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708B1 - 침대 - Google Patents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708B1
KR102024708B1 KR1020190009736A KR20190009736A KR102024708B1 KR 102024708 B1 KR102024708 B1 KR 102024708B1 KR 1020190009736 A KR1020190009736 A KR 1020190009736A KR 20190009736 A KR20190009736 A KR 20190009736A KR 102024708 B1 KR102024708 B1 KR 102024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angle
subframe
main frame
hinge 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맥스 filed Critical (주)퍼맥스
Priority to KR1020190009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3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서브프레임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핀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되거나 각도변경홈부에서 복원안내홈부로 이동시 역행방지부에 의해 핀을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시키는 침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침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마주하는 양측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는 서브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기 서브프레임의 기울기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 가능하게 안내하는 각도조절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안내부는 상기 서브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핀을 구비하는 링크바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핀의 이동을 통해 상기 서브프레임의 각도를 설정하는 각도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설정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핀을 위치 고정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의 기울기를 변경시키는 각도변경홈부와, 상기 각도변경홈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각도변경홈부에서 상기 핀의 유입시 상기 서브프레임의 기울기를 복원 가능하게 안내하는 복원안내홈부 및 상기 핀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되거나 상기 각도변경홈부에서 상기 복원안내홈부로 이동시 상기 핀의 역행을 방지시키는 역행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대{BED}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브프레임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핀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되거나 각도변경홈부에서 복원안내홈부로 이동시 역행방지부를 통해 핀을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시키는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사용자가 누워서 생활하는 매트리스를 받쳐주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침대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는 침대에 누워서 텔레비전을 시청하거나 독서하는 등 바로 누운 자세에서는 몸체 무리가 발생하기 때문에 배게 혹은 쿠션 등을 허리에 받쳐 약간 상체를 일으킨 자세를 갖는다.
그런데, 장기간 상체를 지탱하던 배게 혹은 쿠션의 쿠션감이 떨어져 상체를 세운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자세가 불안정하여 근육 또는 관절에 무리가 생겨 통증 유발에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사용자의 상체를 일으킬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침대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침대는 각도 조절 기능을 갖기 위해 모터 등을 통한 과도한 중량을 갖는 승강 또는 회동 기구들을 추가적으로 부가하였으며, 이러한 기구들의 구조적 위치 유지를 위해 받침대를 금속제 프레임으로 제작해야 하므로 침대의 총 중량이 증가되고, 유지 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258245호(2013.04.19. 등록, 명칭: 각도 조절식 침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서브프레임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핀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되거나 각도변경홈부에서 복원안내홈부로 이동시 역행방지부에 의해 핀을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시키는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마주하는 양측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는 서브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기 서브프레임의 기울기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 가능하게 안내하는 각도조절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안내부는 상기 서브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핀을 구비하는 링크바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핀의 이동을 통해 상기 서브프레임의 각도를 설정하는 각도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설정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핀을 위치 고정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의 기울기를 변경시키는 각도변경홈부와, 상기 각도변경홈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각도변경홈부에서 상기 핀의 유입시 상기 서브프레임의 기울기를 복원 가능하게 안내하는 복원안내홈부 및 상기 핀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되거나 상기 각도변경홈부에서 상기 복원안내홈부로 이동시 상기 핀의 역행을 방지시키는 역행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행방지부는, 상기 각도변경홈부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가이드홀부 및 상기 가이드홀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핀의 이동시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시키도록 상기 핀을 걸림 지지하는 탄성걸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바가 기울어지게 배치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의 사이에 지지보강부가 설치되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보강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착탈부재와, 상기 서브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착탈부재 및 상기 제1착탈부재와 상기 제2착탈부재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핀의 위치에 대응하는 길이로 조절되어 상기 링크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분산부는 상기 제1착탈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제1힌지연결부재와, 상기 