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357B1 - 퍼팅 가이드 시스템 및 퍼팅 가이드 방법 - Google Patents

퍼팅 가이드 시스템 및 퍼팅 가이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357B1
KR102025357B1 KR1020180020750A KR20180020750A KR102025357B1 KR 102025357 B1 KR102025357 B1 KR 102025357B1 KR 1020180020750 A KR1020180020750 A KR 1020180020750A KR 20180020750 A KR20180020750 A KR 20180020750A KR 102025357 B1 KR102025357 B1 KR 102025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dication mark
distance
sensing unit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778A (ko
Inventor
허인
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니테크
Priority to KR102018002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35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0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실제 그린에서 골퍼가 퍼팅 라인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퍼팅 가이드 시스템 및 퍼팅 가이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퍼팅 가이드 시스템 및 퍼팅 가이드 방법 {Guide system and method for putting}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퍼팅 가이드 시스템 및 퍼팅 가이드 방법을 제공한다.
골프 게임에서 퍼팅은 매우 정확성을 요구하는 데, 아마추어 골퍼 뿐만 아니라, 프로 골퍼들도 어려움을 겪는 기술이다.
이렇게 퍼팅이 어려운 이유는, 골퍼의 퍼팅 스트로크의 안정성과 더불어, 그린을 정확히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린을 읽는 능력이란, 그린 스피드, 라이, 거리 등을 고려하여 퍼팅의 방향과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데, 이는 매우 오랜 기간 연습하지 않으면 일정 수준에 도달할 수 없게 된다.
최근 다양한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등장으로, 실내에서 진행되는 골프 시뮬레이션 게임의 경우, 화면상으로 퍼팅 가이드 라인, 그린 스피드, 고도 등의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가 비교적 손쉽게 퍼팅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과는 달리 실제 골프장에서는 퍼팅을 가이드해주는 아무런 장치가 없기 때문에 단지 자신의 경험 및 감각에 의존하거나, 캐디의 가이드에 전적으로 의지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실제 그린에서 골퍼가 퍼팅 라인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퍼팅 가이드 시스템 및 퍼팅 가이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편평면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그린의 홀 위치를 센싱하도록 구비된 센싱 유닛과, 상기 센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홀 위치로부터 상기 홀에 대한 볼의 상대적 위치를 계산하도록 구비된 프로세서 유닛과, 상기 프로세서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볼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퍼팅 가이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싱 유닛에 의해 측정되는 홀 위치를 향하여 빔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빔 조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그린의 스피드를 입력하도록 구비된 입력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그린에 대한 상기 편평면의 기울기를 센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는, 편평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센싱 유닛에 의해 그린에 위치한 볼이 위치한 제1 위치와 상기 하우징이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의 제1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 유닛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그린의 홀이 위치하는 제3 위치 사이의 제2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의 제1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거리, 제2 거리 및 제1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3 위치 사이의 높이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팅 가이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거리, 제2 거리 및 제1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3 위치 사이의 제3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유닛에 의해 상기 그린에 대한 상기 편평면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퍼팅 방향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정확한 퍼팅 거리 및 고도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퍼팅 방향을 제시하고, 간단하게 그린의 경사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드에서 퍼팅 스트로크 방향을 결정하는 데 가이드할 수 있다.
