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929B1 -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929B1
KR102022929B1 KR1020180049834A KR20180049834A KR102022929B1 KR 102022929 B1 KR102022929 B1 KR 102022929B1 KR 1020180049834 A KR1020180049834 A KR 1020180049834A KR 20180049834 A KR20180049834 A KR 20180049834A KR 102022929 B1 KR102022929 B1 KR 10202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motor
hydraulic oil
electrical signal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일
박세창
이상호
최삼석
정성교
Original Assignee
제이아이유압(주)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아이유압(주),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제이아이유압(주)
Priority to KR102018004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3Type of pump
    • F15B2211/20546Type of pump variable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장비의 주행모터를 무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제어할 수 있는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판의 경사각을 연속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하여, 모터 또는 릴리프밸브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사판의 경사각을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제1전기신호를 모터에 전달하여 작동유가 펌프로부터 챔버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사판의 경사각을 감소시키고자 할 경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제2전기신호를 릴리프밸브에 전달하여 작동유가 챔버로부터 릴리프밸브를 경유하여 작동유 탱크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swash plate in travel motor of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장비의 주행모터를 무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제어할 수 있는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장비에 적용되는 유압시스템은, 복수 개의 가변용량형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 일부를 주행 스풀의 절환으로 인해 좌,우측 주행모터에 공급하고, 작동유 나머지를 작업장치 스풀의 절환으로 인해 붐 등의 작업장치를 구동시키도록 작업장치 실린더 등에 공급한다.
도 1은 종래의 건설장비 유압시스템의 유압회로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건설장비 유압시스템은 엔진(1)에 연결되는 제1,2유압펌프(2,3)와, 제1,2유압펌프(2,3)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측 주행모터(6,10) 및 제1,2작업장치용 유압실린더(7,11)와, 좌,우측 주행모터(6,10)의 기동, 정지 및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좌,우측 주행 스풀(4,8)과, 제1,2작업장치용 유압실린더(7,11)의 기동, 정지 및 방향전환을 제어하는 제1,2작업장치 스풀(5,9)을 포함한다.
종래의 굴삭기 주행모터는 파일럿 압력에 의해 좌,우측 주행모터(6,10) 내의 속도변환밸브(6a,10a)를 이용하여 1속, 2속의 전환만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두 가지 모드로만 작동하게 되어 있어 무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58418호(2011.08.16 등록, 발명의 명칭 : 굴삭기의 주행구동유닛용 사판식 유압 피스톤 모터의 가변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조작부에 의해 발생된 제1 전기신호와 비례하도록 모터를 제어하며, 조작부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전기신호와 비례하도록 릴리프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사판의 경사각을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는, 건설장비의 주행모터에 구비된 사판에 연결되어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단부가 상기 사판에 연결되어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수용되고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작동유가 출입하는 공간부가 마련된 챔버를 구비하는 실린더; 작동유 탱크에 수용된 작동유를 상기 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상기 펌프와 상기 챔버를 연결하는 제1 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가 상기 챔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로를 개방하는 체크밸브;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 상기 챔버와 상기 작동유 탱크를 연결하는 제2 유로 상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챔버에서 배출되는 작동유가 상기 작동유 탱크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유로를 개방하는 릴리프밸브;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연속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릴리프밸브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제1 전기신호를 상기 모터에 전달하여 작동유가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챔버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감소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제2 전기신호를 상기 릴리프밸브에 전달하여 작동유가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릴리프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작동유 탱크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제1 전기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제2 전기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릴리프밸브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는 전압신호 또는 전류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신호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기준 전기신호로부터 증가되는 전기신호이고, 상기 제2 전기신호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기준 전기신호로부터 감소되는 전기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조작부에 의해 발생된 제1 전기신호와 비례하도록 모터를 제어하며, 조작부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전기신호와 비례하도록 릴리프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사판의 경사각을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주행모터를 무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설장비 유압시스템의 유압회로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조작부에 의해 사판의 경사각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조작부에 의해 사판의 경사각을 감소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는 건설장비의 주행모터(10)에 구비된 사판(11)에 연결되어 사판(11)의 경사각(a)을 연속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린더(110)와, 작동유 탱크(120)와, 펌프(130)와, 체크밸브(140)와, 모터(150)와, 릴리프밸브(160)와, 조작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는 건설장비의 좌측 주행모터 및 우측 주행모터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고, 도 2는 좌측 주행모터 및 우측 주행모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한 세트만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린더(110)는 사판(11)에 연결되어 사판(11)의 경사각(a)을 제어하며, 이러한 실린더(110)는 피스톤(111)과 챔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111)은 일단부가 사판(11)에 연결되어 챔버(112) 내부에서 왕복 이동한다. 피스톤(111)의 왕복이동에 따라 주행모터(10)의 내부에 설치된 사판(11)의 경사각(a)이 변경될 수 있으며, 사판(11)의 경사각(a)에 따라 주행모터(10)의 토출량이 변경되면서 주행모터(10)의 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챔버(112)의 내부에는 피스톤(111)이 수용되고, 피스톤(111)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유가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급되는 공간부(112a)가 마련될 수 된다.
