유닛에 출몰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출몰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을 상기 적재유닛 내부로 인출하여 위치시킨다.

Description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및 해체방법{Nuclear fuel assembly dismantling system and dismantling method}
본 발명은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및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핵연료집합체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각 대상 구조물에 대한 절단 또는 해체 장치가 필요하다. 예컨데 벨로우즈 용접부 가공장치, 압력관 절단 장치, 슬리브 인덕션 히팅장치, 압력관 인출장치 등의 각 장치는 독립적인 장치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발전소의 연료취급장치(Fuel Handling Machine)에 설치되어 각 구조물을 해체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독립적인 장치 구성을 가지고 있어 연료취급장치에 매번 설치 및 해체를 해야 한다. 이로 인해 작업자의 피폭 증가 및 작 업 일정 등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각 장치들이 연료취급장치에 설치되기 대문에 연료취급장치 자체의 크기가 증가하고, 이에 대한 문제 발생 시 전체적인 장치를 해체하여 수정/보완해야 한다. 때문에 유지/보수 시 시간소모와 작업자 안전 등에 문제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681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핵연료집합체 구조물을 해체하기 위한 해체수단으로서 발전소에 구비되는 연료취급수단에 연동되는 각각의 파츠를 적용하여 제작비용 절감 및 운용 효율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해체수단을 이루는 각 파츠를 작업 위치로 정확하게 위치시켜 작업자의 원격 제어 효율성과 정밀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파츠 중 일부에 폐기물을 적재 및 차폐하여 작업자 피폭 저감 및 효율적인 폐기물 핸들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핵연료집합체 구조물을 해체하기 위한 파츠로서 대형의 장비를 탑재하는 것이 아닌 중/소형의 엔드이펙터로 탑재함으로써 중량물 취급 상의 산업 안전 확보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은, 대상물과 인접하는 연료핸들링유닛; 연료핸들링유닛과 연계되는 적재유닛; 및 상기 적재유닛에 연계되며, 엔드이펙터를 통해 대상물에 대한 가공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적재유닛에 출몰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출몰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을 상기 적재유닛 내부로 인출하여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연료핸들링유닛과 연계되며, 상기 대상물을 상기 적재유닛으로부터 인출하여 기 설정된 보관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적재유닛의 상부로 상기 대상물을 인출한다.
또한 상기 적재유닛은 상부에 개구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개구영역으로의 진입을 통해 상기 대상물을 인출한다.
또한 상기 적재유닛은 상기 개구영역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개폐모듈은, 상기 적재유닛 내부의 상기 대상물을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영역를 닫거나, 상기 이송유닛의 진입을 위하여 상기 개구영역을 오픈시킨다.
또한 상기 연료핸들링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대상물을 촬영하여 촬영정보를 생성하는 비전촬영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엔드이펙터는 상기 비전촬영체의 상기 촬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에 대한 내부진입이 이루어진다.