제1힌지연결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제2착탈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제2힌지연결부재 및 상기 각도변경홈부에서 상기 핀이 위치 고정시 상기 제2힌지연결부재를 상기 제1힌지연결부재에 구속 가능하게 조작하는 로킹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조작부는 상기 제2힌지연결부재의 둘레면이 접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제1힌지연결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시 탄성 가압력으로 상기 제2힌지연결부를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는 서브프레임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핀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되거나 각도변경홈부에서 복원안내홈부로 이동시 역행방지부를 통해 핀을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시키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서브프레임의 기울기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사용자가 서브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기울기가 역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링크바가 기울어지게 배치시 메인프레임과 서브프레임의 사이에 지지보강부가 설치됨으로써, 서브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여 링크바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서 서브프레임이 뉘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서 서브프레임이 설정 각도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서 각도조절안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서 각도조절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서 각도설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 지지보강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서 로킹조작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서 서브프레임이 뉘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서 서브프레임이 설정 각도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서 각도조절안내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서 각도조절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서 각도설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 지지보강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에서 지지보강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는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 서브프레임(200) 및 각도조절안내부(30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00)은 서브프레임(200)과 각도조절안내부(300)를 지지하고, 침대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00)은 나란한 한 쌍의 메인세로빔(110)과 메인세로빔(110)의 단부를 연결하는 메인가로빔(120) 및 메인세로빔(110)과 메인가로빔(120)을 바닥에 대해 지지하는 레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세로빔(110)과 메인가로빔(120)은 브라켓(1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140)은 메인세로빔(110)과 메인가로빔(120)의 연결 부위인 코너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물론, 브라켓(14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메인세로빔(110)과 메인가로빔(1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결속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레그(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메인세로빔(110), 메인가로빔(120) 및 메인세로빔(110)과 메인가로빔(120)의 연결부위 중 어느 한 곳에서 연장되게 조립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서브프레임(200)은 메인프레임(100)의 마주하는 양측에 일측이 힌지 연결된다. 즉, 서브프레임(200)은 메인세로빔(110)에 힌지 연결되어 각도조절안내부(300)를 통해 기울기 조절된다.
이러한 서브프레임(200)은 나란한 메인세로빔(110)에 각각 대응되는 한 쌍의 서브세로빔(210), 및 서브세로빔(210)의 동일측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서브가로빔(2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서브가로빔(220)에는 각도조절안내부(3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파지되는 손잡이(221)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서브프레임(20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서브세로빔(210) 각각은 일측이 대응되는 메인세로빔(110)의 마주하는 내측면에 힌지 연결된다. 그래서, 서브세로빔(210)은 메인세로빔(110)에 대해 일측을 기준으로 호 궤적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각도조절안내부(300)는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서브프레임(200)의 기울기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 가능하게 안내한다. 이러한 각도조절안내부(300)는 힌지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메인세로빔(110)에 대해 서브세로빔(210)의 기울기 각도를 설정 가능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링크바(310) 및 각도설정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링크바(310)는 서브프레임(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힌지 연결되고, 핀(311)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링크바(310)는 서브세로빔(210) 각각의 축 방향을 따라 중앙 부위에 일측이 힌지 연결된다. 이때, 핀(311)은 링크바(310)의 타측에 끼움 결합된다. 물론, 링크바(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크기와 굵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각도설정부(320)는 링크바(310) 각각에 대응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구비되어 핀(311)의 이동을 통해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서브프레임(200)의 기울기 각도를 설정한다. 즉, 각도설정부(320)는 메인세로빔(110)의 마주하는 내측에서 링크바(310)의 타측이 고정되는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서브세로빔(210)에 대한 링크바(31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각도설정부(320)는 바디(321), 각도변경홈부(322), 복원안내홈부(323) 및 역행방지부(324)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디(321)는 메인프레임(100) 중 메인세로빔(110)의 마주하는 내측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바디(321)는 볼트의 결합을 통해 메인세로빔(1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체결홀부(321a)를 구비한다. 물론, 바디(321)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메인세로빔(110) 자체일 수도 있다.