상기 작동유 탱크(120)는 주행모터(1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유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작동유 탱크(120)는 챔버(112)의 공간부(112a)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수용할 수 있다.
작동유 탱크(120)에 수용된 작동유는 다시 펌프(130) 측으로 순환되어, 추후에 챔버(112)의 공간부(112a)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펌프(130)는 챔버(112)에 형성된 공간부(112a)로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다.
즉, 펌프(130)가 작동되면 작동유 탱크(120)에 수용된 작동유가 챔버(112)의 공간부(112a)로 이동되고, 공간부(112a)로 이동된 작동유는 피스톤(111)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피스톤(111)과 연결된 사판(11)의 경사각(a)이 초기위치(G)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사판(11)의 경사각(a)이 증가된다.
사판(11)의 경사각(a)이 증가됨에 따라, 주행모터(10)의 토출량이 증가되면서 주행모터(10)의 속도가 증가될 있다.
본 실시예의 펌프(130)로는 피스톤(111) 펌프(130)가 사용될 수 있다.
펌프(130)와 챔버(112)는 제1 유로(P1)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펌프(130)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는 제1 유로(P1)를 통해 챔버(112)의 공간부(112a)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40)는 제1 유로(P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펌프(130)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가 공간부(112a)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유로(P1)를 개방한다.
이때, 체크밸브(140)는 작동유가 일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작동된다.
이에 따라, 사판(11)의 경사각(a)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펌프(130)가 작동될 경우에만 작동유가 제1 유로(P1)를 통해 체크밸브(140)를 경유하여 공간부(112a)로 이동되며, 사판(11)의 경사각(a)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릴리프밸브(160)가 작동될 경우에는 챔버(112)의 공간부(112a)에 수용된 작동유가 펌프(130)측으로 이동되지는 않는다.
상기 모터(150)는 사판(11)의 경사각(a)을 연속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제공된 구성인 것으로서, 모터(150)는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펌프(130)를 구동하며, 펌프(130)는 서보모터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서모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AC 모터 또는 DC 모터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도 무방하다.
즉,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150)를 통해 펌프(130)의 토출량을 제어함으로써, 펌프(130)의 토출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130)의 토출량에 의해 결정되는 주행모터(10)의 속도 또한 무단으로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챔버(112)와 작동유 탱크(120)는 제2 유로(P2)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챔버(112)의 공간부(112a)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제2 유로(P2)를 통해 작동유 탱크(120)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유로(P2)는 챔버(112)와 체그밸브(140) 사이에 배치된 제1 유로(P1)에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릴리프밸브(160)는 사판(11)의 경사각(a)을 연속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공된 구성인 것으로서, 릴리프밸브(160)는 제2 유로(P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챔버(112)의 공간부(112a)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가 작동유 탱크(1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유로(P2)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릴리프밸브(160)는 사판(11)각의 경사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작동되며, 릴리프밸브(160)가 작동되면, 챔버(112)의 공간부(112a)에 수용된 작동유가 제1 유로(P1)로 이동되다가 제1 유로(P1)로부터 분기된 제2 유로(P2)를 통해 작동유 탱크(120)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사판(11)의 경사각(a)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모터(150)가 작동될 경우에는 릴리프밸브(160)는 오프된 상태이어서, 제1 유로(P1)로 이동되는 작동유가 제2 유로(P2)를 통해 작동유 탱크(120)로 배출되지는 않는다.