또한 엔드이펙터는, 상기 대상물의 제1위치에 진입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제1엔드이펙터와, 상기 대상물의 제1위치와 다른 제2위치 진입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제2엔드이펙터와, 상기 대상물의 제2위치와 다른 제3위치 진입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제3엔드이펙터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제1엔드이펙터 내지 상기 제3엔드이펙터가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3위치 상에 각각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엔드이펙터 내지 상기 제3엔드이펙터 각각에 장착되어 상기 대상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제1엔드이펙터 내지 상기 제3엔드이펙터에 로테이션(rotation) 장착되며, 상기 로테이션 장착은, 상기 제1엔드이펙터 내지 상기 제3엔드이펙터 각각의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3위치에 대한 작업 진척정도, 작업 순서, 작업 중요도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또한 상기 대상물은 외부에 위치되는 외장체와, 상기 외장체 내부에 위치되는 내장체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내장체를 상기 외장체상에서 절단한 뒤, 상기 적재유닛에서 후속절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작업유닛에 의하여 후속절단된 상기 내장체를 상부로 인출한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후속절단을 위하여 상기 내장체를 고정시키며,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내장체를 절단하여 상기 후속절단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외장체는 칼란드리아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내장체는 연료관채널, 엔드피팅, 원자로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취급을 위한 대상물이 선정되는 단계; 및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이 상기 대상물에 대한 해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은,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으로서, 대상물과 인접하는 연료핸들링유닛; 연료핸들링유닛과 연계되는 적재유닛; 및 상기 적재유닛에 연계되며, 엔드이펙터를 통해 대상물에 대한 가공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적재유닛에 출몰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출몰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을 상기 적재유닛 내부로 인출하여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및 해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핵연료집합체 구조물을 해체하기 위한 해체수단으로서 발전소에 구비되는 연료취급수단에 연동되는 각각의 파츠를 적용하여 제작비용 절감 및 운용 효율성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해체수단을 이루는 각 파츠를 작업 위치로 정확하게 위치시켜 작업자의 원격 제어 효율성과 정밀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파츠 중 일부에 폐기물을 적재 및 차폐하여 작업자 피폭 저감 및 효율적인 폐기물 핸들링이 가능하다.
또한 핵연료집합체 구조물을 해체하기 위한 파츠로서 대형의 장비를 탑재하는 것이 아닌 중/소형의 엔드이펙터로 탑재함으로써 중량물 취급 상의 산업 안전 확보 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의 구성이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 해체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100)은 연료핸들링유닛(110), 적재유닛(120), 작업유닛(130), 이송유닛(140) 및 촬영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적재유닛(120)은 개폐모듈(125)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료핸들링유닛(110)은 해체를 위한 대상물(10)과 인접하도록 높이이동과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작업유닛(130)은 상기 적재유닛(120)에 연계되도록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유닛(130)은 엔드이펙터(135)를 통해 상기 대상물(10)에 대한 가공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엔드이펙터(135)는 상기 대상물(10)에 대한 파지, 절단, 인출 등의 기능을 갖추도록 구비된다.
상기 작업유닛(130)은 상기 적재유닛(120)에 적어도 전후로의 출몰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작업유닛(130)은 상기 출몰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10)을 상기 적재유닛(120) 내부로 인출하여 외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이송유닛(140)은 상기 연료핸들링유닛(110)과 연계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이송유닛(140)은 상기 대상물(10)을 상기 적재유닛(120)으로부터 인출하여 기 설정된 보관위치로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유닛(140)은 예컨데 상기 적재유닛(120)의 상부로 상기 대상물(10)을 인출한다. 상기 적재유닛(120)은 상부에 개구영역(120S)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유닛(140)은 상기 개구영역(120S)으로의 진입을 통해 상기 대상물(10)을 인출한다. 상기 촬영모듈(150)은 상기 연료핸들링유닛(110)에 구비된다.
상기 촬영모듈(150)은 상기 대상물(10)을 촬영하여 촬영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엔드이펙터(135)는 상기 촬영모듈(150)의 상기 촬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10)에 대한 내부진입을 수행한다.
상기 엔드이펙터(135)의 상기 제1엔드이펙터(135)는 상기 대상물(10)의 제1위치에 진입되어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엔드이펙터(135)의 상기 제2엔드이펙터(135)는 상기 대상물(10)의 제1위치와 다른 제2위치 진입되어 작업을 수행한다.상기 엔드이펙터(135)의 상기 제3엔드이펙터(135)는 상기 대상물(10)의 제2위치와 다른 제3위치 진입되어 작업을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엔드이펙터(135) 내지 상기 제3엔드이펙터(135)가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3위치 상에 각각 진입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작업유닛(130)은 상기 제1엔드이펙터(135) 내지 상기 제3엔드이펙터(135) 각각에 장착되어 상기 대상물(10)에 대한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작업유닛(130)은 상기 제1엔드이펙터(135) 내지 상기 제3엔드이펙터(135)에 로테이션(rotation) 장착된다. 상기 로테이션 장착은 기 설정된 조건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예컨데 상기 로데이션 장착은 상기 제1엔드이펙터(135) 내지 상기 제3엔드이펙터(135) 각각의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3위치에 대한 작업 진척정도, 작업 순서, 작업 중요도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상기 대상물(10)은 외부에 위치되는 외장체(11)와, 상기 외장체(11) 내부에 위치되는 내장체(12)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유닛(130)은 상기 내장체(12)를 상기 외장체(11)상에서 절단한 뒤, 상기 적재유닛(120)에서 후속절단한다.