거리 파악을 위해 사용자가 서 있는 위치에서 그대로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복합적인 골프 매니징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센싱 유닛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센싱 유닛의 다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프로세서 유닛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센싱 유닛 및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볼과 홀 사이의 거리값을 계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그린의 기울기을 계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경사가 있는 그린에서 볼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이 때,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한 제2 지시 마크 및 제3 지시 마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퍼팅 가이드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매니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시스템은, 하우징(11)과, 센싱 유닛(16)과, 프로세서 유닛(15)과, 디스플레이 유닛(13)과, 입력 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센싱 유닛(16)과, 프로세서 유닛(15)과, 디스플레이 유닛(13)과, 입력 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저면이 편평면(111)으로 구비되며, 이 편평면(111)은 그린(4)에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1)을 그린(4)에 놓았을 때 상기 편평면(111)이 그린에 닿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11)에는 표면에 입력 유닛(12)이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데, 입력 유닛(12)을 통해 사용자는 센싱 유닛(16), 디스플레이 유닛(13) 및/또는 프로세서 유닛(15)에 대한 동작 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유닛(12)은 제1 버튼(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튼(121)은 전원의 인가를 비롯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3) 및/또는 프로세서 유닛(15)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입력 유닛(12)은 제2 버튼(122) 및 제3 버튼(123)은 더 포함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특정 수치에 대한 증감 입력을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버튼(122) 및 제3 버튼(123)을 이용하여 그린 스피드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린 스피드는 골프장에서 제공하는 값이 될 수 있으며, 정확한 방향을 계산하기 위해 제2 버튼(122) 및 제3 버튼(123)을 이용하여 그 값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 유닛(15)은 특정 값을 그린 스피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2 버튼(122) 및 제3 버튼(123)을 이용해 이 기본 값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세서 유닛(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신 유닛(미도시)에 의해 골프장 서버와 통신함으로써, 골프장 서버가 제공하는 그린 스피드값을 받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의 표면에는 정면 중앙에 제1 지시 마크(14)가 표시될 수 있는 데, 이 제1 지시 마크(14)는 홀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 내에는 센싱 유닛(16)이 위치할 수 있는 데, 상기 센싱 유닛(16)은 그린의 홀 위치를 센싱하도록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 유닛(16)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센싱 유닛(161), 및 제2 센싱 유닛(1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 유닛(161)은 하우징(11)과 특정 목표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측정 센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싱 유닛(161)은 레이저 센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센서이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센싱 유닛(161)은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 유닛(162)은 하우징(11)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측정 센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기울기 측정 센서는 수평 방향으로 전후 및 좌우 모두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 유닛(16')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센싱 유닛(161) 내지 제3 센싱 유닛(1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싱 유닛(161)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거리 측정 센서가 될 수 있고, 제2 센싱 유닛(162) 및 제3 센싱 유닛(163)은 모두 기울기 측정 센서가 될 수 있다. 제2 센싱 유닛(162)은 수평 방향으로 제1 축, 즉, 전후 방향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가 될 수 있고, 제3 센싱 유닛(163)은 수평 방향으로 제2 축(제1 축에 수직인), 즉, 좌우 방향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퍼팅 가이드 시스템(1)은 광 조사 유닛(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조사 유닛(17)은 타겟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레이저 광 포인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광 조사 유닛(17)은 센싱 유닛(16)과 연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데, 특히 거리 측정 센서인 제1 센싱 유닛(161)과 연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광 조사 유닛(17)은 제1 센싱 유닛(161)에 의해 측정되는 타겟을 동시에 향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광 조사 유닛(17)의 동작은 제1 센싱 유닛(161)의 동작에 연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광 조사 유닛(17)을 이용하여 타겟을 비추는 것에 따라, 및/또는 입력 유닛(12)을 이용해 센싱 동작을 선택함에 따라 제1 센싱 유닛(161)이 타겟과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3)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 등 평판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3)은 하우징(11)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는 데, 측정된 정보 및/또는 계산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퍼팅을 정확히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러한 입력 유닛(12), 디스플레이 유닛(13), 센싱 유닛(16) 및 광 조사 유닛(17)은 프로세서 유닛(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 내에는 별도의 배터리가 내장되어 각 유닛에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15)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홀(3) 위치로부터 상기 홀(3)에 대한 볼(2)의 상대적 위치를 계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 유닛(15)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프로세서 유닛(151), 제2 프로세서 유닛(152) 및 저장 유닛(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세서 유닛(151)은 거리 계산 유닛일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센싱 유닛(16)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 및/또는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볼과 홀 사이의 정확한 거리값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세서 유닛(152)은 방향 계산 유닛일 수 있다. 