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771B1 -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771B1
KR102023771B1 KR1020170164512A KR20170164512A KR102023771B1 KR 102023771 B1 KR102023771 B1 KR 102023771B1 KR 1020170164512 A KR1020170164512 A KR 1020170164512A KR 20170164512 A KR20170164512 A KR 20170164512A KR 102023771 B1 KR102023771 B1 KR 102023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enter
display device
sub
spherical polyhed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5503A (ko
Inventor
서인석
조문석
Original Assignee
쿨사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쿨사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쿨사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7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2Image signal generator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e.g. multi-view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VR 콘텐츠를 구형 다면체를 이루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서브 VR 콘텐츠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서브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하는 단계,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 방향으로의 벡터를 법선벡터로 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프로젝션할 서브 VR 콘텐츠를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서브 VR 콘텐츠를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해상도의 VR 콘텐츠를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기화를 맞춰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playing VR contents on display devices}
본 발명은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해상도의 VR 콘텐츠를 구형 다면체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VR(Virtual Reality)의 재생의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하나의 VR 콘텐츠를 표현하고 있다.
그런데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다수의 영상재생장치를 이용하여 VR 콘텐츠를 표현하는 경우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첫째, VR 영상을 분할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에 맞춰 해당부분만 표시하기 어려운 문제, 둘째, VR 영상의 재생이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재생장치에서 동기화시키기 어려운 문제, 셋째, 고해상도 VR 콘텐츠의 경우 일반재생장치에서 재생할 수 없는 문제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고해상도의 VR 콘텐츠를 구형 다면체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고해상도의 VR 콘텐츠를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기화를 맞춰 재생할 수 있는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VR 콘텐츠를 구형 다면체를 이루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서브 VR 콘텐츠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서브 VR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하는 단계;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 방향으로의 벡터를 법선벡터로 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프로젝션할 서브 VR 콘텐츠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서브 VR 콘텐츠를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VR 콘텐츠의 크기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비례하고,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법선벡터는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cosAcosB, cosAsinB, sinA)에 이르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A는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에 이르는 선이 상기 구형 다면체의 xy평면과 이루는 각이고, 상기 B는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 중심이 xy평면으로 정사영된 점까지의 선이 상기 구형 다면체의 x축과 이루는 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다수의 서브 VR 콘텐츠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VR 콘텐츠의 해상도가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해상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VR 콘텐츠를 분할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다수의 서브 VR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VR 콘텐츠를 구형 다면체를 이루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서브 VR 콘텐츠로 분할하는 콘텐츠 분할부; 상기 분할된 서브 VR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하는 매핑부;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 방향으로의 벡터를 법선벡터로 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프로젝션할 서브 VR 콘텐츠를 계산하는 서브 VR 콘텐츠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서브 VR 콘텐츠를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VR 콘텐츠의 크기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비례하고,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법선벡터는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cosAcosB, cosAsinB, sinA)에 이르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A는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에 이르는 선이 상기 구형 다면체의 xy평면과 이루는 각이고, 상기 B는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 중심이 xy평면으로 정사영된 점까지의 선이 상기 구형 다면체의 x축과 이루는 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콘텐츠 분할부는 상기 VR 콘텐츠의 해상도가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해상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VR 콘텐츠를 분할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다수의 서브 VR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해상도의 VR 콘텐츠를 구형 다면체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해상도의 VR 콘텐츠를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기화를 맞춰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다면체와 구형 다면체를 이루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서브 VR 콘텐츠 계산부(120)가 디스플레이의 회전에 따라 서브 VR 콘텐츠를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1인칭 카메라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또는 소자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고해상도의 VR 콘텐츠를 구형 다면체를 구성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장치는 콘텐츠 분할부(100), 매핑부(110), 서브 VR 콘텐츠 계산부(120), 전송부(130), 및 동기화부(140)로 구성된다.
콘텐츠 분할부(100)는 VR 콘텐츠를 구형 다면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서브 VR 콘텐츠로 분할한다.
또한, 콘텐츠 분할부(100)는 상기 VR 콘텐츠의 해상도가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해상도보다 높은 경우에도 상기 VR 콘텐츠를 서브 VR 콘텐츠로 분할함으로써, 고해상도의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VR 콘텐츠의 해상도가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해상도보다 높아 콘텐츠를 분할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VR 콘텐츠의 크기가 W x H 이고,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재생 가능한 크기가 q x p 인 경우, 서브 VR 콘텐츠의 분할 경계에서의 디스플레이를 고려하여 분할하는 서브 VR 콘텐츠의 개수는
Figure 112017120440913-pat00001
×
Figure 112017120440913-pat00002
로 한다.
