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789B1 -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 Google Patents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789B1
KR102024789B1 KR1020180067056A KR20180067056A KR102024789B1 KR 102024789 B1 KR102024789 B1 KR 102024789B1 KR 1020180067056 A KR1020180067056 A KR 1020180067056A KR 20180067056 A KR20180067056 A KR 20180067056A KR 102024789 B1 KR102024789 B1 KR 102024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ntainer
inner container
outer contain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용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067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72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med by arranging one flexible container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는 제1내용물이 수용되고, 외용기토출구가 형성된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 내측에 결합되며, 제2내용물이 수용되고, 내용기토출관이 형성된 내용기와, 상기 외용기의 외용기토출구 및 내용기의 내용기토출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용기토출구와 연통되는 제1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재와, 상기 외용기의 외용기토출구 및 내용기의 내용기토출관을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부재는 제1배출구의 사이즈 또는 모양이 다른 배출부재로 교체 가능하여 배출되는 제1내용물의 배출량 또는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Dischar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the different contents which can replace the discharging member}
본 발명은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내용물이 수용되고 상측에 외용기토출구가 형성된 외용기와 제2내용물이 수용되고 상측에 내용기토출관이 형성된 내용기와 상기 외용기토출구 및 내용기토출관에 결합되는 배출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재는 외용기 및 내용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의 배출용기를 생산할 때, 내용물의 점도나 사용 용량에 따라 제1배출구의 사이즈나 모양이 다른 배출부재로 교체하여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낭비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 사용이 가능한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기초화장품 중에는 주름개선이나 미백 또는 자외선차단과 같은 기능성 화장품이 있으며 상기의 기능성 화장품은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효과가 증진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의 화장품 중에는 이종 성분이 혼합된 상태에서 유통되거나 보관될 경우 화학작용에 의해 내용물이 변질, 응고, 침전되어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별도의 용기에 화장료를 각각 수용하여 판매한 후 소비자 사용시에 두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별도의 용기에 수용되어 판매되는 화장품은 다수의 용기를 보관하거나 휴대함으로써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화장품을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근래에는 하나의 용기본체 내에 별도의 듀얼용기가 구성되고, 상기 듀얼용기에 각각 배출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재에 의해 토출된 화장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구조의 화장품용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용기는 상기의 듀얼용기에 각각 구비된 배출부재를 가압하면 각각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형태로 여전히 사용자가 각 내용물을 배출한 후 일일이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개특허10-2013-0068710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여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각각 수용하는 제1,2용기와 상기 제1,2용기 상단에 형성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제1,2펌핑부재와 상기 제1,2용기를 수용하되, 상부에 상기 제1,2펌핑부재와 연통되어 상기 제1,2펌핑부재의 펌핑작용을 통해 이동하는 각각의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내용물 유입홀이 형성되며, 사용자 가압에 의해 회전하며 내용물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볼 어플리케이터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고 상기 볼 어플리케이터를 지지하는 고정체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2용기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펌핑하면 상기 제1,2용기에 수용된 각각의 내용물이 내용물유입홀을 통해 안착부로 유입되고, 상기 볼 어플리케이터를 피부에 대고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안착부에 유입된 내용물이 자동으로 혼합되면서 배출되는 형태이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펌핑부재를 펌핑하여 내용물이 상기 볼 어플리케이터에 묻어 나오면서 소량씩 토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은 양의 화장료를 필요로 할 때에는 상기의 펌핑부재를 수시로 펌핑하면서 볼 어플리케이터를 계속 회전시켜서 화장료를 토출해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점도가 높은 내용물일 경우 원활하게 