만약, 사판(11)의 경사각(a)을 감소시키기 위해, 모터(15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챔버(112)의 공간부(112a)에 수용된 작동유를 제1 유로(P1)를 통해 작동유 탱크(120)로 배출시키게 되면, 사판(11)이 초기위치(G)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에 의해 작동유가 급격하게 배출되어 사판(11)의 경사각(a)의 감소 속도를 제어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작동유가 제1 유로(P1)로 이동되면서 체크밸브(140)와 충격이 발생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판(11)의 경사각(a)을 감소시키기 위해 릴리프밸브(160)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조작부(170)는 모터(150) 또는 릴리프밸브(160)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사판(11)의 경사각(a)을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17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모터(150) 또는 릴리프밸브(160)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모터(150)의 작동에 의해 사판(11)의 경사각(a)을 연속적으로 증가시키거나, 릴리프밸브(160)의 작동에 의해 사판(11)의 경사각(a)을 연속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일예로, 조작부(170)는 전기 조이스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기 조이스틱은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건설장비의 운전석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70)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는 제1 전기신호(S1) 및 제2 전기신호(S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전기신호(S1)는 기준 전기신호로부터 증가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제2 전기신호(S2)는 기준 전기신호로부터 감소되는 전기신호일 수 있다.
한편, 조작부(170)가 제1 방향으로 조작되면 제1 전기신호(S1)가 발생될 수 있으며, 조작부(170)가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조작되면 제2 전기신호(S2)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전기신호는 전압신호 또는 전류신호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신호가 사용된 것을 가지고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제1 전기신호(S1)는 0 ~ 5V까지 증가되는 전압에 대한 전기신호일 수 있으며, 제2 전기신호(S2)는 0 ~ -5V까지 감소되는 전압에 대한 전기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기시호는 0이 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170)인 전기 조이스틱을 제1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0 ~ 5V까지 증가되는 전압에 대한 제1 전기신호(S1)를 발생시키게 되고, 전기 조이스틱을 제2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0 ~ -5V까지 감소되는 전압에 대한 제2 전기신호(S2)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판(11)의 경사각(a)을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 조작부(170)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제1 전기신호(S1)를 상기 모터(150)에 전달하여 작동유가 펌프(130)로부터 챔버(112)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판(11)의 경사각(a)을 감소시키고자 할 경우, 조작부(170)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제2 전기신호(S2)를 릴리프밸브(160)에 전달하여 작동유가 챔버(112)로부터 릴리프밸브(160)를 경유하여 상기 작동유 탱크(120)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조작부(170)로부터 인가되는 제1 전기신호(S1)의 크기에 비례하여 모터(15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조작부(170)가 제1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증가되는 제1 전기신호(S1)에 비례하여 모터(150)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전기신호(S1)가 증가되고 이에 비례하여 모터(150)의 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사판(11)의 경사각(a)을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80)는 조작부(170)로부터 인가되는 제2 전기신호(S2)의 크기에 비례하여 릴리프밸브(160)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조작부(170)가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되면서 증가되는 제2 전기신호(S2)에 비례하여 릴리프밸브(160)의 개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서 조작부에 의해 사판의 경사각을 증가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서 조작부에 의해 사판의 경사각을 감소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의 일점쇄선의 화살표는 작동유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조작부(170)를 이용하여 사판(11)의 경사각(a)을 연속적으로 증가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운전석 내부에 배치된 조작부(170)를 제1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기준 전기신호 0 ~ 5V까지 증가되는 전압에 대한 제1 전기신호(S1)가 발생된다.