매핑부(110)는 분할된 서브 VR 콘텐츠를 구형 다면체를 이루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한다.
본질적으로 입체인 구의 표면을 평면으로 옮기기 위한 투영법으로써, 등장방형도법(Equirectangular Projection)을 사용하는데, 이 투영법은 모든 경선 사이의 거리와 위선 사이의 거리가 같은 지도 투영방식이다.
등장방형도법에 따라 제작된 VR 콘텐츠의 경우, 매핑부(110)는 구형 다면체에 서브 VR 콘텐츠를 매핑할 수 있다.
매핑부(110)는 상기 VR 콘텐츠의 해상도가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해상도보다 높아 콘텐츠를 분할한 경우에, 분할된 서브 VR 콘텐츠를 구형 다면체에 다음과 같은 의사코드(Psuedo code)로 매핑한다.
for(r = rings / u * (div_h - 1);r < rings / u * div_h;r++)
{
for(s = sectors / v * (div_w - 1); s < sectors / v * div_w;s++)
{
vertices[i] = cos(2*PI * s * S) * sin(PI * r * R);
vertices[i + 1] = sin(2*PI * s * S) * sin(PI * r * R);
vertices[i + 2] = -cos(PI * r * R);
i += 3;
}
}
여기서, div_h는 구형 다면체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서브 VR 콘텐츠의 행(row), div_w는 구형 다면체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서브 VR 콘텐츠의 열(column), rings는 구형 다면체의 위도상 분할 갯수, sectors는 구형 다면체의 경도상 분할 갯수를 의미한다.
또한, PI는 3.14159265358979, i=0, u=H/p, v=W/q를 나타낸다.
상기 의사코드로부터 계산된 버텍스들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서브 VR 콘텐츠를 구성하게 된다.
서브 VR 콘텐츠 계산부(120)는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 방향으로의 벡터를 법선벡터로 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프로젝션할 서브 VR 콘텐츠를 계산한다.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 프로젝션되는 서브 VR 콘텐츠의 크기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w)에 비례하고, 상기 구형체의 중심에서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까지의 거리(r)에 반비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법선벡터는 상기 구형체의 중심에서 (cosAcosB, cosAsinB, sinA)에 이르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r, A, B, C, w의 의미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다면체와 구형 다면체를 이루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r은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까지의 거리이다.
A는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까지의 선과 xy평면이 이루는 각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도를 나타낸다.
B는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이 xy평면으로 정사영된 점까지의 선과 x축이 이루는 각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도를 나타낸다.
w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각형 모양인 경우 대각선 길이가 될 수 있다.
C는 디스플레이가 회전한 각도를 의미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서브 VR 콘텐츠 계산부(120)는 상기 VR 콘텐츠의 해상도가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해상도보다 높아 상기 VR 콘텐츠가 복수의 서브 VR 콘텐츠로 분할되면,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 프로젝션할 다수의 서브 VR 콘텐츠를 계산할 수 있다.
전송부(130)는 서브 VR 콘텐츠 계산부(120)에서 계산된 프로젝션할 서브 VR 콘텐츠를 동기화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
동기화부(140)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끼리 동기화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부(130)로 전송한다.
동기화부(140)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끼리 동기화하기 위해서 Precision Time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Precision Time Protocol를 이용한 동기화 방법은 한국등록특허 10-1682978에 개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장치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 예에 따른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300 단계에서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장치는 VR 콘텐츠를 구형 다면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서브 VR 콘텐츠로 분할한다. 상기 VR 콘텐츠의 해상도가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해상도보다 높은 경우에도 상기 VR 콘텐츠를 서브 VR 콘텐츠로 분할함으로써, 고해상도의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310 단계에서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장치는 분할된 서브 VR 콘텐츠를 구형 다면체를 이루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한다.
본질적으로 입체인 구의 표면을 평면으로 옮기기 위한 투영법으로써, 등장방형도법(Equirectangular Projection)을 사용하는데, 이 투영법은 모든 경선 사이의 거리와 위선 사이의 거리가 같은 지도 투영방식이다.
등장방형도법에 따라 제작된 VR 콘텐츠의 경우, 매핑부(110)는 구형 다면체에 서브 VR 콘텐츠를 매핑할 수 있다.
