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910B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910B1
KR102022910B1 KR1020180075185A KR20180075185A KR102022910B1 KR 102022910 B1 KR102022910 B1 KR 102022910B1 KR 1020180075185 A KR1020180075185 A KR 1020180075185A KR 20180075185 A KR20180075185 A KR 20180075185A KR 102022910 B1 KR102022910 B1 KR 102022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tube
mineral
headres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주열
Original Assignee
유주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주열 filed Critical 유주열
Priority to KR102018007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수면시 머리와 경추를 지지함으로써,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머리받침부와 경추받침부에 제1튜브 및 제2튜브를 수납시켜,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영역과 경추가 지지되는 영역을 구분하여 베개의 지지 기능외 다른 기능을 발휘하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베개{THE PILLOW}
본 발명은 사용자의 수면시 머리와 경추를 지지함으로써,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사용자의 수면시 머리와 경추를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한다.
베개는 헝겊 소재의 외피 안에 각종 탄성 칩, 솜, 스폰지, 천연고무(라텍스) 등을 넣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배겟속의 쿠션에 따라 베고 누울 경우, 두형에 따른 형상변형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두부에 가해지는 압박을 완하시킨다.
근래에는 위와 같은 베개의 본연의 기능과 더불어 베개 내부에 각종 천연물질 등을 넣어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베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베개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255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베개는 베개 몸체의 경추 받침부의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경추 받침부에 향기 발산 및 경추 받침력 보강 수단이 삽입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특허문헌 1의 베개는 상기 수단에서 향기가 발산되는 기능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 수단은 경추 받침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머리가 지지되는 영역에는 상기 수단을 삽입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머리가 지지되는 영역에서 향기가 발산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의 경우, 경추가 지지되는 경추 받침부와, 머리가 지지되는 영역을 구분하여 베개의 지지 기능외 다른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255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머리받침부와 경추받침부에 제1튜브 및 제2튜브를 수납시켜,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영역과 경추가 지지되는 영역을 구분하여 베개의 지지 기능외 다른 기능을 발휘하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베개는, 전방의 머리받침부와, 상기 머리받침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머리받침부에서 연장되며, 상부로 돌출된 굴곡이 형성된 경추받침부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 및 하면을 덮는 내피; 및 상기 몸체 및 상기 내피를 덮는 외피;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머리받침부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제1튜브가 각각 수납되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은 상기 머리받침부의 좌, 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경추받침부의 하부에는 헝겊주머니가 수납되는 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구멍은 상기 경추받침부의 좌, 우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헝겊주머니의 내부에는 상기 제1튜브와, 제2튜브가 수납되고, 상기 제1튜브의 내부에는 알갱이 형태의 제1광물이 수납되고, 상기 제2튜브의 내부에는 분말 형태의 제2광물이 수납되되, 상기 제1광물의 열전도도는 상기 제2광물의 열전도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받침부와 상기 경추받침부의 경계선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피에 구비되는 바; 상기 몸체의 하면에 밀착되며, 중앙에 관통공을 갖는 캡; 일단에 후크가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채 상기 캡의 하면에 밀착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바와 상기 후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멍의 개구된 좌, 우측 중 어느 하나를 덮도록 상기 몸체의 좌, 우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결합되는 측면 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광물은 칠보석이고, 상기 제2광물은 희토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베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몸체의 홈, 구멍, 제1튜브, 제2튜브 및 헝겊주머니 등의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영역인 머리받침부와 사용자의 경추가 지지되는 영역인 경추받침부를 구분하여 베개의 지지 기능외 다른 기능들을 발휘할 수 있다.
헝겊주머니를 통해, 제1, 2튜브가 구멍에 수납될 때, 그 위치가 틀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잇다.
와이어에 의해 바와 캡이 몸체의 상, 하면 각각을 가압하게 되어 머리받침부와 경추받침부의 경계선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기간동안 베개를 사용하게 되더라도, 경추받침부의 굴곡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베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베개에서 외피를 벗겨낸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베개에서 내피를 벗겨낸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배게의 A-A'선의 단면도.