이때, 제어부(180)는 조작부(170)에서 발생된 제1 전기신호(S1)를 모터(150)에 전달한다.
제어부(180)를 통해 모터(150)에 제1 전기신호(S1)가 전달되면 모터(150)가 작동되고, 모터(150)의 작동에 의해 펌프(130)는 작동유 탱크(120)에 수용된 작동유를 펌핑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조작부(170)의 조작에 의해 증가되는 제1 전기신호(S1)를 모터(150)에 전달한다. 모터(150)는 제어부(180)를 통해 전달된 제1 전기신호(S1)에 비례하여 모터(150)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펌프(130)가 작동되면, 작동유 탱크(120)게 수용된 작동유가 제1 유로(P1)로 이동된다.
제1 유로(P1)로 이동된 작동유는 체크밸브(140)를 경유하여 챔버(112)의 공간부(112a)로 유입된다.
이때, 제어부(180)는 릴리프밸브(160)로 전기신호를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릴리프밸브(160)가 작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유로(P1)로 이동되는 작동유는 제2 유로(P2)를 통해 작동유 탱크(120)로 배출되지는 않는다.
챔버(112)의 공간부(112a)로 유입된 작동유는 도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피스톤(111)을 좌측방향으로 밀게 되고, 피스톤(111)과 연결된 사판(11)이 초기위치(G)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사판(11)의 경사각(a)이 연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즉, 사판(11)의 경사각(a)이 연속적으로 증가하게 됨에 따라, 주행모터(10)의 토출량이 증가하게 되고, 주행모터(10)의 토출량이 증가되면서 주행모터(10)의 속도가 연속적으로 증가될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작부(170)를 이용한 사판(11)의 경사각(a)을 연속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조작부(170)를 이용하여 사판(11)의 경사각(a)을 연속적으로 감소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운전석 내부에 배치된 조작부(170)를 제2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기준 전기신호 0 ~ -5V까지 감소되는 전압에 대한 제2 전기신호(S2)를 발생된다.
이때, 제어부(180)는 조작부(170)에서 발생된 제2 전기신호(S2)를 릴리프밸브(160)에 전달한다.
제2 전기신호(S2)가 릴리프밸브(160)에 전달되면, 릴리프밸브(160)가 작동되면서 제2 유로(P2)가 개방된다.
이때, 제어부(180)는 모터(150)로 전기신호를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모터(150)는 작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펌프(130)를 통해 작동유가 챔버(112)로 공급되지는 않는다.
한편, 작동유가 챔버(112)의 공간부(112a)로 공급되지 않으면서 릴리프밸브(160)에 의해 제2 유로(P2)가 개방된 상태이면, 사판(11)이 초기위치(G)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도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사판(1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사판(11)과 연결된 피스톤(111)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챔버(112)의 공간부(112a)상의 작동유가 제1 유로(P1)로 배출된다.
제1 유로(P1)로 배출된 작동유는 제1 유로(P1)로부터 분기된 제2 유로(P2)로 이동되어 릴리프밸브(160)를 경유하여 작동유 탱크(120)로 배출된다.
