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033B1 -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 - Google Patents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033B1
KR102023033B1 KR1020180054210A KR20180054210A KR102023033B1 KR 102023033 B1 KR102023033 B1 KR 102023033B1 KR 1020180054210 A KR1020180054210 A KR 1020180054210A KR 20180054210 A KR20180054210 A KR 20180054210A KR 102023033 B1 KR102023033 B1 KR 102023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ground
transmission line
overhead transmission
supervis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권
김태섭
박기용
정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54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0Measuring earth resistance; Measuring contact resistance, e.g. of earth connections, e.g.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는, 3상의 접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접지 표시 장치들 각각이 송전철탑에 부착되면서 접지선이 송전철탑과 가공송전선에 체결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가 상기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램프부를 점등하고, 감독자 단말기로 접지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감독자 단말기가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로부터 접지 알림 메시지를 모두 수신함에 따라 접지 완료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완료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가 상기 감독자 단말기로부터 작업 종료 지시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작업 종료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가 송전철탑 접지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작업 종료 지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감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감독자 단말기가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를 모두 수신함에 따라 접지 설치 해제 완료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OPERATION METHOD USING GROUND INDICATION DEVICE OF OVERHEAD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철탑에 장착되어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송전철탑에 승탑한 작업자와 송전철탑 아래에 위치하는 감독자에게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가공송전선의 휴전작업 중 접지선 설치와 철거를 명확하게 확인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전탑은 고압의 전력을 원격지로 수송하는 송전을 위해 가공송전선을 설치하기 위해 높게 세운 철탑이다. 이 경우에, 가공송전선은 154㎸, 345㎸, 765㎸의 고전압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송전탑에 설치된 가공송전선에 대한 휴전작업을 위해 송전탑에 직접 올라가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송전탑(1)에 접지선 및 접지 깃발(2)을 설치한 다음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 완료 이후에 설치된 접지선 및 접지 깃발(2)을 철거해야 한다. 도 1은 송전탑에 접지 깃발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현장감독과 인근 작업자들 간에 작업 상태를 서로 인지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과정이다.
그런데, 현장감독과 작업자는 현장 상황(즉, 거리, 각도, 날씨 등)의 조건에 따라 접지선과 접지 깃발을 확인하기 곤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완료 이후에 작업자가 접지선 및 접지 깃발을 철거하지 않는 경우에는 활선 상태 복귀로 인한 고장발생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가공송전선의 휴전작업에서는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해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2748호 (2014.07.02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철탑에 장착되어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송전철탑에 승탑한 작업자와 송전철탑 아래에 위치하는 감독자에게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가공송전선의 휴전작업 중 접지선 설치와 철거를 명확하게 확인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은, 3상의 접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접지 표시 장치들 각각이 송전철탑에 부착되면서 접지선이 송전철탑과 가공송전선에 체결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가 상기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램프부를 점등하고, 감독자 단말기로 접지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감독자 단말기가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로부터 접지 알림 메시지를 모두 수신함에 따라 접지 완료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완료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가 상기 감독자 단말기로부터 작업 종료 지시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작업 종료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가 송전철탑 접지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작업 종료 지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감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감독자 단말기가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를 모두 수신함에 따라 접지 설치 해제 완료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는, 전원부; 상기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점등 상태로 표시하기 위한 상기 램프부;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램프부에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부; 및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에 대한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기 위한 접지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감독자 단말기는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를 미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전철탑에 장착되어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송전철탑에 승탑한 작업자와 송전철탑 아래에 위치하는 감독자에게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알려줌으로써, 가공송전선의 휴전작업 중 접지선 설치와 철거를 명확하게 확인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거리에서도 감독자가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감독자는 날씨와 지형 등으로 인한 제약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작업자와 상호 소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LED 램프를 통해 표시하므로 작업자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선을 수거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고장발생 위험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송전탑에 접지 깃발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상기 도 2의 접지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접지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이하 '접지 표시 장치'라 함, 10)는, 송전철탑(1)에 장착되어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송전철탑(1)에 승탑한 작업자와 송전철탑(1) 아래에 위치하는 감독자에게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지 표시 장치(10)는 램프부(11), 스위치부(12), 전원부(13), 제어부(14), 버튼부(15), 접지 상태 감지부(16), 통신부(17)를 포함하며, 케이스(10a)에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케이스(10a)의 상부면에는 램프부(11)와 버튼부(15)가 외관상에 노출되어 있고, 케이스(10a)의 하부면에는 자석패드(10b)가 부착되어 있어 송전철탑(1)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먼저, 램프부(11)는 형광 램프, 백열 램프, 텅스텐 할로겐 램프, HMI 램프, 카본아크 램프, 크세논 아크 램프, LED 램프 등일 수 있으나, 여기서는 LED 램프가 적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LED 램프는 밝은 날씨에도 시안성을 확보하고 적은 전력으로 운용하기 위해 높은 휘도(luminance)를 나타낸다.