아울러 상기 이송유닛(140)은 상기 작업유닛(130)에 의하여 후속절단된 상기 내장체(12)를 상부로 인출한다. 상기 이송유닛(140)은 상기 후속절단을 위하여 상기 내장체(12)를 고정시킨다.
상기 작업유닛(130)은 상기 이송유닛(140)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내장체(12)를 절단하여 상기 후속절단을 수행한다. 상기 외장체(11)는 칼란드리아 볼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내장체(12)는 연료관채널, 엔드피팅, 원자로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적재유닛(120)의 상기 개폐모듈(125)은 상기 개구영역(120S)을 개폐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모듈(125)은 클로즈동작을 통해 상기 적재유닛(120) 내부의 상기 대상물(10)을 차폐시킨다. 상기 개폐모듈(125)은 열림동작을 통해 상기 적재유닛(120) 내부의 상기 대상물(10)이 노출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핵연료 집합체 해체방법(S100)은 먼저 취급을 위한 대상물이 선정된다. 이어서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이 상기 대상물에 대한 해체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100)은 대상물(10)과 인접하는 연료핸들링유닛(110)과, 연료핸들링유닛(110)과 연계되는 적재유닛(120) 및 상기 적재유닛(120)에 연계되며, 엔드이펙터(135)를 통해 대상물(10)에 대한 가공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유닛(130)을 포함한다.
상기 작업유닛(130)은 상기 적재유닛(120)에 출몰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출몰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을 상기 적재유닛(120) 내부로 인출하여 위치시킨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대상물
11: 외장체
12: 내장체
110: 연료핸들링유닛
120: 적재유닛
130: 작업유닛
135: 엔드이펙터
140: 이송유닛
150: 촬영모듈

Claims (10)

  1.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으로서,
    대상물과 인접하는 연료핸들링유닛;
    연료핸들링유닛과 연계되는 적재유닛; 및
    상기 적재유닛에 연계되며, 엔드이펙터를 통해 상기 대상물에 대한 가공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엔드이펙터는,
    상기 대상물의 제1위치에 진입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제1엔드이펙터와,
    상기 대상물의 제1위치와 다른 제2위치 진입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제2엔드이펙터와,
    상기 대상물의 제2위치와 다른 제3위치 진입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제3엔드이펙터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적재유닛에 출몰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출몰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을 상기 적재유닛 내부로 인출하여 위치시키고,
    상기 제1엔드이펙터 내지 상기 제3엔드이펙터가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3위치 상에 각각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엔드이펙터 내지 상기 제3엔드이펙터 각각에 장착되어 상기 대상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핸들링유닛과 연계되며, 상기 대상물을 상기 적재유닛으로부터 인출하여 기 설정된 보관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적재유닛의 상부로 상기 대상물을 인출하는,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유닛은 상부에 개구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개구영역으로의 진입을 통해 상기 대상물 을 인출하는,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핸들링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대상물을 촬영하여 촬영정보를 생성하는 비전촬영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엔드이펙터는 상기 비전촬영체의 상기 촬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물에 대한 내부진입이 이루어지는,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제1엔드이펙터 내지 상기 제3엔드이펙터에 로테이션(rotation) 장착되며,
    상기 로테이션 장착은,
    상기 제1엔드이펙터 내지 상기 제3엔드이펙터 각각의 상기 제1위치 내지 상기 제3위치에 대한 작업 진척정도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은
    외부에 위치되는 외장체와, 상기 외장체 내부에 위치되는 내장체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내장체를 상기 외장체상에서 절단한 뒤, 상기 적재유닛에서 후속절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작업유닛에 의하여 후속절단된 상기 내장체를 상부로 인출하는,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후속절단을 위하여 상기 내장체를 고정시키며,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내장체를 절단하여 상기 후속절단을 수행하는,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는 칼란드리아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내장체는 연료관채널, 엔드피팅, 원자로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10. 삭제