도 5은 도 3b의 헝겊주머니와, 상기 헝겊주머니에 수납되는 제1, 2튜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베개를 베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베개(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베개에서 외피를 벗겨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의 베개에서 내피를 벗겨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게의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5은 도 3b의 헝겊주머니와, 상기 헝겊주머니에 수납되는 제1, 2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베개를 베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베개(10)는, 전방의 머리받침부(110)와, 머리받침부(1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머리받침부(110)에서 연장되며, 상부로 돌출된 굴곡(131)이 형성된 경추받침부(130)가 구비된 몸체(100)와, 몸체(100)의 상면 및 하면을 덮는 내피(210)와, 몸체(100) 및 내피(210)를 덮는 외피(220)와, 구멍(133)의 개구된 좌, 우측 중 어느 하나를 덮도록 몸체(100)의 좌, 우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결합되는 측면 몸체(101)와, 몸체(100)의 머리받침부(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111)에 각각 수납되며, 그 내부에 알갱이 형태의 제1광물(311)이 수납되는 제1튜브(310)와, 몸체(100)의 경추받침부(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구멍(133)에 수납되는 헝겊주머니(330)와, 헝겊주머니(330)의 내부에 수납되며, 그 내부에 분말 형태의 제2광물(321)이 수납되는 제2튜브(320)와, 머리받침부(110)와 경추받침부(130)의 경계선에 위치하도록 외피(220)에 구비되는 바(410)와, 몸체(100)의 하면에 밀착되며, 중앙에 관통공(431)을 갖는 캡(430)과, 일단에 후크(451)가 형성되고, 타단(453)이 관통공(431)에 삽입된 채 캡(430)의 하면에 밀착되는 후크부재(450)와, 바(410)와 후크(451)를 연결하는 와이어(4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100)의 머리받침부(11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제1튜브(310)가 각각 수납되는 복수개의 홈(111)이 형성되되, 홈(111)은 머리받침부(110)의 좌, 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의 경추받침부(130)의 하부에는 헝겊주머니(330)가 수납되는 구멍(133)이 형성되되, 구멍(133)은 경추받침부(130)의 좌, 우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헝겊주머니(330)의 내부에는 제1튜브(310)와, 제2튜브(320)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제1튜브(310)의 내부에는 알갱이 형태의 제1광물(311)이 수납되고, 상기 제2튜브(320)의 내부에는 분말 형태의 제2광물(321)이 수납되되, 제1광물(311)의 열전도도는 제2광물(321)의 열전도도보다 낮을 수 있다.
도 2, 도 3a, 도 3b,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는 전방의 머리받침부(110)와, 후방의 경추받침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푹신푹신하고, 탄성 복원성이 높은 라텍스 재질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머리받침부(110)는 몸체(100)의 전방에서 평탄한 상면을 갖는 부분이다. 경추받침부(130)는 머리받침부(110)의 후방에서 연장되어 상부로 돌출된 굴곡(131)이 형성된 부분이다.
몸체(100)의 전방에는 머리받침부(110)가 위치하며, 머리받침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베개(10)를 베고 누울 때, 머리받침부(110)의 상면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몸체(100)의 후방에는 경추받침부(130)가 위치하며, 경추받침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베개(10)를 베고 누울 때, 경추받침부(110)의 굴곡(도 3a의 131)이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몸체(100)의 머리받침부(11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제1튜브(310)가 각각 수납되는 복수개의 홈(111)이 형성된다. 이 경우, 복수개의 홈(111)은 머리받침부(110)의 좌, 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복수개의 제1튜브(310) 각각이 좌, 우 방향으로 길게 복수개의 홈(111)에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100)의 내부에는 제1튜브(310)가 삽입되어 수납된다.
위와 같이, 복수개의 홈(111)이 몸체(100)의 머리받침부(1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1튜브(310)가 홈(111)에 삽입되어 수납됨에 따라, 사용자가 베개(10)를 베고 누울 때,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몸체(100)의 경추받침부(130)의 하부에는 헝겊주머니(330)가 수납되는 구멍(133)이 형성된다. 이 경우, 구멍(133)은 경추받침부(130)의 하부의 좌, 우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다시 말해, 구멍(133)은 경추받침부(130)의 하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경추받침부(130)의 하부, 즉, 몸체(100)의 좌측 및 우측이 개구되어 있다. 이처럼, 구멍(133)이 형성됨에 따라 구멍(133)에는 헝겊주머니(330)가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100)의 내부에는 헝겊주머니(330)가 삽입되어 수납된다.
위와 같이, 구멍(133)이 몸체(100)의 경추받침부(130)의 하부에 형성되고, 헝겊주머니(330)가 구멍(133)에 삽입되어 수납됨에 따라, 사용자가 베개(10)를 베고 누울 때,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내피(210)는 몸체(100)의 상면 및 하면을 덮으며, 솜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부드러운 재질의 내피(210)가 몸체(100)의 상면 및 하면을 덮음에 따라, 사용자가 베개(10)를 베고 누울 때, 제1튜브(310)에 의해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잇다.