이는 센싱 유닛(16)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 및/또는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퍼팅해야 하는 방향값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유닛(153)은 센싱된 데이터 및/또는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비되며, 제1 프로세서 유닛(151) 및/또는 제2 프로세서 유닛(152)에 의해 계산된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저장 유닛(153)이 프로세서 유닛(15)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저장 유닛(153)은 상기 프로세서 유닛(15)과는 별도의 부재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 유닛(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세서 유닛(151)과 제2 프로세서 유닛(152)은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서 구획된 섹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퍼팅 가이드 시스템(1)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퍼팅을 위한 정확한 거리값 및/또는 방향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는 하우징(11)을 든 체 그린(4) 위에 볼(2)이 놓여진 제1 위치(P1)에 선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입력 유닛(12)을 이용하여 하우징(11)이 위치한 제2 위치(P2)와 볼(2)이 놓여진 제1 위치(P1) 사이의 제1 거리(a1)를 측정한다. 제1 거리(a1)는 센싱 유닛(16)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 유닛(161)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하우징(11)을 그 위치에서 방향만 틀어 홀(3)이 위치한 제3 위치(P3)를 향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입력 유닛(12)을 조작하여 제2 위치(P2)와 제3 위치(P3) 사이의 제2 거리(a2) 및 제1 각도(b1)를 측정한다. 상기 제1 각도(b1)는 제1 위치(P1), 제2 위치(P2) 및 제3 위치(P3) 사이의 각도가 된다. 제2 거리(a2)는 센싱 유닛(16)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 유닛(161)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제1 각도(b1)는 센싱 유닛(16)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센싱 유닛(162)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거리(a1), 제2 거리(a2) 및 제1 각도(b1)에 대한 데이터는 프로세서 유닛(15)에 전달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 유닛(15)은 이 값들을 이용하여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 사이의 높이 차(h) 및/또는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 사이의 제3 거리(a3)를 계산할 수 있다.
먼저, 높이 차(h)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8018405977-pat00001
다음으로, 제3 거리(a3)는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8018405977-pat00002
프로세서 유닛(15)은 제1 위치(P1)와 제3 위치(P3)의 수평선에 대한 각도인 제2 각도(b2)를 계산할 수 있는 데, 이는 결국 그린의 경사도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각도(b2)는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8018405977-pat00003
이러한 방식에 의해 사용자가 하우징(11)을 그린(4) 위에 올려 놓지 않은 상태, 즉 볼이 위치한 자리에 서 있는 상태에서도 볼(2)과 홀(3) 사이의 정확한 높이 차(h) 및/또는 거리(a3)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데이터의 제공과 동시에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5)은 이렇게 볼(2)과 홀(3) 사이의 정확한 높이 차(h) 및 거리(a3)를 계산한 이후, 그린 스피드를 반영하여 퍼팅 거리값을 계산할 수 있다. 즉, 퍼팅 거리값은, 실제 거리(a3)에 높이 차(h)를 미리 정한 제1 배수를 곱하여 가감하고, 그린 스피드에도 미리 정한 제2 배수를 곱하여 가감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수 및/또는 제2 배수는 반복 실험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데이터 및/또는 계산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유닛(13)에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디스플레이 유닛(13)은, 볼과 홀 사이의 정확한 거리값(a3)이 표시되는 제1 표시 영역(131), 그린의 경사도를 의미하는 제2 각도(b2)가 표시되는 제2 표시 영역(132), 볼과 홀 사이의 높이 차(h)를 표시하는 제3 표시 영역(133), 그린 스피드를 표시하는 제4 표시 영역(134) 및/또는 높이 차, 거리 및 그린 스피드를 반영하여 계산된 퍼팅 거리를 표시하는 제5 표시 영역(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영역(131) 내지 제5 표시 영역(135)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11)을 그린(4) 위에 올려 놓은 후 제1 위치(P1)에서 퍼팅 스트로크를 할 방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하우징(11)의 편평면(111)이 그린(4) 위에 놓이도록 제1 위치(P1)에 하우징(11)을 내려 놓고, 입력 유닛(12)을 조작하여 제1 위치(P1)에서 그린(4)에 대한 편평면(111)의 기울기인 제3 각도(b3)를 측정한다. 이러한 제3 각도(b3)는 사용자가 제1 위치(P1)에 서서 홀을 정면으로 바라본 상태에서의 좌우 기울기값이 될 수 있다. 제3 각도(b3)는 센싱 유닛(16)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센싱 유닛(162),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센싱 유닛(163)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5)은 상기 제3 각도(b3)를 이용하여 제1 위치(P1)에서 사용자가 퍼팅 스트로크를 할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퍼팅 스트로크를 할 방향은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디스플레이 유닛(13)의 제6 표시 영역(136)에 표시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6 표시 영역(136)에 표시된 제2 지시 마크(136) 및 제3 지시 마크(137)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a에서 볼 수 있듯이, 볼(2)과 홀(3)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경사가 이루어져 있을 경우, 사용자는 볼(2)과 홀(3) 사이의 직선 방향(21) 대신 경사도를 고려한 퍼팅 방향(23)으로 퍼팅 스트로크를 하여야 한다. 그래야 볼(2)은 그린의 경사도를 감안한 궤적(22)으로 홀(3)로 향할 수 있다.