각도변경홈부(322)는 바디(321)에 구비되어 핀(311)을 위치 고정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하여 서브프레임(200)의 기울기를 변경시킨다. 이를 위해, 각도변경홈부(322)는 이동안내홈부(322a) 및 위치고정홈부(322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이동안내홈부(322a)는 핀(311)이 메인세로빔(110)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위치고정홈부(322b)는 이동안내홈부(322a)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어 외력을 통해 이동안내홈부(322a)를 따라 이동되는 핀(311)을 단계적으로 위치 고정시킴에 따라, 메인프레임(100)에 대한 서브프레임(200)의 기울기를 설정 가능하게 유지시킨다.
즉, 위치고정홈부(322b)는 이동안내홈부(322a)에서 이동되는 핀(311)이 수용되는 위치에 따라 링크바(310)의 기울기를 달리함으로써, 메인세로빔(110)에 대한 서브세로빔(210)의 기울기를 조절시킨다. 물론, 위치고정홈부(322b)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이때, 핀(311)의 둘레면에는 마찰보강부재(311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래서, 마찰보강부재(311a)는 이동안내홈부(322a)를 따라 이동되거나 위치고정홈부(322b)에 위치 고정시 핀(311)을 지지하기 위해 바디(210)에 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핀(311)이 이동안내홈부(322a)를 따라 이동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방지되도록 핀(311)은 스페이서(311b)를 구비한다. 물론, 스페이서(311b)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이동안내홈부(322a)는 마찰보강부재(311a)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핀(311) 또는 마찰보강부재(311a)의 직경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복원안내홈부(323)는 각도변경홈부(322)에서 핀(311)의 유입시 서브프레임(200)의 기울기를 복원 가능하게 안내한다. 이러한 복원안내홈부(323)는 바디부(321)에 형성된 격벽(321b)에 의해 각도변경홈부(322)와 축 방향으로 대략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역행방지부(324)는 핀(311)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되거나 각도변경홈부(322)에서 복원안내홈부(323)로 이동시 핀(311)의 역행을 방지시킨다. 이를 위해, 역행방지부(324)는 가이드홀부(324a) 및 탄성걸림부재(324b)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이드홀부(324a)는 각도변경홈부(322)에 복수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홀부(324a)는 각도변경홈부(322)에서 핀(311)이 위치 고정되는 부위와 각도변경홈부(322)와 복원안내홈부(323)에 구비되고, 탄성걸림부재(324b)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탄성걸림부재(324b)는 가이드홀부(324a)에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어 핀(311)의 이동시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핀(311)을 걸림 지지한다.
즉, 탄성걸림부재(324b)는 가이드홀부(324a)에 자유단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핀(311)이 위치고정홈부(322b)로 유입되거나 복원안내홈부(323)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이드홀부(324a)에 위치되면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핀(311)이 위치고정홈부(322b)에서 이탈되거나 복원안내홈부(323)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이드홀부(324a)를 벗어나는 순간 탄성 복원된다.
이에 따라, 핀(311)이 이동된 상태에서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 핀(311)을 걸림 지지하여 핀(311)의 역행을 방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서브프레임(200)의 기울기를 단계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바(310)가 기울어지게 배치시 메인프레임(100)과 서브프레임(200)의 사이에 지지보강부(400)가 설치되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보강부(400)는 링크바(310)가 기울어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가장 높게 위치하는 서브가로빔(220)과 메인가로빔(120)을 연결하여 링크바(310)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지지보강부(400)는 제1착탈부재(410), 제2착탈부재(420) 및 하중분산부(430)을 포함한다.