한편, 제어부(180)는 조작부(170)에 의해 감소되는 제2 전기신호(S2)를 릴리프밸브(160)에 전달한다. 릴리프밸브(160)는 제어부(180)를 통해 전달된 제2 전기신호(S2)에 비례하여 릴리프밸브(160)의 개방을 연속적으로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조작부(170)에 의해 전달되는 제2 전기신호(S2)를 가지고 릴리프밸브(160)의 개방을 조절함에 따라, 사판(11)이 초기위치(G)로 복원되는 사판의 경사각(a)에 대해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조작부에 의해 발생된 제1 전기신호와 비례하도록 모터를 제어하며, 조작부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전기신호와 비례하도록 릴리프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사판의 경사각을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주행모터를 무단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사판 제어장치 110: 실린더
111: 피스톤 112: 챔버
112a: 공간부 120: 작동유 탱크
130: 펌프 140: 체크밸브
150: 모터 160: 릴리프밸브
170: 조작부 180: 제어부
P1: 제1 유로 P2: 제2 유로
S1: 제1 전기신호 S2: 제2 전기신호
a: 사판의 경사각

Claims (5)

  1. 건설장비의 주행모터에 구비된 사판에 연결되어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단부가 상기 사판에 연결되어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수용되고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작동유가 출입하는 공간부가 마련된 챔버를 구비하는 실린더;
    작동유 탱크에 수용된 작동유를 상기 챔버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
    상기 펌프와 상기 챔버를 연결하는 제1 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가 상기 챔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로를 개방하는 체크밸브;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
    상기 챔버와 상기 작동유 탱크를 연결하는 제2 유로 상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챔버에서 배출되는 작동유가 상기 작동유 탱크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유로를 개방하는 릴리프밸브;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연속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릴리프밸브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작부; 및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제1전기신호를 상기 모터에 전달하여 작동유가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챔버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감소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제2전기신호를 상기 릴리프밸브에 전달하여 작동유가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릴리프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작동유 탱크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제1전기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제2전기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릴리프밸브의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는 전압신호 또는 전류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신호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기준 전기신호로부터 증가되는 전기신호이고,
    상기 제2전기신호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기준 전기신호로부터 감소되는 전기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KR1020180049834A 2018-04-30 2018-04-30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KR102022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834A KR102022929B1 (ko) 2018-04-30 2018-04-30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834A KR102022929B1 (ko) 2018-04-30 2018-04-30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929B1 true KR102022929B1 (ko) 2019-09-24

Family

ID=6806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834A KR102022929B1 (ko) 2018-04-30 2018-04-30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9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489A (ko) * 1997-12-30 1999-07-26 토니헬샴 중장비용 주행장치
KR101058418B1 (ko) 2011-05-13 2011-08-24 한국기계연구원 굴삭기의 주행구동유닛용 사판식 유압 피스톤 모터의 가변장치
KR101819929B1 (ko) * 2016-04-28 2018-01-19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489A (ko) * 1997-12-30 1999-07-26 토니헬샴 중장비용 주행장치
KR101058418B1 (ko) 2011-05-13 2011-08-24 한국기계연구원 굴삭기의 주행구동유닛용 사판식 유압 피스톤 모터의 가변장치
KR101819929B1 (ko) * 2016-04-28 2018-01-19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윤종일 외 4인. "굴삭기 주행 정밀제어용 레규레이터 개발", 한국정밀공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4417B2 (en) Hydraulic drive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
KR20090103082A (ko) 중장비의 주행시스템
US20180291935A1 (en) Hydraulic drive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
JP2007040530A (ja) 走行システム
JP2017115942A (ja) 作業機械
JP4247986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KR20130143585A (ko) 건설기계의 유압펌프 제어시스템
JP2018017347A (ja) 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圧システム
JP6757238B2 (ja) 油圧駆動システム
WO2018079193A1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システム
US10655740B2 (en) Work machine
WO2016092809A1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システム
KR102022929B1 (ko)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US10927867B2 (en) Work machine having hydraulics for energy recovery
WO2020162353A1 (ja) 油圧駆動システム
KR101945540B1 (ko) 지게차의 유압 시스템
EP3660228B1 (en) Shovel
JP2013083293A (ja) 作業機械の油圧装置
KR100998606B1 (ko) 건설장비용 유압펌프의 토출유량 제어시스템
KR101819929B1 (ko) 건설장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KR20070103573A (ko) 굴삭기의 주행복합동작 제어용 유압시스템
KR100212218B1 (ko) 중장비의 다목적 유압제어장치
KR102145849B1 (ko) 건설기계 주행모터의 사판 제어장치
KR100226279B1 (ko) 주행직진용 유압회로
JP7463163B2 (ja) ショ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