320 단계에서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장치는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 방향으로의 벡터를 법선벡터로 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프로젝션할 서브 VR 콘텐츠를 계산한다.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서브 VR 콘텐츠의 크기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w)에 비례하고, 상기 구형체의 중심에서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까지의 거리(r)에 반비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30 단계에서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장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끼리 동기화하고, 320 단계에서 계산된 서브 VR 콘텐츠를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재생한다.
도 4는 도 1의 서브 VR 콘텐츠 계산부(120)가 디스플레이의 회전에 따라 서브 VR 콘텐츠를 계산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400 단계에서 서브 VR 콘텐츠 계산부(120)는 디스플레이면의 회전각에 따라서 카메라를 회전시킨다.
OpenGL에서의 glRoate()는 디스플레이면의 회전각에 따라 카메라의 시선방향을 회전시킨다.
구형 다면체에 배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형태에 따라 C 만큼 회전하였다고 하면, 시점방향 벡터인 (cosAcosB, cosAsinB, sinA)를 법선방향으로 하여 C 만큼 회전하여 준다.
한편, 카메라의 시선 방향을 회전시킬 때 1인칭 카메라 시점을 사용한다.
1인칭 카메라 시점은 OpenGL에서는 gluLookAt() 함수의 인자로 카메라 위치, 시선방향, 상향벡터를 지정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5는 1인칭 카메라 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의 중심은 구형 다면체의 중심인 (0, 0, 0)으로 하고, 시점방향 벡터는 (cosAcosB, cosAsinB, sinA)로, 시점방향 벡터의 오른쪽 벡터는 (cos(B-π/2), sin(B-π/2), 0)로 한다. 상향 벡터는 시점방향벡터와 오른쪽 벡터의 외적(vector product)으로 구한다.
410 단계에서 서브 VR 콘텐츠 계산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프로젝션 방법을 선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할 영역을 선택한다.
OpenGL에서의 gluPerspective()는 디스플레이면에 매핑시 적용할 프로젝션 방법을 선택한다. gluPerspective()는 시야각, 종횡비, 전방절단면, 후방절단면을 인자로 하며, 카메라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면까지 멀고 가까움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w에 따라 카메라의 시야각의 크기를 결정하며, 시야각의 크기는
Figure 112017120440913-pat00003
로 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OpenGL에서의 glViewport()는 디스플레이면에 재생할 영역 즉 보여지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420 단계에서 서브 VR 콘텐츠 계산부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매핑된 서브 VR 콘텐츠를 셰이더를 이용하여 렌더링한다.
셰이더(Shader)란 그래픽 하드웨어에서 렌더링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프로그래밍 가능 셰이더는 버텍스의 처리 과정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셰이더와 픽셀 처리 과정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셰이더로 구분된다. 꼭지점의 처리 과정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셰이더를 버텍스 셰이더라고 하고, 픽셀 처리 과정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셰이더를 픽셀 셰이더 또는 프래그먼트 셰이더라고 한다.
버텍스 셰이더는 버텍스의 색상, 법선 벡터, 텍스처의 좌표, 위치와 같이 각 다각형의 버텍스와 관련된 값들을 변경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픽셀 셰이더 또는 프래그먼트 셰이더는 버텍스 사이의 픽셀들이 보이는 방법을 제공한다.