제1착탈부재(410)는 메인프레임(100)를 탄성적으로 수용하도록 결합된다. 즉, 제1착탈부재(410)는 메인가로빔(120)의 중간 부위에 배치되어 하중분산부(430)의 일측을 힌지 연결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착탈부재(420)는 서브프레임(200)를 탄성적으로 수용하도록 결합된다. 즉, 제2착탈부재(420)는 서브가로빔(220)의 중간 부위에 배치되어 하중분산부(430)의 타측을 힌지 연결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메인프레임(100)에 제1착탈부재(410)가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서브프레임(200)에 제2착탈부재(420)가 탄성적으로 결합시 제1착탈부재(410)와 제2착탈부재(420)는 이동방지부(440)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방지부(440)는 메인프레임(100)에 한 쌍이 제1착탈부재(410)의 너비만큼 이격되게 형성되고, 서브프레임(200)에 한 쌍이 제2착탈부재(420)의 너비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중분산부(430)는 제1착탈부재(410)와 제2착탈부재(420)에 힌지 연결되고, 핀(311)의 위치에 대응하는 길이로 조절되어 링크바(31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킨다. 이를 위해, 하중분산부(430)는 제1힌지연결부재(431), 제2힌지연결부재(432) 및 로킹조작부(43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힌지연결부재(431)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착탈부재(410)에 힌지 연결된다.
제2힌지연결부재(432)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착탈부재(420)에 힌지 연결되고, 제1힌지연결부재(431)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제1힌지연결부재(431)에 삽입된다.
그리고, 로킹조작부(433)는 핀이 위치 고정시 제2힌지연결부재(432)를 제1힌지연결부재(431)에 구속 가능하게 조작한다. 이를 위해, 로킹조작부(433)는 제2힌지연결부재(432)의 둘레면이 접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제1힌지연결부재(431)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433a)와, 고정부재(433a)의 둘레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433b) 및 체결부재(433b)가 고정부재(433a)에 체결시 탄성 가압력으로 제2힌지연결부재(432)를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433c)를 포함한다.
이때, 위치고정부(433c)는 제2힌지연결부재(432)의 둘레면에 접촉되도록 고정부재(433a)에 연장 형성되는 접촉부재(433d) 및 접촉부재(433d)의 둘레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체결부재(433b)에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탄성가압부재(433e)를 포함한다.
이로써, 위치고정부(433a)는 체결부재(433b)가 고정부재(433a)에 체결된 상태에서 탄성가압부재(433e)가 접촉부재(433d)를 가압하지 않을 경우 제2힌지연결부재(432)의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탄성가압부재(433e)가 접촉부재(433d)를 가압할 경우, 제2힌지연결부재(432)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메인프레임 110: 메인세로빔
120: 메인가로빔 200: 서브프레임
210: 서브세로빔 220: 서브가로빔
221: 손잡이 300: 각도조절안내부
310: 링크바 311: 핀
320: 각도설정부 321: 바디
322: 각도변경홈부 323: 복원안내홈부
324: 역행방지부 400: 지지보강부
410: 제1착탈부재 420: 제2착탈부재
430: 하중분산부 431: 제1힌지연결부재
432: 제2힌지연결부재 433: 로킹조작부

Claims (6)

  1.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마주하는 양측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는 서브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기 서브프레임의 기울기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 가능하게 안내하는 각도조절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안내부는 상기 서브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핀을 구비하는 링크바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핀의 이동을 통해 상기 서브프레임의 각도를 설정하는 각도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설정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상기 핀을 위치 고정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의 기울기를 변경시키는 각도변경홈부와, 상기 각도변경홈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각도변경홈부에서 상기 핀의 유입시 상기 서브프레임의 기울기를 복원 가능하게 안내하는 복원안내홈부 및 상기 핀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되거나 상기 각도변경홈부에서 상기 복원안내홈부로 이동시 상기 핀의 역행을 방지시키는 역행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바가 기울어지게 배치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의 사이에 지지보강부가 설치되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며,