토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1내용물이 수용되고 상측에 외용기토출구가 형성된 외용기와 제2내용물이 수용되고 상측에 내용기토출관이 형성된 내용기와 상기 외용기토출구 및 내용기토출관에 결합되는 배출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재는 외용기 및 내용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의 배출용기를 생산할 때, 내용물의 점도나 사용 용량에 따라 제1배출구의 사이즈나 모양이 다른 배출부재로 교체하여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낭비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 사용이 가능한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 어깨부 상측에 내용기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외용기 어깨부 내측에는 외용기결합리브가 형성되되, 상기 내용기결합리브에는 내용기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외용기결합리브에는 외용기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용기결합리브가 외용기결합리브에 언더컷 형태로 서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외용기결합리브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용기결합리브는 원호 형태로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링 형태의 외용기결합리브에 원호 형태의 내용기결합리브를 결합하면 외용기결합리브에 내용기결합리브가 결합되지 않은 부분이 생겨 상기 외용기에 수용된 제1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 역할을 하며, 상기 외용기결합리브가 링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된 내용기결합리브를 방향성 없이 결합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혼합용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 어깨부 상측 중앙에는 내용기토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 중앙에는 토출관결합홀이 형성되되, 상기 내용기토출관 외벽에는 토출관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관결합홀 내벽에는 토출관결합홈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외용기가 내용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부재를 외용기에 결합하면 상기 내용기토출관의 토출관결합돌기가 토출관결합홀의 토출관결합홈에 서로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출부재가 내용기와 외용기에 이중으로 결합되어 체결력이 우수한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제1내용물이 수용되고, 외용기토출구가 형성된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 내측에 결합되며, 제2내용물이 수용되고, 내용기토출관이 형성된 내용기와;
상기 외용기의 외용기토출구 및 내용기의 내용기토출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용기토출구와 연통되는 제1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재와;
상기 외용기의 외용기토출구 및 내용기의 내용기토출관을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부재는 제1배출구의 사이즈 또는 모양이 다른 배출부재로 교체 가능하여 배출되는 제1내용물의 배출량 또는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용기의 상부 중앙에는 토출관관통홀이 형성되어 내용기의 내용기토출관이 상기 토출관관통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용기에는 외용기결합리브가 형성되고, 내용기에는 내용기결합리브가 형성되되, 상기 외용기결합리브에 형성된 외용기결합홈과 내용기결합리브에 형성된 내용기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용기의 외용기결합리브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용기의 내용기결합리브는 부분적인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외용기결합리브와 내용기결합리브의 결합 시 외용기결합리브와 내용기결합리브가 결합되지 않은 부분이 제1내용물의 배출통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재의 중앙에는 토출관결합홀이 형성되어 내용기의 내용기토출관이 상기 토출관결합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관결합홀의 내주면에는 토출관결합홈이 형성되고, 내용기토출관의 외주면에는 내용기결합돌기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관결합홀의 하측에는 고정돌기가 구비된 고정리브가 형성되고, 외용기토출구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리브가 외용기토출구 내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재의 중앙에는 토출관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관결합홀 상측에는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내용기의 내용기토출관이 상기 토출관결합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는 제1내용물이 수용되고 상측에 외용기토출구가 형성된 외용기와 제2내용물이 수용되고 상측에 내용기토출관이 형성된 내용기와 상기 외용기토출구 및 내용기토출관에 결합되는 배출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재는 외용기 및 내용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의 배출용기를 생산할 때, 내용물의 점도나 사용 용량에 따라 제1배출구의 사이즈나 모양이 다른 배출부재로 교체하여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낭비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 어깨부 상측에 내용기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외용기 어깨부 내측에는 외용기결합리브가 형성되되, 상기 내용기결합리브에는 내용기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외용기결합리브에는 외용기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용기결합리브가 외용기결합리브에 언더컷 형태로 서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외용기결합리브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용기결합리브는 