이러한 램프부(11)는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점등 상태로 표시하여 작업자 및 감독자가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스위치부(12)는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온(on)/오프(off)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전원부(1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램프부(11)에 인가한다. 여기서, 전원부(13)는 배터리(battery)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이거나, 태양전지(solarcell)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는 버튼부(15) 또는 접지 상태 감지부(1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스위치부(12)를 제어한다.
우선, 제어부(14)는 작업자에 의한 버튼부(15)의 조작 신호에 따라 스위치부(12)를 제어한다. 여기서, 버튼부(15)는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표시 또는 해제시키는 기능이 작업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14)는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접지 상태 감지부(16)의 감지 신호에 따라 스위치부(12)를 제어한다. 여기서, 접지 상태 감지부(16)는 작업자가 접지선을 가공송전선과 송전철탑(1)에 체결한 후 접지된 상과 접지 상태를 확인한다.
이 경우에, 제어부(14)는 통신부(17)를 통해 스위치부(12)를 제어함과 동시에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감독자 단말기(20)로 접지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는 감독자 단말기(20)에 대해서만 접지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으나, 작업자 단말기(미도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부(17)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예,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비콘[beacon] 등)을 통해 감독자 단말기(20)와 연결, 데이터 통신 및 설정 해제에 대한 일련의 통신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감독자 단말기(20)는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탑재하여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다음과 같이 확인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감독자 단말기(20)는 가공송전선의 3상에 대한 접지상태를 모두 확인하기 위해 3상에 각각 설치하기 위한 접지 표시 장치(10)를 미리 등록한 다음, 3상에 각각 설치된 접지 표시 장치(10)로부터 접지 알림 메시지를 모두 수신할 때 최종적으로 접지 완료 상태를 감독자에게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감독자 단말기(20)는 작업 종료 지시 메시지를 접지 표시 장치(10)로 전송한 후, 접지 표시 장치(1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모두 수신할 때 최종적으로 설치 해제 완료 상태를 감독자에게 표시해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는 통신부(17)를 통해 작업 종료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면, 작업자에게 작업 종료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스위치부(12)를 제어하여 램프부(11)의 점멸을 반복하거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알람을 줄 수 있다.
제어부(14)는 접지 표시 장치(10)가 작업자에 의해 송전철탑(1)으로 해제된 상태를 확인하여 통신부(17)를 통해 응답 메시지를 감독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는 작업자에 의해 버튼부(15)의 조작 신호를 감지하여 접지 표시 장치(10)의 해제 상태를 확인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지 표시 장치(10)는 작업자에 의해 송전철탑(1)에 부착된 후, 접지선이 가공송전선과 송전철탑(1)에 체결된다(S101). 이때, 접지 표시 장치(10)는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가 확인됨에 따라 램프부(11)를 점등한다(S102, S103). 이와 더불어, 접지 표시 장치(10)는 감독자 단말기(20)로 접지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104).
그러면, 감독자 단말기(20)는 기 등록된 접지 표시 장치(10)로부터 접지 알림 메시지를 모두 수신하면(S105), 접지 완료 상태 표시를 감독자에게 알려준다(S106). 여기서, 기 등록된 접지 표시 장치(10)는 3상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알려주는 것으로서, 3개의 접지 표시 장치(10)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지 표시 장치(10)는 감독자 단말기(20)로부터 작업 종료 지시 메시지를 전송받으면(S111), 작업자에게 작업 종료를 알려주는 작업 종료 알람을 발생한다(S112).