    상기 지지보강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수용하도록 결합되는 제1착탈부재와, 상기 서브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수용하도록 결합되는 제2착탈부재 및 상기 제1착탈부재와 상기 제2착탈부재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핀의 위치에 대응하는 길이로 조절되어 상기 링크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에는 이동방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착탈부재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에 상기 제2착탈부재가 결합시 상기 제1착탈부재와 상기 제2착탈부재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행방지부는,
    상기 각도변경홈부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가이드홀부; 및
    상기 가이드홀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핀의 이동시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시키도록 상기 핀을 걸림 지지하는 탄성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부는,
    상기 제1착탈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제1힌지연결부재;
    상기 제1힌지연결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제2착탈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제2힌지연결부재; 및
    상기 각도변경홈부에서 상기 핀이 위치 고정시 상기 제2힌지연결부재를 상기 제1힌지연결부재에 구속 가능하게 조작하는 로킹조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조작부는,
    상기 제2힌지연결부재의 둘레면이 접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제1힌지연결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둘레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시 탄성 가압력으로 상기 제2힌지연결부를 위치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KR1020190009736A 2019-01-25 2019-01-25 침대 KR102024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736A KR102024708B1 (ko) 2019-01-25 2019-01-25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736A KR102024708B1 (ko) 2019-01-25 2019-01-25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708B1 true KR102024708B1 (ko) 2019-09-25

Family

ID=68068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736A KR102024708B1 (ko) 2019-01-25 2019-01-25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7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236A (ko) * 2004-07-22 2004-08-31 이정구 옷걸이 행거용 봉체 길이 조절구의 구조
KR200376013Y1 (ko) * 2004-11-13 2005-03-11 유영청 침대
JP6034770B2 (ja) * 2013-09-11 2016-11-30 株式会社グローバル・ニュークリア・フュエル・ジャパン 異物回収装置、異物回収システムおよび異物回収箱
KR101875449B1 (ko) * 2018-02-06 2018-07-09 (주)퍼맥스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236A (ko) * 2004-07-22 2004-08-31 이정구 옷걸이 행거용 봉체 길이 조절구의 구조
KR200376013Y1 (ko) * 2004-11-13 2005-03-11 유영청 침대
JP6034770B2 (ja) * 2013-09-11 2016-11-30 株式会社グローバル・ニュークリア・フュエル・ジャパン 異物回収装置、異物回収システムおよび異物回収箱
KR101875449B1 (ko) * 2018-02-06 2018-07-09 (주)퍼맥스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9502B2 (ja) 可動式マットレスファンデーション
US5594961A (en) Adjustable height bed
JP7357672B2 (ja) ソファシートフレーム、ソファベースアセンブリ、ソファ及びソファ生産組立プロセス
CN210013468U (zh) 一种建筑工程用模板支撑装置
KR102024708B1 (ko) 침대
KR101618703B1 (ko) 건축용 바닥슬래브 거푸집패널
KR102230607B1 (ko) 내진형 석재 고정장치
JPH0236244B2 (ko)
KR101875449B1 (ko) 침대
JP6690909B2 (ja) 足場押圧部材及び足場ユニット
KR102041034B1 (ko) 연결이 가능한 높이조절책상
US3952466A (en) Spring-loaded wear pads for crane booms
US20050207842A1 (en) Vibratory damped guide lever for a working device
KR101177072B1 (ko)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
DE202010006149U1 (de) Sitzgelenk für einen verschwenkbaren Sitz
KR101762369B1 (ko) 목재 장선을 이용한 마루 방진시스템
KR102465253B1 (ko) 지렛대 방식을 이용한 높이 조절용 파이프 슈
JP2593587Y2 (ja) 運転席のアームレスト
KR102321170B1 (ko) 창틀 클램핑 장치
CN219197331U (zh) 高度可调节型托架
KR102405270B1 (ko) 철근 절곡 절단 장치
KR102618685B1 (ko) 동바리용 엔형유격제
KR102649778B1 (ko) 시스템 선반
CN212389052U (zh) 一种建筑加固支撑机构
JPH0978833A (ja) コンクリート圧送管用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