이러한 퍼팅 방향(23)을 파악하는 것은 많은 훈련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 최근 일부 유명 프로 골퍼들에게 에임포인트 익스프레스(Aimpoint express)라는 방법으로 퍼팅 방향을 판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먼저, 골퍼가 두 발로 볼이 위치한 지점에서 좌우 경사도를 느껴야 한다. 이 경사도를 복수의 단계, 예를 들면 1 내지 4단계까지 구분할 수 있다.
이 후, 경사도의 등급과 같은 수의 손가락을 펴 홀을 향해 뻗어 준다. 즉 1단계 경사도에서는 한 손가락, 2단계 경사도에서는 두 손가락을 펴는 것이다.
다음, 검지 손가락의 안쪽을 볼과 홀의 중앙을 연결한 선(21)에 일직선으로 연결하고, 경사도에 따라 펼친 손가락 개수의 맨 바깥쪽 라인에 맞춰 퍼팅 스트로크를 하는 것이다. 좌우 경사도에 맞춰 오른손으로 할지 왼손으로 할지를 결정한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의 경우 그린의 경사도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하는 데, 이는 매우 오랜 기간의 훈련이 필요하며, 훈련한다고 하더라도 그 정확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제3 각도(b3)를 측정함으로써 그린의 경사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제3 각도(b3)를 바탕으로 프로세서(15)는 경사도의 등급을 계산한다. 경사도의 등급은 미리 정해진 테이블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데, 즉, 제3 각도(b3)의 범위 별로 복수의 단계, 예컨대 1에서 4단계로 구분하여 정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은 실험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경사도의 등급은 도 9b에서 볼 수 있듯이, 제2 지시 마크(137) 및 제3 지시 마크(138)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 지시 마크(137)는 펼쳐야 하는 손가락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볼 마크가 좌우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지시 마크(14)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 후 얻어진 경사도 등급에 대응되게 제3 지시 마크(138)가 제2 지시 마크(137)의 특정 지점을 표시한다.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경사도는 제3 지시 마크(138)가 오른쪽으로 세번째 지점을 가리키므로, 이는 3등급을 의미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에임포인트 익스프레스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세 손가락을 뻗어 퍼팅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퍼팅 방향의 제공은 반드시 에임포인트 익스프레스 방법의 적용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지시 마크(137), 제3 지시 마크(138)는 퍼팅 방향이 홀로부터 좌우 이격된 간격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9b에서 볼 수 있는 실시예에서 제2 지시 마크(137)의 중앙 큰 원으로부터, 그 옆의 작은 원 두 개의 우측에 제3 지시 마크(138)가 위치하므로, 이는 중앙 큰 원을 홀로 보고, 이 홀로부터 우측으로 볼 2개의 간격으로 퍼팅 스트로크를 하라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정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롱 퍼팅의 경우, 즉 홀과 볼 사이의 거리가 특정 값 이상의 경우에는 제2 지시 마크(137)의 작은 원들을 볼의 크기만큼의 이격거리로 보지 않고, 특정 거리, 예컨대 클럽 길이 만큼의 이격 거리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퍼팅 가이드 시스템(1)은 하나의 하우징(11)에 모든 구성 요소가 탑재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유닛(12), 프로세서 유닛(15), 센싱 유닛(16) 및 빔 조사 유닛(17)은 하우징(11)에 탑재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11)에는 제1 통신 유닛(181)이 탑재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13)은 제2 통신 유닛(182)을 포함하는 별도의 단말기(19)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단말기(19)는 사용자의 휴대 전화기가 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3)은 휴대 전화기의 화면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말기(19)는 퍼팅 가이드 시스템 만을 구성하는 별도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하우징(11)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낮춤으로써,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가이드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 유닛(15)도 하우징(11)이 아닌 단말기(19) 내에 탑재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1)의 무게 및 부하를 최소화하고, 하우징(11)에 의해서는 센싱 데이터의 취득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퍼팅 