이후, 접지 표시 장치(10)는 작업자에 의해 송전철탑 접지가 해제되면(S113), 작업 종료 지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접지 표시 장치(10)로 전송한다(S114). 이때, 접지 표시 장치(10)는 작업 종료 알람을 끄기 위한 작업자의 버튼부(15)의 조작을 이용하여 작업자에 의해 송전철탑 접지가 해제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감독자 단말기(20)는 기 등록된 접지 표시 장치(10)로부터 전송된 응답 메시지를 모두 수신하면(S115), 기 등록된 접지 표시 장치(10)의 접지 설치 해제 완료 표시를 감독자에게 알려준다(S116).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
11 : 램프부 12 : 스위치부
13 : 전원부 14 : 제어부
15 : 버튼부 16 : 접지 상태 감지부
17 : 통신부 20 : 감독자 단말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3상의 접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접지 표시 장치들 각각이 송전철탑에 부착되면서 접지선이 송전철탑과 가공송전선에 체결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가 상기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램프부를 점등하고, 감독자 단말기로 접지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감독자 단말기가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로부터 접지 알림 메시지를 모두 수신함에 따라 접지 완료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완료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가 상기 감독자 단말기로부터 작업 종료 지시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작업 종료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가 송전철탑 접지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작업 종료 지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감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감독자 단말기가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를 모두 수신함에 따라 접지 설치 해제 완료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는,
    전원부;
    상기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를 점등 상태로 표시하기 위한 상기 램프부;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통해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램프부에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부; 및
    외부로부터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송전선의 접지 상태에 대한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기 위한 접지 상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감독자 단말기는 상기 각각의 접지 표시 장치를 미리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
KR1020180054210A 2018-05-11 2018-05-11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 KR102023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210A KR102023033B1 (ko) 2018-05-11 2018-05-11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210A KR102023033B1 (ko) 2018-05-11 2018-05-11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033B1 true KR102023033B1 (ko) 2019-09-20

Family

ID=6806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210A KR102023033B1 (ko) 2018-05-11 2018-05-11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0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1594A (zh) * 2020-08-18 2020-12-0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监测接地线实时位置状态的系统及方法
KR20230090065A (ko) * 2021-12-14 2023-06-21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접지 상태 식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6629A (ja) * 1996-02-29 1997-09-09 Chikushi Denki Kk 送電線の地絡鉄塔検出方法および装置
KR101412748B1 (ko) 2014-04-29 2014-07-02 (주)화신파워텍 가공 송전 철탑의 접지 저항 측정시스템
KR101509088B1 (ko) * 2015-01-19 2015-04-08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가공송배전선로 고장지점 검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6629A (ja) * 1996-02-29 1997-09-09 Chikushi Denki Kk 送電線の地絡鉄塔検出方法および装置
KR101412748B1 (ko) 2014-04-29 2014-07-02 (주)화신파워텍 가공 송전 철탑의 접지 저항 측정시스템
KR101509088B1 (ko) * 2015-01-19 2015-04-08 주식회사 에스앤씨하이텍 가공송배전선로 고장지점 검출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1594A (zh) * 2020-08-18 2020-12-0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监测接地线实时位置状态的系统及方法
CN112051594B (zh) * 2020-08-18 2023-08-2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监测接地线实时位置状态的系统及方法
KR20230090065A (ko) * 2021-12-14 2023-06-21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접지 상태 식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659950B1 (ko) * 2021-12-14 2024-04-2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접지 상태 식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033B1 (ko) 가공송전선의 접지 표시 장치를 이용한 작업 방법
KR101907565B1 (ko) 터널용 전원이중화 자동전환 장비
CN107680520A (zh) 一种智能化app线上精确诊断led灯故障的诊断方法
CN106950467A (zh) 一种电缆绝缘状况在线监控装置
KR102125064B1 (ko) 원격 조명 제어 가능한 가로등 시스템
KR101817599B1 (ko) 보안등 관제시스템
KR20030019936A (ko) 가로등 원격 관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80660B1 (ko) 지하 공동구의 변전설비 감시시스템
CN206892663U (zh) 一种输电线弧垂测量行走小车
CN203324425U (zh) 一种临时接地线装拆状态信号提取装置
JP5467914B2 (ja) 無線警報システム
KR101381278B1 (ko) 고정식 조명타워
KR20100124041A (ko) 자가진단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제어 분전함 장치
KR20110129097A (ko) 크레인 상태 감시 시스템
KR20130043332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방 감시(계측)제어 방법 및 그 소프트웨어 장치
CN113405592A (zh) 矿用采煤工作面ct监测装置及安装方法
CN202512390U (zh) 一种支腿识别系统及具有其的工程机械
CN103344873B (zh) 一种临时接地线装拆状态信号提取装置
JP2011150471A (ja) 接近警報装置
KR102489089B1 (ko) 활선 경보 장치
WO2014124748A1 (en) System for controlling road signals
CN110361633A (zh) 一种电缆线路故障指示器及系统
KR101046865B1 (ko) 굴착공사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JP6163470B2 (ja) 無線通信装置の通信状態確認装置
JP2019107085A (ja) 補助ロープ取付確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