KR1020220014579A 2022-02-04 2022-02-04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및 해체방법 KR102643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579A KR102643938B1 (ko) 2022-02-04 2022-02-04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및 해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579A KR102643938B1 (ko) 2022-02-04 2022-02-04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및 해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254A KR20230118254A (ko) 2023-08-11
KR102643938B1 true KR102643938B1 (ko) 2024-03-08

Family

ID=87566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579A KR102643938B1 (ko) 2022-02-04 2022-02-04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및 해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9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874B1 (ko) * 2018-07-13 2019-09-2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및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5747B2 (en) 2008-12-25 2016-05-31 Thorium Power, Inc. Light-water reactor fuel assembly (alternatives), a light-water reactor, and a fuel element of fuel assembly
KR20150075822A (ko) * 2013-12-26 2015-07-06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로용기 해체 작업용 벽면 이동형 로봇 시스템
KR102414758B1 (ko) * 2020-04-06 2022-06-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시설의 칼란드리아의 해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874B1 (ko) * 2018-07-13 2019-09-2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중수로 시설의 해체 장치 및 중수로 시설의 해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254A (ko)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3884A (en) Remote manipulation assembly
EP3790024A1 (en) Remote dismantling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and nuclear power plant having same
KR102217644B1 (ko) 필터 교체 장치
KR101534675B1 (ko) 원자로 압력용기 원격 해체 작업용 로봇 시스템
Miccichè et al. The remote handling system of IFMIF-DONES
Crofts et al. EU DEMO remote maintenance system development during the pre-concept design phase
KR102607798B1 (ko) 칼란드리아 관 인서트 해제 및 제거 도구 및 방법
US57493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eventive maintenance on the bottom portion of a reactor pressure vessel using cavitation bubbles
KR102643938B1 (ko) 핵연료 집합체 해체시스템 및 해체방법
JPH1090493A (ja) 原子炉の遠隔解体装置
Goldenberg et al. AARM: A robot arm for internal operations in nuclear reactors
CA2916867C (en) System and method for nuclear reactor refurbishment
JP6436304B2 (ja) 炉内デブリの回収方法及び回収装置
JP5905947B2 (ja) 原子力プラントにおける核燃料物質の搬出方法
KR102593280B1 (ko) 폐필터 인출 장치의 지령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제어 시스템
JP3770886B2 (ja) 新型転換炉の圧力管解体方法
Dean et al. JET remote maintenance during active operation
Freede SRE Core Recovery Program
KR102575698B1 (ko)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Popescu et al. RESEARCHES FOR THE CANDU NUCLEAR REACTOR FUEL CHANNELS DECOMMISSIONING. PART 1-DECOMMISSIONING DEVICE AND FUEL CHANNEL DISMANTLING PRESENTATION
Spampinato et al. Maintainability features of the compact ignition tokamak
Spampinato et al. Maintenance features of the Compact Ignition Tokamak fusion reactor
JP6230964B2 (ja) 燃料デブリ取出し装置と燃料デブリ取出し方法
Burgess et al. An overview of remote handling technology in today's fusion experiments
JP3872176B2 (ja) 制御棒駆動機構のアンカップリング装置および制御棒駆動機構のアンカップリ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