원호 형태로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링 형태의 외용기결합리브에 원호 형태의 내용기결합리브를 결합하면 외용기결합리브에 내용기결합리브가 결합되지 않은 부분이 생겨 상기 외용기에 수용된 제1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 역할을 하며, 상기 외용기결합리브가 링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된 내용기결합리브를 방향성 없이 결합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혼합용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 어깨부 상측 중앙에는 내용기토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 중앙에는 토출관결합홀이 형성되되, 상기 내용기토출관 외벽에는 토출관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관결합홀 내벽에는 토출관결합홈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외용기가 내용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부재를 외용기에 결합하면 상기 내용기토출관의 토출관결합돌기가 토출관결합홀의 토출관결합홈에 서로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출부재가 내용기와 외용기에 이중으로 결합되어 체결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혼합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의 배출부재를 교체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의 배출부재를 교체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의 배출부재를 교체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의 배출부재를 교체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는 제1내용물(C1)이 수용되고, 외용기토출구(11)가 형성된 외용기(10)와, 상기 외용기(10) 내측에 결합되며, 제2내용물(C2)이 수용되고, 내용기토출관(21)이 형성된 내용기(20)와, 상기 외용기(10)의 외용기토출구(11) 및 내용기(20)의 내용기토출관(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용기토출구(11)와 연통되는 제1배출구(31)가 형성된 배출부재(30)와, 상기 외용기(10)의 외용기토출구(11) 및 내용기(20)의 내용기토출관(21)을 개폐하는 뚜껑(4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부재(30)는 제1배출구(31)의 사이즈 또는 모양이 다른 배출부재(30)로 교체 가능하여 배출되는 제1내용물(C1)의 배출량 또는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외용기(10)는 내부에 제1내용물(C1)이 수용된다.
상기 제1내용물(C1)은 외용기(10) 상부에 형성된 외용기토출구(11)를 통해서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외용기토출구(11)의 중앙에는 토출관관통홀(12)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관관통홀(12)에는 내용기(20)의 내용기토출관(21)이 관통하면서 돌출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외용기(10)의 어깨부 내측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용기결합리브(13)가 형성되며, 상기 외용기결합리브(13)는 전둘레에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외용기결합리브(13)에는 내용기(20)에 형성된 내용기결합리브(22)가 결합된다.
상기 외용기결합리브(13)에는 외용기결합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외용기결합홈(131)에는 내용기결합리브(22)에 형성된 내용기결합돌기(221)가 언더컷 구조로 고정 결합되어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외용기(10)의 내측에는 내용기(20)가 결합되며, 상기 내용기(20)는 내부에 제2내용물(C2)이 수용된다.
상기 내용기(20)에는 내용기토출관(21)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기토출관(21)의 상부 외주면에는 토출관결합돌기(211)가 형성된다.
상기 내용기(20)에 수용된 제2내용물(C2)은 내용기토출관(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내용기토출관(21)은 외용기(10)의 토출관관통홀(12)을 관통하면서 돌출된 상태로 외용기(10)에 결합된 다음, 배출부재(30)의 토출관결합홀(3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내용기토출관(21)의 외주면에 형성된 토출관결합돌기(211)가 배출부재(30)의 토출관결합홀(32) 내주면에 형성된 토출관결합홈(321)에 결합되기 때문에 내용기(20)와 배출부재(3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켜 준다.
상기 내용기(20)의 어깨부 상측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기결합리브(22)가 형성되되, 상기 내용기결합리브(22)는 부분적으로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내용기결합리브(22)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제1내용물(C1)의 배출통로(23)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외용기결합리브(13)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용기결합리브(22)는 부분적으로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용기결합리브(13)와 내용기결합리브(22)가 결합될 때, 외용기결합리브(13)와 내용기결합리브(22)가 결합되지 않은 부분에 배출통로(23)가 형성되어 외용기(10)에 수용된 제1내용물(C1)이 배출되게 된다.
또한, 링 형태의 외용기결합리브(13)에 부분적인 원호 형태인 내용기결합리브(22)가 결합될 때, 방향성이 없이 결합될 수 있어서 조립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외용기(10)의 외용기토출구(11) 및 내용기(20)의 내용기토출관(21)에는 배출부재(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배출부재(30)는 제1배출구(31)와 상기 제1배출구(31)의 중앙에 토출관결합홀(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배출구(31)는 외용기(10)의 외용기토출구(11)와 연통되고, 상기 토출관결합홀(32)에는 내용기(20)의 내용기토출관(21)이 삽입, 결합된다.