외피(220)는 몸체(100) 및 내피(210)를 덮으며, 천 등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피(220)에는 지퍼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지퍼를 통해 외피(220)를 몸체(100)로부터 쉽게 벗기거나 몸체(100)에 쉽게 씌울 수 있다.
외피(220)에는 후술할 바(4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측면 몸체(101)는 구멍(133)의 개구된 좌, 우측 중 어느 하나를 덮도록 몸체(100)의 좌, 우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33)의 개구된 좌측을 덮도록 몸체(100)의 좌측면에 측면 몸체(101)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 몸체(101)는 몸체(100)의 머리받침부(110) 및 경추받침부(13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측면 몸체(101)의 후방에도 경추받침부(130)의 굴곡(131)과 같은 형상의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 몸체(101)의 재질 또한, 전술한 몸체(100)의 재질과 동일한 라텍스 재질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측면 몸체(101)가 몸체(100)에 결합됨에 따라, 구멍(133)의 개구된 좌, 우측 중 어느 하나를 덮어 막게 되므로, 헝겊주머니(330)가 몸체(10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튜브(31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개의 제1튜브(310)는 몸체(100)의 머리받침부(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111) 각각에 수납된다.
복수개의 제1튜브(310) 각각의 내부에는 알갱이 형태의 제1광물(311)이 수납된다. 이 경우, 제1튜브(310)는 완전하게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제1광물(311)이 제1튜브(310)로부터 새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튜브(32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개의 제2튜브(320)는 복수개의 제1튜브(310)와 함께 헝겊주머니(330)의 내부에 수납되어 경추받침부(130) 하부에 형성된 구멍(133)에 수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튜브(320) 각각의 내부에는 분말 형태의 제2광물(321)이 수납된다. 이 경우, 제2튜브(320)는 완전하게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제2광물(321)이 제2튜브(320)로부터 새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복수개의 제1튜브(310) 및 복수개의 제2튜브(320) 각각은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베개(10)를 베고 누울 때, 제1튜브(310)로 인해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헝겊주머니(330)는 몸체(100)의 경추받침부(130)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133)에 삽입되어 수납된다.
헝겊주머니(330)는 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헝겊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헝겊주머니(33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제1튜브(310)와 복수개의 제2튜브(320)가 담겨져 수납된다. 이 경우, 복수개의 제1, 2튜브(310, 320)는 그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 형상을 갖는 뭉치 형태로 헝겊주머니(33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헝겊주머니(330)는 제1, 2튜브(310, 320)가 구멍(133)에 수납될 때, 그 위치가 틀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2튜브(310, 320)만 구멍에 삽입되어 수납될 경우, 제1, 2튜브(310, 320)의 직경이 구멍보다 현저하게 작으므로, 사용자가 베개(10)를 벨 때, 그 위치가 계속 틀어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2튜브(310, 3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베개(10)의 측면으로 튀어나오게 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헝겊주머니(330) 내부에 제1, 2튜브(310, 320)를 수납하고, 이러한 헝겊주머니(330)를 구멍(133)에 수납함으로써, 제1, 2튜브(310, 320)의 위치 틀어짐에 의해 베개(10)의 형상 변화 또는 사용자의 불편함으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1튜브(310)에 수납되는 제1광물(311)은 제2튜브(320)에 수납되는 제2광물(321)보다 열전도도가 낮은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제1광물(311)이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 특성을 가짐에 따라, 머리받침부(110)에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될 때, 머리받침부(110)의 온도는 사용자의 체온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개(10)를 베고 누으면, 머리가 시원한 느낌을 갖을 수 있다.
더 나아가, 그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홈(111)의 구성에 의해 제1튜브(310)와 사용자의 머리 사이에 몸체(100) 부분이 제거되어 머리가 보다 시원한 느낌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2튜브(310, 320)가 혼합되어 수납된 경추받침부(130)는 제1광물(311)보다 열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2광물(321)이 수납된 제2튜브(320)가 존재하므로, 경추받침부(130)의 온도는 머리받침부(110)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베개(10)를 베개되면, 경추, 즉, 목 부위가 따뜻한 느낌을 갖을 수 있다.