만일 빨간 다각형을 그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텍스 셰이더가 모든 버텍스를 빨간색으로 지정하면 된다. 한편 버텍스 사이에 그래디언트와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프래그먼트 셰이더를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VR 콘텐츠를 구형 다면체를 이루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서브 VR 콘텐츠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서브 VR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하는 단계;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 방향으로의 벡터를 법선벡터로 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프로젝션할 서브 VR 콘텐츠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서브 VR 콘텐츠를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법선벡터는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cosAcosB, cosAsinB, sinA)에 이르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A는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에 이르는 선이 상기 구형 다면체의 xy평면과 이루는 각이고,
    상기 B는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 중심이 xy평면으로 정사영된 점까지의 선이 상기 구형 다면체의 x축과 이루는 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다수의 서브 VR 콘텐츠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VR 콘텐츠의 해상도가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해상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VR 콘텐츠를 분할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다수의 서브 VR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VR 콘텐츠의 크기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비례하고,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VR 콘텐츠를 구형 다면체를 이루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서브 VR 콘텐츠로 분할하는 콘텐츠 분할부;
    상기 분할된 서브 VR 콘텐츠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핑하는 매핑부;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 방향으로의 벡터를 법선벡터로 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프로젝션할 서브 VR 콘텐츠를 계산하는 서브 VR 콘텐츠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서브 VR 콘텐츠를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법선벡터는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cosAcosB, cosAsinB, sinA)에 이르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A는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에 이르는 선이 상기 구형 다면체의 xy평면과 이루는 각이고,
    상기 B는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디스플레이 중심이 xy평면으로 정사영된 점까지의 선이 상기 구형 다면체의 x축과 이루는 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콘텐츠 분할부는 상기 VR 콘텐츠의 해상도가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해상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VR 콘텐츠를 분할하여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다수의 서브 VR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는 VR 콘텐츠의 크기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에 비례하고, 상기 구형 다면체의 중심에서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 항 또는 제2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70164512A 2017-12-01 2017-12-01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3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512A KR102023771B1 (ko) 2017-12-01 2017-12-01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512A KR102023771B1 (ko) 2017-12-01 2017-12-01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503A KR20190065503A (ko) 2019-06-12
KR102023771B1 true KR102023771B1 (ko) 2019-09-20

Family

ID=6684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512A KR102023771B1 (ko) 2017-12-01 2017-12-01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562B1 (ko) 2023-12-01 2024-02-14 주식회사라이브아레나 구형 디스플레이를 통한 컨텐츠 제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749B1 (ko) * 2020-10-20 2021-10-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멀티 콘텐츠의 구현 시스템 및 구현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6134A (ja) 2002-01-18 2003-07-30 Ihatove Co Ltd 球状構造物壁面画像表示装置
JP2005056295A (ja) * 2003-08-07 2005-03-03 Iwane Kenkyusho:Kk 360度画像変換処理装置
KR101606539B1 (ko) 2014-07-29 2016-03-25 주식회사 삼우소프트 360도 원형 디스플레이의 3차원 영상 렌더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397B1 (ko) * 2000-08-24 2002-03-13 김웅순 고해상도 파노라마 동영상의 획득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58339B1 (ko) * 2015-08-07 2022-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360도 3d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6134A (ja) 2002-01-18 2003-07-30 Ihatove Co Ltd 球状構造物壁面画像表示装置
JP2005056295A (ja) * 2003-08-07 2005-03-03 Iwane Kenkyusho:Kk 360度画像変換処理装置
KR101606539B1 (ko) 2014-07-29 2016-03-25 주식회사 삼우소프트 360도 원형 디스플레이의 3차원 영상 렌더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562B1 (ko) 2023-12-01 2024-02-14 주식회사라이브아레나 구형 디스플레이를 통한 컨텐츠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503A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2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rendering displaying high resolution virtual reality (VR) video
EP3673463B1 (en) Rendering an image from computer graphics using two rendering computing devices
US10083538B2 (en) Variable resolution virtual reality display system
JP6961018B2 (ja) テンポラル・アンチエイリアシングの中心窩適合
CN110546951B (zh) 合成立体视觉图像内容捕获
TW201601115A (zh) 藉由近似頂點至彎曲視埠上的投影在圖形處理中隨螢幕位置變化有效解析度
US9538164B2 (en) Stereoscopic conversion with viewing orientation for shader based graphics content
US20130100132A1 (en) Image rendering device, image rendering method, and image rendering program for rendering stereoscopic images
US20110306413A1 (en) Entertainment device and entertainment methods
JP2018523326A (ja) 全球状取込方法
US10540918B2 (en) Multi-window smart content rendering and optimizing method and projection method based on cave system
US6664971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nisotropic filtering and applications thereof
EP3379494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6553184B2 (ja) デジタルビデオのレンダリング
US1146862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occlusions in split rendering
KR102023771B1 (ko) Vr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JP4282587B2 (ja) テクスチャ・マッピング装置
US10708597B2 (en) Techniques for extrapolating image frames
JP6719596B2 (ja) 画像生成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装置
CN114758051A (zh) 一种图像渲染方法及其相关设备
US73623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e-based rendering with object proxies
US7595806B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level of detail filtering in a cube mapping application
KR101227155B1 (ko) 저해상도 그래픽 영상을 고해상도 그래픽 영상으로 실시간 변환하는 그래픽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7512603A (ja) 画像描画
US10339844B1 (en) Multi-perspective display of an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