상기 배출부재(30)는 외용기(10) 및 내용기(20)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의 배출용기를 생산할 때, 제1,2내용물(C1,C2)의 점도나 사용 용량에 따라 제1배출구(31)의 사이즈나 모양이 다른 배출부재(30)로 교체하여 제1내용물(C1)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낭비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출부재(30)의 토출관결합홀(32) 상측에 제2배출구(33)를 형성하여 상기 제2배출구(33)의 사이즈나 모양을 변경함으로써 제2내용물(C2)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재(30)의 토출관결합홀(32) 내주면에는 토출관결합홈(321)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관결합홈(321)에는 내용기(20)의 내용기토출관(21)에 형성된 토출관결합돌기(211)가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토출관결합홀(32)의 하측에는 고정돌기(322a)가 구비된 고정리브(32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322a)는 외용기(10)의 외용기토출구(11)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홈(111)에 끼워져 결합된다.
즉, 상기 배출부재(30)는 내용기(20)와 외용기(10)에 이중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우수한 체결력을 갖게 된다.
상기 외용기(10)의 상부에는 뚜껑(40)이 결합된다.
상기 뚜껑(40)은 본 발명의 배출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1,2내용물(C1,C2)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를 조립하기 위해 상부에 외용기토출구(11)와 토출관관통홀(12)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링 형태의 외용기리브(13)가 형성된 외용기(10)의 내측에 내용기(20)를 장착 결합하되, 상기 내용기(20)는 내용기토출관(2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부분적인 원호 형태의 내용기결합리브(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용기(20)의 내용기결합리브(22)를 외용기(10)의 외용기결합리브(14)에 결합할 때, 방향성이 없이 결합될 수 있어서 조립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결합리브(22)를 외용기리브(13)에 결합할 때, 내용기(20)의 내용기토출관(21)이 외용기(10)의 토출관관통홀(12)을 관통하면서 돌출된 상태로 외용기(10)에 결합된다.
이후, 상기 외용기(10)의 외용기토출구(11) 및 내용기(20)의 내용기토출관(21)에는 제1배출구(31)가 형성된 배출부재(3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배출부재(30)는 도 7 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용기(10) 및 내용기(2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배출용기를 생산할 때, 제1,2내용물(C1,C2)의 점도나 사용 용량에 따라 제1배출구(31)의 사이즈나 모양이 다른 배출부재(30)로 교체하여 제1,2내용물(C1,C2)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을 낭비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외용기(10)의 상부에 뚜껑(40)을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에 수용된 제1,2내용물(C1,C2)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40)을 분리한 다음,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용기(10)를 가압한다.
상기 외용기(10)를 가압하면 외용기(10)가 가압되는 동시에 제1내용물(C1)에 의해 내용기(20)도 가압된다. 이에따라 상기 외용기(10)에 수용된 제1내용물(C1)은 배출통로(23)를 통과하여 외용기토출구(11)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1내용물(C1)이 배출됨과 동시에 내용기(20)에 수용된 제2내용물(C2)은 내용기토출관(21)을 통해서 외부로 토출되어 상기 제1내용물(C1)과 제2내용물(C2)이 서로 섞이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어 사용하기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외용기 11:외용기토출구
12:토출구관통홀 13:외용기결합리브
20:내용기 21:내용기토출관
22:내용기결합리브 23:배출통로
30:배출부재 31:배출구
32:토출관결합홀 40:뚜껑

Claims (8)

  1. 제1내용물이 수용되고, 외용기토출구가 형성된 외용기와;
    상기 외용기 내측에 결합되며, 제2내용물이 수용되고, 내용기토출관이 형성된 내용기와;
    상기 외용기의 외용기토출구 및 내용기의 내용기토출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용기토출구와 연통되는 제1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부재와;
    상기 외용기의 외용기토출구 및 내용기의 내용기토출관을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부재는 제1배출구의 사이즈 또는 모양이 다른 배출부재로 교체 가능하여 배출되는 제1내용물의 배출량 또는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출부재의 중앙에는 토출관결합홀이 형성되어 내용기의 내용기토출관이 삽입, 결합되되,