위와 같이, 베개(10)를 사용자가 베고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느낌을 느낄 수 있으며, 사용자의 경추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느낌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베개(10)를 베고 잘 때,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제1광물(311)은 알갱이 형태로 제1튜브(310)에 수납되고, 제2광물(321)은 분말 형태로 제2튜브(320)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낮은 제1광물(311)이 알갱이 형태로 제1튜브(310)에 수납됨에 따라, 열전도도가 더욱 낮아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높은 제2광물(321)을 분말 형태로 제2튜브(320)에 수납됨에 따라 열전도도를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제1광물(311)은 칠보석이고, 제2광물(321)은 희토류일 수 있다. 이 경우, 칠보석의 열전도도는 희토류의 열전도도보다 낮은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광물(311)이 칠보석이고, 제2광물(321)이 희토류일 경우에도 전술한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
칠보석이 수납된 제1튜브(310)가 몸체(100)의 머리받침부(110)의 홈(111)에 수납됨에 따라, 칠보석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통해, 혈액순환, 성인병 예방, 뇌활동 개선, 부종 완화 등의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또한, 희토류가 수납된 제2튜브(320)가 몸체(100)의 경추받침부(130)의 구멍(133)에 수납됨에 따라, 희토류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을 통해, 혈액순환, 성인병 예방, 뇌활동 개선, 부종 완화 등의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베개(10)는 몸체(100)의 홈(111), 구멍(133), 제1튜브(310), 제2튜브(320) 및 헝겊주머니(330)의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영역인 머리받침부(110)와 사용자의 경추가 지지되는 영역인 경추받침부(130)을 구분하여 베개(10)의 지지 기능외 전술한 다른 기능들을 발휘할 수 있다.
전술한 홈(111), 제1튜브(310) 및 제2튜브(32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일례로써, 전술한 홈(111)은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4개의 홈(111) 각각에 1개의 제1튜브(310)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헝겊주머니(330)의 내부에는 9개의 제1튜브(310)와 8개의 제2튜브(320)가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베개(10)의 내부에는 21개의 제1, 2튜브(310, 320)가 수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튜브(310)는 13개, 제2튜브(320)는 8개이다.
바(410)는 외피(220)의 수납공간(미도시)에 구비되며, 이러한 수납공간은 외피(220)가 몸체(100)를 덮을 때, 머리받침부(110)와 경추받침부(130)의 경계선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220)가 몸체(100)를 덮게 되면, 바(410)는 머리받침부(110)와 경추받침부(130)의 경계선, 즉, 머리받침부(110)의 상면과 경추받침부(130)의 상면의 경계선에 위치하게 된다.
캡(430)은 중앙에 관통공(431)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0)의 하면에 밀착된다.
후크부재(450)는 그 일단에 후크(451)가 형성되고, 타단(453)이 캡(430)의 관통공(431)에 삽입된 채, 캡(430)의 하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바(410), 캡(430) 및 후크부재(450)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470)는 바(410)와 후크(451)를 연결한다.
위와 같이, 와이어(470)가 바(410)와 후크부재(450)의 후크(451)를 연결함에 따라, 후크부재(450)의 타단(453)가 캡(430)의 하면을 상부로 가압함으로써, 타단(453)가 캡(430)의 하면에 밀착되고, 캡(430)이 몸체(100)의 하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와이어(470)에 의해 바(410)가 몸체(100)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끌어당겨져, 몸체(100)의 상면에 밀착되고(이 경우, 바(410)는 외피(220)의 수납공간에 구비되므로, 외피(220)의 수납공간의 재질에 둘러싸인채로 몸체(100)의 상면에 밀착된다), 와이어(470)에 의해 캡(430)이 몸체(100)의 하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끌어당겨져, 몸체(100)의 하면에 밀착된다. 이 경우, 몸체(100)의 재질은 푹신푹신한 특성이 있으므로, 바(410)와 캡(430)의 밀착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와이어(470)에 의해 바(410)와 캡(430)이 몸체(100)의 상, 하면 각각을 가압하게 되어 머리받침부(110)와 경추받침부(130)의 경계선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기간동안 베개(10)를 사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경계선의 형상이 유지됨에 따라, 경추받침부(130)의 굴곡(131)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굴곡(131)의 함몰 등이 방지됨에 따라, 몸체(100)의 탄성복원력이 쉽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튜브(310), 헝겊주머니(330)에 의해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캡(430)은 바(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응되도록 몸체(100)의 하면의 하부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후크부재(450) 및 와이어(470) 또한, 캡(430)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베개(10)의 제1, 2튜브(310, 320)의 갯수는 베개(10)의 크기,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갯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베개(10)의 구멍(133))의 개구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측면 몸체(101)가 아닌 다른 부재에 의해서도 덮혀 막힐 수 있다.
예컨데, 몸체(101)의 재질이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일 경우, 몸체(101)의 경추받침부(130)의 하부에 구멍(133)을 형성할 때, 구멍(133)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부분을 잘라 구멍(133)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잘려진 부분은 구멍(133)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갖게 된다. 원기둥 형상 부분을 일정한 두께로 자르게 되면, 구멍(133)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의 부분이 제조되며, 이러한 원판 형상의 부분을 구멍(133)의 개구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구멍(133)의 개구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덮을 수 있다.