가이드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매니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퍼팅 가이드 시스템(1)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별도의 단말기(5)가 통신하고, 단말기(5)를 통해 각종 데이터가 서버(6)로 전송하도록 하여, 골프 매니징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더욱 정확도 및 다양한 데이터 취득을 위해, 상기 퍼팅 가이드 시스템(1)은 GPS 수신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린에서 볼의 정확한 위치를 서버(6)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퍼팅 가이드 시스템(1)으로부터 취득되는 퍼팅 관련된 데이터를 서버(6)가 저장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퍼팅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퍼팅 가이드 시스템
11: 하우징
12: 입력 유닛
13: 디스플레이 유닛
15: 프로세서 유닛
16: 센싱 유닛
17: 빔 조사 유닛

Claims (7)

  1. 편평면을 포함하고, 중앙에 제1 지시 마크가 표시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그린의 홀 위치를 센싱하도록 구비된 센싱 유닛;
    상기 센싱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홀 위치로부터 상기 홀에 대한 볼의 상대적 위치를 계산하도록 구비된 프로세서 유닛; 및
    상기 프로세서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볼의 상대적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편평면이 상기 그린에 놓이고 상기 제1 지시 마크가 홀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편평면의 좌우 기울기 값을 센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제1 지시 마크가 가리키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단계를 표시하는 제2 지시 마크와, 상기 제2 지시 마크의 특정 지점을 표시하는 제3 지시 마크를 표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좌우 기울기 값을 바탕으로 경사도의 등급을 계산하고, 상기 등급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3 지시 마크가 제2 지시 마크의 특정 지점을 표시하도록 하는 퍼팅 가이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싱 유닛에 의해 측정되는 홀 위치를 향하여 빔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빔 조사 유닛을 더 포함하는 퍼팅 가이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그린의 스피드를 입력하도록 구비된 입력 유닛을 더 포함하는 퍼팅 가이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센싱 유닛으로부터 센싱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볼이 위치한 위치와 상기 홀 사이의 경사도를 계산하도록 구비된 퍼팅 가이드 시스템.
  5. 편평면을 포함하고 중앙에 제1 지시 마크가 표시되는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센싱 유닛에 의해 그린에 위치한 볼이 위치한 제1 위치와 상기 하우징이 위치하는 제2 위치 사이의 제1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센싱 유닛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와 상기 그린의 홀이 위치하는 제3 위치 사이의 제2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센싱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의 제1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센싱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거리, 제2 거리 및 제1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3 위치 사이의 높이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센싱 유닛에 의해, 상기 편평면이 상기 그린에 놓이고 상기 제1 지시 마크가 홀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편평면의 좌우 기울기 값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상기 좌우 기울기 값을 바탕으로 경사도의 등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지시 마크가 가리키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단계를 표시하는 제2 지시 마크와, 상기 제2 지시 마크의 특정 지점을 표시하는 제3 지시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상기 등급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3 지시 마크가 제2 지시 마크의 특정 지점을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팅 가이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거리, 제2 거리 및 제1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3 위치 사이의 제3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퍼팅 가이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시 마크는 고정적으로 표시되는, 퍼팅 가이드 방법.