    상기 토출관결합홀과 내용기토출관에는 각각 토출관결합홈과 토출관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고, 상기 토출관결합홀과 외용기토출구에는 각각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형성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배출부재가 내용기와 외용기에 이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의 상부 중앙에는 토출관관통홀이 형성되어 내용기의 내용기토출관이 상기 토출관관통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에는 외용기결합리브가 형성되고, 내용기에는 내용기결합리브가 형성되되, 상기 외용기결합리브에 형성된 외용기결합홈과 내용기결합리브에 형성된 내용기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의 외용기결합리브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용기의 내용기결합리브는 부분적인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외용기결합리브와 내용기결합리브의 결합 시 외용기결합리브와 내용기결합리브가 결합되지 않은 부분이 제1내용물의 배출통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결합홀의 하측에는 고정돌기가 구비된 고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가 외용기토출구 내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의 중앙에는 토출관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관결합홀 상측에는 제2배출구가 형성되어 내용기의 내용기토출관이 상기 토출관결합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KR1020180067056A 2018-06-11 2018-06-11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KR102024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056A KR102024789B1 (ko) 2018-06-11 2018-06-11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056A KR102024789B1 (ko) 2018-06-11 2018-06-11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789B1 true KR102024789B1 (ko) 2019-09-24

Family

ID=6806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056A KR102024789B1 (ko) 2018-06-11 2018-06-11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7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0105Y2 (ja) * 1992-12-28 1998-09-03 大和製罐株式会社 多室容器
JP2000095254A (ja) * 1998-09-21 2000-04-04 Hoyu Co Ltd 二室チューブ容器及びチューブ絞り器具
JP2002274556A (ja) * 2001-03-19 2002-09-25 Takayuki Hagiwara マヨネーズ容器の交換ノズル及び交換ノズル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0105Y2 (ja) * 1992-12-28 1998-09-03 大和製罐株式会社 多室容器
JP2000095254A (ja) * 1998-09-21 2000-04-04 Hoyu Co Ltd 二室チューブ容器及びチューブ絞り器具
JP2002274556A (ja) * 2001-03-19 2002-09-25 Takayuki Hagiwara マヨネーズ容器の交換ノズル及び交換ノズルユニ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86932A1 (en)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mixing and discharging two kinds of contents
US5020694A (en) Multi-cavity dispensing container
CN101778781B (zh) 双流体分配器
US5289949A (en) Multi-cavity dispensing refill cartridge
KR200442446Y1 (ko) 내용물 조절 배출과 혼합 사용이 가능한 펌프 용기
KR200284550Y1 (ko) 염색용구
CN111699048B (zh) 双泵分配系统
KR102024789B1 (ko) 배출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이종 내용물 배출용기
KR102505241B1 (ko) 듀오믹스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용기용 캡
KR102252534B1 (ko) 화장료 혼합용 주 용기, 화장료 혼합용 보조 용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화장품
US20070164048A1 (en) Lotion bottle structure
JP2008024339A (ja) スクイズ容器
JP2017132531A (ja) 注出容器
US20230109263A1 (en) Cosmetic container cap with duo-mix function
FR2753957A1 (fr) Emballage a deux compartiments et fermetures de ceux-ci
JP6437275B2 (ja) 泡噴出容器
KR100744661B1 (ko)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염색제를 혼합하는 염색장치
KR100690025B1 (ko) 염모제 혼합분출이 가능한 헤어브러시
JP2017114554A (ja) 注出容器
JP5844141B2 (ja) 泡噴出容器
KR200262437Y1 (ko) 화장용 브러쉬
KR102011807B1 (ko) 멀티 화장품 용기
JP6621367B2 (ja) 泡吐出容器
KR101525822B1 (ko) 화장품 용기용 캡
KR102307992B1 (ko)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