위와 같이, 구멍(133)의 형성 과정에서 발생되는 원기둥 형상의 부분을 이용하여 원판 형상의 부분을 구멍(133)의 개구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덮게 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측면 몸체(101)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베개
100: 몸체 101: 측면 몸체
110: 머리받침부 111: 홈
130: 경추받침부 131: 굴곡
133: 구멍 210: 내피
220: 외피 310: 제1튜브
311: 제1광물 320: 제2튜브
321: 제2광물 330: 헝겊주머니
410: 바 430: 캡
431: 관통공 450: 후크부재
451: 후크 453: 타단
470: 와이어

Claims (4)

  1. 전방의 머리받침부와, 상기 머리받침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머리받침부에서 연장되며, 상부로 돌출된 굴곡이 형성된 경추받침부가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 및 하면을 덮는 내피; 및
    상기 몸체 및 상기 내피를 덮는 외피;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머리받침부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제1튜브가 각각 수납되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은 상기 머리받침부의 좌, 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경추받침부의 하부에는 헝겊주머니가 수납되는 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구멍은 상기 경추받침부의 좌, 우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헝겊주머니의 내부에는 상기 제1튜브와, 제2튜브가 수납되고,
    상기 제1튜브의 내부에는 알갱이 형태의 제1광물이 수납되고, 상기 제2튜브의 내부에는 분말 형태의 제2광물이 수납되되, 상기 제1광물의 열전도도는 상기 제2광물의 열전도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부와 상기 경추받침부의 경계선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피에 구비되는 바;
    상기 몸체의 하면에 밀착되며, 중앙에 관통공을 갖는 캡;
    일단에 후크가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채 상기 캡의 하면에 밀착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바와 상기 후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개구된 좌, 우측 중 어느 하나를 덮도록 상기 몸체의 좌, 우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결합되는 측면 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물은 칠보석이고, 상기 제2광물은 희토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1020180075185A 2018-06-29 2018-06-29 베개 KR102022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185A KR102022910B1 (ko) 2018-06-29 2018-06-29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185A KR102022910B1 (ko) 2018-06-29 2018-06-29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910B1 true KR102022910B1 (ko) 2019-11-05

Family

ID=6857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185A KR102022910B1 (ko) 2018-06-29 2018-06-29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518B1 (ko) * 2021-11-11 2022-04-01 고연지 가변형 베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556Y1 (ko) 2003-01-09 2003-05-13 김후기 향기 발산 수단 내장 및 경추 받침부 보완 베개
KR200321358Y1 (ko) * 2003-03-31 2003-07-28 전종국 건강베개
KR20060029753A (ko) * 2004-10-01 2006-04-07 (주)트윈 세이버 맞춤형 베개
KR20120041338A (ko) * 2010-10-21 2012-05-02 이명수 숙면용 베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556Y1 (ko) 2003-01-09 2003-05-13 김후기 향기 발산 수단 내장 및 경추 받침부 보완 베개
KR200321358Y1 (ko) * 2003-03-31 2003-07-28 전종국 건강베개
KR20060029753A (ko) * 2004-10-01 2006-04-07 (주)트윈 세이버 맞춤형 베개
KR20120041338A (ko) * 2010-10-21 2012-05-02 이명수 숙면용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518B1 (ko) * 2021-11-11 2022-04-01 고연지 가변형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470B1 (ko) 한방 건강베개
KR200448833Y1 (ko) 베개
KR102022910B1 (ko) 베개
KR200321358Y1 (ko) 건강베개
KR20080000106U (ko) 기능성 건강베개
KR101977730B1 (ko)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
US20170000680A1 (en) Decorative cushion massage device
JP2003235708A (ja) 機能性枕
KR200388090Y1 (ko) 팔베개 보조용 베개
JP3050776U (ja)
KR20190023205A (ko) 높이조절 패드 삽입 포켓을 구비한 베개 커버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KR200417962Y1 (ko) 다용도 기능성 베개
KR101649980B1 (ko) 목 베개부가 장착된 기능성 베개
KR200389046Y1 (ko) 초미립 공기비드를 이용한 베개
KR200420653Y1 (ko) 기능성 목·등받이 베개
KR200497926Y1 (ko) 베개
KR200450353Y1 (ko) 개량 모자
KR200297684Y1 (ko) 베개
JP2007082746A (ja)
KR200291633Y1 (ko) 건강패드 삽입형 베개
KR100786113B1 (ko) 베개
JP2002065431A (ja)
KR200175317Y1 (ko) 건강베개
KR20210055378A (ko)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