KR1020180020750A 2018-02-21 2018-02-21 퍼팅 가이드 시스템 및 퍼팅 가이드 방법 KR10202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750A KR102025357B1 (ko) 2018-02-21 2018-02-21 퍼팅 가이드 시스템 및 퍼팅 가이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750A KR102025357B1 (ko) 2018-02-21 2018-02-21 퍼팅 가이드 시스템 및 퍼팅 가이드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484A Division KR20190109371A (ko) 2019-09-19 2019-09-19 퍼팅 가이드 시스템 및 퍼팅 가이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778A KR20190100778A (ko) 2019-08-29
KR102025357B1 true KR102025357B1 (ko) 2019-11-04

Family

ID=67775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750A KR102025357B1 (ko) 2018-02-21 2018-02-21 퍼팅 가이드 시스템 및 퍼팅 가이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396A (ko) *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모피어스시큐리티 거리측정기와 퍼팅측정기가 융합된 골프 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313B1 (ko) 2006-03-31 2007-02-09 조현서 퍼팅 보조 장치
KR101310570B1 (ko) * 2011-02-09 2013-09-2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퍼팅거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945B1 (ko) * 2011-01-13 2013-03-25 티케이에스코리아 주식회사 디지털 가이드 골프단말기
KR20150029094A (ko) * 2013-09-09 2015-03-18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골프 스윙 분석 장치
KR101813243B1 (ko) * 2016-05-24 2017-12-29 주식회사 골프존유통 골프필드에서 거리 추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313B1 (ko) 2006-03-31 2007-02-09 조현서 퍼팅 보조 장치
KR101310570B1 (ko) * 2011-02-09 2013-09-2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퍼팅거리 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1396A (ko) *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모피어스시큐리티 거리측정기와 퍼팅측정기가 융합된 골프 보조장치
KR102417063B1 (ko) * 2020-07-21 2022-07-05 주식회사 모피어스시큐리티 거리측정기와 퍼팅측정기가 융합된 골프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778A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0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ed gameplay based on a geospatial position
KR101385323B1 (ko) 스타트 센서를 이용하는 가상 스포츠 시스템
JP6878614B2 (ja) ゴルフボールの個人別パッティング用の方法及び装置
US6890273B1 (en) Golf putt-line variance determining system
US20170010359A1 (en) Golf device with gps and laser rangefinder functionalities
JP6204635B1 (ja) ゴルフプレイ支援システム、ゴルフプレイ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732394B (zh) 用於高爾夫測距裝置的整合式磁鐡安裝件
US20200047026A1 (en) Sensor device-equipped golf shoes
JP2020515312A5 (ko)
KR102025357B1 (ko) 퍼팅 가이드 시스템 및 퍼팅 가이드 방법
KR101883104B1 (ko) 거리측정이 가능한 볼마커
KR20190109371A (ko) 퍼팅 가이드 시스템 및 퍼팅 가이드 방법
KR101048864B1 (ko) 단일 광원과 평면 센서부를 이용하여 물체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EP3602525A1 (en) Precision pendulum putter
KR102224182B1 (ko)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
US8162779B1 (en) Putting guide method and apparatus
KR101246945B1 (ko) 디지털 가이드 골프단말기
KR20180086889A (ko) 자동으로 점수를 세주는 탁구대
KR20100006532U (ko) 골프플레이 보조 단말 장치에서 필드 경사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1879206B1 (ko) 골프용 고도차 측정 단말기
JP6714800B2 (ja) パッティングの支援装置
KR102237251B1 (ko)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용 웨어러블 유닛
KR102237571B1 (ko)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골프 정보 제공 시스템용 웨어러블 유닛
KR102650053B1 (ko) 체형 및 근골격 측정 기반의 동작 분석 장치
TWM470683U (zh) 高爾夫果嶺推桿輔助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